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929A -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929A
KR20120009929A KR1020100071070A KR20100071070A KR20120009929A KR 20120009929 A KR20120009929 A KR 20120009929A KR 1020100071070 A KR1020100071070 A KR 1020100071070A KR 20100071070 A KR20100071070 A KR 20100071070A KR 20120009929 A KR20120009929 A KR 20120009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power
obstacle
wireless power
steerin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316B1 (ko
Inventor
임춘택
이우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7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3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3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light, e.g.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전달 빔을 높은 효율로 송수신하기 위해 송수신장치들이 조향장치에 의해 서로 직선상의 위치가 되도록 방향을 조절한 후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되, 송수신장치 사이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전력을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감지 빔을 이용해 송신단과 모바일 기기의 수신장치 사이의 장애물 유무를 확인한 후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인체나 다른 기기에 직접적으로 전력전달빔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뿐 아니라, 모바일기기 표면은 마이크로파 흡수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수신하지 못한 마이크로파의 반사를 막아 송신단과 모바일기기의 수신장치 사이 또는 주변에 있는 인체 또는 다른 기기에 반사적인 영향도 주거나 받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Y BEAM-CONTROL}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전달 빔을 높은 효율로 송수신하기 위해 송수신장치들이 조향장치에 의해 서로 직선상의 위치가 되도록 방향을 조절한 후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되, 송수신장치 사이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전력을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전력 전달장치는 등방성 송신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의 모든 모바일 기기에 충전 등을 위해 전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대에 모바일 기기는 늘 휴대하며 곁에 두도록 생활화 되어 있어, 이러한 무선 전력전달을 위해 격리된 공간을 할당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게 불편함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무선 전력전달에 의한 충전 등도 일상 생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송신장치와 모바일기기의 수신장치 사이에 사람이 있는 경우나 다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문제가 된다. 즉 송신장치와 모바일기기의 수신장치 사이에 사람이 있는 경우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다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간섭을 일으켜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먼저 감지 빔을 이용해 송신단과 모바일 기기의 수신장치 사이의 장애물 유무를 확인한 후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인체나 다른 기기에 직접적으로 전력전달빔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 표면은 빔 흡수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수신하지 못한 마이크로파의 반사를 막아 송신단과 모바일기기의 수신장치 사이 또는 주변에 있는 인체 또는 다른 기기에 반사적인 영향마저도 주거나 받지 않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전달빔(beam)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장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와 전력수신장치 사이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전력전달빔을 발생시키는 송신장치; 및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장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빔을 발생시키는 감지빔 발생부; 감지빔이 장애물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빔 수신부; 전력수신장치로 송신할 전력전달빔을 발생시키는 전력전달빔 발생부; 및 장애물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전력전달빔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전력전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전달빔은, 마이크로파 및 UHF를 포함하는 전자파, 레이저, LED, 가시광선, 적외선 및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조향장치는, 위상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향장치는, 기계적으로 조향가능한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향장치는, 복수의 빔발생기를 구비하여 이를 온오프 제어하여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신장치는, 다수의 전력수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 각 기기마다 일정한 시간을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전력전달빔을 송신하는 시간분할 다중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장치는, 다수의 전력수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 각 기기마다 일정한 공간을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다수의 전력전달빔을 송신하는 공간분할 다중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장치로 전달하는 빔은,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외부의 감지빔; 및 전력이 전달되는 내부의 전력전달빔을 포함하는 이중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의 감지빔은,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빔 및 전력이 전달되는 전력전달빔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지빔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가시광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빔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도록 비가시광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장치는, 수신장치와 위치정보, 전력축적량, 송출전력의 크기등의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장치는, 감지빔 발사 후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지연시간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가 전력전달빔(beam)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은, (a)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송신 또는 전력송신 중단을 요청받는 단계; (b) 전력송신을 요청받은 경우 수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고, 전력송신 중단을 요청받은 경우 전력전달을 중지하는 단계; (c) 수신장치의 위치 파악시 장애물 감지빔을 발사하여 장애물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d) 장애물이 존재할 때는 전력전달을 하지 않고 일정시간 대기하고,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일정시간 전력전달빔을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a)로부터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수신장치의 위치 파악 방법은, (b1) 감지빔을 넓게 하여 넓은 영역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존재영역을 파악하는 광역스캔 단계; 및 (b2) 감지빔을 좁게 하여, 상기 단계(b1)에서 파악된 상기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존재영역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정밀스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역스캔은, 스캔할 영역을 분할하여, 기 설정된 순서대로 분할된 각 영역을 스캔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역스캔은, 스캔할 영역을 분할하여, 랜덤(random)한 순서로 분할된 각 영역을 스캔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c)에서 장애물 존재유무 판단은, (c1) 상기 단계(b)에서 파악된 상기 수신장치의 위치로 장애물 감지빔을 송신하는 단계; 및 (c2)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면 장애물 미존재로 판단하고,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장애물 존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감지 빔을 이용해 송신단과 모바일 기기의 수신장치 사이의 장애물 유무를 확인한 후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인체나 다른 기기에 직접적으로 전력전달빔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 표면은 빔 흡수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수신하지 못한 빔의 반사를 막아 송신단과 모바일기기의 수신장치 사이 또는 주변에 있는 인체 또는 다른 기기에 반사적인 영향도 주거나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된 장애물을 회피하여 무선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장애물 감지 및 전력전송 과정을 시간축에 대한 그래프로써 나타낸 도면.
도 4는 외부의 감지빔과 내부의 전력전달빔으로 구성된 형태의 빔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위상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전기적 조향장치와 송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360° 회전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기계적 조향장치와 송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위상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전기적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360° 회전하는 안테나를 이용한 기계적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다수의 기기에 시간분할 다중화 방법을 사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수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중 광역스캔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수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중 정밀스캔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빔(beam)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내공간에 설치된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100)는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장치(110)와 전력전달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장치(120)를 포함하며, 이로부터 모바일기기(200)의 수신장치(220)가 전력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전력전달에 의해 모바일기기(200)의 무선 충전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장치(110)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100)와 모바일기기(200) 사이의 장애물 유무에 따라 전력전달을 조절하는 전력단속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를 위해 장애물 감지를 위한 감지빔의 전송을 제어하며, 전력전달을 위한 직진성 에너지, 즉 전력전달빔(beam)을 발생시킨다. 상기 전력전달빔은 전자파(마이크로파, UHF 등), 광파(레이저, LED, 가시광선, 적외선 및 자외선 등)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통칭하여 '빔'으로 칭하기로 한다. 장애물이 있는 경우(11) 수신장치로의 전력전달은 차단(12)되며, 장애물이 없는 경우(21) 수신장치로의 전력전달은 이루어진다(22).
이러한 송신장치(110)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빔을 발생시키는 감지빔 발생부, 감지빔이 장애물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빔 수신부, 전력수신장치로 송신할 전력전달빔을 발생시키는 전력전달빔 발생부 및 장애물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전력전달빔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전력전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전력수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 각 기기마다 일정한 시간을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전력전달빔을 송신하는 시간분할 다중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신장치(110)는, 다수의 전력수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 각 기기마다 일정한 공간을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다수의 전력전달빔을 송신하는 공간분할 다중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시간분할 다중화의 경우, 한 공간에 하나의 수신장치가 위치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빔조향하여 빔을 지향시켜주는 구조일 수도 있으나, 동일한 공간에 복수의 수신장치가 있어도 되며, 이 때 어느 한 수신장치만 전력수신모드로 들어갈 수가 있다. 이때 단일 빔이 복수의 수신기를 비출 수 있도록 빔을 넓게 설계할 수 있다. 반면, 공간분할 다중화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공간에 수신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적용가능하며, 이 경우 복수의 수신기에 동시에 빔을 송출해주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사이의 통신은, 오직 송신장치의 판단에 의해 전력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일방형 통신방식으로 할 수도 있고,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사이에 위치정보, 전력축적량, 송출전력의 크기등의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대화형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방형은 전력전달이 오직 송신장치의 판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송신장치는 수신장치와 그러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의 역할은, 수신장치의 위치로 장애물 감지빔을 송신하여 수신장치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면 장애물 미존재로 판단하고,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장애물 존재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장애물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경우, 수신장치와의 신호 송수신하는 기능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신장치는, 감지빔 발사 후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지연시간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빔은, 경우에 따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가시광선으로 구성되거나,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도록 비가시광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조향장치(120)는, 송신장치(110)와 모바일기기(200)의 수신장치(220) 사이에서 전력전달 빔의 전송선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상기 조향장치는, 위상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고, 기계적으로 조향가능한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조향장치(120)는, 복수의 빔발생기를 구비하여 이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모바일기기(200)의 수신장치(210)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100)로부터 전력전달 빔을 수신하며, 모바일기기(200)의 표면(210)는 마이크로파를 전력전달 빔으로서 수신할 때, 이러한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된 장애물을 회피하여 무선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수신장치(210)로부터 특정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체크하여(S201), 수신되지 않은 경우는 계속하여 신호수신을 대기하면서 체크하고, 수신된 경우는 신호의 내용을 파악하여(S202), 전력송신 중단요청이면 전력전달빔의 송신을 즉시 중단하고 이후의 신호 수신을 대기한다(S209).
신호가 전력송신 요청이면 신호를 보낸 수신장치(210)의 위치를 조향장치(120)가 파악한다(S203). 송신장치(110)는 장애물 감지빔을 발사하여(S204)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100)와 모바일기기(200) 사이의 장애물 존재유무를 판단한다(S205). 장애물이 존재할 때는 전력전달을 하지 않고 일정시간 대기 후(S207) 다시 감지빔을 발사한다(S204).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일정시간 전력을 전송한 후(S206) 다시 감지빔을 발사해 장애물을 감지한다(S204). 즉, 감지빔을 주기적으로 계속 발사하여 장애물의 존재유무를 판단 후, 장애물이 없을 때에만 전력을 전달하는 절차를 갖는다.
이 과정 중에도, 수신장치(210)로부터 전력송신 요청 또는 전력송신 중단 요청 등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S208)에는 그에 상응하는 처리를 한다. 전력송신 중단요청 수신한 경우 전력전달빔의 송신을 즉시 중단하고 이후의 신호 수신을 대기하며(S209), 전력송신 요청 수신한 경우 신호를 보낸 수신장치(210)의 위치를 조향장치(120)가 파악하게 된다(S203). 특히 전력송신 요청 수신시에는 현재 전력송신 중이라고 할지라도 수신장치의 위치파악을 새로 해야하는데, 이는 수신장치(210)가 이동하여 전력을 수신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보내온 전력송신 요청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상기 단계 S203에서 상기 수신장치의 위치 파악 방법은, 감지빔을 넓게 하여 넓은 영역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존재영역을 파악하는 광역스캔 단계 및 감지빔을 좁게 하여, 상기 광역스캔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존재영역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정밀스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역스캔은, 스캔할 영역을 분할하여, 기 설정된 순서대로 분할된 각 영역을 스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영역을 회전방법, 왕복방법 등 다양한 방법의 기 설정된 순서대로 스캔하게 된다.
또는 상기 광역스캔은, 스캔할 영역을 분할하여, 랜덤(random)한 순서로 분할된 각 영역을 스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204, S205에서 장애물 존재유무 판단은, 장애물로부터 반사된 감지빔으로부터 판단할 수도 있으나, 이미 위치가 파악된 수신장치와의 양방향 통신에 의해 파악할 수도 있다. 즉, 이미 파악된 상기 수신장치의 위치로 장애물 감지빔을 송신하고,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면 장애물 미존재로 판단하고,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장애물 존재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장애물 존재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3은 장애물 감지 및 전력전송 과정을 시간축에 대한 그래프로써 나타낸 도면이다.
주기적으로 발사되는 감지빔(301), 장애물이 없을 때 발사되는 전력전달빔(302) 및 장애물 존재시 전력전달 멈춤 상태(303)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외부의 감지빔(410)과 내부의 전력전달빔(420)으로 구성된 형태의 빔을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 빔(410)은 감지빔으로써 인체와 같은 장애물이 감지빔에 닿으면, 전력전달을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빔(420)은 전력전달빔으로써 외부 빔에 장애물이 닿기 전까지 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부빔(4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감지빔으로써의 역할만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감지빔으로써 뿐 아니라, 전력전달빔으로써도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외부빔(410)이 감지빔으로만 사용될 경우는 전력전달빔인 내부 빔(420)보다 작은 전력세기를 갖게된다.
외부빔(410)이 감지빔 및 전력전달빔으로 모두 사용될 경우는 전력전달빔과 동일한 전력세기를 가지고, 감지빔으로 사용될 경우는 내부 빔(420)보다 짧은 펄스 즉 높은 주파수의 빔을 이루며, 전력전달빔으로 사용될 경우는 내부 빔(420)과 동일한 긴 펄스를 사용하게 된다.
도 5는 위상배열 안테나(521 내지 524)를 이용한 전기적 조향장치(520)와 송신장치(5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이크로파를 전력 전달 빔으로 사용할 때 위상배열 안테나(521 내지 524)를 이용하여 전기적 조향장치(520)를 구현한다. 즉 각 안테나(521 내지 524)에서 발사되는 마이크로파 간의 위상차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특정 위치로 전력전달이 집중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이다.
도 6은 360° 회전하는 안테나(621)를 이용한 기계적 조향장치(620)와 송신장치(6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이크로파를 전력 전달 빔으로 사용할 때 기계적으로 360°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621)를 이용하여 기계적 조향장치(620)를 구현한다. 즉 안테나(621)가 직접 회전함으로써 특정 위치로 전력전달이 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이다.
도 7은 위상배열 안테나(721 내지 724)를 이용한 전기적 수신장치(720)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신장치는 무지향성 수신장치나 지향성 수신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지향성 수신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전기적인 방법과 기계적인 방법이 있다. 본 도면은 전기적인 방법을 구현한 실시례를 나타낸다. 마이크로파를 전력전달빔으로 사용할 때 위상배열 안테나(721 내지 724)를 이용하여 전기적 수신장치를 구현한다. 즉 각 안테나(721 내지 724)에서 수신되는 마이크로파 간의 위상차이를 제어하여 원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전력전달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때 모바일기기(700) 표면(710)은 마이크로파 흡수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마이크로파의 반사를 막아 인체 또는 다른 기기에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360° 회전하는 안테나(821)를 이용한 기계적 수신장치(8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이크로파를 전력 전달 빔으로 사용할 때 기계적으로 360°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를 이용하여 기계적 수신장치(820)를 구현한다. 이때 모바일기기(800) 표면(810)은 마이크로파 흡수재질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파의 반사를 막아 인체 또는 다른 기기에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다수의 기기에 시간분할 다중화 방법을 사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과 같이 빔(beam)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100)가 전력을 전달하고자 하는 모바일기기(910,920,930) 및 수신장치(911,921,931)가 여러 개일 경우는, 각 기기마다 일정시간을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즉 시간분할 다중화 방법을 사용하여 전력을 전달한다. 이때에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모바일기기 표면은 마이크로파 흡수재질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파의 반사를 막아 인체 또는 다른 기기에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수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중 광역스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장치의 위치 파악 방법은, 먼저 감지빔을 넓게 하여 넓은 영역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존재영역을 파악하는 광역스캔 단계와, 감지빔을 좁게 하여 상기 광역스캔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존재영역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정밀스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광역스캔 빔(101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광역스캔은, 스캔할 영역을 분할하여, 기 설정된 순서대로 분할된 각 영역을 스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영역을 회전방법(1020), 왕복방법 등 다양한 방법의 기 설정된 순서대로 스캔하거나, 랜덤(random)한 순서로 분할된 각 영역을 스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수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중, 감지빔을 좁게 하여(1110) 상기 광역스캔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존재영역을 스캔하는 정밀스캔을 도시한 도면이다.
100: 빔(beam)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110: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의 송신장치
120: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의 조향장치
200: 모바일기기 210: 모바일기기의 표면
220: 모바일기기의 수신장치
410: 외부의 감지빔 420: 내부의 전력전달빔
510: 송신장치 520: 송신측 전기적 조향장치
521,522,523,524: 송신측 전기적 조향장치의 위상배열 안테나
610: 송신장치 620: 송신측 기계적 조향장치
621: 송신측 기계적 조향장치의 안테나
700: 모바일기기 710: 모바일기기 표면
720: 전기적 수신장치
721,722,723,724: 전기적 수신장치의 위상배열 안테나
800: 모바일기기 810: 모바일기기 표면
820: 기계적 수신장치 821: 전기적 수신장치의 위상배열 안테나
910,920,930: 모바일기기 911,921,931: 수신장치
1010: 광역스캔 빔 1110: 정밀스캔 빔
1020: 광역스캔 빔 회전 화살표

Claims (19)

  1. 전력전달빔(beam)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와 전력수신장치 사이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전력전달빔을 발생시키는 송신장치; 및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장치
    를 포함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빔을 발생시키는 감지빔 발생부;
    감지빔이 장애물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빔 수신부;
    전력수신장치로 송신할 전력전달빔을 발생시키는 전력전달빔 발생부; 및
    장애물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만 전력전달빔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전력전달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전달빔은,
    마이크로파 및 UHF를 포함하는 전자파, 레이저, LED, 가시광선, 적외선 및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위상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기계적으로 조향가능한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복수의 빔발생기를 구비하여 이를 온오프 제어하여 전력전달빔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다수의 전력수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 각 기기마다 일정한 시간을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전력전달빔을 송신하는 시간분할 다중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다수의 전력수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 각 기기마다 일정한 공간을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다수의 전력전달빔을 송신하는 공간분할 다중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신장치로 전달하는 빔은,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외부의 감지빔; 및
    전력이 전달되는 내부의 전력전달빔
    을 포함하는 이중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외부의 감지빔은,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빔 및 전력이 전달되는 전력전달빔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빔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가시광선으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빔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도록 비가시광선으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수신장치와 위치정보, 전력축적량, 송출전력의 크기등의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감지빔 발사 후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지연시간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15.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가 전력전달빔(beam)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a)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송신 또는 전력송신 중단을 요청받는 단계;
    (b) 전력송신을 요청받은 경우 수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고, 전력송신 중단을 요청받은 경우 전력전달을 중지하는 단계;
    (c) 수신장치의 위치 파악시 장애물 감지빔을 발사하여 장애물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d) 장애물이 존재할 때는 전력전달을 하지 않고 일정시간 대기하고,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일정시간 전력전달빔을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a)로부터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수신장치의 위치 파악 방법은,
    (b1) 감지빔을 넓게 하여 넓은 영역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존재영역을 파악하는 광역스캔 단계; 및
    (b2) 감지빔을 좁게 하여, 상기 단계(b1)에서 파악된 상기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존재영역을 스캔함으로써 상기 수신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정밀스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광역스캔은,
    스캔할 영역을 분할하여, 기 설정된 순서대로 분할된 각 영역을 스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광역스캔은,
    스캔할 영역을 분할하여, 랜덤(random)한 순서로 분할된 각 영역을 스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장애물 존재유무 판단은,
    (c1) 상기 단계(b)에서 파악된 상기 수신장치의 위치로 장애물 감지빔을 송신하는 단계; 및
    (c2)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면 장애물 미존재로 판단하고,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장애물 존재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방법.
KR1020100071070A 2010-07-22 2010-07-22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KR10119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070A KR101197316B1 (ko) 2010-07-22 2010-07-22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070A KR101197316B1 (ko) 2010-07-22 2010-07-22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929A true KR20120009929A (ko) 2012-02-02
KR101197316B1 KR101197316B1 (ko) 2012-11-05

Family

ID=4583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070A KR101197316B1 (ko) 2010-07-22 2010-07-22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316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097A1 (ko) * 2012-04-30 2013-11-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에너지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5383A (ko) * 2015-03-27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
KR20170112899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US9819229B2 (en) 2012-04-30 2017-11-14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Apparatus for receiving non-contact energ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WO2018052177A1 (ko) * 2016-09-19 2018-03-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10790A1 (ko) * 2016-12-12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80075412A (ko) * 2016-12-26 2018-07-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빔 조향이 가능한 메타구조 전송선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WO2018124687A1 (ko) * 2016-12-26 2018-07-05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빔 조향이 가능한 메타구조 전송선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WO2018135774A1 (ko) * 2017-01-20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90028994A (ko) * 2017-09-11 2019-03-20 전자부품연구원 지능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지능형 무선전력을 이용한 충전 시스템 및 지능형 무선전력 제공방법
KR20190040663A (ko) * 2017-10-11 2019-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Rf 웨이브를 형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41950A (ko) * 2017-10-13 2019-04-23 한국과학기술원 고집적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컴팩트 mimo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
WO2019111206A1 (en) * 2017-12-06 2019-06-13 Hanwha Techwin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ing body
US10700556B2 (en) 2015-10-15 2020-06-30 Ossia Inc. Focusing pulsed signal transmissions in multipath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WO2021006454A1 (ko) * 2019-07-05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EP3790160A1 (en) * 2019-09-04 2021-03-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lectronic equipment,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storage medium
US11349348B2 (en) 2017-12-22 2022-05-31 Ossia Inc. Transmission path identification based on propagation channel divers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9450B2 (en) 2016-03-31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80255B1 (ko) 2020-11-30 2023-09-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단말에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6709B2 (ja) * 2007-03-09 2013-11-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8245404A (ja) * 2007-03-27 2008-10-09 Kddi Corp 電力伝送システム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097A1 (ko) * 2012-04-30 2013-11-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에너지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19229B2 (en) 2012-04-30 2017-11-14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Apparatus for receiving non-contact energ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160115383A (ko) * 2015-03-27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
US11843268B2 (en) 2015-10-15 2023-12-12 Oss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US11146114B2 (en) 2015-10-15 2021-10-12 Ossia Inc. Focusing pulsed signal transmissions in multipath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US10700556B2 (en) 2015-10-15 2020-06-30 Ossia Inc. Focusing pulsed signal transmissions in multipath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KR20170112899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52177A1 (ko) * 2016-09-19 2018-03-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1188A (ko) * 2016-09-19 201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177698B2 (en) 2016-09-19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8110790A1 (ko) * 2016-12-12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US10992186B2 (en) 2016-12-12 2021-04-27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US10673283B2 (en) 2016-12-26 2020-06-02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a-structure transmission line capable of performing beam steering
KR20180075412A (ko) * 2016-12-26 2018-07-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빔 조향이 가능한 메타구조 전송선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WO2018124687A1 (ko) * 2016-12-26 2018-07-05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빔 조향이 가능한 메타구조 전송선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11031825B2 (en) 2017-01-20 2021-06-08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8135774A1 (ko) * 2017-01-20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US10797532B2 (en) 2017-09-11 2020-10-0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Intelligent wireless power transmitter, charging system using intelligent wireless power and intelligent wireless power-providing method
KR20190028994A (ko) * 2017-09-11 2019-03-20 전자부품연구원 지능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지능형 무선전력을 이용한 충전 시스템 및 지능형 무선전력 제공방법
KR20190040663A (ko) * 2017-10-11 2019-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Rf 웨이브를 형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41950A (ko) * 2017-10-13 2019-04-23 한국과학기술원 고집적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컴팩트 mimo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
WO2019111206A1 (en) * 2017-12-06 2019-06-13 Hanwha Techwin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ing body
US11575857B2 (en) 2017-12-06 2023-02-07 Hanwha Techwin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ing body
US11349348B2 (en) 2017-12-22 2022-05-31 Ossia Inc. Transmission path identification based on propagation channel diversity
WO2021006454A1 (ko) * 2019-07-05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984734B2 (en) 2019-07-05 2024-05-1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EP3790160A1 (en) * 2019-09-04 2021-03-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lectronic equipment,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storage medium
US11070096B2 (en) 2019-09-04 2021-07-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Electronic equipment,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316B1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316B1 (ko)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US11431112B2 (en) Techniques for reducing human exposure to wireless energy in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TWI779323B (zh) 處理器實現方法、系統、以及電腦程式
US202400725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KR101683627B1 (ko) 로컬 수신기에 대한 파워 빔
US9620964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power receiving apparatus
ITBO20090046A1 (it) Sistema di posizionamento per veicoli a guida automatica funzionante a radio frequenza con antenne direttive
CN203759546U (zh) 一种跟随装置
US201801593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Phase Determinations In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US11031966B2 (en) Ultrasonic proximity sensing for SAR mitigation
EP29377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supply
KR102211836B1 (ko) 무선 전력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46115B2 (en) Conformal wave selector
EP2259445A3 (en) Radio wave control apparatus, radio wave control system, and radio wave control method
KR102136309B1 (ko) 비행체용 무선 전력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006857B2 (ja) 送電装置
WO2008077980A1 (es) Método y sistema para determinar posición y velocidad de aparato elevador
KR102003196B1 (ko) 타겟에 충전영역에 대한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74679B1 (ko) 인체 보호 기능을 갖는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EP3363097A1 (en) Focusing pulsed transmissions in multipath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CN113054761B (zh) 一种无线充电方法、装置及系统
KR20220070918A (ko) 무선 전력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075020A1 (ja) 閉空間センサシステム及び閉空間センサシステムの動作方法
JP2021018155A (ja) 検出方法及び検出システム
JP2004325272A (ja) 測位システム、端末、基地局、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