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422A -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 Google Patents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422A
KR20120011422A KR1020100073192A KR20100073192A KR20120011422A KR 20120011422 A KR20120011422 A KR 20120011422A KR 1020100073192 A KR1020100073192 A KR 1020100073192A KR 20100073192 A KR20100073192 A KR 20100073192A KR 20120011422 A KR20120011422 A KR 20120011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profile
metal cover
plate
acryl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755B1 (ko
Inventor
김의주
Original Assignee
(주)프로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콘 filed Critical (주)프로콘
Priority to KR102010007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7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2Base frames, i.e. template frames for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provided with means for securing a further rigidly-mounted frame; Special adaptations of frames to be fixed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Abstract

본 발명의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은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4면의 각각에 한 쌍의 탄성부재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과, 일정 길이로 연장된 탄성부재 상부판과 탄성부재 하부판이 탄성부재 수직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탄성부재 하부판의 하면에는 탄성부재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프로파일 걸림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 상부판과 탄성부재 하부판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커버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 상부판의 상부면에는 아크릴판 안착부가 형성된 탄성부재와, 금속커버 수평판의 끝단에 금속커버 수직판의 끝단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금속커버 수평판의 다른 끝단에는 아크릴판 고정부가 형성되며, 금속커버 수직판에는 아크릴판 고정부의 방향으로 탄성부재 걸림핀이 돌출되어 형성된 금속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Profile with acrylic panel fixing member}
본 발명은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소자와 같은 전자소자 제조장비의 설치를 위한 프레임 등에 투명 아크릴판을 고정할 수 있는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소자와 같은 전자소자의 제조과정은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의 진행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전자소자의 제조공간에는 노광장치, 증착장치, 식각장치와 같은 특정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가 필요하고, 자동화된 공정의 진행을 위하여 개개의 장치에서 제조중인 중간제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제조장치나 이송장치는 공정의 흐름을 고려하여 적적한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장치는 특정 공간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일정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프로파일(profile)을 조립하여 제조된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장치의 설치를 위한 프레임에는 투명 아크릴판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투명 아크릴판은 복잡한 기계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명 창을 통하여 공정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공정에서는 노광공정이 필수적인데, 노광공정에서는 외부광이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작업공간의 조명등도 노란색 등으로 제한되며 특정 파장대의 광이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색이 부여된 아크릴판을 이용하여 장비를 보호하기도 한다.
프로파일이란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규격화된 부재로서, 가볍고 강도가 높으며, 절단, 조립 등의 단순한 작업에 의하여 장치 고정용 프레임 등을 제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조재이다. 일반적으로 프로파일은 4면에 너트 등을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결속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로파일에 아크릴판과 같은 판상의 부속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프로파일의 결속홈에 직접 판상의 부속을 고정하기 보다는 결속홈에 고정부재를 체결한 후에 고정부재에 판상의 부속을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고정부재가 결속홈에 체결되기 위해서는 고정부재의 체결부위가 어느 정도의 탄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한데, 고정부재를 알루미늄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알루미늄의 강성으로 인하여 탄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고분자 수지로 고정부재를 형성하면 탄성의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프레임의 외부로 고분자 수지의 고정부재가 노출되어 프레임의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작업 중에 고정부재에서 마찰 등이 발생하여 파티클 생성의 원인이 되므로 반도체 제조의 수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크릴판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작업 중의 마찰에 의한 파티클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도 외관이 수려한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4면의 각각에 한 쌍의 탄성부재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과, 일정 길이로 연장된 탄성부재 상부판과 탄성부재 하부판이 탄성부재 수직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탄성부재 하부판의 하면에는 탄성부재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프로파일 걸림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 상부판과 탄성부재 하부판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커버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 상부판의 상부면에는 아크릴판 안착부가 형성된 탄성부재와, 금속커버 수평판의 끝단에 금속커버 수직판의 끝단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금속커버 수평판의 다른 끝단에는 아크릴판 고정부가 형성되며, 금속커버 수직판에는 아크릴판 고정부의 방향으로 탄성부재 걸림핀이 돌출되어 형성된 금속커버를 포함하는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커버 걸림턱이 탄성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2개의 금속커버가 탄성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파일과 금속커버는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고, 탄성부재는 고분자수지를 압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은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프로파일과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와 금속커버의 체결이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
2. 탄성부재가 금속커버에 의하여 감싸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외관이 수려하며, 특히 작업 중 탄성부재의 마찰에 의한 파티클 생성이 적어서 작업장의 청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3. 아크릴판이 탄성부재의 아크릴판 안착부에 안착되므로 조립과정에서 아크릴판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고, 금속커버의 아크릴판 고정부가 아크릴판의 양 방향으로 아크릴판을 고정하는 동시에 아크릴판의 끝단은 아크릴판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아크릴판의 고정이 견고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로파일, 탄성부재 및 금속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에 아크릴판이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아크릴판을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은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4면의 각각에 한 쌍의 탄성부재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과, 일정 길이로 연장된 탄성부재 상부판과 탄성부재 하부판이 탄성부재 수직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탄성부재 하부판의 하면에는 탄성부재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프로파일 걸림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 상부판과 탄성부재 하부판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커버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 상부판의 상부면에는 아크릴판 안착부가 형성된 탄성부재와, 금속커버 수평판의 끝단에 금속커버 수직판의 끝단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금속커버 수평판의 다른 끝단에는 아크릴판 고정부가 형성되며, 금속커버 수직판에는 아크릴판 고정부의 방향으로 탄성부재 걸림핀이 돌출되어 형성된 금속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로파일, 탄성부재 및 금속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프로파일(100)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면서, 정사각형의 4면에 한 쌍의 탄성부재 걸림턱(101)이 형성된 단면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단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유지되는 것은 프로파일이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는데 유리하고, 중앙부와 모서리부에 형성된 구멍은 프로파일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탄성부재 걸림턱(101)은 탄성부재의 프로파일 걸림핀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프로파일의 4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대 4 방향에서 탄성부재가 프로파일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탄성부재(200)는 탄성부재 하부판(201)과 탄성부재 상부판(202)이 평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한 쌍의 수직판(20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탄성부재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에이치(H)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강성을 증가시킨다. 탄성부재 하부판(201)의 하면에는 한 쌍의 탄성부재 걸림핀(204)이 형성되어 있는데, 탄성부재 걸림핀(204)은 아래쪽에서의 폭이 위쪽보다 넓게 형성되어서 탄성부재 걸림핀이 탄성부재 걸림턱에 체결된 후에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부재 상부판(202)과 탄성부재 하부판(201)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는 금속커버 걸림턱(206)이 형성되어 있는데, 금속커버 걸림턱(206)에는 탄성부재 걸림핀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 상부판(202)의 상면에는 아크릴판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아크릴판의 두께 정도의 폭으로 아크릴판 안착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아크릴판 안착부(205)는 아크릴판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아크릴판의 위치가 임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고정된 아크릴판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의 (c)를 참조하면, 금속커버(300)는 금속커버 수평판(302)의 끝단에 금속커버 수직판(301)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기억(ㄱ)자의 단면을 가진다. 금속커버 수평판(302)의 다른 끝단에는 아크릴판 고정부(303)가 형성되어 있는데, 아크릴판 고정부(303)는 금속커버 수직판(30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에 아크릴판의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금속커버 수직판(301)에는 아크릴판 고정부(303) 방향으로 탄성부재 걸림핀(304)이 형성되어 있는데, 탄성부재 걸림핀(304)은 금속부재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파일, 탄성부재 및 금속커버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물건은 길이 방향에서의 단면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데, 프로파일, 탄성부재 및 금속커버는 이러한 특징을 만족시키는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압출성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적절한 길이로 절단시켜 원하는 형상의 프레임을 제조하는데 유리하다. 프로파일 걸림핀과 탄성부재 걸림턱간의 체결, 탄성부재 걸림핀과 금속커버 걸림턱간의 체결은 탄성변형을 이용하게 되므로, 걸림핀과 걸림턱 중 어느 하나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부재는 프로파일과 금속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에 해당하므로, 탄성부재가 일정 정도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하면 프로파일 및 금속커버는 탄성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파일과 금속커버는 알루미늄과 같은 강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부재는 탄성을 지진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에 아크릴판이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파일의 상부에 형성된 탄성부재 걸림턱(101)에 프로파일 걸림핀(204)이 체결되어 있고, 탄성부재의 양 측부에 형성된 금속커버 걸림턱(206)에 탄성부재 걸림핀(304)이 각각 체결되어 있다. 2개의 금속커버 사이에는 아크릴판(400)이 삽입되어 있는데, 아크릴판 고정부(303)가 아크릴판의 양 측면을 고정하고 있고, 아크릴판의 끝단은 탄성부재에 형성된 아크릴판 안착부(205)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고정된 아크릴판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도면에서는 프로파일의 상부에만 아크릴판이 고정되어 있지만, 프로파일의 4면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프로파일의 4면 중 어디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아크릴판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은 탄성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노출이 최소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탄성부재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이나 장비의 수리 과정에서 마찰이 일어날 경우 미세한 마모가 일어날 수 있다.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은 반도체의 제조장비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장비를 설치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프레임 등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데, 미세한 마모가 일어날 경우 마모되면서 발생된 파티클에 의하여 작업공간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은 미세하게 형성되는 반도체의 도선에 단선을 일으키거나 증착막의 내부에 기포를 형성하여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소자의 생산수율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은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탄성부재의 바깥쪽을 금속재질의 금속커버가 덮고 있으므로 프레임의 마모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프레임의 외관이 금속재질만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게 하여 외관의 수려함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도 함께 가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아크릴판을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탄성부재 걸림턱(101)에 프로파일 걸림핀(204)이 체결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프로파일의 상부에서 끼워 넣는다. 이 단계는 프로파일에 아크릴판을 고정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도면에서는 프로파일의 상부에 탄성부재를 체결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프로파일의 다른 면에도 동시에 탄성부재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3b를 참조하면, 프로파일의 탄성부재 걸림턱(101)에 프로파일 걸림핀(204)이 체결되어 있고, 탄성부재 걸림핀(304)이 금속커버 걸림턱(206)에 체결 수 있도록 탄성부재의 어느 일측에서 금속커버를 밀어 넣는다. 이어서 도 3c를 참조하면, 금속커버의 탄성부재 걸림핀(304)이 탄성부재의 금속커버 걸림턱(206)에 체결되어 있고, 탄성부재의 아크릴판 안착부(205)에 아크릴판(400)의 끝단이 놓이도록 한다. 아크릴판 안착부(205)는 아크릴판의 두께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크릴판의 위치가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아크릴판 고정부(303)는 아크릴판 안착부의 끝단과 동일한 연장선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아크릴판 안착부에 안착된 아크릴판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아크릴판의 양측면을 아크릴판 고정부가 밀면서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도 3d를 참조하면, 아크릴판이 아크릴판 안착부에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에서 금속커버를 체결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3e를 참조하면, 금속커버 걸림턱과 탄성부재 걸림핀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금속커버 걸림턱의 탄성변형이 회복되면서 금속커버와 탄성부재의 체결위치가 고정되게 되므로, 아크릴판 고정부가 아크릴판의 양면을 밀어서 아크릴판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로파일과 탄성부재의 체결, 탄성부재와 금속커버의 체결, 아크릴판의 임시 고정 및 탄성부재에 다른 금속커버의 체결이 순서대로 이루어지면서 아크릴판을 프로파일에 고정할 수 있고, 이의 역순으로 각 구성요소를 해체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구조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100: 프로파일 101: 탄성부재 걸림턱
200: 탄성부재 201: 탄성부재 하부판
202: 탄성부재 상부판 203: 탄성부재 수직판
204: 프로파일 걸림핀 205: 아크릴판 안착부
206: 금속커버 걸림턱 300: 금속커버
301: 금속커버 수직판 302: 금속커버 수평판
303: 아크릴판 고정부 304: 탄성부재 걸림핀

Claims (3)

  1.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4면의 각각에 한 쌍의 탄성부재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프로파일;
    일정 길이로 연장된 탄성부재 상부판과 탄성부재 하부판이 탄성부재 수직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탄성부재 하부판의 하면에는 탄성부재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프로파일 걸림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 상부판과 탄성부재 하부판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금속커버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 상부판의 상부면에는 아크릴판 안착부가 형성된 탄성부재; 및
    금속커버 수평판의 끝단에 금속커버 수직판의 끝단이 수직으로 결합되고, 금속커버 수평판의 다른 끝단에는 아크릴판 고정부가 형성되며, 금속커버 수직판에는 아크릴판 고정부의 방향으로 탄성부재 걸림핀이 돌출되어 형성된 금속커버;를 포함하는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커버 걸림턱이 탄성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2개의 금속커버가 탄성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로파일과 금속커버는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고, 탄성부재는 고분자수지를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KR1020100073192A 2010-07-29 2010-07-29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KR10113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92A KR101136755B1 (ko) 2010-07-29 2010-07-29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92A KR101136755B1 (ko) 2010-07-29 2010-07-29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422A true KR20120011422A (ko) 2012-02-08
KR101136755B1 KR101136755B1 (ko) 2012-04-19

Family

ID=4583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192A KR101136755B1 (ko) 2010-07-29 2010-07-29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24B1 (ko) 2016-06-24 2016-12-08 주식회사 톱텍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투시창 고정구
KR102619693B1 (ko) * 2022-09-29 2024-01-02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내진 방음벽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055B1 (ko) 2019-05-29 2021-02-08 정재은 프로파일용 판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221A (ko) * 2007-10-11 2009-04-15 (주)다우텍 패널고정장치
KR20090037222A (ko) * 2007-10-11 2009-04-15 (주)다우텍 패널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24B1 (ko) 2016-06-24 2016-12-08 주식회사 톱텍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투시창 고정구
KR102619693B1 (ko) * 2022-09-29 2024-01-02 주식회사 유승이피씨 내진 방음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755B1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00773A (zh) 太陽能裝置及其扣合機構
KR101136755B1 (ko)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KR101684324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투시창 고정구
JP3226724U (ja) 光起電部品を支持するスライド式レール及び光起電部品の装着アセンブリ
WO2016051613A1 (ja) 支持装置
TWI476315B (zh) 組設組件
US10648698B2 (en) Securing fixture for photovoltaic cell module
JP618147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連結部材及び連結構造
JP2014086460A (ja) 機器が取り付けられる取付板、機器、およびシステム
JP2014015751A (ja) ソーラー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20120048318A (ko) 천정재 설치구조
TW201328487A (zh) 理線裝置
JP5663109B1 (ja) 安全帯取付具および屋根構造
KR200484260Y1 (ko) 선박용 바닥 구조물
KR200449679Y1 (ko) H 빔에의 소켓부재 고정용 클램핑유닛
KR101243678B1 (ko) 중계기 설치용 브라켓
US10633226B2 (en) Flange cover mounting and dismounting device and cooling device
KR102254928B1 (ko) 태양광 모듈 고정용 구조물
JP2016195664A (ja) シンク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JP2013181356A (ja) 建築用取付具
TWM534758U (zh) 系統天花盲板及其安全扣件
KR200468675Y1 (ko) 조절이 가능한 유리판 가공 클램프의 개선된 구조
TW201444448A (zh) 結合裝置
KR101489646B1 (ko) 클린룸 플로어 지지프레임의 고정장치
JP2020076252A (ja) 建築用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