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106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106A
KR20120011106A KR1020100072662A KR20100072662A KR20120011106A KR 20120011106 A KR20120011106 A KR 20120011106A KR 1020100072662 A KR1020100072662 A KR 1020100072662A KR 20100072662 A KR20100072662 A KR 20100072662A KR 20120011106 A KR20120011106 A KR 20120011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queezing
pressure
user
squeegee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991B1 (ko
Inventor
이재면
홍현수
정병상
송희준
권순열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991B1/ko
Priority to PCT/KR2011/005567 priority patent/WO2012015256A2/en
Priority to CN201180036954.2A priority patent/CN103053120B/zh
Priority to US13/193,368 priority patent/US8644878B2/en
Priority to EP11812785.1A priority patent/EP2599231B1/en
Publication of KR2012001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압력 감지에 따른 동작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스퀴징 압력 측정 값과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squeezing)하고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키를 누르지 않고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하거나 핫 키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SQUEEZING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압력센서와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쥐는 동작을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 상태 또는 핫 키 억세스 할성화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가, 슬립 모드 또는 잠금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기 위해서는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해 왔다.
먼저, 폴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닫혀 있는 폴더를 열거나 기 정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웨이크 업한다.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내려져 있는 슬라이드를 올리거나, 기 정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웨이크 업한다.
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홀드 키를 일정시간 누름으로써 웨이크 업한다.
이 중 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특성상, 폴더 방식이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와는 다르게, 홀드 키를 누르는 것을 제외하고는, 현재의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홀드 키를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고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핫 키를 바로 이용할 수 없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즉각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튼을 줄이는 디자인의 특성에도 배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쥐는 동작을 통해 다른 키를 누르지 않아도 쉽게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하거나, 휴대용 단말기의 핫 키를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압력 감지에 따른 동작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스퀴징 압력 측정 값과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squeezing)하고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견지에 따르면, 압력 감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근접 상태를 측정하는 근접센서와 스퀴징 압력 측정 값 및 상기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지 검사하고,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압력 감지에 따른 동작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스퀴징 압력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스퀴징 압력 측정 값과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견지에 따르면, 압력 감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근접 상태를 측정하는 근접센서와 스퀴징 압력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지 검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스퀴징 압력 측정 값과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키를 누르지 않고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 하거나 핫 키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제 1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제 2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10, 12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주위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근접센서(100)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주머니나 가방 등에 들어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력센서(110, 120)는, 종류에 따라, 압력이 감지될 경우, 감지된 압력의 세기에 따라 그 측정 값이 점점 작아지거나 점점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110, 120)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쥐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압력을 가했다가, 가한 압력을 해제할 경우에 측정한 압력 값을 리턴하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10, 120)가 측정한 압력 값을 이용할 시, 상기 압력센서(110, 120)가 측정한 압력 값은 No load 상태에서의 값과 Pre load 상태의 값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고, 측정한 압력 값을 이용 시, 상기 No load 상태에서의 값과 Pre load 상태의 값을 고려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No load는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의 값, 즉 초기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Pre Load 상태의 값은 이미 가해진 Load 값을 나타낸다.
하지만, 본 발명이 압력센서의 종류에 제한받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제 1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한다(210 단계),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에서, 각각의 압력센서에 대한 현재 압력 측정 값과 시간 흐름에 따른 이전 압력 측정 값의 차이를 계산하고(215단계) 계산한 좌우 차이 값을 서로 더한다(220 단계).
만약, 더한 값이 임계 값 이하가 아닌 경우 (225 단계),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스퀴징 대신에, 다른 물체에 의해 눌려져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210 단계).
만약, 차이 값이 임계 값 이하인 경우(225 단계), 즉,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근접 여부를 측정한다(230 단계).
여기서, 임계 값 이하인 경우에서의 압력 센서는 압력을 감지하면 0 보다 작은 측정 값을 출력하는 센서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임계 값 이하라는 표현은 정해진 임계 값 범위 밖라고 표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근접센서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235 단계),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210 단계).
만약, 상기 근접센서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235 단계), 즉, 사용자가 직접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들고 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웨이크 업 상태로 천이한다(240 단계)+ 또는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제 2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한다(310 단계),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에서, 각각의 압력센서에 대한 현재 압력 측정 값과 시간 흐름에 따른 이전 압력 측정 값의 차이를 계산하고(315단계) 계산한 좌우 차이 값을 서로 더한다(320 단계).
만약, 더한 값이 임계 값 이하가 아닌 경우(325 단계),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스퀴징 대신에, 다른 물체에 의해 눌려져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310 단계).
만약, 더한 값이 임계 값 이하인 경우(325 단계), 즉,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퀴즈 인덱스(Squeeze Index) 값을 1 로 설정한다(330 단계). 이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센서가 압력을 감지한 후에 상기 압력이 감지가 되지 않을 때 압력 측정값을 리턴하는 센서일 경우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한다(335 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에서, 각각의 압력센서에 대한 현재 압력 측정 값과 시간 흐름에 따른 이전 압력 측정 값의 차이를 계산하고(340단계) 계산한 좌우 차이 값을 서로 더한다(345 단계).
만약, 더한 값이 제로 크로싱을 하지 않았거나, 상기 스퀴즈 인덱스가 1이 아닌 경우(350 단계), 즉, 사용자가 상이 휴대용 단말기를 쥐어서 압력을 가했다가 압력을 해제했다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판단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335 단계).
만약, 더한 값이 제로 크로싱을 하였고, 상기 스퀴즈 인덱스가 1인 경우(350 단계), 즉,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쥐어서 압력을 가했다가 상기 압력을 해제했다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판단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근접 여부를 측정한다(355 단계).
상기 제로 크로싱은 더한 값이 0을 지난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쥐어서 압력을 가했다가, 쥔 손을 풀어 가한 압력을 해제한 경우, 이 경우에서 더한 값이 임계값 이하이면 스퀴즈 인덱스가 1로 설정되고, 이후에 상기 더한 값이 0을 지난다.
만약, 상기 근접센서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360 단계),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좌우 압력센서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310 단계).
만약, 상기 근접센서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360 단계), 즉, 사용자가 직접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들고 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가방이나 주머니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웨이크 업 상태로 천이한다(365 단계). 또는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한다.
상기의 과정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쥐었다가 놓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웨이크 업 상태로 천이한다(365 단계). 또는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모뎀(410), 제어부(420), 저장부(430), 압력센서(440) 및 근접센서(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44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 좌우측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모뎀(410)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무선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무선 경로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저장부(4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압력센서(440)는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 값을 상기 제어부(420)에 리턴한다. 상기 압력센서(440)는 압력감지 시 해당 측정 값을 리턴하거나, 압력 감지 후, 해당 압력이 감지되지 않을 때, 해당 측정 값을 리턴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450)는 상기 근접센서(450)가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해 가리워질 때와 가리워지지 않을 때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측정 값을 리턴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패킷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440) 및 상기 근접센서(45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좌우에 위치한 압력센서(4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고, 좌우에 위치한 압력센서(440)에서, 각각의 압력센서에 대한 현재 압력 측정 값과 시간 흐름에 따른 이전 압력 측정 값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한 좌우 차이 값을 서로 더한다.
만약, 더한 값이 임계 값 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좌우에 위치한 압력센서(440)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
만약, 차이 값이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근접센서(450)를 이용하여 근접 여부를 측정한다.
만약, 상기 근접센서(450)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좌우에 위치한 압력센서(440)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
만약, 상기 근접센서(450)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웨이크 업 상태로 천이한다. 또는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20)는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20)는 좌우에 위치한 압력센서(4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고 좌우에 위치한 압력센서(440)에서, 각각의 압력센서(440)에 대한 현재 압력 측정 값과 시간 흐름에 따른 이전 압력 측정 값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한 좌우 차이 값을 서로 더한다.
만약, 더한 값이 임계 값 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좌우에 위치한 압력센서(440)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
만약, 더한 값이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스퀴즈 인덱스(Squeeze Index) 값을 1로 설정하고 좌우에 위치한 압력센서(4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좌우에 위치한 압력센서(440)에서, 각각의 압력센서(440)에 대한 현재 압력 측정 값과 시간 흐름에 따른 이전 압력 측정 값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한 좌우 차이 값을 서로 더한다.
만약, 더한 값이 제로 크로싱을 하지 않았거나, 상기 스퀴즈 인덱스가 1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좌우 압력센서(440)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
만약, 더한 값이 제로 크로싱을 하였고, 상기 스퀴즈 인덱스가 1인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근접센서(450)를 이용하여 근접 여부를 측정한다.
만약, 상기 근접센서(450)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좌우 압력센서(440) 값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
만약, 상기 근접센서(450)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웨이크 업 상태로 천이한다 또는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모뎀(410), 제어부(420), 저장부(430), 압력센서(440), 근접센서(450).

Claims (26)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압력 감지에 따른 동작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스퀴징(squeezing)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스퀴징 압력 측정 값과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스퀴징 압력 측정 값과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은,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를 검사하는 과정과,
    근접센서의 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스퀴징 상태를 나타내고,
    근접센서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가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징 상태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정해진 임계값 밖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압력 감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근접 상태를 측정하는 근접센서와,
    스퀴징 압력 측정 값 및 상기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지 검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를 검사하고, 근접센서 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스퀴징 상태를 나타내고,
    근접센서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가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징 상태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정해진 임계값 밖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휴대용 단말기에서 압력 감지에 따른 동작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스퀴징 압력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스퀴징 압력 측정 값과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스퀴징 압력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은,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를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스퀴징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징 상태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정해진 임계값 밖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스퀴징 압력 측정 값과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지 검사하는 과정은,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를 검사하는 과정과,
    근접센서의 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스퀴징 중단 상태를 나타내고,
    근접센서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가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징 중단 상태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제로 크로싱을 나타내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압력 감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스퀴징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근접 상태를 측정하는 근접센서와,
    스퀴징 압력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지 검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 스퀴징 압력 측정 값과 근접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고 있는 경우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스퀴징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징 상태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정해진 임계값 밖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를 검사하고, 근접센서의 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스퀴징하는 것을 중지하는 경우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스퀴징 중단 상태를 나타내고,
    근접센서의 측정 값이 근접 상태가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징 중단 상태는 시간에 따라 측정된 스퀴징 압력의 차이가 제로 크로싱을 나타내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72662A 2010-07-28 2010-07-28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4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62A KR101649991B1 (ko) 2010-07-28 2010-07-28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1/005567 WO2012015256A2 (en) 2010-07-28 2011-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squeezing in portable terminal
CN201180036954.2A CN103053120B (zh) 2010-07-28 2011-07-28 用于在便携式终端中根据挤压进行操作的设备和方法
US13/193,368 US8644878B2 (en) 2010-07-28 2011-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squeezing in portable terminal
EP11812785.1A EP2599231B1 (en) 2010-07-28 2011-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squeezing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62A KR101649991B1 (ko) 2010-07-28 2010-07-28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106A true KR20120011106A (ko) 2012-02-07
KR101649991B1 KR101649991B1 (ko) 2016-08-31

Family

ID=4552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662A KR101649991B1 (ko) 2010-07-28 2010-07-28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44878B2 (ko)
EP (1) EP2599231B1 (ko)
KR (1) KR101649991B1 (ko)
CN (1) CN103053120B (ko)
WO (1) WO20120152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124A (ko) * 2010-07-08 2012-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67917B1 (ko) * 2012-10-30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D731453S1 (en) * 2013-01-29 2015-06-09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9489607B2 (en) * 2013-05-17 2016-11-08 Infineon Technologies Ag Semiconductor device and an identification tag
USD803829S1 (en) * 2014-12-31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015744B2 (en) * 2015-01-05 2018-07-03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operations in a wireless tunneling transceiver
CN105208193A (zh) * 2015-08-17 2015-12-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无按键的装置和方法
CN109686292B (zh) 2019-01-25 2022-05-27 鄂尔多斯市源盛光电有限责任公司 栅极驱动单元、栅极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899A (ko) * 2007-05-11 2008-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감지모드에 따른 입력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20090071996A (ko) * 2007-12-28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센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압력 측정 방법
KR20100039957A (ko) * 2008-10-09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센서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홀드 기능 제어 방법 및장치
KR20100069531A (ko) * 2008-12-1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파지 인지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503A (ja) 2004-06-30 2006-01-19 Ntt Docomo Inc 携帯端末
KR20060120762A (ko)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팬택 거리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747293B2 (en) * 2006-10-17 2010-06-29 Marvell Worl Trade Ltd. Display control for cellular phone
CN101529875A (zh) * 2006-10-17 2009-09-09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蜂窝电话的显示控制
US8135432B2 (en) * 2007-12-18 2012-03-1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communication link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606834B1 (ko) * 2008-07-10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과 사용자의 조작을 이용하는 입력장치 및 이에적용되는 입력방법
CN101668351B (zh) * 2008-09-04 2014-07-0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其模式切换方法
US8385885B2 (en) * 2008-10-17 2013-0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unlock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572847B1 (ko) 2009-01-09 201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2111490A (zh) 2009-12-23 2011-06-29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移动终端的键盘自动解锁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899A (ko) * 2007-05-11 2008-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감지모드에 따른 입력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20090071996A (ko) * 2007-12-28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센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압력 측정 방법
KR20100039957A (ko) * 2008-10-09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센서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홀드 기능 제어 방법 및장치
KR20100069531A (ko) * 2008-12-1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파지 인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53120B (zh) 2016-01-06
EP2599231B1 (en) 2017-08-30
US8644878B2 (en) 2014-02-04
EP2599231A4 (en) 2014-01-22
CN103053120A (zh) 2013-04-17
WO2012015256A2 (en) 2012-02-02
WO2012015256A3 (en) 2012-04-26
EP2599231A2 (en) 2013-06-05
KR101649991B1 (ko) 2016-08-31
US20120028683A1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11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0512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549721B (zh) 智能终端休眠方法及装置
CN102981766B (zh) 一种终端激活方法及终端
WO2014134930A1 (zh) 触摸屏解锁方法、触摸屏解锁系统及电子设备
EP2675138B1 (en) Electronic apparatus, water detection means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operation mode setting method
CN101951444A (zh) 一种实现移动终端锁屏和开屏的方法及移动终端
GB2404305B (en) Security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3167151A (zh) 一种手机装入口袋自动锁屏系统及方法
CN202737973U (zh) 一种移动终端
CN106101453A (zh) 一种控制屏幕的方法和终端
KR20140027875A (ko)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초 저전력 장치 및 방법
US8058969B1 (en) Biopresence based keyguard mechanism
KR20140060757A (ko) 입력 수단의 결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7438999B (zh) 进入省电模式的方法、退出省电模式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4000598A1 (zh) 一种用户手持状态检测方法、装置及终端
CN105630331A (zh) 显示方法和显示系统
CN110691168B (zh) 移动终端的屏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3179261B (zh) 基于环境温度实现语音控制手机的系统及方法
CN107272946A (zh) 一种屏幕控制方法和装置
KR100749437B1 (ko) 키 잠금식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3012A (ko)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03244066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7526522A (zh) 黑屏手势识别方法及装置,以及移动终端、存储介质
CN202794348U (zh) 一种移动通讯终端辐射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