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049A -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049A
KR20120013049A KR1020100075203A KR20100075203A KR20120013049A KR 20120013049 A KR20120013049 A KR 20120013049A KR 1020100075203 A KR1020100075203 A KR 1020100075203A KR 20100075203 A KR20100075203 A KR 20100075203A KR 20120013049 A KR20120013049 A KR 2012001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way vehicle
bracket
component mount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석
유현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3049A/ko
Publication of KR2012001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00Underframes
    • B61F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3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하부프레임(under frame)에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와 공기배관과 같은 부품을 동시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철도차량 하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고르게 배치, 고정하기 위한 부품 설치대로서, 하면에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을 다수 형성하고, 하면에서 수직으로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어 철도차량 언더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수단을 형성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 되며, 케이블 덕트를 수용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브래킷;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A parts cradle for under frame of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하부프레임(under frame)에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와 공기배관과 같은 부품을 동시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하부에는 전기, 전장품 박스류, 케이블 덕트 및 공기배관과 같은 많은 부품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덕트와 공기배관은 차체구조물인 하부프레임에 직접 설치되기 때문에 원활한 설치를 위해서는 순서를 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 또한 정확하게 지켜야 각 부품들이 상호 복잡하게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 하부의 제한된 공간에서는 필요 부품이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위에서부터 아래로 조립되는 일명 Top Down방식의 조립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즉, 맨 위에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와, 공기배관이 차례로 선행 조립되고 이후 개별 전기. 전장품 박스류가 설치되어야 조립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선행되는 부품이나 장치의 설치작업 예컨대, 케이블 덕트의 조립이 종결이 안 될 경우, 상하 장치 조립시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시간이 길어 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직렬 적인 조립공정에 의해 신속한 제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단기납품에 대응하기 위한 제작기간 단축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이 늦어짐에 따라 작업자들의 잦은 연장근무로 인해 피로가 누적되어 작업 능률 저하와 생산 비용이 증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덕트와 공기배관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차체구조물인 하부프레임과도 체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설치를 통해 상하 장치의 조립시 병목현상을 해소하고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 하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고르게 배치, 고정하기 위한 설치대로서, 하면에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을 다수 형성하고, 하면에서 수직으로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어 철도차량 언더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수단을 형성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 되며, 케이블 덕트를 수용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브래킷;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멍은 슬롯과 같은 장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멍으로는 공기배관을 수용 고정하는 배관홀더 또는 보조 브래킷이 체결구에 의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래킷의 내 측면으로는 보강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 부재는 고무 또는 쿠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구조물인 하부프레임과 체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또 상하 장치의 조립시 병목현상을 해소하고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들의 잦은 연장근무를 방지하고 이로 인한 피로해소와 작업 능률 향상 및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의 프레임에 배관홀더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의 길이와 브래킷의 장착 위치를 달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5의 B부분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5의 C부분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9는 도 5의 D부분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10)과 브래킷(12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은 녹이 잘 슬지 않고, 내마모성과 진동 흡수성이 우수하도록 주철과 같은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개략 ㄷ자 형으로 구성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다른 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상면 체결구멍(110b)과, 하면 체결구멍(110a)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각 상면 체결구멍(110b)으로는 하면에서 수직으로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철도차량 하부프레임(미도시)과 결합 되도록 상기 상면 체결구멍(110b)과 동일 축 상으로 체결수단(1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절한 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레임(110)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프레임(110)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다수의 보강 패널(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양단부분과 중간 부분 다수 곳에 보강 패널(111)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강도 보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140)은 일단 측이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타단 측은 철도차량 하부프레임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주 면에 나사 산이 형성된 다소 긴 볼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면 체결구멍(110a)은 다른 부품이나 부재와의 원활하고 용이한 결합을 위해 수용되는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구가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롯과 같은 장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 체결구멍(110a)으로는 다른 부품이나 부재 예컨대, 공기배관(220)을 수용 고정하는 배관홀더(300) 또는 보조 브래킷(130) 등이 체결구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홀더(300)는 공기배관(220) 등을 수용하는 반원형의 홈(301a),(302a)이 두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상판(301)과 하판(30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301)과 하판(302)의 홈(301a)과 홈(302a) 사이 또는 상기 상판(301)과 하판(302)의 양단 측으로는 체결구의 하나인 볼트를 수용하는 체결공(301b),(302b)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브래킷(130)은 일 측 부분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 체결구멍(110a)과 동축을 이루는 체결공(130a)이 형성되고, 타 측 부분으로는 전선고정홀더(350)와 결합 되어 있는 T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구를 수용하기 위한 C형 레일(1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C형 레일(131)에 전선(230)을 수용한 전선고정홀더(350)와 결합된 T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전선의 고정 및 정리가 용이하고 간결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브래킷(120)은, 부식을 방지하고, 내마모성과 진동 흡수성이 우수한 금속재료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개략 ㄷ자 형으로 구성되고, 내부 즉, 내부측면으로는 수용되는 케이블 덕트(210)의 훼손방지와 마찰로 인한 소음방지 및 미끄럼 없이 견고한 고정을 이루도록 고무 또는 쿠션 있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121)가 형성된다.
또, 상기 브래킷(120)은 양단부로 체결을 위한 체결공(122a)이 형성된 플랜지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브래킷(120)은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 되며, 케이블(미도시)이 내장되는 케이블 덕트(210)를 수용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케이블 덕트(21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110)의 일 측 또는 중앙이나 양쪽부분으로 브래킷(1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설치대(100)의 프레임(110)을 길이가 긴 것과 길이가 짧은 것을 다수 개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부품 설치대(100)의 프레임(11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그(미도시)에 의해 정확한 조립 위치에 배치된 케이블(미도시)이 수용된 케이블 덕트(210)의 상부에 다수 개를 설치 위치에 따라 배열한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120)을 이용하여 케이블 덕트(210)를 감싸도록 받친 후, 플랜지부(122)에 형성된 체결공(122a)으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를 삽입하여 각 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결합한다.(케이블 덕트 고정)
이때, 상기 브래킷(120)은 케이블 덕트(21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한 후, 브래킷(120)의 양단 플랜지부(122)의 체결공(122a)과, 프레임(110)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 체결구멍(110a)을 일치시킨 후, 체결구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 다른 쪽에서는 상기 각 프레임(110)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 체결구멍(110a) 중, 상기 케이블 덕트(210)를 고정하고 있는 브래킷(120)의 일 측 또는 양측으로 형성된 하면 체결구멍(110a)으로 하나 이상의 공기배관(220) 고정용 배관홀더(300)를 체결구를 이용하여 거치한 후, 상기 배관홀더(300)에 공기배관(220)을 삽입, 고정한다.(공기배관 고정)
동시에, 상기 각 프레임(110)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 체결구멍(110a) 중, 상기 브래킷(120)과, 배관홀더(300)를 고정하지 않은 다른 체결구멍(110a)으로 체결구를 삽입하여 보조 브래킷(130)을 거치한 후, 상기 보조 브래킷(130)에 전선(230)이 수용된 전선 고정 홀더(350)와 결합된 T볼트를 끼워 고정하거나, 또는 타이벨트와 같은 묶음 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전선을 고정한다.(전선 고정)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 덕트(210)와 공기배관(220) 및 전선(230)이 일체를 이루도록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설치대(100)는 하부프레임(미도시)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그(미도시)에 안착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그의 하부로 리프트를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리프트를 동작시켜 부품 설치대(100)를 하부프레임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JIG를 수직으로 들어올린다.
그리고, 부품 설치대(100)의 각 프레임(110)에 형성된 체결수단(140)을 철도차량의 차체 구조물인 하부프레임(Under Frame)에 형성된 상대 브래킷(미도시)의 체결구멍에 삽입하여 너트로 조립,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 덕트(210)와 공기배관(220)의 설치는 차체구조물인 하부프레임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설치대(100)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직렬 적인 조립을 하지 않고 병렬적으로 조립을 동시에 정확한 위치에 정확히 이룰 수 있게 되므로, 각 부품들의 간섭 방지와 신속한 조립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설치대(100)는 상부와 하부 장치의 조립시 병목현상을 해소하고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들의 잦은 연장근무를 방지하고 이로 인한 피로해소와 작업 능률 향상 및 생산 비용을 점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부품 설치대 110 : 프레임
110a : 하면 체결구멍 110b : 상면 체결구멍
111 : 보강 패널 120 : 브래킷
121 : 보강 부재 122 : 플랜지부
122a : 체결공 130 : 보조 브래킷
130a : 체결공 131 : C형 레일
140 : 체결수단 210 : 케이블 덕트
220 : 공기배관 230 : 전선
300 : 배관홀더 301 : 상판
302 : 하판 301a, 302a : 홈
301b, 302b : 체결공 350 : 전선고정홀더

Claims (5)

  1. 철도차량 하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고르게 배치, 고정하기 위한 부품 설치대로서,
    하면에 체결을 위한 체결구멍을 다수 형성하고, 하면에서 수직으로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어 철도차량 언더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체결수단을 형성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 되며, 케이블 덕트를 수용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브래킷;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멍은 슬롯과 같은 장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멍으로는 공기배관을 수용 고정하는 배관홀더 또는 보조 브래킷이 체결구에 의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내 측면으로는 보강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고무 또는 쿠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KR1020100075203A 2010-08-04 2010-08-04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KR20120013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203A KR20120013049A (ko) 2010-08-04 2010-08-04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203A KR20120013049A (ko) 2010-08-04 2010-08-04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049A true KR20120013049A (ko) 2012-02-14

Family

ID=4583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203A KR20120013049A (ko) 2010-08-04 2010-08-04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30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1051A1 (de) * 2014-12-09 2017-10-1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seitlich zugänglichem kabelka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1051A1 (de) * 2014-12-09 2017-10-1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seitlich zugänglichem kabelkanal
EP3231051B1 (de) * 2014-12-09 2023-03-01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seitlich zugänglichem kabelka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6017A1 (en) Cable tray assembly for a vehicle body of a rail vehicle and its method of assembly
US20130092045A1 (en) Railway vehicular power converter
KR200416740Y1 (ko) 가변형 케이블 트레이
JP2019142404A (ja) 台車と車体との間の配線支持構造及び接続方法
KR20120013049A (ko) 철도차량 하부프레임용 부품 설치대
JP2010143399A (ja) サイドメンバのナット保持構造
KR20130013940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직결합이 가능한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205044675U (zh) 电动汽车用高压电器支架
CN104180960A (zh) 一种用于将待测件固定在测试平台上的夹具
JP5100326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用空調機器の取付構造
KR101138802B1 (ko) 철도차량 하부 부품 조립방법
KR200475014Y1 (ko) 트레이 커버 고정용 클램프
JP4084904B2 (ja) 剛体電車線
JP6270960B1 (ja) かご上作業床および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H066491Y2 (ja) 段積み変圧器
CN202608763U (zh) 一种贮气筒的安装结构
KR100485911B1 (ko) 전차선철주의 빔 설치용 고정구
KR200316282Y1 (ko) 전차선철주의 빔 설치용 고정구
CN219554447U (zh) 一种轨道线缆渡线支架
CN210724023U (zh) 一种多功能电缆固定抱箍支架
CN220220710U (zh) 一种支架总成及车辆
JP4558990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CN219014616U (zh) 一种可调式管路支架组件
KR200464564Y1 (ko) Y형 경완철
CN202264796U (zh) 一种机车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