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948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948A
KR20120009948A KR1020100071189A KR20100071189A KR20120009948A KR 20120009948 A KR20120009948 A KR 20120009948A KR 1020100071189 A KR1020100071189 A KR 1020100071189A KR 20100071189 A KR20100071189 A KR 20100071189A KR 20120009948 A KR20120009948 A KR 20120009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data
portable terminal
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465B1 (ko
Inventor
안상준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465B1/ko
Priority to US13/188,277 priority patent/US9749608B2/en
Publication of KR20120009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7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according to rate distor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04N5/2627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for providing spin image effect, 3D stop motion effect or temporal freeze eff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레오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입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데 사용할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는 3차원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스테레오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영상 기술은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 쪽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보다 사실적이고 현실감 있는 영상 정보를 표현하기 위함이다. 인간 시각 특성을 활용하여,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좌시점 영상과 우시점 영상을 각각 해당 위치에 주사한 후, 좌시점과 우시점을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분리하여 상이 맺히게 함으로써 3차원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면에서 가능성을 인정 받고 있다. 일례로 Barrier LCD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입체휴대폰, 입체 카메라, 입체 캠코더 등등) 및 3D TV 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좀 더 실감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스테레오 비젼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개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한 2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하며, 일반적으로 동시 방송(simulcast) 방식과 호환(compatible) 방식 , 호환(compatible) 방식 및 결합(Joint) 방식을 사용하여 스테레오 영상에 대한 압축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동시 방송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테레오 영상을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리하여 부호화(encoding)한다.
상기 호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테레오 영상을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제 1 이미지를 2차원 영상 압축 기술로 부호화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테레오 영상을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와의 상관 관계만으로 부호화하는 것으로, 두 이미지 사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압축 성능이 떨어지고 계산 복잡도가 두 배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호환 방식은 제 1 이미지에 대하여는 일반적인 코덱으로 부호화하고, 제 2 이미지에 대하여는 상기 제 1 이미지와의 상관 관계 만으로 부호화하는 것으로 두 이미지 사이의 상관 관계를 계산 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결합 방식은 상기 동시 방송 방식과 호환 방식을 결합한 방법으로 스테레오 영상을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제 1 이미지를 2차원 영상 압축 기술로 부호화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테레오 영상을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제 2 이미지의 영상 특성에 따라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를 이용하여 부호화하거나 상기 제 1 이미지와 별도로 2차원 영상 압축 기술로 부호화하는 것으로 압축 효율을 높으나 계산 복잡도가 상기 동시 방송 방식보다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3차원 데이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여 3차원 데이터의 압축에 따른 복잡도를 낮추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3차원 데이터를 구성하는 이미지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이미지의 화질을 낮추어 압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압축률을 변경한 다수의 이미지를 하나로 합친 데이터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입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데 사용할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는 3차원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들을 통해 입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데 사용할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3차원 데이터를 구성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코덱의 코딩 변수를 변경하여 압축함으로써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입체 영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보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입체 영상 데이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압축률이 변경된 이미지로 생성한 입체 영상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여 압축함으로써, 3차원 데이터의 압축에 따른 복잡도를 낮추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입체 휴대폰, 입체 카메라, 입체 캠코더 등 및 3D TV와 같이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입체 영상 데이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3차원 데이터 생성부(102), 카메라부(110), 메모리부(116), 입력부(118), 표시부(120) 및 통신부(12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102)는 조건 설정부(104), 제 1 인코더(106) 및 제 2 인코더(10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110)는 제 1 카메라(112)와 제 2 카메라(1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102)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입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압축하기 전에 상기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 조건(예; 인코더의 종류를 변경하는 코딩 변수(모션 백터 검색 영역(motion vector search range), 비트 레이트(bit rate), 오류 수정(error correction), 화면내 부호화 예측(Intra prediction) 등)을 변경하여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동일 시간대에 촬영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는 서로 비슷한 영상 정보를 담고 있고 사람들은 하나로 합쳐진 두 이미지를 시청하여 입체 효과를 얻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 가운데 어느 한 이미지의 화질이 좋지 않더라도 입체 효과가 떨어지지 않는 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의 압축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와 같이 압축 조건을 변경하여 압축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합친 데이터로 생성하도록 처리한다. 이는 상기와 같이 압축된 이미지로 구성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지원하지 않는 2D용 단말기에서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입체 영상 데이터를 지원할 경우, 압축률을 변경하지 않은 이미지와 압축률을 변경한 이미지를 합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입체 영상 데이터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 존재하는 데이터 가운데 압축률을 변경하지 않은 데이터만을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조건 설정부(102)는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1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설정한다. 즉, 상기 조건 설정부(104)는 2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재생할 수 있는 이미지의 압축률을 제 1 인코더(106)로 제공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를 압축하도록 처리하고, 화질을 낮출 이미지에 대한 압축률을 제 2 인코더(108)로 제공하여 상기 제 2 이미지를 압축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상기 조건 설정부(104)는 코딩 변수(모션 백터 검색 영역(motion vector search range), 비트 레이트(bit rate), 오류 수정(error correction), 화면내 부호화 예측(Intra prediction))를 변경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압축률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압축된 이미지들은 동일한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로 상기 제 2 이미지의 화질이 낮더라도 상기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로 생성한 입체 영상 데이터의 화질은 낮아지지 않는다.
상기 제 1 인코더(106)는 상기 조건 설정부(104)에 의해 설정된 압축률로 상기 제 1 이미지를 압축하고, 상기 제 2 인코더(108)는 상기 조건 설정부(104)에 의해 설정된 압축률로 상기 제 2 이미지를 압축한다.
상기 제 1 인코더(106) 및 상기 제 2 인코더(108)에 의해 압축된 이미지들은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102)에 의해 하나의 파일 형태로 합쳐진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제 1 카메라(112)와 제 2 카메라(1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110)는 상기 제 1 카메라(112)와 제 2 카메라(114)를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켜 사람의 양안으로 바로보는 이미지와 유사하게 사물을 촬영한다.
상기 메모리부(116)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3차원 데이터 생성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102)에서 생성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116)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제 1 카메라(112)에서 촬영된 제 1 이미지와 제 2 카메라(114)에서 촬영된 제 2 이미지를 이미지 정보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1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20)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2)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의 역할(102)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압축률이 변경된 이미지로 생성한 입체 영상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200)는 제 1 인코더로 인코딩한 데이터인 제 1 이미지(202)와 제 2 인코더로 인코딩한 데이터인 제 2 이미지(204) 및 오디오 데이터(20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이미지(202)는 일반적인 압축률로 압축된 이미지가 될 수 있고, 상기 제 2 이미지(204)는 본 발명에 따라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질을 낮춘 압축률로 압축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미지(202)와 제 2 이미지(204)를 합쳐서 재생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3차원 입체 효과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되며, 상기 제 1 이미지(202) 또는 제 2 이미지(204) 하나만 재생할 경우, 입체 영상이 아닌 일반적인 영상을 재생하는 것이 된다.
상기와 같이 두개의 인코더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따로 구분한 것으로 3차원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일반적인 2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200)를 지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이미지(202)와 제 2 이미지(204)를 구분하지 않고 저장할 경우, 상기 2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200)를 재생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면 상기 2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상기 제 1 이미지(202)와 상기 제 2 이미지(204) 가운데 화질이 좋은 이미지만을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 1 카메라를 통해 제 1 이미지(300)를 획득하고 제 2 카메라를 통해 제 2 이미지(302)를 획득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이미지(300)와 제 2 이미지(302)는 동일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로 사람의 양안으로 바로보는 이미지와 유사하게 촬영하도록 이격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를 획득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이미지(300)와 제 2 이미지(302) 가운데 어느 한 이미지의 화질을 낮추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 1 이미지(300)와 제 2 이미지(302)가 동일한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로 두 이미지 가운데 어느 한 이미지의 화질이 낮더라도 상기 제 1 이미지(300)와 제 2 이미지(302)로 생성한 입체 영상 데이터의 화질은 낮아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일반적인 압축률(304)로 상기 제 1 이미지(300)를 압축하고, 화질을 낮추도록 설정한 압축률(306)로 상기 제 2 이미지(302)를 압축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 1 인코더(308)와 제 2 인코더(310)로 기 설정한 압축률을 전달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압축률을 전달받은 각각의 인코더들은 상기 제 1 이미지(300)와 상기 제 2 이미지(302)를 해당 압축률로 압축하게 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압축된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합친 입체 영상 데이터(3차원 데이터)를 생성(312)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401단계에서 카메라가 구동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카메라 모드가 실행되어 카메라가 구동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401단계에서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401단계에서 카메라가 구동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3차원 데이터 생성을 위한 카메라 구동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403단계에서 3차원 데이터 생성을 위한 카메라 구동이 아님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417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403단계에서 3차원 데이터 생성을 위한 카메라 구동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를 구동시킨 후,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해 제 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해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설정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체 영상 데이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압축률로 어느 한 이미지의 화질을 낮추도록 하는 압축률을 말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 1 이미지를 일반적인 압축률로 압축하고, 상기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낮춰 화질을 낮춰 압축한 후, 두 이미지를 합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 이미지에 대한 압축률을 낮추더라도 입체 영상 데이터의 화질이 낮아지지 않은 사실을 이용한 것으로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낮춤으로써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설정한 휴대용 단말기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설정한 제 1 이미지의 압축률로 상기 제 1 이미지를 압축한 후,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설정한 제 2 이미지의 압축률로 상기 제 2 이미지를 압축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압축한 휴대용 단말기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압축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합친 3차원 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3차원 데이터는 2D용 휴대용 단말기 및 3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데이터로 제 1 인코더로 인코딩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인코더로 인코딩한 제 2 이미지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2D용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가운데 어느 한 이미지를 재생하고, 상기 3D용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합쳐서 재생하면 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501단계에서 3차원 효과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 재생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는 일정거리 유격된 상태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한 두 대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말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이미지는 낮은 화질로 압축하도록 되어 있다.
만일, 상기 501단계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 재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5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501단계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3차원 데이터를 지원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503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3차원 데이터를 지원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재생할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제 1 이미지를 획득한 후,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획득한 제 1 이미지를 재생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이미지는 낮은 화질로 압축된 이미지가 아니고 정상적인 압축률로 압축된 이미지를 말한다.
한편, 상기 503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3차원 데이터를 지원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재생할 입체 영상 데이터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한 후,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획득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합쳐서 재생함으로써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미지들은 동일 시간대에 촬영한 이미지로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이미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이미지는 낮은 화질로 압축되었지만 상기 이미지를 합쳐 화면상에 출력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입체 영상 효과는 낮아지지 않는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이미지를 가지고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개 이상의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데이터는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제 3 이미지를 하나로 합쳐놓은 형태의 데이터가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02: 3차원 데이터 생성부
104: 조건 설정부 106: 제 1 인코더
108: 제 2 인코더 110: 카메라부

Claims (20)

  1.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입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데 사용할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는 3차원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한 후, 상기 압축률이 변경된 이미지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합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파일 형태로 합친 입체 영상 데이터는,
    2D용 휴대용 단말기 및 3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2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이미지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이미지는,
    정상적인 화질로 압축된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3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합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이미지는,
    화질을 낮춰서 압축된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의 압축 조건을 설정하여 제 1 인코더 및제 2 인코더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인코더로 제 1 이미지를 압축하고, 상기 제 2 인코더로 제 2 이미지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조건은,
    상기 제 1 인코더 및 제 2 인코더의 종류를 변경하는 코딩 변수로, 모션 백터 검색 영역(motion vector search range), 비트 레이트(bit rate), 오류 수정(error correction), 화면내 부호화 예측(Intra prediction)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장치.
  11.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모듈들을 통해 입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데 사용할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한 후, 상기 압축률이 변경된 이미지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합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파일 형태로 합친 입체 영상 데이터는,
    2D용 휴대용 단말기 및 3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2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이미지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이미지는,
    정상적인 화질로 압축된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3D용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합쳐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이미지는,
    화질을 낮춰서 압축된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획득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압축률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의 압축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이미지의 압축 조건을 제 1 인코더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이미지의 압축 조건을 제 2 인코더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인코더로 제 1 이미지를 압축하고, 상기 제 2 인코더로 제 2 이미지를 압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조건은,
    상기 제 1 인코더 및 제 2 인코더의 종류를 변경하는 코딩 변수로, 모션 백터 검색 영역(motion vector search range), 비트 레이트(bit rate), 오류 수정(error correction), 화면내 부호화 예측(Intra prediction)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의 생성 방법.
KR1020100071189A 2010-07-23 2010-07-23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4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189A KR101645465B1 (ko) 2010-07-23 2010-07-23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188,277 US9749608B2 (en) 2010-07-23 2011-07-21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189A KR101645465B1 (ko) 2010-07-23 2010-07-23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948A true KR20120009948A (ko) 2012-02-02
KR101645465B1 KR101645465B1 (ko) 2016-08-04

Family

ID=4549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189A KR101645465B1 (ko) 2010-07-23 2010-07-23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49608B2 (ko)
KR (1) KR101645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0080B2 (en) 2011-01-31 2013-08-27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US9106894B1 (en) * 2012-02-07 2015-08-11 Google Inc. Detection of 3-D videos
US8526677B1 (en) * 2012-07-16 2013-09-03 Google Inc. Stereoscopic camera with haptic feedback for object and location detection
TW201414311A (zh) * 2012-09-18 2014-04-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視訊編碼方法與視訊編碼裝置
CN112367513B (zh) * 2016-05-06 2022-06-1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导航系统和用于感测环境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228A (ko) * 2005-07-07 2007-01-11 심재용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입체영상 처리 장치
KR20080050953A (ko) *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적 비트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3차원입체 영상 부호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3000A (en) * 1991-08-28 1993-03-09 Stereographics Corporation Multiplexing technique for stereoscopic video system
DE69417824D1 (de) * 1993-08-26 1999-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ereoskopischer Abtastapparat
EP0931420A4 (en) * 1996-10-11 2002-06-26 Sarnoff Corp METHOD AND DEVICE FOR CODING AND DECODING STEREOSCOPIC VIDEO SIGNALS
JP2000292134A (ja) * 1999-04-07 2000-10-20 Minolta Co Ltd 3次元情報入力カメラ
US20020063807A1 (en) * 1999-04-19 2002-05-30 Neal Margulis Method for Performing Image Transforms in a Digital Display System
US6625322B1 (en) * 1999-06-08 2003-09-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coding apparatus
US20020009137A1 (en) * 2000-02-01 2002-01-24 Nelson John E. Three-dimensional video broadcasting system
US7190825B2 (en) * 2001-08-17 2007-03-13 Geo-Rae Co., Lt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transmission
EP1292153B1 (en) * 2001-08-29 2015-08-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0397511B1 (ko) * 2001-11-21 2003-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안식/다시점 3차원 동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GB2382940A (en) * 2001-11-27 2003-06-11 Nokia Corp Encoding objects and background blocks
US7319720B2 (en) * 2002-01-28 2008-01-15 Microsoft Corporation Stereoscopic video
US8369607B2 (en) * 2002-03-27 2013-02-05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ree-dimensional images
US7643025B2 (en) * 2003-09-30 2010-01-05 Eric Belk Lange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stereoscopic imagery to three-dimensionally defined substrates
KR100576544B1 (ko) * 2003-12-09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엠펙-4 객체기술자 정보 및 구조를 이용한 3차원 동영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050207486A1 (en) * 2004-03-18 2005-09-22 Sony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acquisition and visualization system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20060140487A1 (en) * 2004-12-23 2006-06-2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compressing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image convert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636785B1 (ko) * 2005-05-31 200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압축 및 복원방법
US7460730B2 (en) * 2005-08-04 2008-12-02 Microsoft Corporation Video registration and image sequence stitching
JP4406937B2 (ja) * 2006-12-01 2010-02-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
US8594180B2 (en) * 2007-02-21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3D video encoding
JP4931668B2 (ja) * 2007-03-29 2012-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眼撮像装置
US20080252719A1 (en) * 2007-04-13 200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file based on media standards
JP4739291B2 (ja) * 2007-08-09 2011-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画角算出装置
KR101362647B1 (ko) * 2007-09-07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2d 영상을 포함하는 3d 입체영상 파일을 생성 및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238423B2 (en) * 2007-09-12 2012-08-07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85884B1 (ko) * 2008-01-30 2014-04-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점 동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991804B1 (ko) * 2008-06-10 2010-11-04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이동 기기용 입체영상생성칩 및 이를 이용한입체영상표시방법
WO2010019926A1 (en) * 2008-08-14 2010-02-18 Real D Stereoscopic depth mapping
TWI401960B (zh) * 2008-08-20 2013-07-11 Qisda Corp 影像處理裝置及影像處理方法
KR101658793B1 (ko) * 2008-10-09 2016-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2d와 3d의 영상전환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방법
RU2011135321A (ru) * 2009-01-28 2013-03-10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сигналов
EP2420068A4 (en) * 2009-04-13 2012-08-08 Reald Inc ENCRYPTION, DE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STEREOSCOPIC VIDEO CONTENT WITH REINFORCED RESOLUTION
JP2010252046A (ja) * 2009-04-15 2010-11-04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WO2010143760A1 (ko) * 2009-06-10 2010-12-16 (주)엘지전자 고속탐색 모드에서의 입체영상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재생장치
DK2453661T3 (en) * 2009-07-10 2017-10-30 Panasonic Ip Man Co Ltd PLAYBACK, RECORDING PROCEDURE AND SYSTEM, INCLUDING A RECORDING MEDIUM AND PLAYBACK
JP2011071965A (ja) * 2009-08-28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画像編集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撮像装置、ならびに画像再生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撮像装置
JP2011075675A (ja) * 2009-09-29 2011-04-14 Fujifilm Corp 複眼撮像装置
US8319938B2 (en) * 2009-10-13 2012-11-27 James Cameron Stereo camera with emulated prime lens set
JP2011087195A (ja) * 2009-10-16 2011-04-2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10149086A1 (en) * 2009-12-23 2011-06-23 Winbush Iii Amos Camera user content synchronization with central web-based record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JP5566457B2 (ja) * 2010-06-18 2014-08-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デジタルカメラ
KR20120003147A (ko) * 2010-07-02 201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루프 필터를 이용한 깊이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KR101735612B1 (ko) * 2010-08-16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120062698A1 (en) * 2010-09-08 2012-03-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910192B1 (ko) * 2010-11-12 2018-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tv 서비스에서의 영상 압축 규격 결정 방법 및 장치
US9449024B2 (en) * 2010-11-19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le kinship for multimedia data tracking
US9143757B2 (en) * 2011-04-27 2015-09-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reoscopic video
JP2013013050A (ja) * 2011-05-27 2013-01-17 Ricoh Co Ltd 撮像装置及びこの撮像装置を用いた表示方法
US8619148B1 (en) * 2012-01-04 2013-12-31 Audience, Inc. Image correction after combining images from multiple cameras
US9106894B1 (en) * 2012-02-07 2015-08-11 Google Inc. Detection of 3-D videos
JP5689095B2 (ja) * 2012-07-10 2015-03-25 新日鉄住金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228A (ko) * 2005-07-07 2007-01-11 심재용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입체영상 처리 장치
KR20080050953A (ko) *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적 비트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3차원입체 영상 부호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19617A1 (en) 2012-01-26
US9749608B2 (en) 2017-08-29
KR101645465B1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580B1 (ko) 이미지 합성 방법 및 장치
JP5859464B2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いて立体映像データ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US8736659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3D video communication
KR101698657B1 (ko) 파노라마 기반 3d 비디오 코딩
KR10186159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25951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送信機及び端末装置
US20050243810A1 (en) Video conference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dapted for small display of mobile terminals
US9497390B2 (en) Video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Gotchev et al. Three-dimensional media for mobile devices
US20130010060A1 (en) IM Clien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3D Video Communication
KR1016454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127126A1 (zh) 一种视频图像发送方法、装置及系统
CN114610253A (zh) 一种投屏方法及设备
KR20110134327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KR20130122439A (ko) 트랜스코딩 서버 및 트랜스코딩 서버에서 동영상 부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CN202957933U (zh) 一种3d视频通讯装置
KR100580841B1 (ko) 이동단말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정합 장치및 방법
JP2020115299A (ja) 仮想空間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
KR100703713B1 (ko) 3차원 영상 획득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3차원 모바일 장치
KR100641176B1 (ko) 휴대단말기에서 삼차원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CN102868901A (zh) 一种3d视频通讯装置
KR2011011598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을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8294102A (ja) 動画像通信会議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JP2023026844A (ja) 録画システム、録画再生装置、画像処理方法
CN110650341A (zh) 视频交互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