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078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078A
KR20120011078A KR1020117029993A KR20117029993A KR20120011078A KR 20120011078 A KR20120011078 A KR 20120011078A KR 1020117029993 A KR1020117029993 A KR 1020117029993A KR 20117029993 A KR20117029993 A KR 20117029993A KR 20120011078 A KR20120011078 A KR 20120011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tone
peer
rang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343B1 (ko
Inventor
라지브 라로이아
준이 리
사우라브 알. 타빌다르
신초우 우
알렉산다르 조비식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1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들을 지원하는데 적절한 방법들 및 장치가 설명된다.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서, 신호들의 타입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피어 발견 신호들 및/또는 페이징 신호들은 폐 루프 전력 제어를 통해 송신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는 자원들이 시간상에서 오버랩되지 않는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되는 특정 타입의 시그널링을 위해서 할당되는 에어 링크 자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블록들 중 상이한 블록들은 상이한 범위들과 연관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범위에 기초하는 다수의 블록들의 기본 송신 유닛들의 특성은 상이한데, 예를 들면, 톤 크기 및 심볼 폭이 상이하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를 구현하고,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범위 기반 블록들을 사용한다. 데이터 트래픽 송신 유닛들은 상기 범위와 관계없이 동일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VER DIFFERENT RANGES IN A WIRELESS NETWORK}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물리 범위들 상에서 통신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들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종래의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복수의 무선 링크들 상의 송신 전력은 중앙집중형(centralized) 방식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중앙 제어기 디바이스는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착 포인트로서 기지국을 사용 중인 복수의 모바일들에 대응하는 통신들을 조정(coordinate)할 수 있다. 기지국 및/또는 중앙 제어기는 제한된 에어(air) 링크 자원들에 대하여 경합하는 복수의 모바일들에 대응하는 자원 할당 및 통신들을 관리, 예를 들어, 액세스를 승인 또는 거부, 에어 링크 자원들을 모바일들에 할당, 모바일 위치를 트래킹, 통신 채널들을 측정, 송신 전력 레벨들을 제어,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어 및/또는 간섭을 관리한다. 기지국 및/또는 중앙집중형 제어 디바이스는 모바일 송신들의 관리 및 제어의 부분으로서 폐 루프 전력 및 타이밍 제어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을 일반적으로 수행한다. 기지국 및/또는 중앙집중형 제어기는 셀의 상황의 우수한 전체 뷰(view)를 가지기 때문에, 모바일들과 기지국 사이의 복수의 상이한 링크들에 대응하는 통신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들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모바일들로부터의 업링크 송신들을 전력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써 기지국에서 수신된 전력은 장거리 및 단거리 신호들 모두의 신호 복원을 위한 수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무선 통신들의 분야에서는, 스펙트럼을 종래의 셀룰러 네트워크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입들의 네트워크들에 의한 사용에 이용가능하고자 하는 추세가 있었다. 대중성(popularity) 및 이용성(utilization)이 획득된 하나의 이러한 네트워크 타입은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중앙집중형 제어가 결여된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들이다.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가 광범위한 거리들 상에서 신뢰성있는 통신들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집중형 제어 및/또는 관리가 결여된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장거리 링크의 신호로 인하여, 장거리 링크에 대한 송신기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되는, 단거리 링크에 대응하는 수신기는 포화(saturate) 및/또는 감도저하(de-sense)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관심 대상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간섭의 결과적인 수용가능하지 않은 레벨은 단거리 링크 상에서 통신 중인 관심 대상의 정보의 복원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논의에 기초하여, 피어 투 피어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들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가 설명된다. 다양한 방법들 및 장치는 중앙집중형 제어가 결여된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애드 혹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들에 적절하다.
무선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피어들은 상이한 거리들 상에서 통신하기를 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들 및 장치는 수신기 디바이스들에서 포화 및/또는 감도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하나의, 그러나 모두일 필요가 없는, 예시적인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들에서, 신호들의 타입들 중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피어 발견 신호들 및/또는 페이징 신호들은 폐 루프 전력 제어를 통해 송신되지 않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는 자원들이 시간상에서 오버랩되지 않는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되는 특정 타입의 시그널링을 위해서 할당되는 에어 링크 자원들을 포함한다. 통신 자원들의 다수의 블록들 중 상이한 블록들은 상이한 범위들 예를 들어, 단거리, 중거리 또는 장거리 통신들과 연관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범위에 기초하는 다수의 블록들의 기본 송신 유닛들의 특성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단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의 기본 송신 유닛은 장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의 기본 송신 유닛에 비해 더 광범위한 톤 및 더 협소한 심볼 송신 시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부 타입들의 신호들 예를 들어, 피어 발견 신호들 및/또는 피어 페이징 신호들에 대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의도되는 송신 범위의 함수로서 상이한 기본 송신 유닛 특성들을 갖는 상이한 자원들을 사용하는 한편, 다른 타입들의 신호들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트래픽 채널 신호들에 대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범위와는 관계없이 동일한 기본 송신 유닛 특성들을 갖는 자원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트래픽 세그먼트를 사용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피어 투 피어 트래픽 채널 신호들의 송신 전력 레벨은 분산형(decentralized) 간섭 관리 방식의 함수로서 제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시적인 통신 방법은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 및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넌-오버래핑(non-overlapping) 시간 간격들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고; 그리고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넌-오버래핑 시간 간격들이다.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요약에서 논의되었지만, 모든 실시예들이 동일한 특징들을 포함할 필요는 없고, 전술된 특징들의 일부는 필수적이지 않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바람직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많은 추가 특징들, 실시예들 및 이점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논의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방법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되는 모듈들의 어셈블리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시그널링 및 에어 자원 사용을 도시하는 도면을 포함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피어 투 피어 순환(recurring) 타이밍 구조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순환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주파수 대 시간 도면에 대한 도면이다.
도 8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의 제 1 부분이다.
도 8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의 제 2 부분이다.
도 8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의 제 3 부분이다.
도 8d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의 제 4 부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의 도면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되는 모듈들의 어셈블리의 제 1 부분이다.
도 10b는 도 9에 도시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되는 모듈들의 어셈블리의 제 2 부분이다.
도 10c는 도 9에 도시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되는 모듈들의 어셈블리의 제 3 부분이다.
도 10d는 도 9에 도시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되는 모듈들의 어셈블리의 제 4 부분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무선 시스템의 도면이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무선 통신 디바이스 1(102),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04), 무선 통신 디바이스 3(106), 무선 통신 디바이스 4(108), 무선 통신 디바이스 5(110), 무선 통신 디바이스 6(112), 무선 통신 디바이스 7(114), 무선 통신 디바이스 8(116), 무선 통신 디바이스 9(118), ..., 무선 통신 디바이스 N(120))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10, 112)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들은 백홀 네트워크(122)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 및/또는 인터넷에 연결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2, 104, 106, 108, 114, 116, 118, 120) 중 적어도 일부는 모바일 노드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도처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배터리 구동형 핸드헬드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들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시스템(100) 내의 상이한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들을 지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피어 투 피어 시스템은 단거리 통신들에 할당되는 일부 자원들 및 장거리 통신들에 할당되는 일부 자원들을 포함하는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일 예시적인 순환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는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의 전달에 전용인 에어 링크 자원들의 제 1 블록 및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의 전달에 전용인 에어 링크 자원들의 제 2 블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피어 발견 세그먼트는 장거리 피어 발견 세그먼트와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피어 발견 기본 에어 링크 자원 유닛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톤-심볼은 장거리 피어 발견 기본 에어 링크 자원 유닛과 상이하다.
또 다른 예로서, 일 예시적인 순환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는 단거리 피어 페이징 신호들의 전달에 전용인 에어 링크 자원들의 제 1 블록 및 장거리 피어 페이징 신호들의 전달에 전용인 에어 링크 자원들의 제 2 블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페이징 세그먼트는 장거리 피어 발견 세그먼트와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페이징 기본 에어 링크 자원 유닛 예를 들어, OFDM 톤-심볼은 장거리 페이징 기본 에어 링크 자원 유닛과 상이하다.
도 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방법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200)이다. 도 2의 흐름도(200)의 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의 시스템(100)의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다. 동작은 통신 디바이스가 파워 온(power on)되어 초기화되는 단계(202)에서 시작하며, 단계(204)로 진행한다. 단계(204)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한다. 동작은 단계(204)로부터 단계(206)로 진행한다. 단계(206)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고, 제 1 및 제 2 간격들은 넌-오버래핑(non-overlapping) 시간 간격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 및 제 2 통신 자원은 각각 제 1 세트의 톤-심볼들 및 제 2 세트의 톤-심볼들이며, 여기서 톤-심볼은 하나의 심볼 송신 시간 간격에 대한 하나의 톤의 에어 링크 자원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 및 제 2 통신 자원은 시간 듀레이션(time duration)에서 상이하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은 제 1 톤-심볼이고, 제 2 통신 자원은 제 2 톤-심볼이다. 하나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mm제 1 톤-심볼은 제 2 톤-심볼의 제 2 심볼 시간보다 더 짧은 제 1 심볼 시간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 및 제 2 통신 자원은 각각 제 1 톤-심볼 및 제 2 톤-심볼이며, 제 1 톤-심볼 주파수 폭과 제 2 톤-심볼 주파수 폭은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톤-심볼은 제 2 톤-심볼보다 주파수 폭이 더 넓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 1 톤-심볼 주파수 폭으로 나누어지는 제 1 톤-심볼 주파수 폭은 2의 정수이다. 이것은 하드웨어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피어 발견 시간 간격들이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페이징 간격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는 제 1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는 제 2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작은 단계(206)로부터 선택적 단계(208)로 진행한다. 단계(208)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제 3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3 시간 간격의 제 3 통신 자원을 사용한다. 단계(208)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는 제 1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는 제 2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및 장거리 전용 자원들 모두 상에서의 수신을 지원하지만, 단거리 전용 자원들 상에서는 송신을 지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및 장거리 전용 자원들 모두 상에서의 수신을 지원하지만 단거리 및 장거리 전용 자원들 중 하나 상에서는 송신을 지원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300)의 도면이다.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어, 도 1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다.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300)는 도 2의 흐름도(200)에 따라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때때로 구현한다.
통신 디바이스(300)는 다양한 엘리먼트들(302, 304)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버스(309)를 통해 함께 연결되는 프로세서(302) 및 메모리(304)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30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302)에 연결될 수 있는 입력 모듈(306) 및 출력 모듈(308)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모듈(306) 및 출력 모듈(308)은 프로세서(302)의 내부에 위치된다. 입력 모듈(306)은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306)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선택적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포함한다. 출력 모듈(308)은 출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선택적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포함한다.
프로세서(302)는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고; 그리고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넌-오버래핑 시간 간격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 및 제 2 통신 자원은 각각 제 1 세트의 톤-심볼들 및 제 2 세트의 톤-심볼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피어 발견 시간 간격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페이징 간격들이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 및 제 2 통신 자원은 시간 듀레이션에서 상이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은 제 1 톤-심볼이고,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제 2 톤-심볼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 1 톤-심볼은 제 2 톤-심볼의 제 2 심볼 시간보다 더 짧은 제 1 심볼 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 및 제 2 통신 자원은 각각 제 1 톤-심볼 및 제 2 톤-심볼이며, 제 1 톤-심볼 주파수 폭과 제 2 톤-심볼 주파수 폭은 상이하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 1 톤-심볼은 제 2 톤-심볼보다 주파수 폭이 더 넓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2 톤-심볼 주파수 폭으로 나누어지는 제 1 톤-심볼 주파수 폭은 2의 정수 배이다.
프로세서(302)는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제 1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프로세서(302)는 또한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제 2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의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제 1 통신 자원 상에서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으로서 제 2 통신 자원 상에서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제 3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3 시간 간격의 제 3 통신 자원을 사용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통신 디바이스(300)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되는 모듈들의 어셈블리(400)이다. 어셈블리(400) 내의 모듈들은 도 3의 프로세서(302) 내에서 하드웨어로 예를 들어, 개별 회로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듈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며, 도 3에 도시되는 통신 디바이스(300)의 메모리(304)에 저장될 수 있다. 단일 프로세서 예를 들어, 컴퓨터로서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되지만, 프로세서(30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를 들어, 컴퓨터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모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모듈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프로세서 예를 들어, 컴퓨터(302)를 구성(configure)시키는 코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02)는 모듈들의 어셈블리(400)의 모듈들 각각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모듈들의 어셈블리(400)가 메모리(304)에 저장되는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04)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로 하여금 모듈들이 대응하는 기능들을 구현하게 하기 위한, 코드 예를 들어, 각각의 모듈에 대한 개별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다.
완전한 하드웨어 기반 또는 완전한 소프트웨어 기반 모듈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예를 들어, 회로 구현된) 모듈들의 임의의 조합이 기능들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인식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되는 모듈들은 도 2의 방법 흐름도(200)에 도시되는 대응하는 단계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통신 디바이스(300) 또는 이의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2)를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구성시킨다.
모듈들의 어셈블리(400)는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모듈(404) 및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모듈(406)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간격들은 넌-오버래핑 시간 간격들이다.
모듈(404)은 제 1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410) 및 제 1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모듈(4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모듈(406)은 제 2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414) 및 제 2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모듈(4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 및 제 2 통신 자원은 각각 제 1 세트의 톤-심볼 및 제 2 세트의 톤-심볼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 및 제 2 통신 자원은 시간 듀레이션에서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피어 발견 시간 간격들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페이징 간격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은 제 1 톤-심볼이고, 제 2 통신 자원은 제 2 톤-심볼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 1 톤-심볼은 제 2 톤-심볼의 심볼 시간보다 더 짧은 제 1 심볼 시간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통신 자원 및 제 2 통신 자원은 각각 제 1 톤-심볼 및 제 2 톤 심볼이며, 제 1 톤-심볼 주파수 폭 및 제 2 톤-심볼 주파수 폭은 상이하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 1 톤 심볼은 제 2 톤-심볼보다 주파수 폭이 더 넓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 2 톤-심볼 주파수 폭에 의해 나누어지는 제 1 톤-심볼 주파수 폭은 2의 정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듈들의 어셈블리(400)는 제 3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3 시간 간격의 제 3 통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및 장거리 수신 모두 및 단거리 송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수신을 지원하는 모듈(410)을 포함하는 모듈(404), 장거리 수신을 지원하는 모듈(414)을 포함하는 모듈(406), 및 단거리 송신들을 지원하는 모듈(408)을 포함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시그널링 및 에어 자원 사용을 도시하는 도면(500)을 포함한다. 도면(500)은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무선 통신 디바이스 A(502), 무선 통신 디바이스 B(504), 무선 통신 디바이스 C(506), 무선 통신 디바이스 D(508))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A(502)는 자신의 신호가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위치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B(504)에 의해 수신되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기를 원할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C(506)는 자신의 신호가 상대적으로 장거리에 위치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D(508)에 의해 수신되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기를 원할 것이다. 통신될 신호들은 예를 들어, 피어 발견 신호들 및 페이징 신호들 중 하나이다.
도 5는 또한 예시적인 주파수 대 시간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550)을 포함한다. 수직축(552)은 주파수를 나타내는 한편, 수평축(554)은 시간을 나타낸다. 통신 디바이스(502, 504, 506, 508)가 단거리 자원 블록(556) 및 장거리 자원 블록(558)을 포함하는 피어 투 피어 순환 타이밍 구조를 구현하고 있으며, 이는 시간상으로 넌-오버래핑된다고 간주한다. 예시적인 단거리 자원 블록(556)은 12개의 단거리 송신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장거리 송신 블록(558)은 12개의 장거리 송신 세그먼트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 세그먼트는 사전 결정된 개수의 OFDM 톤-심볼들을 포함한다고 간주하지만, 단거리 송신 세그먼트의 톤-심볼들은 장거리 송신 세그먼트의 톤-심볼들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단거리 자원 블록(556)의 예시적인 단거리 송신 세그먼트(560)는 8개의 연속하는 제 1 크기의 톤-심볼들을 포함하고, 예시적인 장거리 송신 세그먼트(562)는 8개의 연속하는 제 2 크기의 톤-심볼들을 포함한다고 간주한다. 추가적으로, 제 1 크기의 톤-심볼은 제 2 크기의 톤-심볼의 주파수 폭의 2배인 주파수 폭을 갖고, 제 2 크기의 톤-심볼은 제 1 크기의 톤-심볼의 심볼 송신 시간 간격의 2배인 심볼 송신 시간 간격을 갖는다고 간주한다.
도 5의 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A(502)는 단거리 송신 세그먼트(560)를 사용하여 단거리 신호(SR1)(510)를 송신하는 한편, 무선 통신 디바이스 C(506)는 장거리 송신 세그먼트(562)를 사용하여 장거리 신호(LR1)(512)를 송신한다고 간주한다.
단거리 자원 블록(556)을 모니터링 중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 B(504)는 신호(SR1)(510)를 수신하여 통신되고 있는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장거리 자원 블록(558)을 모니터링 중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 D(508)는 신호(LR1)(512)를 수신하여 통신되고 있는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단거리 및 장거리 신호들이 동일한 송신 시간 간격 동안 대신 통신되었을 경우, 장거리 송신기 디바이스 C(506)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디바이스 B(504)의 프론트 엔드(front end) 수신기는 동시발생(concurrent) 장거리 송신들에 의해 감도저하 또는 포화될 것이며, 단거리 신호(SR1)(510)에서 통신되고 있는 정보를 성공적으로 복원할 수 없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피어 투 피어 순환 타이밍 구조들을 도시한다. 도면(600)은 제 1 예시적인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를 도시한다. 수직축(602)은 주파수를 나타내는 한편, 수평축(604)은 시간을 나타낸다. 제 1 피어 투 피어 순환 타이밍 구조는 단거리 발견 자원 블록(606), 장거리 발견 자원 블록(608), 단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610), 장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612) 및 다른 에어 링크 자원들(614)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트래픽 에어 링크 자원들을 포함한다. 장거리 자원 블록 내의 심볼들의 심볼 듀레이션은 단거리 블록 내의 심볼들의 심볼 듀레이션보다 더 크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장거리 자원 블록 내의 톤들의 톤 폭은 단거리 자원 블록 내의 톤들의 톤 폭보다 더 작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발견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은 장거리 발견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보다 더 적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은 장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보다 더 적다.
도면(650)은 또한, 제 2 예시적인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를 도시한다. 수직축(652)은 주파수를 나타내는 한편, 수평축(654)은 시간을 나타낸다. 제 2 피어 투 피어 순환 타이밍 구조는 단거리 발견 자원 블록(656), 중거리 발견 자원 블록(658), 장거리 발견 자원 블록(660), 단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662), 중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666), 장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668) 및 다른 에어 링크 자원들(670)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트래픽 에어 링크 자원들을 포함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범위들에 대하여, 장거리는 대략 1200m이고, 중거리는 대략 100m이며, 단거리는 대략 10m이다. 중거리 자원 블록 내의 심볼들의 심볼 듀레이션은 단거리 블록 내의 심볼들의 심볼 듀레이션보다 더 크고, 중거리 블록 내의 심볼들의 심볼 듀레이션은 장거리 블록 내의 심볼들의 심볼 듀레이션보다 더 적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중거리 자원 블록 내의 톤들의 톤 폭은 단거리 블록 내의 톤들의 톤 폭보다 더 작고, 중거리 블록 내의 톤들의 톤 폭은 장거리 블록 내의 톤들의 톤 폭보다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발견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은 중거리 발견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보다 더 적고, 중거리 발견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은 장거리 발견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보다 더 적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은 중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보다 더 적고, 중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은 장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내의 신호들의 송신 전력보다 더 적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이밍 구조는 3 초과의 범위 레벨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범위 레벨은 상이한 자원 블록을 가지며, 상이한 범위들에 대응하는 자원 블록들은 시간상으로 넌-오버래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범위 기반 자원 블록들에 대응하는 기본 송신 유닛들 예를 들어, OFDM 톤-심볼들은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어 발견 에어 링크 자원들은 디바이스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그룹 식별자, 사이트 식별자, 위치 식별자, 비지니스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서비스에 대한 요청, 제품에 대한 요청, 정보에 대한 요청, 서비스의 제공, 제품의 제공, 정보의 제공 중 하나 이상을 통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페이징 에어 링크 자원들은 페이징 신호들의 부분으로서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 식별자들을 통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래픽 에어 링크 자원들은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와 같은 트래픽 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본 송신 유닛 예를 들어, OFDM 톤-심볼은 통신되고 있는 트래픽 데이터가 장거리, 중거리 또는 단거리 통신들에 대응하는 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특성들 예를 들어, 주파수 폭 및 시간 듀레이션을 갖는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순환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주파수 대 시간 도면(700)에 대한 도면이다. 예시적인 도면(700)은 주파수를 나타내는 수직축(702) 및 시간을 나타내는 수평축(704)을 포함한다. 타이밍 구조의 에어 링크 자원들은 단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706) 및 장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708)을 포함한다. 단거리 피어 발견 블록(706)은 예를 들어, 도 6의 단거리 피어 발견 블록(606)이고, 도 7의 장거리 피어 발견 블록(708)은 예를 들어, 도 6의 장거리 피어 발견 블록(608)이다. 단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706)은 32개의 OFDM 톤-심볼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OFDM 톤-심볼(710)과 같은 단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706)의 OFDM 톤-심볼은 주파수 폭 = NS(712) 및 심볼 송신 시간 간격 = TS(714)을 갖는다. 장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708)은 32개의 OFDM 톤-심볼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OFDM 톤-심볼(716)과 같은 장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708)의 OFDM 톤-심볼은 주파수 폭 = NL(718) 및 심볼 송신 시간 간격 = TL(720)을 갖는다. TS는 TL보다 더 작고, NS는 NL보다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TL = 2TS이고, NS = 2NL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TL/TS는 2의 정수 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S/NL은 2의 정수 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발견 블록의 단일 OFDM 톤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블록에서 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단말은 다수의 OFDM 톤들의 사전 결정된 고정 크기 세트를 사용하여 통신 블록에서 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발견 에어 링크 자원들의 예에 대하여 도 7에 도시되지만, 동일한 방식은 페이징 에어 링크 자원들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때때로 적용된다. 도 7에 제시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도 6의 도면(650)에 도시되는 3 레벨 범위 실시예와 같은, 2 초과의 상이한 타입들의 피어 발견 페이징 블록들 또는 2 초과의 타입들의 페이징 블록들을 갖는 실시예들로 연장될 수 있으며, 때때로 연장된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의 결합을 포함하는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800)이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의 시스템(100)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하나이다. 동작은 통신 디바이스가 파워 온되어 초기화되는 단계(802)에서 시작하며, 단계(804)로 그리고 접속 노드 E(872)를 통해 단계(874)로 진행한다.
단계(804)에서, 무선 통신들은 피어 발견 자원 블록들의 다가오는(upcoming) 세트에서 피어 발견 신호(들)를 브로드캐스트할 것인지 또는 브로드캐스트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피어 발견 신호(들)를 브로드캐스팅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은 단계(804)로부터 단계(806)로 진행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피어 발견 자원 블록들의 다가오는 세트에서 어떠한 피어 발견 신호들도 브로드캐스팅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은 단계(804)의 출력으로부터 다음의 피어 발견 브로드캐스트 기회에 대응하는 또 다른 결정을 위한 단계(804)의 입력으로 진행한다.
단계(806)로 되돌아와서, 단계(80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피어 발견 신호 송신을 위해서 사용할 하나 이상의 피어 발견 범위 자원 블록들을 식별한다. 이 예에서,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는 단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 중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 및 장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시간상으로 넌-오버래핑된다. 따라서, 단계(806)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할 3개의 상이한 피어 발견 자원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한다. 동작은 단계(806)로부터 단계(808)로 진행한다.
단계(808)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피어 발견 신호 송신을 위해서 사용할 각각의 식별된 피어 발견 범위 자원 블록 내의 세그먼트를 식별한다. 동작은 단계(808)로부터 단계(810)로 진행한다.
단계(81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할 것인 경우, 단계(812)로 진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것인 경우, 동작은 접속 노드 A(818)를 통해 단계(810)로부터 단계(820)로 진행한다.
단계(812)로 되돌아가서, 단계(81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12)로부터 단계(814)로 진행하고, 단계(81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81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의 식별된 단거리 피어 발견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사전 결정된 단거리 피어 발견 송신 전력 레벨에서 생성된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은 접속 노드 A(818)를 통해 단계(816)로부터 단계(820)로 진행한다.
단계(82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가 중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할 것인 경우 단계(822)로 진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중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것인 경우, 동작은 단계(822)로부터 단계(828)로 진행한다.
단계(822)로 되돌아가서, 단계(82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22)로부터 단계(824)로 진행하고, 단계(82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82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의 식별된 중거리 피어 발견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사전 결정된 중거리 피어 발견 송신 전력 레벨에서 생성된 중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은 단계(826)로부터 단계(828)로 진행한다.
단계(828)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가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할 것인 경우, 단계(830)로 진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것인 경우, 동작은 접속 노드 B(836)를 통해 단계(828)로부터 단계(838)로 진행한다.
단계(830)로 되돌아가서, 단계(83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에 매칭하도록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30)로부터 단계(832)로 진행한다. 단계(83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83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의 식별된 장거리 피어 발견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사전 결정된 장거리 피어 발견 송신 전력 레벨에서 생성된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은 접속 노드 B(836)를 통해 단계(834)로부터 단계(838)로 진행한다.
단계(838)에서, 무선 통신들은 페이징 자원 블록들의 다가오는 세트에서 페이징 신호(들)를 송신할 것인지 또는 송신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페이징 신호(들)를 송신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은 단계(838)로부터 단계(840)로 진행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페이징 자원 블록들의 다가오는 세트에서 어떠한 페이징 신호들도 송신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은 접속 노드 D(870)를 통해, 단계(838)의 출력으로부터 순환 타이밍 구조에서 다음의 피어 발견 송신 기회에 대응하는 또 다른 결정을 위한 단계(804)의 입력으로 진행한다.
단계(840)로 되돌아가서, 단계(84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페이징 신호 송신을 위해서 사용할 하나 이상의 페이징 범위 자원 블록들을 식별한다. 이 예에서,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는 단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중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및 장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시간상으로 넌-오버래핑된다. 따라서, 단계(840)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할 3개의 상이한 페이징 자원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을 식별한다. 동작은 단계(840)로부터 단계(842)로 진행한다.
단계(84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페이징 신호 송신을 위해서 사용할 각각의 식별된 페이징 범위 자원 블록 내의 세그먼트를 식별한다. 동작은 단계(842)로부터 단계(844)로 진행한다.
단계(84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가 단거리 페이징 신호를 송신할 것인 경우, 단계(846)로 진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단거리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것인 경우, 동작은 접속 노드 C(852)를 통해 단계(844)로부터 단계(854)로 진행한다.
단계(846)로 되돌아가서, 단계(84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46)로부터 단계(848)로 진행한다. 단계(848)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페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85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피어 페이징 자원 블록의 식별된 단거리 페이징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사전 결정된 단거리 페이징 송신 전력 레벨에서 생성된 단거리 페이징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은 접속 노드 C(852)를 통해 단계(850)로부터 단계(854)로 진행한다.
단계(85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가 중거리 페이징 신호를 송신할 것인 경우 단계(856)로 진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중거리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것인 경우, 동작은 단계(854)로부터 단계(862)로 진행한다.
단계(856)로 되돌아가서, 단계(85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에 매칭하도록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56)로부터 단계(858)로 진행한다. 단계(858)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페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86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의 식별된 중거리 피어 페이징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사전 결정된 중거리 페이징 송신 전력 레벨에서 생성된 중거리 페이징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은 단계(860)로부터 단계(862)로 진행한다.
단계(86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장거리 페이징 신호를 송신할 것인 경우, 단계(864)로 진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장거리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것인 경우, 동작은 접속 노드 D(870)를 통해 단계(862)로부터 단계(804)로 진행한다.
단계(864)로 되돌아가서, 단계(86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송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64)로부터 단계(866)로 진행한다. 단계(86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페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86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의 식별된 장거리 페이징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사전 결정된 장거리 페이징 송신 전력 레벨에서 생성된 장거리 페이징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은 접속 노드 D(870)를 통해 단계(868)로부터 단계(804)로 진행한다.
단계(874)로 되돌아가서, 단계(87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것인지 또는 모니터링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동작은 단계(874)로부터 단계(876)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동작은 단계(874)로부터 단계(882)로 진행한다.
단계(876)로 되돌아가서, 단계(87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76)로부터 단계(878)로 진행한다. 단계(878)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단거리 발견 자원 블록의 심볼들 동안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878)로부터 단계(880)로 진행하며, 단계(88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디코딩한다. 동작은 단계(880)로부터 단계(882)로 진행한다.
단계(88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중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것인지 또는 모니터링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중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은 단계(882)로부터 단계(88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동작은 단계(882)로부터 단계(890)로 진행한다.
단계(884)로 되돌아가서, 단계(88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84)로부터 단계(886)로 진행한다. 단계(88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중거리 발견 자원 블록의 심볼들 동안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중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886)로부터 단계(888)로 진행하며, 단계(888)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중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디코딩한다. 동작은 단계(888)로부터 단계(890)로 진행한다.
단계(89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것인지 또는 모니터링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은 단계(890)로부터 단계(89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동작은 접속 노드 F(898)를 통해 단계(890)로부터 단계(899)로 진행한다.
단계(892)로 되돌아가서, 단계(89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92)로부터 단계(894)로 진행한다. 단계(89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피어 발견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장거리 발견 자원 블록의 심볼들 동안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894)로부터 단계(896)로 진행하며, 단계(89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들을 디코딩한다. 동작은 접속 노드 F(898)를 통해 단계(896)로부터 단계(899)로 진행한다.
단계(899)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페이징 신호들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것인지 또는 모니터링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단거리 페이징 신호들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은 단계(899)로부터 단계(89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동작은 단계(899)로부터 단계(891)로 진행한다.
단계(897)로 되돌아가서, 단계(897)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단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97)로부터 단계(895)로 진행한다. 단계(895)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단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의 심볼들 동안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단거리 페이징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895)로부터 단계(893)로 진행하며, 단계(893)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단거리 페이징 신호들을 디코딩한다. 동작은 단계(893)로부터 단계(891)로 진행한다.
단계(891)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페이징 신호들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것인지 또는 모니터링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중거리 페이징 신호들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은 단계(891)로부터 단계(88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동작은 단계(891)로부터 단계(883)로 진행한다.
단계(889)로 되돌아가서, 단계(889)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중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89)로부터 단계(887)로 진행한다. 단계(887)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중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의 심볼들 동안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중거리 페이징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887)로부터 단계(885)로 진행하고, 단계(885)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중거리 페이징 신호들을 디코딩한다. 동작은 단계(885)로부터 단계(883)로 진행한다.
단계(883)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페이징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것인지 또는 모니터링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장거리 페이징 신호들에 대하여 모니터링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동작은 단계(883)로부터 단계(88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동작은 접속 노드 G(875)를 통해 단계(883)로부터 단계(874)로 진행한다.
단계(881)로 되돌아가서, 단계(881)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송신 유닛 특성들과 매칭하도록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장거리 OFDM 톤-심볼 특성들에 대하여 자신의 수신기를 구성시킨다. 동작은 단계(881)로부터 단계(879)로 진행한다. 단계(879)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 장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의 심볼들 동안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장거리 페이징 신호들을 수신한다. 동작은 단계(879)로부터 단계(877)로 진행하며, 단계(877)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된 장거리 피어 페이징 신호들을 디코딩한다. 동작은 접속 노드 G(875)를 통해 단계(877)로부터 예를 들어, 순환 타이밍 구조에서 또 다른 반복에 대응하는 단계(874)로 진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일부 송신들에 대하여 상이한 범위 기반 자원들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적어도 일부 송신들에 대하여 상이한 범위 기반 자원들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배터리 전력 레벨 정보의 함수로서 적어도 일부 송신을 위해서 어느 범위 기반 자원 또는 자원들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혼잡 정보의 함수로서 적어도 일부의 송신을 위해서 어느 범위 기반 자원 또는 자원들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2개의 상이한 범위 기반 자원들에 대응하기 위한 상이한 송신 주파수를 갖는 2개의 상이한 범위 기반 자원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정보 예를 들어, 동일한 발견 또는 페이징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때때로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관심 대상의 복원된 발견 정보의 함수로서 송신을 위해서 복수의 대안적 범위 기반 자원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900)의 도면이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900)는 예를 들어, 도 1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900)는 도 8의 흐름도(800)에 따라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때때로 구현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900)는 다양한 엘리먼트들(902, 904)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버스(909)를 통해 함께 연결된 프로세서(902) 및 메모리(904)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90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902)에 연결될 수 있는 입력 모듈(906) 및 출력 모듈(908)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모듈(906) 및 출력 모듈(908)은 프로세서(902)의 내부에 위치된다. 입력 모듈(906)은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906)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선택적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포함한다. 출력 모듈(908)은 출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선택적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포함한다.
도 10a의 제 1 부분(1001), 도 10b의 제 2 부분(1002), 도 10c의 제 3 부분(1003) 및 도 10d의 제 4 부분(1004)의 조합을 포함하는 도 10은 도 9에 도시되는 통신 디바이스(900)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되는 모듈들의 어셈블리(1000)이다. 어셈블리(1000) 내의 모듈들은 도 9의 프로세서(902) 내에서 하드웨어로 예를 들어, 개별 회로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듈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며, 도 9에 도시되는 통신 디바이스(900)의 메모리(904)에 저장될 수 있다. 단일 프로세서 예를 들어, 컴퓨터로서 도 9의 실시예에 도시되지만, 프로세서(90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를 들어, 컴퓨터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모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모듈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프로세서 예를 들어, 컴퓨터(902)를 구성시키는 코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902)는 모듈들의 어셈블리(1000)의 모듈들 각각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모듈들의 어셈블리(1000)가 메모리(904)에 저장되는 실시예들에서, 메모리(904)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예를 들어, 프로세서(902)로 하여금 모듈들이 대응하는 기능들을 구현하게 하기 위한, 코드 예를 들어,각각의 모듈에 대한 개별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다.
완전한 하드웨어 기반 또는 완전한 소프트웨어 기반 모듈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예를 들어, 회로 구현된) 모듈들의 임의의 조합이 기능들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인식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되는 모듈들은 도 8의 방법 흐름도(800)에 도시되는 대응하는 단계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통신 디바이스(900) 또는 이의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2)를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구성시킨다.
도 10의 모듈들의 어셈블리(1000)에서, 번호 뒤에 '이 따르는 모듈은 도 8의 흐름도(800)의 대응하는 단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에 대응한다. 도 10의 모듈들의 어셈블리(1000)에서, 모듈들(804', 806', 808', 810', 812', 814', 816', 820', 822', 826', 828', 830', 832', 834', 838', 840', 844', 846', 848', 850', 854', 856', 858', 860', 862', 864', 866', 868', 874', 876', 878', 880', 882', 884', 886', 888', 890', 892', 894', 896', 899', 897', 895', 893', 891', 889', 887', 885', 883', 881', 879', 877')은 각각 도 8의 흐름도(800)의 단계들(804, 806, 808, 810, 812, 814, 816, 820, 822, 826, 828, 830, 832, 834, 838, 840, 844, 846, 848, 850, 854, 856, 858, 860, 862, 864, 866, 868, 874, 876, 878, 880, 882, 884, 886, 888, 890, 892, 894, 896, 899, 897, 895, 893, 891, 889, 887, 885, 883, 881, 879, 877)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모듈들의 어셈블리(1000)의 모듈(806')은 도 8의 흐름도(800)의 단계(806)의 기능에 대응하며, 이를 수행한다. 모듈(806')은 발견 신호 송신을 위해서 송신할 하나 이상의 피어 발견 범위 자원 블록들을 식별하기 위한 모듈이고, 단계(806)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피어 발견 신호 송신을 위해서 송신할 하나 이상의 피어 발견 범위 자원 블록들을 식별한다.
모듈들의 어셈블리(1000)는 또한,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 정보(1006) 및 사전 결정된 송신 전력 레벨 정보(1008)를 포함한다.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 정보는 예를 들어, 단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 중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록, 장거리 피어 발견 자원 블럭, 단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중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 및 장거리 페이징 자원 블록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피어 투 피어 타이밍 구조 정보(1006)는 상이한 타입들의 블록들 각각 내의 세그먼트들에 대응하는 정보 및 상이한 타입의 블록들 각각에 대한 기본 송신 유닛들 예를 들어, OFDM 톤-심볼들에 대응하는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블록들의 기본 송신 유닛들 예를 들어, OFDM 톤-심볼들은 중거리 블록들의 기본 송신 유닛들에 비해 더 넓은 톤들을 갖지만, 더 짧은 심볼 송신 시간들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거리 블록들의 기본 송신 유닛들 예를 들어, OFDM 톤-심볼들은 장거리 블록들의 기본 송신 유닛들에 비해 더 넓은 톤들을 갖지만 더 짧은 심볼 송신 시간들을 갖는다. 사전 결정된 송신 전력 레벨 정보(1008)는 단거리 피어 발견 신호, 중거리 피어 발견 신호, 장거리 피어 발견 신호, 단거리 페이징 신호, 중거리 페이징 신호 및 장거리 페이징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서 식별하고, 정의하고 그리고/또는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8-10은 피어 발견 및 페이징 신호들에 대한 상이한 범위 기반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었다. 일부 실시예들은 피어 발견 및 페이징 중 하나를 위해서 상이한 범위 기반 자원 블록들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타입의 신호 예를 들어, 폐 루프 전력 제어 없이 송신되는 또 다른 타입의 신호에 피어 발견에 대하여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수의 넌-오버래핑 자원 블록들이 할당되고, 이 구현을 지원하는 방법들 및 장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피어-투-피어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물리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을 어떻게 수행할 지에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및/또는 이점들이 설명될 것이다. 일부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상이한 피어들은 상이한 거리들 상에서 통신하기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 내부의 랩탑으로부터 프린터로의 데이터 전달들보다 더 장거리 상에서 음성 호출들이 발생할 수 있다. 통신들이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간주한다. 일부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들에서, 발견되어 통신들을 개시하기 위해서, 피어들은 피어 투 피어 트래픽 신호들을 통신하기 전에 피어 발견 및 페이징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한다. 장거리 및 단거리 통신들 모두가 동일한 시간 프레임 상에서 발생하였고, 사용자들의 지리적 배치가 조밀한 경우, 상호 발견 및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의 수를 제한하는 2가지 효과들이 존재한다:
1) 단거리 통신들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피어들의 프론트 엔드 수신기들은 장거리 송신들에 의해 감도저하 또는 포화될 수 있으며, 때때로 감도저하 또는 포화되고, 그리고
2) 피어가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분히 낮은 간섭 전력을 검출하는 자원 유닛을 식별할 수 있을 경우에만 송신할 것이기 때문에, 단거리 링크들은 송신 자원 유닛들을 위해서 장거리 링크들과 경쟁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거리 및 단거리 피어들의 피어 발견 및 페이징 신호들은 원하는 범위 상에서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공동으로(jointly) 최적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피어 발견 및 페이징 자원들은 2개의 시간-프레임들로 분할된다. 다음의 설명은, 유사한 방법이 페이징 또는 임의의 다른 통신 자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때때로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하고, 발견 자원들에 주력한다. 제 1 및 제 2 시간-프레임 각각은 복수의 자원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자원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톤(서브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시간-심볼을 포함한다. 이후, 각각의 피어 발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을 점유할 것이다.
계속 예를 들면, 장거리, 소위 1200m 상에서 발견되기를 원하는 피어들은 제 1 시간-프레임에서 그들의 피어 발견 신호들을 송신하고, 단거리, 소위 100m 상에서 발견되기를 원하는 피어들은 제 2 시간-프레임에서 그들의 피어 발견 신호들을 송신하며, 2개의 시간-프레임들은 시간상으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거리 송신들은 그들 주변의 피어들을 발견하기를 원하는 피어들의 수신기 프론트 엔드들에 대하여 감도저하되지 않을 것이고, 단거리 송신들은 피어 발견 자원 유닛들에 대하여 장거리 송신들과 경쟁하지 않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세그먼트에서의 시간-심볼들의 듀레이션은 제 2 세그먼트에서 보다 더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세그먼트에서의 심볼들은 64-포인트 FFT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고, 제 2 세그먼트에서의 심볼들은 32-포인트 FFT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2개 타입들의 심볼들 모두 24-칩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거리 피어들 모두의 피어 발견 신호들은 동일한 송신 전력으로 그러나 더 적은 송신된 에너지를 가지고(더 짧은 송신 시간으로 인하여) 송신될 것이며, 이에 따라 배터리 수명을 절약한다. 각각의 자원 유닛이 하나의 톤 및 하나의 시간 슬롯을 커버한다고 가정하면, 장거리 피어 발견에 대하여 총 3584개의 자원 유닛들 그리고 단거리 피어 발견에 대하여 총 896개의 자원 유닛들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프레임들에서 이용가능한 톤들의 전형적인 개수는 각각 56 및 28일 수 있으며, 시간 슬롯들의 전형적인 개수는 64일 수 있다. 제 2 시간-프레임에서 더 적은 톤들을 사용하는 결과로서, 단거리 피어들끼리의 감도저하의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심볼들에 대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는 장거리 심볼들에 대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보다 더 짧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거리 신호들의 실제 송신 전력은 장거리 신호들의 송신 전력보다 더 적으며, 이에 따라 전력을 절약하고, 피어 발견 자원들의 공간 재사용을 증가시킨다. 더 적은 사용자들이 임의의 정해진 범위에서 서로 간섭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 자원들의 절약은 시간-프레임의 더 짧은 듀레이션 및 단거리 사용자들에 대한 더 적은 자원 유닛들을 허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체 피어 발견 자원은 3개의 시간-프레임들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장거리 사용자들용( ~ 1200m의 WAN 범위), 하나는 중거리 사용자들용( ~ 100m의 LAN 범위) 및 하나는 단거리 사용자들용( ~ 10m의 PAN 범위). 3개의 시간-프레임들은 시간상으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중거리 사용자들의 심볼 듀레이션은 단거리 사용자들의 심볼 듀레이션보다 더 클 수 있지만, 장거리 사용자들의 심볼 듀레이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거리 심볼들에 대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는 중거리 심볼들에 대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보다 더 짧고, 중거리 심볼들에 대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는 장거리 심볼들에 대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보다 더 짧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법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듈들은 물리적 모듈들로서 구현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개별 물리적 모듈들은 하드웨어 예를 들어, 회로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일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하드웨어 예를 들어, 회로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듈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구현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장치 예를 들어, 고정형 무선 노드들, 모바일 액세스 단말들과 같은 모바일 노드들 ? 이들 중 셀 폰들이 일례임 ? , 하나 이상의 부착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기지국들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 서버들 및/또는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또한 방법들 예를 들어, 모바일 및/또는 고정형 노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기지국들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들, 서버 노드들 및/또는 통신 시스템들 예를 들어, 호스트들을 제어 및/또는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또한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 판독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ROM, RAM, CD들, 하드 디스크들 등에 관한 것이다.
기재되는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예시적인 방식들의 예라는 것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첨부하는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는데,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노드들은 하나 이상의 방법들에 대응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여, 그리고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넌-오버래핑 시간 간격들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특징들은 모듈들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되는 방법들 또는 방법 단계들 중 많은 방법들 또는 방법 단계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노드들에서, 상기 설명된 방법들의 일부분들 또는 전부를 구현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기계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를 제어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RAM,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기계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되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계 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연관된 하드웨어로 하여금 상기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기계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방법들의 단계들의 하나, 다수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 단계들, 작동들 및/또는 동작들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단계들을 구현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수행될 각각의 단계에 대한 상이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때때로 포함한다.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방법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또는 노드를 제어하는 방법의 각각의 개별 단계에 대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때때로 포함한다. 코드는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ROM(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다른 타입의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서 저장되는 기계 예를 들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형태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에 추가로, 일부 실시예들은 상기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들의 다양한 기능들, 단계들, 작동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예를 들어, CPU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들 또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다른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무선 단말들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들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 예를 들어, CPU들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예들은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 각각에 대응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갖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 각각에 대응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특징들은 OFDM 시스템의 맥락으로 설명되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의 방법들 및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많은 비-OFDM 및/또는 비-셀룰러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방법들 및 장치에 대한 많은 추가적인 변형들이 상기 설명의 관점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방법들 및 장치는 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GSM 및/또는 모바일 노드들 및 무선 통신들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들 예를 들어, WAN 무선 통신 링크들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타입들의 통신 기법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다. 방법들 및 장치는 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GSM 및/또는 피어 투 피어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들 예를 들어, 직접 피어 투 피어 무선 통신 링크들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타입들의 통신 기법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이한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상이한 통신 기법들 예를 들어, WAN 인터페이스에 대한 CDMA 및 GSM 기반 기법들 및 피어 투 피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OFDM 기반 기법들 중 하나를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CDMA, GSM 및/또는 OFDM을 사용하여 모바일 노드들과의 통신 링크들을 설정하는 기지국들로서 구현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노드들은 노트북 컴퓨터들,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PDA)들, 또는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송신기 회로들 및 로직 및/또는 루틴들을 포함하는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들로서 구현된다.

Claims (20)

  1. 통신 방법으로서,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 및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넌-오버래핑(non-overlapping) 시간 간격들인,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 및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시간 듀레이션(time duration)에서 상이한,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은 제 1 톤-심볼이고,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제 2 톤-심볼인,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심볼은 상기 제 2 톤-심볼의 제 2 심볼 시간보다 더 짧은 제 1 심볼 시간을 갖는,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 및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각각 제 1 톤-심볼 및 제 2 톤-심볼이고,
    상기 제 1 톤-심볼의 주파수 폭 및 상기 제 2 톤-심볼의 주파수 폭은 상이한,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심볼은 상기 제 2 톤-심볼보다 주파수 폭이 더 넓은,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통신 디바이스로서,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 및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넌-오버래핑 시간 간격들인,
    통신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 및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시간 듀레이션에서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은 제 1 톤-심볼이고,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제 2 톤-심볼인,
    통신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심볼은 상기 제 2 톤-심볼의 제 2 심볼 시간보다 더 짧은 제 1 심볼 시간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 및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각각 제 1 톤-심볼 및 제 2 톤-심볼이고,
    상기 제 1 톤-심볼의 주파수 폭 및 상기 제 2 톤-심볼의 주파수 폭은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심볼은 상기 제 2 톤-심볼보다 주파수 폭이 더 넓은,
    통신 디바이스.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통신 자원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5.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넌-오버래핑 시간 간격들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6. 통신 디바이스로서,
    단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1 시간 간격의 제 1 통신 자원을 사용하고; 그리고
    장거리 통신들에 전용인 제 2 시간 간격의 제 2 통신 자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넌-오버래핑 시간 간격들인,
    통신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 및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시간 듀레이션에서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은 제 1 톤-심볼이고,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제 2 톤-심볼인,
    통신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심볼은 상기 제 2 톤-심볼의 제 2 심볼 시간보다 더 짧은 제 1 심볼 시간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자원 및 상기 제 2 통신 자원은 각각 제 1 톤-심볼 및 제 2 톤-심볼이고,
    상기 제 1 톤-심볼의 주파수 폭 및 상기 제 2 톤-심볼의 주파수 폭은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
KR1020117029993A 2009-05-14 2010-05-14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405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65,938 2009-05-14
US12/465,938 US8385826B2 (en) 2007-07-10 2009-05-14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ver different ranges in a wireless network
PCT/US2010/034878 WO2010132754A2 (en) 2009-05-14 2010-05-14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ver different ranges in a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78A true KR20120011078A (ko) 2012-02-06
KR101405343B1 KR101405343B1 (ko) 2014-06-10

Family

ID=4306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993A KR101405343B1 (ko) 2009-05-14 2010-05-14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범위들 상에서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85826B2 (ko)
EP (1) EP2430876B1 (ko)
JP (1) JP5519004B2 (ko)
KR (1) KR101405343B1 (ko)
CN (1) CN102577594B (ko)
TW (1) TW201132071A (ko)
WO (1) WO20101327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5950B2 (ja) * 2010-01-28 2015-08-19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票ベクトルに従って、ワイヤレ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を有するピア間のコンテンツ配布を制御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9949237B2 (en) * 2010-10-20 2018-04-1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achine gateway operation
US9264881B2 (en) * 2011-01-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system access control for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130148643A1 (en) * 2011-06-13 2013-06-13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9055588B2 (en) * 2011-09-0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or selecting channels
US8812680B2 (en) * 2011-09-14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eer discovery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US9014093B2 (en) 2011-11-02 2015-04-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and direct communication device and coordinator device using the same
US9998945B2 (en) 2011-11-30 2018-06-12 Shailesh Patil Methods and apparatus to change peer discovery transmission frequency based on congestion in peer-to-peer networks
US8867638B2 (en) * 2012-04-16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length cyclic prefixes in OFDM coaxial communications
US9826525B2 (en) 2012-04-26 2017-11-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e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US10623938B2 (en) * 2012-09-06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aging based peer discovery
US9603109B2 (en) * 2013-09-11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Using short range discovery to predict the AGC setting for long range discovery
US9319862B2 (en) * 2014-03-06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Supplemental cross-technology discovery
US10863512B2 (en) * 2015-09-30 2020-12-08 Hfi Innovation Inc. Power control signaling for multiuser superpostion transmission
JP2017156281A (ja) * 2016-03-03 2017-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装置および方法
TWI662801B (zh) * 2016-12-08 2019-06-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資料傳輸方法、基站裝置以及非暫態電腦可讀取媒體
US11350316B2 (en) * 2018-03-05 2022-05-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cedure for dynamic service negoti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533A (en) * 1997-11-13 2000-10-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bile repeater
US6751455B1 (en) * 1999-09-17 2004-06-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ower- and bandwidth-adaptive in-hom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th power-grid-powered agents and battery-powered clients
US7295509B2 (en) * 2000-09-13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thod in an OFDM multiple access system
US7477896B2 (en) * 2003-08-28 2009-01-13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missed pages during cell re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116361A (zh) * 2005-02-08 2008-01-30 富士通株式会社 蜂窝无线通信系统中的隙缝分配方法及用于该系统的基站
US8144824B2 (en) 2005-03-10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Trend influenced time tracking
WO2006110713A2 (en) * 2005-04-08 2006-10-19 Vanderbilt University System and methods of radio interference based localization in sensor networks
US8160001B2 (en) * 2006-05-25 2012-04-17 Altair Semiconductor Ltd. Multi-function wireless terminal
US7809399B2 (en) * 2006-02-10 2010-10-05 Syntek International Holding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ltiple communication protocols with a single transceiver
JP2009543404A (ja) * 2006-06-27 2009-12-03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スケジューリングされた共存環境
JP2008017302A (ja) * 2006-07-07 2008-01-24 Ntt Docomo Inc 近距離無線通信端末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20080279137A1 (en) * 2007-05-10 2008-11-13 Nokia Corporation Discontinuous inquiry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385316B2 (en) 2007-07-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communications timing structure
US9264907B2 (en) * 2007-07-10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between networks sharing a frequency spectrum
US8861502B2 (en) * 2008-03-03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Assisted initial network acquisition and system de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0876B1 (en) 2017-08-02
US20120088450A9 (en) 2012-04-12
WO2010132754A3 (en) 2011-02-24
CN102577594B (zh) 2015-06-24
JP2012527195A (ja) 2012-11-01
CN102577594A (zh) 2012-07-11
EP2430876A2 (en) 2012-03-21
US20100291872A1 (en) 2010-11-18
EP2430876A4 (en) 2015-07-22
JP5519004B2 (ja) 2014-06-11
US8385826B2 (en) 2013-02-26
TW201132071A (en) 2011-09-16
WO2010132754A2 (en) 2010-11-18
KR101405343B1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582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ver different ranges in a wireless network
US918559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utilization
US7720485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08423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d using multiple connection identifiers
US8099099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160255647A1 (en) Device-to-device data channel signaling
KR20160060666A (ko)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브로드캐스트들에 대하여 2-홉 직교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시그널링
KR20140116899A (ko) 매크로 셀에 대한 최소 간섭을 갖는 단문 메시지 송신
KR2012012010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KR101256895B1 (ko) 파티셔닝된 트래픽 세그먼트들과 관련된 통신 방법들 및 장치들
CN115119183A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KR20150007236A (ko) Lte d2d 통신 설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6734353B2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
KR20150007233A (ko) Lte d2d 통신에서의 그룹핑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7220A (ko) Lte d2d 통신에서의 주파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