KR20120013229A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229A
KR20120013229A KR1020110136447A KR20110136447A KR20120013229A KR 20120013229 A KR20120013229 A KR 20120013229A KR 1020110136447 A KR1020110136447 A KR 1020110136447A KR 20110136447 A KR20110136447 A KR 20110136447A KR 20120013229 A KR20120013229 A KR 20120013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primary barrier
extension
reinforcing member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262B1 (ko
Inventor
전상언
채희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2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1Reinfor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Abstract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1차 방벽은, 제 1 주름부, 제 1 주름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2 주름부 및 제 1 주름부와 제 2 주름부가 교차하는 교차부를 포함하고, 보강 부재는, 제 1 주름부 또는 제 2 주름부를 지지하며 제 1 주름부 또는 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연장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며, 고정 장치는, 교차부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형상 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 및 볼록부로부터 제 1 주름부 및 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 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볼록부 및 연장부는 플랙서블한 재질의 단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DEVICE FOR FIXING THE PRIMARY BARRIER REINFORCEMENT MEMBER OF LNG STORAGE TANK}
본 발명은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약 -163℃의 초저온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저장 또는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액화천연가스를 밀폐하기 위해 2개의 방벽(1차 방벽 및 2차 방벽)을 구비한다.
그리고,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는 1차 방벽 및 2차 방벽 사이와 2차 방벽 및 내부 선체 사이에 낮은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을 갖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재질의 단열 부재에 플라이우드(Plywood)와 같이 압축강도가 큰 단열 부재 보호판이 결합된 단열 보드를 이용하여 단열층을 형성한다.
이 때,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은 액화천연가스와 직접 접하는 부분이므로, 높은 기밀성이 요구된다.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방벽시트가 용접 결합되어 1차 방벽을 형성하는데 이들 1차 방벽들은 극저온의 액화천연가스와 접할 때 열수축이 발생하고, 열수축 발생 시 용접 부위가 열응력을 받아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1차 방벽들은 낮은 면강성(In-plane Stiffness)을 갖기 위해 주름부(corrugation)를 갖는다. 주름부는 열수축 발생 시 일정량 변형됨으로써 용접 부위에서의 열응력을 줄여준다.
한편,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가 선박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될 때, 운송 도중 발생하는 선박의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등과 같은 움직임에 의해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의 표면에서 출렁거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렁거림을 슬로싱(Sloshing)이라 하는데, 이러한 슬로싱은 1차 방벽들에 큰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슬로싱에 의한 압축력이 1차 방벽들의 항복강도(Yield Strength)를 초과하면 변형에 가장 취약한 주름부에서 영구 변형이 발생하면서 1차 방벽들의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1차 방벽들은 열수축에 대응하여 낮은 면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슬로싱 발생에 의한 압축력에 대응하여 높은 내압(Pressure resistance) 성능을 가져야 한다.
1차 방벽의 내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출원 번호 제 10-2008-00910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1차 방벽의 주름부 하측에 보강 부재를 설치하는 구조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보강 부재는 1차 방벽의 주름부에 고정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1차 방벽의 주름부 하부에 보강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 출원 번호 제 10-2008-009108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의 주름부에 1차 방벽용 보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내벽을 형성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로서, 상기 1차 방벽은, 제 1 주름부, 상기 제 1 주름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2 주름부 및 상기 제 1 주름부와 상기 제 2 주름부가 교차하는 교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 1 주름부 또는 상기 제 2 주름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주름부 또는 상기 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교차부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형상 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제 1 주름부 및 상기 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강 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연장부는 플랙서블한 재질의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는, 가장 높은 위치인 중앙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양 측면이 경사진 삼각 형태의 제 1 경사 측면 및 제 2 경사 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볼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경사 측면 및 상기 제 2 경사 측면의 외측에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양 측면에 제 1 수직 측면 및 제 2 수직 측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수직 측면 및 상기 제 2 수직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벌어진 포물선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의 상부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측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의 단면은 반원형, 원호형, 파이프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의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1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로부터 양 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로부터 양 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 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연장부는 발포성 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포성 폼은 발포성 폴리에틸렌 폼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장치는 알갱이로 형성되는 상기 발포성 폼이 본딩 혹은 증기압을 통한 용접(welding)에 의하여 소정 형태의 금형 내에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장치의 높이는 상기 단열 보드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교차부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를 이용하면 1차 방벽의 주름부에 보강 부재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의 주름부 및 교차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의 주름부 및 교차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의 주름부 및 교차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1차 방벽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를 저면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의 연장부의 단면의 일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의 연장부의 단면의 다른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가 1차 방벽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를 1차 방벽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구조체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가 설치되는 1차 방벽의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1차 방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1차 방벽의 주름부 및 교차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1차 방벽의 주름부 및 교차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1차 방벽의 주름부 및 교차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화 천연 가스의 1차 방벽(10)은 도 1에서 볼 때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z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주름부(12)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z 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주름부(14)를 포함한다.
제 1 주름부(12) 및 제 2 주름부(14)는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주름부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주름부(12)와 제 2 주름부(14)가 교차되는 위치에는 교차부(16)가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교차부(16)는 제 1 주름부(12)와 제 2 주름부(14)가 교차하는 위치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8)가 형성되며, 제 1 주름부(12)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부(18)의 양측부에는 제 2 주름부(14)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된 제 1 홈(21) 및 제 2 홈(23)이 형성된다.
돌출부(18)와 제 1 홈(21) 사이에는 삼각형상의 제 1 측면(22)이 형성되며, 돌출부(18)와 제 2 홈(23) 사이에는 삼각 형상의 제 2 측면(24)이 형성된다.
제 2 주름부(14)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부(18)의 양측부에는 오목부(25, 27)가 형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1차 방벽(10)은 판재로 형성되며, 1차 방벽의 제 1 주름부(12)와 제 2 주름부(14)는 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주름부(12)의 하측부와 제 2 주름부(14)의 하측부 그리고 교차부(16)의 하측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 1 주름부(12)의 하측면(36) 및 제 2 주름부(14)의 하측면(38)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교차부(16)의 하측부에는 대략 삼각 형상인 경사면(31) 및 상기 경사면(31)의 양측에 위치되는 제 1 접힘면(32) 및 제 2 접힘면(34)이 제 2 주름부(14)의 연장 방향 중심선(C)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18)의 하측부에는 후술하는 보강 부재 고정 장치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35)이 형성된다.
이 때, 1차 방벽(10)의 교차부(16)에 형성되는 돌출부(18), 제 1 및 제 2 홈(21, 23) 및 오목부(25, 27)는 드로잉, 금형 또는 압출 제작 방식을 이용하여 각 부분의 모서리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1차 방벽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1차 방벽의 주름부에 고정될 수 있는 보강 부재(200)는 지지부(210) 및 바닥부(220)를 포함한다.
보강 부재(200)의 지지부(210)는 제 1 및 제 2 주름부(12, 14)의 하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굽어지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지지부(210)의 하측에는 바닥부(220)가 위치된다. 바닥부(2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보강 부재(200)는 지지부(210)와 바닥부(220)로 이루어진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10)와 바닥부(220)의 연장 방향 양 단부(212)는 양 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강 부재(200)를 1차 방벽(10)의 주름부 하측부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의 사시도,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를 저면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의 연장부의 단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가 1차 방벽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를 1차 방벽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100)는 볼록부(110) 및 연장부(120)를 포함한다.
볼록부(110)는 1차 방벽 교차부(16)의 하측부에 형성된 결합홈(35)에 형상 맞춤 결합 될 수 있도록 도 6에서 볼 때 z축 방향인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볼록부(110)는 도 7에서 볼 때 가장 높은 위치인 중앙의 상단부(116)를 중심으로 x 축 방향(제 1 주름부의 연장 방향) 양측에 경사진 삼각 형태의 제 1 경사 측면(112) 및 제 2 경사 측면(114)을 구비한다.
이 때, 볼록부(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제 1 경사 측면(112) 및 제 2 경사 측면(114)의 외측에는 제 1 홈부(117) 및 제 2 홈부(119)가 형성된다.
볼록부(110)의 제 1 홈부(117) 및 제 2 홈부(119)는 1차 방벽(10)의 제 1 홈(21) 및 제 2 홈(23)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볼록부(110)가 1차 방벽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홈부(117) 및 제 2 홈부(119)는 각각 제 1 홈(21) 및 제 2 홈(23)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위치된다.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y축 방향(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상단부(116)의 양 측부에는 제 1 수직 측면(113) 및 제 2 수직 측면(115)이 형성된다.
이 때, 제 1 수직 측면(113) 및 제 2 수직 측면(115)은, z 축 방향으로는 수직하게 배열되고, xy 평면 상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y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벌어진 포물선 형태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경사 측면(112, 114) 그리고 제 1 및 제 2 수직 측면(113, 115)을 갖는 볼록부(110)의 형태는 전술한 1차 방벽(10)의 교차부(16)의 하측면에 볼록부(110)가 형상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1차 방벽(10)의 교차부(16) 하측면의 형태에 따라 볼록부(110)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록부(110)의 측부에는 연장부(120)가 형성된다. 이 때, 연장부(120)는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4)를 포함한다.
제 1 연장부(122)는 제 1 주름부(12)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주름부(12)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제 1 연장부(122)는 볼록부(110)의 제 1 홈부(117) 및 제 2 홈부(119)의 측부에서 x축 방향(제 1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바형 부재로 형성된다. 이 때, 제 1 연장부(122)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연장부(122)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측, 즉 도 6에서 볼 때 z 축 방향으로 볼록한 상부면(123)을 가지며 평평한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도 6,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연장부(122)는 연장 방향으로 단차부(127)를 구비한다. 단차부(127)는 보강 부재(200)의 지지부(210)의 두께(t)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차부(127)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연장부(122)의 상부면에 지지부(210)의 하측면이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 2 연장부(124)는 제 2 주름부(14)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 주름부(14)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연장부(124)는 볼록부(110)의 제 1 및 제 2 수직 측면(115)으로부터 y 축 방향(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바형 부재로 형성된다. 이 때, 제 2 연장부(124)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연장부(124)도 제 1 연장부(122)와 유사하게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측, 즉, 도 6에서 볼 때 z 축 방향으로 볼록한 상부면(125)을 가지며 평평한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연장부(124)는 제 1 연장부(122)와 유사하게 연장 방향으로 단차부(127)를 구비한다.
이 때,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4)의 상부면(123, 125)은 판형인 지지부(210)의 하측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장치의 바닥면(140)은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4)의 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4)의 단면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 단면(122′, 124′)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가 볼록한 사각형 단면(122″, 124″)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장부(122,124)의 단면은 반원형, 원호형, 파이프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록부(110) 및 연장부(120)로 형성되는 고정 장치(100)는 플랙서블한 재질의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장치(100)는 발포성 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발포성 폴리에틸렌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성 폴리에틸렌 폼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고정 장치(100)는 알갱이로 형성되는 발포성 폼을 본딩하거나 또는 증기압을 통한 용접(welding)에 의하여 소정 형태의 금형 내에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성 폴리에틸렌 폼으로 형성되는 고정 장치(100)는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내부의 극저온 상태에서도 상온에서와 유사하게 플랙서블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포성 폴리에틸렌 폼으로 형성되는 고정 장치(100)는 1차 방벽(10) 교차부(16) 하측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1차 방벽(10)의 주름부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100)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높이(L1)(이하 "고정 장치의 높이"라 칭함)가 단열 보드(40)의 상면로부터 교차부(16)의 상단부까지의 높이(L2)(이하 "1차 방벽의 높이"라 칭함)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 장치(100)의 높이(L1)가 1차 방벽(10)의 높이(L2)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고정 장치(100)가 1차 방벽의 교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1차 방벽이 단열 보드 상에 위치되면,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100)는 단열 보드(40)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1차 방벽(10)에 고정된다.
이 때, 고정 장치(100) 하측의 빈 공간(50)은 1차 방벽(10)과 단열 보드(40) 사이에 1차 방벽(10)의 용접 결함을 테스트하기 위해 채워지는 암모니아 등의 가스가 지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정 장치(100)가 1차 방벽(10)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 장치(100)의 바닥면이 단열 보드(40)에 접하면, 즉 고정 장치(100)의 높이(L1)가 1차 방벽의 높이(L1)와 동일하게 형성되면, 고정 장치(100) 하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1차 방벽(10)과 단열 보드(40) 사이에 채워지는 가스가 지나는 통로를 막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고정 장치(100)가 가스의 이동 통로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장치(100)의 높이(L1)를 1차 방벽의 높이(L2)보다 작게 형성하였다.
다시,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 장치(100)는 볼록부(110)가 1차 방벽(10)의 결합홈(35)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장부(120)가 보강 부재(200)의 개방된 단부(212) 내측으로 끼워지고, 연장부(120)가 보강 부재(200)의 지지부(210)를 지지 함으로써 보강 부재(200)가 1차 방벽(10)의 주름부 하측면에 접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보강 부재(200)를 1차 방벽(10)의 주름부 하측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장치(100)의 볼록부(110)를 1차 방벽(10)의 결합홈(35)에 결합시킨다.
이 때, 고정 장치(100)가 1차 방벽(10)의 교차부(16)의 결합홈(35)에 결합되면 제 1 연장부(122)는 교차부(16) 하측에서 1차 방벽(10)의 제 1 주름부(12)의 연장방향으로 제 1 주름부 하측에 위치되며, 제 2 연장부(124)는 제 2 주름부(14)의 연장 방향으로 제 2 주름부 하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4)가 제 1 주름부(12) 및 제 2 주름부(14)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4)의 단부를 1차 방벽(10)의 하측면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구부린다.
그리고, 구부러진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4)의 단부에 보강 부재(200)의 일 단부를 끼운다.
그 후 보강 부재(200)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구부렸던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4)의 단부를 펴면 1차 방벽(10)의 주름부 하측에 보강 부재(200)가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연장부(122) 및 제 2 연장부(124)가 보강 부재(200)의 지지부(21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보강 부재의 다른 설치 방법으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200)의 양 단부(212)에 한 쌍의 고정 장치(100)의 연장부(12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 장치(100)를 1차 방벽(10)의 교차부(16)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보강 부재(200)를 1차 방벽(10)의 주름부 하측면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200)의 양 단부측에 서로 이웃하는 고정 장치(100)의 연장부가 삽입되어 보강 부재(200)를 지지하므로, 고정 장치(100)의 연장부(120)는 보강 부재(200)의 연장 길이의 1/2을 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 장치(100)가 지지하는 보강 부재의 형상이 관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고정 장치(100)가 지지할 수 있는 보강 부재의 형상은 양 단부에 고정 장치(100)의 연장부가 삽입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100)는, 자항(自航) 추진 가능한 LNG 운반선 또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 선박 내에 설치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뿐만 아니라,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또는 LNG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1차 방벽 12 제 1 주름부
14 제 2 주름부 16 교차부
18 돌출부 21 제 1 홈
22 제 1 측면 23 제 2 홈
24 제 2 측면 25 27 오목부
31 경사면 32 제 1 접힘면
34 제 2 접힘면 35 결합홈
36 제 1 주름부 하측면 38 제 2 주름부 하측면
40 단열 보드 50 공간
100 보강 부재 고정 장치 110 볼록부
112 제 1 경사 측면 113 제 1 수직 측면
114 제 2 경사 측면 115 제 2 수직 측면
116 상단부 117 제 1 홈부
119 제 2 홈부 120 연장부
122 제 1 연장부 123 상부면
124 제 2 연장부 125 상부면
127 단차부 140 바닥면

Claims (13)

  1.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내벽을 형성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로서,
    상기 1차 방벽은, 제 1 주름부, 상기 제 1 주름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2 주름부 및 상기 제 1 주름부와 상기 제 2 주름부가 교차하는 교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 1 주름부 또는 상기 제 2 주름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주름부 또는 상기 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교차부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형상 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제 1 주름부 및 상기 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강 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연장부는 플랙서블한 재질의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가장 높은 위치인 중앙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양 측면이 경사진 삼각 형태의 제 1 경사 측면 및 제 2 경사 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경사 측면 및 상기 제 2 경사 측면의 외측에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양 측면에 제 1 수직 측면 및 제 2 수직 측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수직 측면 및 상기 제 2 수직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벌어진 포물선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상부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측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단면은 반원형, 원호형, 파이프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의 1/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의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1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로부터 일 측 또는 양 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2 주름부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로부터 일 측 또는 양 측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연장부는 발포성 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폼은 발포성 폴리에틸렌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알갱이로 형성되는 상기 발포성 폼이 본딩 혹은 증기압을 통한 용접(welding)에 의하여 소정 형태의 금형 내에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의 높이는 상기 단열 보드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교차부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고정 장치.
KR1020110136447A 2011-12-16 2011-12-16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의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KR101375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47A KR101375262B1 (ko) 2011-12-16 2011-12-16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의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47A KR101375262B1 (ko) 2011-12-16 2011-12-16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의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229A true KR20120013229A (ko) 2012-02-14
KR101375262B1 KR101375262B1 (ko) 2014-03-17

Family

ID=4583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447A KR101375262B1 (ko) 2011-12-16 2011-12-16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의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2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564A1 (ko) * 2012-06-13 2013-1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349865B1 (ko) * 2012-04-06 2014-01-14 주식회사 티엠씨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387750B1 (ko) * 2012-06-21 2014-04-21 주식회사 티엠씨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434149B1 (ko) * 2013-07-15 2014-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방열시스템
KR20150098921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에 사용되는 방벽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창
KR20190081146A (ko) * 2017-12-29 2019-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강도 보강용 주름부를 갖춘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369B1 (ko) * 2014-07-30 2016-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에 사용되는 방벽시트와 액화가스 화물창
KR102095422B1 (ko) * 2018-04-27 2020-04-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금속 멤브레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242B1 (ko) * 2009-02-06 2011-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보강구조
KR101069643B1 (ko) * 2008-12-30 2011-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보강구조
KR101059997B1 (ko) * 2009-02-11 2011-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금속 멤브레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129646B1 (ko) * 2009-12-10 2012-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멤브레인 구조체 및 액화가스 저장구조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865B1 (ko) * 2012-04-06 2014-01-14 주식회사 티엠씨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WO2013187564A1 (ko) * 2012-06-13 2013-1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349881B1 (ko) * 2012-06-13 201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CN104379441A (zh) * 2012-06-13 2015-02-25 三星重工业株式会社 用于液化天然气储罐的主要屏障的加强构件固定装置
JP2015517444A (ja) * 2012-06-13 2015-06-22 サムスン ヘビ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化天然ガス貯蔵タンクの1次防壁用補強部材固定装置
EP2862793A4 (en) * 2012-06-13 2015-07-08 Samsung Heavy Ind REINFORCING ELEMENT FIXING DEVICE FOR MAIN BARRIER OF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US10054264B2 (en) 2012-06-13 2018-08-21 Samsung Heavy Ind. Co., Ltd. Reinforcing member fixing device for primary barrier of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101387750B1 (ko) * 2012-06-21 2014-04-21 주식회사 티엠씨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434149B1 (ko) * 2013-07-15 2014-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방열시스템
KR20150098921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에 사용되는 방벽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창
KR20190081146A (ko) * 2017-12-29 2019-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강도 보강용 주름부를 갖춘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262B1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26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의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KR101349881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08676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KR10097014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금속 멤브레인
KR102437681B1 (ko) 밀폐 및 단열 탱크
KR102614343B1 (ko) 복수의 영역을 갖는 밀폐 및 단열 탱크
KR101337627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구조체
KR101349875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KR10137525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
KR101349865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33762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구조체
KR20190100016A (ko) 유체 밀폐되고 단열된 유체 저장용 탱크
KR101988534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방벽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50145353A (ko) 액체저장탱크
KR10133763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KR101633219B1 (ko) 직선 굴곡형 멤브레인 시트를 이용한 극저온 물질 운반선의 화물창
KR10134987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
KR101387750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1337639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물
KR101434149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방열시스템
KR10248838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10011385A (ko) 화물창의 멤브레인
KR20120053237A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멤브레인 보강재
KR20120013238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
KR101713854B1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