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010A - Semiautomatic dual locking apparatus and glove box for vehicle therewith - Google Patents

Semiautomatic dual locking apparatus and glove box for vehicle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010A
KR20120010010A KR1020100071453A KR20100071453A KR20120010010A KR 20120010010 A KR20120010010 A KR 20120010010A KR 1020100071453 A KR1020100071453 A KR 1020100071453A KR 20100071453 A KR20100071453 A KR 20100071453A KR 20120010010 A KR20120010010 A KR 20120010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unit
semi
locking device
glov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4664B1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664B1/en
Publication of KR20120010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0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6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4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the rods being linked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PURPOSE: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nd a glove box for a vehicle therewith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open the glove box by releasing the dual locking device through a switch. CONSTITUTION: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comprises a pinion gear(100), first and second rods(200,300), an actuating unit(400), an operating unit(500), and a returning unit(600). The first and second rods are installed in the pinion gear to cross each other. Racks(210,310) are formed i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rods, and locking units(220,320) are formed in the other side. The racks are meshed with the pinion gear. One end of the actuating unit is fixed to the pinion gear, and the other end is freely moved. The operating unit moves the first and second rods by rotating the pinion gear and releases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units. The returning unit returns the first and second rods to original positions.

Description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 {SEMIAUTOMATIC DUAL LOCKING APPARATUS AND GLOVE BOX FOR VEHICLE THEREWITH}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nd Vehicle Glove Box with Same {SEMIAUTOMATIC DUAL LOCKING APPARATUS AND GLOVE BOX FOR VEHICLE THEREWITH}

본 발명은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가져올 수 있도록 구성된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nd a vehicle glove box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nd a vehicle glove box including the same, which ar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n a vehicle glove box to bring user convenience. It is about.

오늘날 차량에는, 담뱃불을 붙일 때 사용하는 시가 라이터, 재떨이 또는 음료수나 컵 등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컵 홀더 및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의 조수석에서 필요한 물품(예를 들면 카세트 테이프, 담배, 손전등, 장갑, 도로안내책자)을 보관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편의장치가 제공되고 있다.In today's vehicles, cigarette lighters used to light cigarettes, ashtrays or cup holders used to hold beverages or cups, and items that drivers and passengers need in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e.g. cassette tapes, cigarettes, flashlights, gloves, Various convenience devices such as a glove box for storing a road guide book) are provided.

이와 같이 차량에 제공되는 편의장치 중 하나인 글로브 박스는, 일반적으로 인스투르먼트 패널에 마련되며, 미관상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외관에 대응하는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The glove box, which is one of the convenience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instrument panel and is closed by a cover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instrument panel so that the articles stored in the aesthetic view are not visible.

이때, 폐쇄된 글로브 박스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쉽게 개방되어서는 안 되므로,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를 구성하는 내부 하우징과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외관에 대응하는 커버 사이에 듀얼 록킹 장치가 일반적으로 마련된다.In this case, the closed glove box should not be easily opened by the impac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 and thus a cover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instrument panel constituting the glove box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Dual locking devices are generally provided in between.

이러한 듀얼 록킹 장치는 주로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외관에 대응하는 커버에 위치하는 노브(knob)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노브에 수동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듀얼 록킹 장치를 해제시킴으로써 글로브 박스를 개방하게 된다.This dual locking device is mainly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a knob located on a cover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user can manually open the glove box by releasing the dual locking device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to the knob. do.

그러나, 노브가 위치하고 있는 글로브 박스 커버까지 팔을 길게 뻗어야만 하는 운전자라든 또는 손아귀 힘이 미약한 어린이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상기 노브에 듀얼 록킹 장치를 해제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가하는데 있어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However, in the case of a driver who has to extend his arm to the glove box cover where the knob is located, or in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with low grip strength, there is considerable difficulty in applying sufficient force to release the dual locking device to the knob. This follow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가져올 수 있도록 구성된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nd a vehicle glove box including the same, which ar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n a vehicle glove box to br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 can be achieved through an embodiment of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hicle glove box including the same.

여기서,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는,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엇갈려서 대향되게 마련되되, 대향하는 각각의 일측부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이 구비되며, 대향하지 않는 각각의 타측부에는 잠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로드 및 제2 로드; 일단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고정되어 연결된 고정단으로 구성되고, 타단부는 그 위치의 변경이 자유로운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감소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각각의 잠금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각각의 잠금부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에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원위치시키는 리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the pinion gear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pinion gears interposed therebetween, each opposite side is provided with a rack engaging the pinion gear, each other side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A driving part having one end configured as a fixed end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and the other end configured as a free end freely changeable in position; An operation unit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to rotate the pinion gear to move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so as to reduce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reby releasing the locking of each locking unit; And a return unit for repositioning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fter the locking of the respective locking portions is released.

이때,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일측부가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에 접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for generating power so that the other end position of the drive unit,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to transfer the power generated by the actuator to the drive unit. Can be.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가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변경되어 상기 각각의 잠금부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 상기 리턴부에 의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가 원위치되기 이전에,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기 이전의 위치로 원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may be moved by the return unit after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driving unit is chang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unit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respective locking units. Before the ro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t may be returned to a position before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by the actuator to the drive unit.

또한, 이와 같은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일단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 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는 상기 작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와 접하는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such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one end of the drive unit may be coupled to a protrusion forme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pinion gear,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from the operating unit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portion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이때,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는 상기 접촉부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된 원통형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는 상기 원통형 돌기의 외주면의 일부분과 접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ontact unit. For example,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또한, 이와 같은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부는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에 비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커버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결합편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such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the return unit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rod or the second rod. In addition, one end of the return portion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the position of which is fixed relative to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nd the other end portion to the coupling piece provided on either of the first rod or the second rod. It may be an elastic member that is coupled.

이러한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응하여 더욱 구체적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n embodiment of a more specific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may be as follows.

즉,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마련된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개폐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로서,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되어 있을 때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내부 수납함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를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의 상측에 마련된 피니언 기어; ⊂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이 구비되며, 타측부에는 잠금부가 마련되는 제1 로드; ⊃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이 구비되며, 타측부에는 잠금부가 마련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로드와 엇갈려서 대향되게 마련되는 제2 로드;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상측에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단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 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에 고정된 고정단으로 구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그 위치의 변경이 자유로운 자유단으로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감소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에 각각 마련된 잠금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 중 어느 하나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에 각각 마련된 잠금부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에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원위치시키는 리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n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is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glove box provided on an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the interior forming an inner box of the vehicle glove box when the vehicle glove box is closed. A pinion gea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outer housing surrounding the housing; A first rod having a U-shape shape, one side of which is provided with a rack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the other side having a locking portion; A second rod formed in the shape of a U-shape, having a rack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at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lock portion at the other side thereof, the second rod being opposed to the first rod with the pinion gear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traight bar (bar)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one end is composed of a fixed end fixed to the protrusion forme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pinion gear, the other end is A driving unit having a free end freely changeab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to rotate the pinion gear to move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so as to reduce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to lock the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respectively An actuating portion for releasing;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cover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ousing and having the other end connected to either the first rod or the second rod, wherei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It may include a return unit for releasing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fter the locking of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provided in the.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 상측에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가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면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여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raight bar (bar)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e uni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for generating power, the other side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the vehicle glove box When the actuator is operated to open, the power generated by the actuator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가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변경되어 상기 각각의 잠금부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 상기 리턴부에 의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가 원위치되기 이전에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기 이전의 위치로 원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작동부는, 상기 리턴부에 의해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가 원위치될 때 함께 원위치되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may be moved by the return unit after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driving unit is chang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unit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respective locking units. The rod may be returned to a position prior to the transfer of power generated by the actuator to the drive unit before the rod is returned. As a result, the operation un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which is brought together whe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re returned by the return unit.

한편, 이와 같은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를 구비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내부 수납함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를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로서, 상기 외부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거나 개방시키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 및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포함한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에 포함된 작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개방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embodiment of a vehicle glove box having an embodiment of such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which is provided i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the inner housing for forming the inner box of the vehicle glove box; An outer housing surrounding the inner housing; 12.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comprising: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outer housing to maintain or open a closed state of the vehicle glove box; And a switch unit provided in an inside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instrument panel to operate the operation unit included in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to open the vehicle glove box. You can accomplish the task you want to do.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할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스위치부를 통해 명령만 하면, 듀얼 록킹 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고,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nd the vehicle glove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does not need to apply a separate force to open the vehicle glove box. That is, the user can release the dual locking device only by commanding the switch unit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can easily open the vehicle glove box.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만큼, 듀얼 록킹 장치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는 노브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듀얼 록킹 장치와 노브 사이의 이음 구조를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구성으로부터 제외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user does not need to apply a separate force, a knob that is coupled with the dual locking device to transmit the user's force is no longer needed, and thus the joint structure between the dual locking device and the knob is not included in the vehicle glove box. Can be excluded from the configuration.

아울러, 이러한 이음 구조의 제거는 부품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조립공수 및 제조 단가를 감소시켜 경제적으로 유리할 수 있으며, 부품 사이의 이격 공간 또는 사용에 의한 마모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진동 소음도 감소시켜 사용자의 감성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imination of such a joint structure can be economically advantageou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manufacturing costs and manufacturing costs, and also reduces the vibration noise that may be generated due to the space between the parts or wear due to use. Emotional qual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가 록킹되어 있을 때의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가 록킹이 해제될 때의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가 록킹이 해제된 이후의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록킹이 해제될 때와 록킹이 해제된 이후 사이의 시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와 작동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glove box when an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ked.
Figure 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love box for a vehicle when the locking is rele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love box for a vehicle after the locking is relea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time between when the locking is released and after the locking is released.
7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rive unit and the operation unit in an embodiment of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nd a vehicle glove box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가 장착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내부 하우징(20)과 외부 하우징(10)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First, prior to the descrip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nner housing 20 and the outer housing 10 of the vehicle glove box on which one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Briefly explain.

내부 하우징(20)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수납함의 외형을 구성하는 부분이며, 외부 하우징(10)은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되어 있을 때 내부 하우징(20)을 둘러싸는 부분이다. 즉, 내부 하우징(20)은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개방할 때 사용자에게 보이는 부분을 형성하고, 외부 하우징(10)은 내부 수납함과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의 경계면을 형성한다.The inner housing 20 is a part constituting the outer shape of the inner storage box for storing the goods, the outer housing 10 is a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housing 20 when the vehicle glove box is closed. That is, the inner housing 20 forms a part visible to the user when opening the vehicle glove box, and the outer housing 10 forms an interface between the inner holder and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내부 하우징(20)과 외부 하우징(10)을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전제로,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of a vehicle glove box including an inner housing 20 and an outer housing 10.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는, 피니언 기어(100), 제1 로드(200), 제2 로드(300), 구동부(400), 작동부(500) 및 리턴부(600)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ion gear 100, the first rod 200, the second rod 300, the driving unit 400, the operating unit 500 and the return unit 600 It includes.

피니언 기어(100)는, 후술할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에 마련된 랙(210, 310)에 맞물리는 기어로서, 후술할 구동부(4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로 전달하거나, 리턴부(600)에 의해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가 원위치할 때 구동부(400)를 원위치시키는 작용을 한다.The pinion gear 100 is a gear that meshes with the racks 210 and 310 provided in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pinion gear 100 receives power from the driv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the first rod. Transfer to the 200 and the second rod 300, or when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turn unit 600 serves to return the drive unit 400.

이러한 피니언 기어(100)는 외부 하우징(10)의 상측, 하측 어느 부위에 마련되어도 상관없으나, 일반적으로 차량용 글로브 박스는 측면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하측에 힌지 연결부가 마련되므로, 외부 하우징(1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pinion gear 100 may be provided at any part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housing 10, but in general, the vehicle glove box has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at the side thereof, so that the hing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housing 10. It can be provided above.

한편,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는, 피니언 기어(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엇갈려서 대향되게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피니언 기어(100)의 회전 또는 리턴부(600)의 작용으로 인해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후술할 잠금부(220, 320)를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작용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is a component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pinion gear 10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rotation or return of the pinion gear 100 The position is changed due to the action to lock or release the locking portions 220 and 32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는, 대향하는 각각의 일측부에는 피니언 기어(100)와 맞물리는 랙(210, 310)이 구비되며, 대향하지 않는 각각의 타측부에는 잠금부(220, 320)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provided with racks 210 and 310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00 at respective opposite sides thereof, and locked at the other portions not facing each other. The parts 220 and 320 may be formed.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는 각각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면 그 형상 및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더욱 구체적으로 이를 구성한다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드(200)은 ⊂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로드(300)는 이에 대향하는 구조로 ⊃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owever, if it is configur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first rod 200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the second rod 300 has a concave shape in a structure opposite thereto It may be formed in a shape.

이때, 랙(210, 310)은 피니언 기어(100)에 형성된 기어이의 형상 및 개수를 고려하여 구성될 것이며, 잠금부(220, 320)는 내부 하우징(20)에 마련된 잠금부에 대응하여 구성될 것이다.At this time, the racks 210 and 310 will be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number of gear teeth formed in the pinion gear 100, and the locking parts 220 and 320 will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arts provided in the inner housing 20. will be.

여기서, 잠금부(220, 32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잠금부(220, 320)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때 외부 하우징(10) 측부에 마련된 관통홀(12)을 관통하여 내부 하우징(20) 측부에 마련된 잠금홈(22)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부(220, 320)는 개방된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될 때 부드럽게 폐쇄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Herein, the lock parts 220 and 3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 The lock parts 220 and 320 may include a through hole provided at the side of the outer housing 10 when the vehicle glove box is kept closed. 12 may be configured to engage the locking groove 22 provided at the side of the inner housing 20. In addition, the locking parts 220 and 320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vehicle glove box which is opened may be closed smoothly.

또한,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면 그 형상 및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더욱 구체적으로 이들을 구성한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드(200)은 ⊂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로드(300)은 이에 대향하는 구조로 ⊃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를 ⊂형 형상 또는 ⊃형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잠금부(220, 320)와 같은 구조로도 충분히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configured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However,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figu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rod 200 may be formed in a U-shape, and the second rod 300 may be formed in a U-shape in a structure opposite thereto. Can be. In this way, by configuring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in a U-shape or a U-shape, the vehicle glove box is sufficiently closed even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locking parts 220 and 320 described above. Can be maintained.

한편, 구동부(400)는 후술할 작동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피니언 기어(10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일단부(410)는 피니언 기어(100)에 고정되어 연결된 고정단(fixed end)으로 구성되고, 타단부(420)는 그 위치의 변경이 자유로운 자유단(free end)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400 is a component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100 receives power from the operation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one end 410 is fixed to the pinion gear 100 is fixed (fixed) end), and the other end 420 is configured as a free end where the position can be freely changed.

즉, 구동부(400)는 후술할 작동부(500)로 인해 자유단으로 구성된 타단부(420)의 위치가 변경함에 따라 고정단으로 구성된 일단부(410)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100)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driving unit 400 is such that the pinion gear 100 connected to one end 410 of the fixed end rotates as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420 of the free end changes due to the operation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mposed.

이러한 구동부(400)도 이러한 작용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이나 크기 등에는 특별히 제한받지 않는다. 그러나, 더욱 구체적으로 이들을 구성한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의 상측에 마련된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f the driving unit 400 also performs such an operation, the shape or siz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more specifically, if these are configured, as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traight bar (ba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이때, 일단부(410)는 피니언 기어(100)의 회전 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도면부호 미부여)에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부(420)는 작동부(5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후술할 작동부(500)의 타측부(530)와 접하는 접촉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410 may be coupled to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pinion gear 100, the other end 420 is a driving force from the operating unit 500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430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530 of the operation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delivered.

접촉부(430)도 그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동부(400)의 타단부(420)로부터 돌출된 원통형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 형상은 그 외주면 어느 부분에 작동부(500)의 타측부(530)와 접하더라도 다른 면에 구속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른 형상에 비하여 유리할 것이다.The contact portion 430 may also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contact portion 430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This cylindrical shape will be advantageous over other shapes because it is not restrained by the other surface even i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portion 530 of the operation portion 500.

이때, 이러한 접촉부(430)에 접하는 작동부(500)의 타측부(530)의 형상을 구동력을 더욱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접촉부(43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other side portion 530 of the operation unit 500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4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ontact portion 430 to better transmit the driving force.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430)를 원통형 돌기로 구성한다면, 작동부(500)의 타측부(5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돌기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tact portion 430 is configured as a cylindrical protrusion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side portion 530 of the operation portion 500, as shown in Figure 7,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It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한편, 작동부(500)는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에 각각 마련된 잠금부(220, 320)의 록킹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구동부(400)의 타단부(420)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요소이다.Meanwhile, the operation unit 500 changes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locking units 220 and 320 provided on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respectively. It is a component.

즉, 작동부(500)는 구동부(400)의 타단부(420)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구동부(400)의 일단부(410)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100)를 회전시켜, 피니언 기어(100)에 맞물려 있는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를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감소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unit 500 rotates the pinion gear 100 connected to one end 410 of the driving unit 400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and engages with the pinion gear 100.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which are present may be moved to reduce surfaces facing each other.

이러한 작동부(500)는 구동부(400)의 타단부(420)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구조 및 형상이면 어떠한 구조 및 형상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unit 500 may have any structure and shape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and shape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In this regard,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as follows.

즉, 작동부(5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 상측에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to 6, the operation unit 50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bar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unit 400.

이때, 일측부(520)는 구동부(4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5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부(530)는 구동부(400)의 타단부(420)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작동부(500)의 타측부(530)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400)의 타단부(420) 형상에 대응한다.At this time, one side 520 may be connected to the actuator 510 that can generate the power requir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400, the other side 530 to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It is prepared to touch. Here, the shape of the other side 530 of the operation unit 50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작동부(500)는 후술할 리턴부(600)에 의해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가 원위치될 때 함께 원위치되는 구동부(400)의 타단부(42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e operation unit 500 may move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which is located together when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turn uni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should be configured so as not to disturb.

즉, 작동부(500)는 구동부(400)의 타단부(420) 위치가 작동부(500)의 타측부(53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변경되어 각각의 잠금부(220, 320)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 리턴부(600)에 의해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가 원위치되기 이전에 액츄에이터(510)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부(400)로 전달하기 이전의 위치로 원위치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at is, the operation unit 500 is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portion 420 of the driving unit 400 is chang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ther side 530 of the operation unit 500 to lock the locking portion 220, 320 of each After this is released, before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turn unit 600, the power generated by the actuator 510 is transferred to the position before the driving unit 400 is transferred. It should be configured to be in place.

이와 같이 작동부(500)를 구성하는 이유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400)의 위치 변경을 방해하지 않기 위한 이유도 있지만, 작동부(500)의 일측부(520)가 연결된 액츄에이터(5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유도 있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operating unit 500 in this way,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reason for not disturb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driving unit 400, but the actuator 510 to which one side 520 of the operating unit 500 is connected. There is also a reason to prevent damage.

즉,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가 원위치되기 이전에 작동부(500)가 원위치되지 않으면,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가 원위치될 때 피니언 기어(100)의 회전으로 구동부(400)의 타단부(420)가 작동부(500)의 타측부(530)를 강제로 밀어내기 때문에 액츄에이터(51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도록 작동부(50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when the operating part 500 is not returned before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when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e pinion gear ( Since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forcibly pushes the other side 530 of the operation unit 500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100, damage to the actuator 510 may occur,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unit ( It would be desirable to construct 500).

한편, 리턴부(600)는 잠금부(220, 320)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에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를 원위치시키는 구성요소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turn unit 600 is a component for repositioning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fter the locking of the locking unit (220, 320).

더욱 구체적으로, 리턴부(600)는 작동부(50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탄성력으로 전환시켜, 잠금부(220, 320)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에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630)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turn unit 600 converts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perating unit 500 into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after the locking of the locking units 220 and 320 are released). It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630 to place the 300.

이때, 탄성부재(630)의 일단부는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에 비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즉 리턴부(600)는 외부 하우징(10)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610)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630)의 타단부는 제1 로드(200) 또는 제2 로드(30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결합편(620)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630 is fixed relative to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that is, the return portion 60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ousing 10 It may be coupled inside the cover 610.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63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iece 620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rod 200 or the second rod 300.

이러한 리턴부(600)는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 모두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 모두에 마련될 필요없이, 제1 로드(200) 또는 제2 로드(300)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되어도 무방하다.The return unit 600 may be provided in both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nd may not necessarily be provided in both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It may be provided only in any one of the rod 200 or the second rod (300).

이는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가 피니언 기어(100)로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만 원위치시키게 되면 다른 하나도 자연스럽게 원위치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inion gear 100, so that if only one of them is returned, the other one naturally returns.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은 상태에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s 1 and 2, when the vehicle glove box is kept closed, each component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llowing state. .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의 타측부에 마련된 각각의 잠금부(220, 320)는 내부 하우징(20)에 마련된 잠금홈(22)에 삽입되어 록킹된 상태로 유지된다.In order to keep the vehicle glove box closed, each of the locking parts 220 and 320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has a locking groove 22 provided in the inner housing 20. ) And remain locked.

이때, 구동부(400)의 타단부(420)와 작동부(500)의 타측부(530)는 이격되어 있이므로, 어떠한 동력도 구동부(400)의 타단부(420)로 전달되지 않아, 잠금부(220, 320)의 록킹 상태는 유지된다.At this time, since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and the other side 530 of the operating unit 500 are spaced apart, no power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so that the locking unit The locked states of 220 and 320 are maintained.

또한, 리턴부(60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630)도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의 위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어떠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630 constituting the return unit 600 is also in a state in which no elastic energy is accumulated because there is no change in position of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그러나, 사용자가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개방하기 위하여 후술할 스위치부(미도시)를 통해 작동부(500)의 일측부(520)에 연결된 액츄에이터(510)를 작동시키게 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은 상태로 변화된다.Howev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actuator 510 connected to one side 520 of the operation unit 500 through a switch unit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open the vehicle glove box, shown in FIGS. 3 and 4. As described above, each component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to the following state.

먼저, 액츄에이터(510)가 작동하면 액츄에이터(510)에 연결된 작동부(500)의 일측부(520)는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500)의 타측부(530)도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한편, 구동부(400)의 타단부(420)에 마련된 접촉부(430)와 접촉하여 구동부(400)로 액츄에이터(510)의 동력을 전달한다.First, when the actuator 510 is operated, one side 520 of the operating unit 500 connected to the actuator 510 is rotated in plac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4.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other side 530 of the operating unit 500 is also chang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unit 430 provided at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to the actuator 400 to the driving unit (400). 510 transmits power.

이때, 구동부(400)로 액츄에이터(510)의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은, 작동부(500)의 타측부(530)가 구동부(400)의 접촉부(430)를 밀어 타단부(420)를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키고, 구동부(400)의 타단부(420)의 위치변경으로 구동부(400)의 일단부(410)가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actuator 510 to the driving unit 400, the other side 530 of the operating unit 500 pushes the contact portion 430 of the driving unit 400 counterclockwise the other end 420 It can be described that the position is changed in the direction, and the one end 410 of the driving unit 400 is rota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이와 같이 구동부(400)로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부(400)의 일단부(410)가 회전하면, 이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100)가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 기어(100)에 맞물려 있는 랙(210, 310)이 마련된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는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400 and one end 410 of the driving unit 400 rotates, the pinion gear 100 fixed thereto rotates, and the rack 210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00 is rotated.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provided with 310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faces facing each other decrease.

이렇게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가 이동하면,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의 타측부에 마련된 각각의 잠금부(220, 320)는 내부 하우징(20)에 마련된 잠금홈(2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잠금부(220, 320)는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When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moved in this way, each of the locking parts 220 and 3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is an inner housing 20. The lock portion 22, 32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22 provided in the lock is released.

한편, 리턴부(60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630)는 원래의 길이보다 늘어나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즉, 탄성부재(630)는 작동부(50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탄성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mber 630 constituting the return unit 600 is longer than the original length to accumulate elastic energy. That is, the elastic member 630 accumulates elastic energy to conver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perating part 500 into the elastic force.

그 후, 사용자가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폐쇄하기 전까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때의 위치로 원위치된다.Then, until the user closes the vehicle glove box,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returned to their positions when the vehicle glove box is kept closed as shown in FIG. 5. .

만약 원위치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폐쇄하기 위하여 내부 하우징(20)을 외부 하우징(10)을 향해 밀어 내더라도, 잠금부(220, 320)가 내부 하우징(20)에 마련된 잠금홈(22)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차량용 글로브 박스는 다시 개방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폐쇄하기 전까지,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때의 위치로 원위치되어야 한다.If it is not in the home position, even if the user pushes the inner housing 20 toward the outer housing 10 to close the vehicle glove box, the locking grooves 22 provided with the locking portions 220 and 320 in the inner housing 20. The vehicle glove box can be opened again because it is disengaged from. Therefore, until the user closes the vehicle glove box,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should be returned to their positions when the vehicle glove box is kept closed.

이와 같이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가 원위치되는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As such, the process of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in place is as shown in FIG. 6.

즉, 작동부(500)는,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가 원위치되는 과정시 발생되는 구동부(400)의 위치 변경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액츄에이터(5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510)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부(400)로 전달하기 이전의 위치로 액츄에이터(510)로부터 동력을 역방향으로 재전달받아 원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작동부(500)는 메트로놈(metronome)과 유사하게 작동하는 것이며, 원위치되는 시간은 구동부(400)의 타단부(420)가 원위치되는 시간보다 빠르면 어떠한 시간이라도 무방하다.That is, the operation unit 500 prevents the actuator 510 from being damaged while prevent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driving unit 400 generated when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in the original pos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ower generated by the actuator 510 is re-transmitted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actuator 510 to the position before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driving unit 400, an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unit 500 operates similarly to a metronome, and the time of the home position may be any time as long as the other end 420 of the driving unit 400 is earlier than the time of the home position.

이때, 구동부(400)는 작동부(500)에 일시적으로 접촉된 상태였기 때문에, 작동부(500)가 액츄에이터(510)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부(400)로 전달하기 이전의 위치로 원위치된다 하더라도, 구동부(400)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다만, 구동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턴부(60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63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되는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의 움직임에 의해 상대적으로 위치를 변경할 뿐이다.At this time, since the driving unit 400 is in a state of being temporarily in contact with the operating unit 500, even if the operating unit 500 is returned to a position before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by the actuator 510 to the driving unit 400.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400 is not changed. However, the driving unit 400 is relatively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which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by the elastic member 630 constituting the return unit 600 as described later. It just changes its position.

한편, 리턴부(60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630)는 작동부(50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탄성력으로 전환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를 원위치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mber 630 constituting the return unit 600 converts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perating unit 500 to the elastic force to return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s described above. .

이와 같이, 제1 로드(200)와 제2 로드(300)를 원위치되면, 제1 로드(200) 및 제2 로드(300)의 일측부에 마련된 랙(210, 310)이 이동하게 되어 피니언 기어(100)가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 기어(100)에 연결된 구동부(400)도 원위치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in the original position, the racks 210 and 3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rod 200 and the second rod 300 are moved to pinion gear. 100 is rotated, and the driving unit 400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100 is also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다시 말해서,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처음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가 록킹을 유지하던 때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되고, 이후 사용자는 내부 하우징(20)을 외부 하우징(10)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는 다시 록킹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re returned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held the locking, after which the user simply pushes the inner housing 20 toward the outer housing 10.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is locked again to maintain its state.

한편, 이러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내부 수납함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20)과, 내부 하우징(20)을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10)과,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거나 개방시키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상기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작동부(50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mbodiment of a vehicle glove box including an embodiment of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action, the inner housing 20 and the inner housing 20 forming the inner box of the vehicle glove box, It comprises a surrounding outer housing 10,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for maintaining or opening the closed state of the vehicle glove box, and a switch unit (not shown) for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500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Can be.

여기서,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 및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스위치부(미도시)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한다.Here, the outer housing 10, the inner housing 20, and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with respect to the switch unit (not shown) Only detailed.

스위치부(미도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작동부(500)를 작동시키도록 명령을 내리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일 실시예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부(미도시)를 통해 작동부(500), 더 구체적으로는 액츄에이터(510)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switch unit (not shown) is a component that commands the user to operate the operating unit 500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glov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opened, the user may operate the operation unit 500, more specifically, the actuator 510 through a switch unit (not shown).

이러한 스위치부(미도시)는 인스투르먼트 패널의 외관에 대응하는 내부 하우징(20)의 외측면 상에 버튼(button)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부(미도시)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포함한 차량의 어느 부분에도 마련될 수 있다.The switch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a button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20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instrument panel. However, the position of the switch unit (not show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any part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instrument panel.

특히, 오늘날 차량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CAN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만큼, 이러한 스위치부(미도시)도 운전석 주변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today the vehicle is configured to be CAN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control all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such a switch unit (not shown) will be provided around the driver's seat Could be

이와 같이 사용자는 스위치부(미도시)만을 조작함으로써 더욱 쉽게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way, the user can more easily release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nly operating the switch unit (not shown), and thus,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글로브 박스의 내부 하우징
20 : 글로브 박스의 외부 하우징
100 : 피니언 기어
200 : 제1 로드 300 : 제2 로드
210, 310 : 랙 220, 320 : 잠금부
400 : 구동부 410 : 구동부의 일단부
420 : 구동부의 타단부 430 : 접촉부
500 : 작동부 510 : 액츄에이터
520 : 작동부의 일측부 530 : 작동부의 타측부
600 : 리턴부 610 : 커버
620 : 결합편 630 : 탄성부재
10: inner housing of glove box
20: outer housing of the glove box
100: pinion gear
200: first rod 300: second rod
210, 310: rack 220, 320: lock
400: driving unit 410: one end of the driving unit
420: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430: contact portion
500: operating part 510: actuator
520: one side of the operating portion 530: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portion
600: return unit 610: cover
620: bonding piece 630: elastic member

Claims (12)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엇갈려서 대향되게 마련되되, 대향하는 각각의 일측부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이 구비되며, 대향하지 않는 각각의 타측부에는 잠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로드 및 제2 로드;
일단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고정되어 연결된 고정단(fixed end)으로 구성되고, 타단부는 그 위치의 변경이 자유로운 자유단(free end)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감소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각각의 잠금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각각의 잠금부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에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원위치시키는 리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The pinion gears are provid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pinion gear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ach of the opposing one sides is provided with a rack engaged with the pinion gears, and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s having the locking portions formed on the other opposite parts thereof. road;
A driving part having one end configured as a fixed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and the other end configured as a free end freely changeable in position;
An operation unit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to rotate the pinion gear to move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so as to reduce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reby releasing the locking of each locking unit; And
And a return unit for repositioning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fter the locking of the respective locking portions is released.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일측부가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에 접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unit,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for generating power,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in the actuator to the drive unit,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가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변경되어 상기 각각의 잠금부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 상기 리턴부에 의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가 원위치되기 이전에,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기 이전의 위치로 원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unit,
After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is chang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unit to release the locking of each lock unit, before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re homed by the return unit. ,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turned to the position before the power generated in the actuator to the drive unit,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일단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 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는 상기 작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와 접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driving unit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forme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pinion gear,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unit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operating unit,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는,
상기 접촉부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ontact portion,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된 원통형 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는 상기 원통형 돌기의 외주면의 일부분과 접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a cylindrical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eturn unit,
It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rod or the second rod,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에 비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커버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결합편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turn unit,
One e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that is fixed in position relative to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ece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rod or the second rod It is a member,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마련된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개폐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로서,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가 폐쇄되어 있을 때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내부 수납함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를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의 상측에 마련된 피니언 기어;
⊂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이 구비되며, 타측부에는 잠금부가 마련되는 제1 로드;
⊃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이 구비되며, 타측부에는 잠금부가 마련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로드와 엇갈려서 대향되게 마련되는 제2 로드;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 상측에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단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 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에 고정된 고정단(fixed end)으로 구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그 위치의 변경이 자유로운 자유단(free end)으로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감소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에 각각 마련된 잠금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로드 또는 상기 제2 로드 중 어느 하나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에 각각 마련된 잠금부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에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를 원위치시키는 리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glove box provid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A pinion gea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an outer housing surrounding an inner housing forming an inner holder of the vehicle glove box when the vehicle glove box is closed;
A first rod having a U-shape shape, one side of which is provided with a rack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and the other side having a locking portion;
A second rod formed in the shape of a U-shape, having a rack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at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lock portion at the other side thereof, the second rod being opposed to the first rod with the pinion gear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raight bar (bar)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one end is composed of a fixed end (fixed end) fixed to the protrusion forme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pinion gear,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is composed of a free end (free end) is free to change its position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to rotate the pinion gear to move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so as to reduce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to lock the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respectively An actuating portion for releasing;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ousing and formed of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ither the first rod or the second rod,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nd a return unit for returning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fter the locking of the provided locking portions is released.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 상측에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가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에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면,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여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peration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raight bar (bar) above the drive uni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for generating power, the other side is provided to contact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When operating the actuator to open the vehicle glove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in the actuator to the drive uni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 위치가 상기 작동부의 타측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변경되어 상기 각각의 잠금부의 록킹이 해제된 이후,
상기 리턴부에 의해 상기 제1 로드 및 상기 제2 로드가 원위치되기 이전에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기 이전의 위치로 원위치되어, 상기 리턴부에 의해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가 원위치될 때 함께 원위치되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부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operation unit,
Sinc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is chang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unit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respective locking units,
The first rod and the first rod are returned to the position before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by the return unit to the position before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actuator to the dri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rods do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drive unit in the home position when the rod is in plac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마련된 차량용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내부 수납함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를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로서, 상기 외부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거나 개방시키는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면 및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포함한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반자동 듀얼 록킹 장치에 포함된 작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차량용 글로브 박스를 개방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글로브 박스.
In the vehicle glove box provid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An inner housing forming an inner holder of the vehicle glove box;
An outer housing surrounding the inner housing;
12.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comprising: a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outer housing to maintain or open a closed state of the vehicle glove box; And
It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instrument panel, including a switch unit for operating the operating unit included in the semi-automatic dual locking device to open the vehicle glove box,
Car glove box.
KR1020100071453A 2010-07-23 2010-07-23 Semiautomatic dual locking apparatus and glove box for vehicle therewith KR1011646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453A KR101164664B1 (en) 2010-07-23 2010-07-23 Semiautomatic dual locking apparatus and glove box for vehicle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453A KR101164664B1 (en) 2010-07-23 2010-07-23 Semiautomatic dual locking apparatus and glove box for vehicle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010A true KR20120010010A (en) 2012-02-02
KR101164664B1 KR101164664B1 (en) 2012-07-12

Family

ID=4583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453A KR101164664B1 (en) 2010-07-23 2010-07-23 Semiautomatic dual locking apparatus and glove box for vehicle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6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2048A1 (en) * 2019-10-09 2021-04-15 Southco, Inc. Electronically actuated and locking glove box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6544B3 (en) * 2017-07-21 2019-01-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love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2048A1 (en) * 2019-10-09 2021-04-15 Southco, Inc. Electronically actuated and locking glove box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664B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965B2 (en) Storage box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4772541B2 (en) Double door lid device and center console box
JP4915165B2 (en) Cup holder
JP5242977B2 (en) Assist grip
JP4472161B2 (en) Brake mechanism and container holder using this brake mechanism
KR20150051801A (en) Dual Knob Structure of Glove Box for Vehicle
JP5262689B2 (en) Door opening / closing structure and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KR101164664B1 (en) Semiautomatic dual locking apparatus and glove box for vehicle therewith
JP2008174027A (en) Console box
KR20120108193A (en) 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of glove box of auto automobile
JP2013091351A (en) Rod holding device
KR20130115369A (en) Movement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terior trim part, and interior trim part
JP2007099180A (en) Vehicular storage device
JP2016097882A (en) Glove box
KR100811950B1 (en) Upper tray for vehicle
JP5322613B2 (en) Lid movable device
JP2008273326A (en) Glove box
KR20130057864A (en) Hand operated open device of electrically powered glove box for vehicle
KR20110057780A (en) Storage box locking system for vehicle
JP4248525B2 (en) Vehicle storage device
KR20140014909A (en) Glove box for vehicles
KR100536321B1 (en) Apparatus for opening armrest of console in vehicle
JP2008149974A (en) Cup holder structure
KR200405793Y1 (en) Cupholder device for automobile
CN210126466U (en) Linkage mechanism of cup stand cover body, cup stand and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