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843A -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843A
KR20120012843A KR1020120005482A KR20120005482A KR20120012843A KR 20120012843 A KR20120012843 A KR 20120012843A KR 1020120005482 A KR1020120005482 A KR 1020120005482A KR 20120005482 A KR20120005482 A KR 20120005482A KR 20120012843 A KR20120012843 A KR 20120012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eformation amount
piping
dimensional displacement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964B1 (ko
Inventor
백훈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백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백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백상
Priority to KR102012000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9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06Special supports with preselected places to mount the resistance strain gauges; Mounting of 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rmal coefficient of expan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유체 온도와 배관 밖의 대기의 온도 사이에서 유지되는 배관 두께에 따르는 온도차이등의 실제 배관 온도와 구조해석 입력자료의 온도의 차이, 장기 사용에 의한 배관 재질의 특성 변화와 배관 형상에 따른 부피 팽창시 발생되는 구속등 운전상태에서의 변형량을 해석하는데 따르는 불확실성 부분은 해석상의 문제인 것이고, 실제 발생되는 변형량은 이 모든 상황이 고려되어 나타나는 것인만큼 본 발명에서는 실제의 열 변형량을 측정하여 이를 구조해석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런한 열변형량의 실측도 배관의 간섭이 있는 곳에서는 정확히 발생되어야 할 열 변형량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자유로운 열챙창이 나타나는 곳, 그것도 최적구간을 찾아 그곳의 열팽창계수를 산출하여 동일 시스템이 적용되는 전 배관계에서 평가할 수 있도록 자유 열팽창 부위에 열팽창량을 산출하는 방법과 그 결과를 사용하여 건전성 평가에 이르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관의 상태를 자유 팽창부와 구속부로 구분하는 단계와 자유 팽창부의 최적 구간에 있는 상기 배관으로서 일정한 거리(L)를 두고 있는 두 곳에 삼차원 변위계를 설치하는 단계와 고온과 저온에서 상기 삼차원 변위계의 변형량(dL)을 읽는 단계와 상기 삼차원 변위계의 변형량(dL)을 상기 거리로 나누어 선팽창 계수(al)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선팽창 계수(al)를 입력하여 배관 전체의 열변형 구조해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의 각 점에서의 실제 변형량과 상기 구조해석 결과 나타난 상기 배관 각 점에서의 해석 변형량을 비교하는 단계로서 배관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 of Piping Thermal Expansion}
본 발명은 발전소나 중화학 플랜트, 제철등 대형 기계와 화학장치를 운용하는 곳에 있는 고온 고압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본 분야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67557(2008년11월06일)(배관설비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 배관 변형량의 설계값 대비 운전값의 관리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10-0655925(2006년12월08일)(고온고압 배관의 3차원 변위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감시방법)에 삼차원 변위측정기를 통해 데이터 유한해석 결과비교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으로 배관의 평가를 수행하여 응급상황에 대한 경고등을 관리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10-1045884(2011년07월04일)(운전환경을 반영한 고온고압배관 및 지지시스템의 신뢰성 평가 및 회복방법)에 배관계의 재질에 따른 열팽창계수 및 탄성계수를 포함하는 물리적 상수와 상기 각각의 배관 지지점에서의 실제 하중과 실제 거리 이동량을 바탕으로 재료역학적 연속보 해석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발전소와 같은 고온 고압 유체를 사용하는 배관은 저온과 고온의 사이클 운전에 따른 배관의 열변형이 매우 중요한 신뢰성 관리 인자가 되어 있다. 이러한 신뢰성 평가 또는 수명 평가 방법은 설계값 대비 운전값을 비교하여 얼마나 현재의 운전 상태가 설계값을 벗어나 있는지를 평가하여 설계범위에 가까우면 수명이 많이 남아 있다 평가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수명이 얼마 남아 있지 못하므로 교체를 하거나 교정을 하여야 하는 결론에 이른다. 전술한 배경 기술들은 이러한 분야에 대한 기술들이다. 실제 발전소와 같은 고온 고압 배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 변형량대 실제 변형량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곳도 있다. 이러한 변형량의 건전성을 평가함에 있어 유체 온도와 배관 밖의 대기의 온도 사이에서 유지되는 배관 두께에 따르는 온도차이등의 실제 배관 온도와 구조해석 입력자료의 온도의 차이, 장기 사용에 의한 배관 재질의 특성 변화와 배관 형상에 따른 부피 팽창시 발생되는 구속등 운전상태에서의 불확실성 부분에 따라 배관의 실제 열 변형량과 이론 열변형량에 차이가 있어 설계값 대비 실제값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는 해결 방안이 없다. 전술한 배경 기술들도 이 분야에 대한 해결방안이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실제 배관의 상태에 따른 실제 변형량과 운전상태에 따른 불확실성 인자가 유발하는 이론 변형량의 차이를 규명하여, 운전중인 값이 참값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배관의 온도라 함은 통상적으로 증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이야기 하지만 증기로부터 배관에 전달되는 열이 100% 배관에 흡수되어 증기와 배관의 온도가 동일하지 못하고, 또 배관의 두께에 따른 배관 금속부의 온도와 배관 보온재의 상태등에 따라 배관의 금속온도를 설계상의 온도와 동일하게 정의하기 어려움에 따라 이런 차이로부터 오는 배관의 열팽창의 차이를 실제 상황에 맞게 재평가하여 배관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유체 온도와 배관 밖의 대기의 온도 사이에서 유지되는 배관 두께에 따르는 온도차이등의 실제 배관 온도와 구조해석 입력자료의 온도의 차이, 장기 사용에 의한 배관 재질의 특성 변화와 배관 형상에 따른 부피 팽창시 발생되는 구속등 운전상태에서의 변형량을 해석하는데 따르는 불확실성 부분은 해석상의 문제인 것이고, 실제 발생되는 변형량은 이 모든 상황이 고려되어 나타나는 것인만큼 본 발명에서는 실제의 열 변형량을 측정하여 이를 구조해석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런한 열변형량의 실측도 배관의 간섭이 있는 곳에서는 정확히 발생되어야 할 열 변형량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자유로운 열챙창이 나타나는 곳, 그것도 최적구간을 찾아 그곳의 열팽창계수를 산출하여 동일 시스템이 적용되는 전 배관계에서 평가할 수 있도록 자유 열팽창 부위에 열팽창량을 산출하는 방법과 그 결과를 사용하여 건전성 평가에 이르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서 사용중인 고온고압 배관의 정확한 열변형량을 산출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의 운전특성에 따른 배관의 열변형 상태를 전 배관시스템에 확대 적용하면서 배관계 전체의 각 지점의 상태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평가할 수 있으며, 또한 설계값과 다른 배관의 열변형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평가할 수 있게되어 배관계의 건전성 평가 정밀도가 가일층 향상되게 되었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관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관 지지장치에서의 실제 변형량과 설계 변형량의 차이
도 3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관의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열팽창 평가방법의 일 실시 블록도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발전소와 같이 보일러와 터빈으로 대별되는 기기 사이를 보일러는 노즐부(NB)가 연결되고, 터빈은 노즐부(NT)가 연결되어 그 사이를 다수의 굴곡부(A,B)와 연결부등으로 이어진 배관이 고온과 저온 사이에서 사이클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 배관의 상태를 자유 팽창부와 구속부로 구분하는 단계와 자유 팽창부의 최적 구간에 있는 상기 배관으로서 일정한 거리(L)를 두고 있는 두 곳에 삼차원 변위계를 설치하는 단계와 고온과 저온에서 상기 삼차원 변위계의 변형량(dL)을 읽는 단계와 상기 삼차원 변위계의 변형량(dL)을 상기 거리로 나누어 선팽창 계수(al)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선팽창 계수(al)를 입력하여 배관 전체의 열변형 구조해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의 각 점에서의 실제 변형량과 상기 구조해석 결과 나타난 상기 배관 각 점에서의 해석 변형량을 비교하는 단계로서 배관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온과 저온 사이에서 사이클 운전을 하고 있는 배관이라 함은 발전소와 같이 상온에서 주증기 온도까지 변화하는 것으로, 기동 전에는 상온이고 운전중에는 증기온도가 되는 고온 이 되는 경우이다.
배관의 상태를 자유 팽창부와 구속부로 구분하는 단계는 배관의 상태를 그 현재 외관으로 나타나는 모양으로 분류하여 배관이 휘어 있는 굴곡부(屈曲部)와 연결부(連結部, 티<T>자와 같이 배관의 중간에서 분기되어 나가는 배관이 있는 곳)와 노즐부(Nozzle 部, 큰 기계에 파이프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대형 열교환기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배관)를 찾아내어 굴곡부로 이어지는 직선부 배관을 자유 팽창부로 구분하고, 연결부와 노즐부를 구속부로 분류한다. 이를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배관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즐부(NU, ND, NM, NR)는 보일러나 터빈, 급수 가열기와 같은 열기기로서 건축물이나 지면에 기초가 확고히 고정되어 있어 기기의 위치가 변화하지 못하게 한 것과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굴곡부(C, D, E, F, G)는 배관이 연속되어 가다가 방향이 바뀌는 곳으로 90도 이상 바뀌는 곳을 의미한다. 연결부(RA, RB)는 배관이 분기(分岐)하여 나가는 곳을 의미한다. 밸브류(V1, V2)는 배관에 포함되어 있는 밸브(Valve), 스트레이너(Strainer), 증기 트랩(Trap)등으로 열기기이지만 배관의 크기에 비하여 기기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기기의 몸체가 건물이나 지면과 연결되지 않고 오직 배관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배관의 열팽창은 기초가 외부에 굳건히 고정된 노즐부에서는 배관이 더 이상 팽창하지 못하며, 굴곡부에서는 굴곡부의 휘어진 역방향으로 배관이 팽창할 수 있고, 연결부에서는 연결된 배관의 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팽창할 수도 있고 아니할 수도 있으며, 밸브류등은 배관처럼 팽창하지만, 재질과 형태에 따라 배관과 팽창량이 다르므로 배관과 열팽창이 같다 할 수는 없다.
자유 팽창부의 최적 구간에 있는 상기 배관으로서 일정한 거리(L)를 두고 있는 두 곳에 삼차원 변위계를 설치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자유 팽창부의 최적구간이라 함은 열팽창이 아주 자연스러운 구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대기에 연결된 것과 같이 자유로운 곳을 의미한다. 그러나 모든 기기와 연결된 중화학 공장등의 배관은 일단이 공기에 노출되는 곳은 벤트(Vent)라인등 극소수에 불과하고 이는 정상운전중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극도로 자유 팽창이 가능한 배관은 찾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정상 운전중에 상대적으로 다른 배관보다 자유스러운 열팽창이 가능한 곳을 자유 팽창부라 한다. 이는 굴곡부가 해당하는 데, 굴곡부도 이어지는 배관의 형상에 따라 더 열팽창이 자유로운 곳이 있다. 열팽창의 자유로운 정도는 굴곡부의 전후단에 구속부가 있으면 덜 자유로운 굴곡부이고, 굴곡부의 전후단에 굴곡부가 연속되어 있으면 자유로움이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므로 자유 팽창부의 최적 구간이라 함은 굴곡부가 이어지는 회수의 크기에 따라 계속해서 굴곡부가 나타나면 이러한 곳이 최적구간이고, 굴곡부가 연속되는 회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면 최적의 정도가 적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굴곡부의 연속되는 회수가 가장 큰 곳의 배관 직선부를 최적구간이라 한다. 도 3의 경우 굴곡부 C는 노즐부 NU와 연결부 RA에 이어져 있어 1회 굴곡하는 곳이며, 굴곡부 D는 연결부 RA와 굴곡부 D에 이어져 있어 2회 굴곡하는 곳이고, 굴곡부 E는 굴곡부 D와 굴곡부 F에 이어져 2회 굴곡하지만 DEFG로 굴곡부가 이어져 4회 굴곡하는 곳이다. 굴곡부 F는 DEFG로 이어져 역시 4회 굴곡하는 것이며, 굴곡부 G는 굴곡부 F와 연결부 RB에 이어져 있어 2회 굴곡하는 곳이다. 그러므로 도 3에서는 4회 굴곡하는 곳 E와 F가 가장 큰 굴곡회수 이므로 E와 F에 이어지는 배관이 최적 구간이 된다. 그러므로 이 최적구간인 E와 F에 이어지는 D-E, E-F, F-G중에서 가장 긴 라인을 선택하여 삼차원 변위계(P1, P2)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삼차원 변위계를 설치하는 방법은 최적구간의 직선부에 두 삼차원 변위계간의 거리를 가장 길게하여 설치한다.
고온과 저온에서 상기 삼차원 변위계의 변형량(dL)을 읽는 단계에서는 삼차원 변위계의 눈금을 건축물을 기준으로 배관의 축방향과 법선방향으로 읽는다.
상기 삼차원 변위계의 변형량(dL)을 상기 거리(L)로 나누어 선팽창 계수(al)를 구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al = dL / L
상기 선팽창 계수(al)를 입력하여 배관 전체의 열변형 구조해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컴퓨터를 이용한 구조해석을 수행하든 아니면 손으로 계산을 하든 열팽창을 삼차원적으로 해석함에 있어 이론상 선팽창 계수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하여 실제 취득한 선팽창 계수(al)를 입력자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의 각 점에서의 실제 변형량과 상기 구조해석 결과 나타난 상기 배관 각 점에서의 해석 변형량을 비교하는 단계는 배관의 각 지점, 즉 행거(Hanger)나 지지대(Support)등이 있거나 컴퓨터를 이용한 구조해석의 각 노드(Node)점에서의 실제 변형량과 해석상의 변형량을 비교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때 차이가 나타나는 곳은 어딘가 구속되어 있다든지 배관의 형상이 특이하다든지 배관 지지장치에 인가되는 하중이 설계값과 다르게 되어 있을 것이므로 이를 찾아 차이점을 교정하는 단계로 들어가야 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는 본 발명과는 별도의 문제이어서 여기서는 더 이상 취급하지 않는다.
A, B : 굴곡부
NB, NT : 노즐부
P1, P2 : 삼차원 변위계
L : 거리

Claims (2)

  1. 고온과 저온 사이에서 사이클 운전을 하고 있는 배관에 있어서,

    배관의 상태를 자유 팽창부와 구속부로 구분하는 단계;
    자유 팽창부의 최적 구간에 있는 상기 배관으로서 일정한 거리(L)를 두고 있는 두 곳에 삼차원 변위계를 설치하는 단계;
    고온과 저온에서 상기 삼차원 변위계의 변형량(dL)을 읽는 단계;
    상기 삼차원 변위계의 변형량(dL)을 상기 거리로 나누어 선팽창 계수(al)를 구하는 단계;
    상기 선팽창 계수(al)를 입력하여 배관 전체의 열변형 구조해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배관의 각 점에서의 실제 변형량과 상기 구조해석 결과 나타난 상기 배관 각 점에서의 해석 변형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관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 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구간은 상기 배관의 상태를 굴곡부(屈曲部)와 연결부(連結部)와 노즐부(Nozzle 部)로 구분하고, 상기 굴곡부로 이어지는 직선부 배관을 상기 자유 팽창부로 하며, 상기 연결부와 상기 노즐부를 상기 구속부로 하고, 상기 굴곡부의 연속되는 회수가 가장 큰 곳의 배관 직선부를 상기 최적구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 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KR1020120005482A 2012-01-18 2012-01-18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KR10114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82A KR101145964B1 (ko) 2012-01-18 2012-01-18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82A KR101145964B1 (ko) 2012-01-18 2012-01-18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843A true KR20120012843A (ko) 2012-02-10
KR101145964B1 KR101145964B1 (ko) 2012-05-15

Family

ID=4583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482A KR101145964B1 (ko) 2012-01-18 2012-01-18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9715A (zh) * 2023-06-09 2023-07-07 天津航天瑞莱科技有限公司 一种航空管路的热强度试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6102B (zh) * 2020-03-25 2021-12-21 贾佳 一种锅炉膨胀监测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9209B2 (ja) 2000-08-22 2003-03-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配管の優先検査箇所選定方法及びその選定システム
JP2003232719A (ja) 2001-12-06 2003-08-22 Babcock Hitachi Kk 配管のクリープ損傷監視方法と装置
KR100655925B1 (ko) * 2003-09-04 2006-12-08 한국전력공사 고온고압 배관의 3차원 변위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감시방법
JP4808110B2 (ja) 2006-09-06 2011-11-02 中国電力株式会社 損傷評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9715A (zh) * 2023-06-09 2023-07-07 天津航天瑞莱科技有限公司 一种航空管路的热强度试验装置
CN116399715B (zh) * 2023-06-09 2023-08-29 天津航天瑞莱科技有限公司 一种航空管路的热强度试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964B1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250B1 (ko) 실측된 배관 선팽창계수를 활용한 배관계통 및 지지장치 건전성 평가 및 정비 방법
CN106053105A (zh) 一种核电站回热加热器能效监测与诊断的方法和系统
Guo et al. Inequality constrained nonlinear data reconciliation of a steam turbine power plant for enhanced parameter estimation
CN105184395A (zh) 含余热利用系统的火电机组的初参数确定方法
CN110909505B (zh) 核电厂疲劳监测和寿命评估系统的瞬态温度场计算方法
JP5501214B2 (ja) 超音波流量計の検証システム及び検証方法
KR101145964B1 (ko) 사용중인 배관의 열변형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Gentile et al. Dynamic thermal analysis and creep-fatigue lifetime assessment of solar tower external receivers
WO2024061196A1 (zh) 一种核电站蒸汽发生器的智能监测方法及系统
JP4924762B2 (ja) 蒸気管の損失計測システム及び計測方法
KR101656672B1 (ko) 크리프와 감육을 고려한 보일러 튜브의 위험도 평가 방법
JP4808110B2 (ja) 損傷評価方法
JP2010191494A (ja) 高温プラント機器の余寿命診断装置及び方法
Muftuoglu et al. Experimental study of abrupt discharge of water at supercritical conditions
Vojacek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simulations of the control system in supercritical CO2 loop
Zima Mathematical modelling of dynamics of boiler surfaces heated convectively
Okrajni et al. The impact of temperature oscillations and heat transfer conditions in thick-walled elbows and tubes on the local stress-strain behaviour during the fast start-up of power boilers
JP6303473B2 (ja) 蒸気管の損失計測システム及び蒸気管の損失計測方法
Rajić et al.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of stress-strain field of the modelled boiler element
JP6990623B2 (ja) クリープ寿命評価方法
JP2023005279A (ja) 伝熱管の余寿命評価方法、及び伝熱管の余寿命評価装置
CN113591348B (zh) 一种火电厂在役汽水管道焊缝三维应力计算方法
JP2012032168A (ja) 弁の性能評価方法
Vadlamani et al. Choking flow of subcooled liquid in steam generator tube wall cracks
Rizi et al. Energy Analysis of Steam Distribution System Using a Physics-Based Model: A Campus Building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