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031A -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031A
KR20120013031A KR1020100075170A KR20100075170A KR20120013031A KR 20120013031 A KR20120013031 A KR 20120013031A KR 1020100075170 A KR1020100075170 A KR 1020100075170A KR 20100075170 A KR20100075170 A KR 20100075170A KR 20120013031 A KR20120013031 A KR 20120013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humidity
temperature
illuminanc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867B1 (ko
Inventor
정원태
Original Assignee
정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태 filed Critical 정원태
Priority to KR1020100075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8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통합센서부 및 제2 통합센서부를 이용하여 각각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일정시간 동안 측정하는 단계(S100),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및 조도에 대한 측정값을 CPU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과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S110),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어느 하나의 편차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비상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를 가동하면서, 상기 S100 단계 내지 S120 단계를 연속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2회 반복 수행하여 비상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S130),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온도, 습도 및 조도의 측정값, 평균값 및 편차에 대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CPU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140), 비상제어기의 제어부에 의해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의 제어신호가 CPU 모듈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단계(S150), 상기 CPU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통신용 서버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업로딩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업로딩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 PC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송신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Building Monitoring and Emergency controlling System}
본 발명은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 온도 및 습도뿐만 아니라 일시적 내지는 지속적 환경 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되는 건축물들은 과거와 달리 일률적인 디자인, 건축재료 및 편의시설 등을 사용하는 것을 탈피하여 건물 거주자 및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독창적인 디자인 및 내외장재를 사용하고, 편의 시설에 있어서도 그 종류가 다양화되고, 고급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최근 건물 거주자 및 이용자들은 건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쾌적한 생활 환경 내지는 업무 환경에 대한 요구 수준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 냉난방기 자체에 부착된 온도 센서에 의존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가습기 등의 습도조절장치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작동시키는 방식은 실내의 온도 불균형을 초래하거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거나 낮은 상태로 가동되는 경우가 많고, 적정 습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의 냉난방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직접 조작의 횟수가 많았다. 따라서, 온도 및 습도 조작이 부적절한 결과 냉방병, 실내 곰팡이 발생 등에 의한 호흡기 질환, 감기 등의 건강상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은 건물 사용자의 체감 온도 및 습도가 냉난방기 및 습도조절장치 자체에 부착된 센서에서 인식되는 수치와 다르고, 그 조절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온도 및 습도 측정을 위한 센서의 고장 및 오류에 기인한 것이었다.
또한, 실내 적정 온도 및 습도를 자동 조절한다고 하여도 건물 사용자마다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쾌적성을 느끼지 수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미세한 조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건물 내부에서 냉난방장치 및 습도조절장치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국가적인 에너지 사용의 통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요구에 맞출 필요가 있고, 건물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감시 및 제어 가능한 수단을 구비한 제품 및 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44515호는 "건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 출입자가 소정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위상변화정보를 생성하는 압력센서부; 상기 압력센서부로부터 상기 위상변화정보를 전달받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상기 위상변화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건물내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건물 환경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중앙 센터에서 건물 내 습도, 온도 및 조도 정보를 관리하여 건물 환경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하나의 폐쇄된 구역 내에서의 정확한 습도, 온도 정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고, 센서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가 불완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13702호는 "인텔리전트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설물 감지장치로서 CCTV,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동작감지기, 화재감지수단 및/또는 UPS 관리수단을 구비한 인텔리전트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매개로 하여 시설물 감지장치와 중앙관제장치가 실질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단계; 및 상기 시설물 감지장치로부터 중앙관제장치로 감지데이터가 입력되고, 이에 상응하는 각 감지정보가 상황판 상에 동시에 분할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다양한 감지정보에 대한 통합적인 관제가 가능하여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여러 구역이 아닌 하나의 구역에서 발생하는 습도 및 온도의 차이에 대한 자동 제어가 불가능하고, 센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쇄된 하나의 구역 내에서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하여 일괄 제어와 최적 온도 및 습도로의 보정이 가능하고, 센서 고장시 스페어 센서로 자동 전환되는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 제어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시적 내지는 지속적 환경 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쇄된 하나의 구역 내에서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하여 일괄 제어와 최적 온도 및 습도로의 보정이 가능한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 고장시 스페어 센서로 자동 전환되는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 제어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시적 내지는 지속적 환경 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은 제1 온도센서부, 제1 습도센서부 및 제1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제1 통합센서부를 이용하여 제1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일정시간 동안 측정하고, 제2 온도센서부, 제2 습도센서부 및 제2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제2 통합센서부를 이용하여 제2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일정시간 동안 측정하는 단계(S100);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및 조도에 대한 측정값을 CPU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과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S110);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어느 하나의 편차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비상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비상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00 단계 내지 S120 단계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하고,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온도 또는 습도에 대한 편차를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추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를 가동하면서, 상기 S100 단계 내지 S120 단계를 연속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2회 반복 수행하여 비상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S130); 상기 S130 단계에 의하여 비상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S100 내지 S120 단계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하고,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온도, 습도 및 조도의 측정값, 평균값 및 편차에 대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CPU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140); 상기 S140 단계를 수행함과 동시에 비상제어기의 제어부에 의해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의 제어신호가 CPU 모듈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단계(S150); 상기 S140 단계 및 S150 단계 이후 상기 CPU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통신용 서버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업로딩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업로딩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 PC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송신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S120 단계는 상기 제1 통합센서부 및 제2 통합센서부와 비상제어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센서부들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고, 제1 통합센서부의 고장 발생시 온도, 습도 및 조도의 통합 센싱이 가능한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가 자동으로 상기 제1 통합센서부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2 통합센서부의 고장 발생시 온도, 습도 및 조도의 통합 센싱이 가능한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가 자동으로 상기 제2 통합센서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30 단계는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조도센서부 및 제2 조도센서부 중 어느 하나의 센서부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10,000 lux를 초과하는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CPU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비상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40 단계는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이 80℃를 초과하는 측정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에 화재위험경보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40 단계는 측정된 상대 습도의 평균값이 100%인 경우 상기 경보신호에 누수위험경보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쇄된 하나의 구역 내에서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하여 일괄 제어와 최적 온도 및 습도로의 보정이 가능하고, 센서 고장시 스페어 센서로 자동 전환되는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 제어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시적 내지는 지속적 환경 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의 작동에 따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은 제1 온도센서부(111), 제1 습도센서부(112) 및 제1 조도센서부(113)를 포함하는 제1 통합센서부(110); 상기 제1 통합센서부(110)의 고장 발생시 자동으로 제1 통합센서부(110)의 기능을 수행하고, 온도, 습도 및 조도의 통합 센싱(Sensing)이 가능한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114); 제2 온도센서부(121), 제2 습도센서부(122) 및 제2 조도센서부(123)를 포함하는 제2 통합센서부(120); 상기 제2 통합센서부(120)의 고장 발생시 자동으로 제2 통합센서부(120)의 기능을 수행하고, 온도, 습도 및 조도의 통합 센싱이 가능한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124);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발송하는 비상제어기(200); 신호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하는 CPU 모듈(300); 데이터 및 신호를 통신을 위한 신호로 전환 및 제공하는 통신용 서버(310);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400);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장치(510);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장치(520); 통신용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외부로 발신 가능한 인터넷(600); 인터넷에 업로딩(Uploading)된 데이터 및 신호를 유무선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PC(710) 및 인터넷에 업로딩(Uploading)된 데이터 및 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통합센서부(110)는 제1 온도센서부(111), 제1 습도센서부(112) 및 제1 조도센서부(113)가 조합된 센서로,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구성하되 각각의 센서부의 고장 발생시 교환이 가능하도록 유닛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통합센서부(120)도 제1 통합센서부(110)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다만,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114)와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124)는 각각 제1 통합센서부(110) 및 제2 통합센서부(120)의 고장 발생시 자동으로 고장이 발생한 센서부의 기능을 자동 수행하는 장치로, 비상제어기(200)에 의해 제1 통합센서부(110) 및 제2 통합센서부(120)의 고장 여부 및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114) 및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124)로의 자동 전환을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114) 및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124)가 작동하게 되면, 제1 통합센서부(110) 및 제2 통합센서부(120)의 고장 수리를 통해 다시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114) 및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124)의 기능은 각각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114) 및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124)로 전환되도록 설계한다.
비상제어기(200)는 비상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비상상황인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를 자동제어하고, 표시부에 제어신호를 발송하는 장치로, 제1 통합센서부(110),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114), 제2 통합센서부(120) 및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124)로부터 제공되는 온도, 습도 및 조도의 측정값과 상기 측정값에 대하여 CPU 모듈에서 계산된 평균값 및 편차에 의해 설정된 범위에 따라 각 시설물들이 작동 및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CPU 모듈(300)은 제1 통합센서부(110),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114), 제2 통합센서부(120) 및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124)로부터 제공되는 온도, 습도 및 조도의 측정값에 의해 평균값 및 편차를 계산하여 데이터화하고, 저장하며, 상기 비상제어기(20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통신용 서버(310)는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CPU 모듈(300)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장치로, 인터넷(600)을 통하여 사용자 PC(7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720)에 접속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표시부(400)는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 디스플레이 패널, 경광등 등에 의한 시각적 표시 및/또는 버저(Buzzer), 사이렌(Siren) 등에 의한 청각적 표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빌딩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경고 내지는 위험 표시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장치(510)는 실내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가지는 장치로, 보일러, 에어컨 등의 장치를 포함하고, 습도조절장치(520)는 실내 습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가지는 장치로, 가습기, 제습기 등의 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의 작동에 따른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구성요소의 조합에 의하여 구체화된다.
먼저, 제1 통합센서부(110)에 의해 제1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가 각각 측정되고, 제2 통합센서부(120)에 의해 제2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가 각각 측정하는 단계(S100 단계)를 거친 후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및 조도에 대한 측정값을 CPU 모듈(300)로 전송하여 상기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과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S110 단계)를 거친다.
그 후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어느 하나의 편차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비상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온도, 습도 및 조도의 통합 센싱이 가능한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114)는 제1 통합센서부(110)와 비상제어기(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센서부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고, 제1 통합센서부(110)의 고장 발생시 자동으로 상기 제1 통합센서부(11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온도, 습도 및 조도의 통합 센싱이 가능한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124)는 제2 통합센서부(120)와 비상제어기(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센서부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고, 제2 통합센서부(120)의 고장 발생시 자동으로 상기 제2 통합센서부(12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센서 고장시 스페어 센서로 자동 전환되는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 제어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S120 단계 이후에 S130 단계를 거친다. 즉, 비상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S100 단계 내지 S120 단계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온도 또는 습도에 대한 편차를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추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를 가동하면서, 상기 S100 단계 및 S110 단계를 연속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2회 반복 수행하여 비상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S130 단계)를 거치게 된다. S130 단계에 있어서, 온도 및/또는 습도 편차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난방장치 및/또는 습도조절장치를 가동하여 온도 및/또는 습도 편차를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추는 과정을 거친다. 예를 들어, 설정된 온도 편차가 3℃로 설정되었을 때 측정된 온도 편차가 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난방장치의 온도를 평균값으로 설정하여 온도 편차를 3℃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상대 습도 편차가 5%로 설정되었을 때 측정된 습도 편차가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습도조절장치에 의해 가습 또는 제습하여 상대 습도 편차를 5% 이하로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조도의 경우 실내 조명은 실내 온도 및 습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태양광은 실내 온도 및 습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태양광에 의해 유발되는 온도 및 습도 변화량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태양광의 최소 조도에 해당하는 10,000 lux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조도센서부 및 제2 조도센서부 중 어느 하나의 센서부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10,000 lux를 초과하는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CPU 모듈(300)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비상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로 확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도에 따른 온도 및 습도 데이터는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의 설정에 대한 보정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S130 단계 이후에 S140 단계 및 S150 단계를 거친다. S140 단계에서, 비상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S100 내지 S120 단계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온도, 습도 및 조도의 측정값, 평균값 및 편차에 대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CPU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140)를 거친다. 예를 들어,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이 80℃를 초과하는 측정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에 화재위험경보신호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상대 습도의 평균값이 100%인 경우 상기 경보신호에 누수위험경보신호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조도에 대한 측정 결과를 화재 및 누수 정보에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비상제어 및 경보에 있어서 오류 정보가 발생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S140 단계와 동시에 비상제어기(200)의 제어부에 의해 냉난방장치(510) 또는 습도조절장치(520)의 제어신호가 CPU 모듈(300)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40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단계(S150)를 거친다.
그 후 CPU 모듈(300)에 저장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통신용 서버(310)를 이용하여 인터넷(600)으로 업로딩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업로딩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인터넷(600)에 접속된 사용자 PC(7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720)를 통하여 송신하는 단계(S170)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건물 내 사고 발생을 외부에 있는 건물 관리자 내지는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주변의 경찰서나 보안업체가 정확한 사고발생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본 발명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1 통합센서부 111: 제1 온도센서부
112: 제1 습도센서부 113: 제1 조도센서부
114: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 120: 제 통합센서부
121: 제2 온도센서부 122: 제2 습도센서부
123: 제2 조도센서부 124: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
200: 비상제어기 300: CPU 모듈
310: 통신용 서버 400: 표시부
510: 냉난방장치 520: 습도조절장치
600: 인터넷 710: 사용자 PC
720: 이동통신단말기

Claims (5)

  1. 제1 온도센서부, 제1 습도센서부 및 제1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제1 통합센서부를 이용하여 제1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일정시간 동안 측정하고, 제2 온도센서부, 제2 습도센서부 및 제2 조도센서부를 포함하는 제2 통합센서부를 이용하여 제2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일정시간 동안 측정하는 단계(S100);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및 조도에 대한 측정값을 CPU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과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S110);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어느 하나의 편차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비상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비상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00 단계 내지 S120 단계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하고,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온도 또는 습도에 대한 편차를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추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를 가동하면서, 상기 S100 단계 내지 S120 단계를 연속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2회 반복 수행하여 비상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S130);
    상기 S130 단계에 의하여 비상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S100 내지 S120 단계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하고,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온도, 습도 및 조도의 측정값, 평균값 및 편차에 대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CPU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140);
    상기 S140 단계를 수행함과 동시에 비상제어기의 제어부에 의해 냉난방장치 또는 습도조절장치의 제어신호가 CPU 모듈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단계(S150);
    상기 S140 단계 및 S150 단계 이후 상기 CPU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통신용 서버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업로딩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업로딩된 데이터 및 경보신호를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 PC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송신하는 단계(S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20 단계는 상기 제1 통합센서부 및 제2 통합센서부와 비상제어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센서부들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고, 제1 통합센서부의 고장 발생시 온도, 습도 및 조도의 통합 센싱이 가능한 제1 스페어 통합센서부가 자동으로 상기 제1 통합센서부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2 통합센서부의 고장 발생시 온도, 습도 및 조도의 통합 센싱이 가능한 제2 스페어 통합센서부가 자동으로 상기 제2 통합센서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30 단계는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조도센서부 및 제2 조도센서부 중 어느 하나의 센서부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10,000 lux를 초과하는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CPU 모듈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비상상황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40 단계는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이 80℃를 초과하는 측정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에 화재위험경보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40 단계는 측정된 상대 습도의 평균값이 100%인 경우 상기 경보신호에 누수위험경보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KR1020100075170A 2010-08-04 2010-08-04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KR101162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70A KR101162867B1 (ko) 2010-08-04 2010-08-04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70A KR101162867B1 (ko) 2010-08-04 2010-08-04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031A true KR20120013031A (ko) 2012-02-14
KR101162867B1 KR101162867B1 (ko) 2012-07-04

Family

ID=4583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170A KR101162867B1 (ko) 2010-08-04 2010-08-04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725B1 (ko) 2018-04-10 2018-11-06 주식회사 협성기전 알고리즘을 통한 상황별 최적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867B1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5222B2 (en) Damper fault detection
EP2790081B1 (en) Security system with integrated HVAC control
US10365133B2 (en) Sensor system
KR102167569B1 (ko) 스마트 팩토리 모니터링 시스템
US7900849B2 (en) HVAC remote control unit and methods of operation
KR101305772B1 (ko) 실내 공기질 측정 기능을 갖는 리모컨을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시스템
KR20070095712A (ko)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실내 환경 관리방법
KR101624867B1 (ko) 센서 일체형 led 조명등을 이용한 감시 및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87671A (ja) 放電灯点灯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管理システム
US20240085969A1 (en) User-configurable person detec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140120134A (ko) 재실 감지 센서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62867B1 (ko) 빌딩 감시 및 비상 제어 시스템
KR101102488B1 (ko) 공간적 분석을 이용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1871724B1 (ko)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JP2019145005A (ja) 警報システムおよび集中監視システム
KR101203576B1 (ko) 공기조화기용 테스터 및 그 방법
US11567467B2 (en) Method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modular building control system
KR20190067979A (ko)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IoT 환경의 공장 관리 시스템
JP6852850B2 (ja) 空調機の診断方法及び診断装置
KR101562481B1 (ko) 절전 및 환경 감시 시스템
KR20210052374A (ko) 매장에 설치된 조명/간판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102101655B1 (ko) 벤츄리 타입의 가변풍량조절기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21076287A (ja) 空気調和機
KR20090073865A (ko) Rfid를 이용한 에어컨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07651B1 (ko) 공기조화 유닛의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