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55B1 - 복수의 단말에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단말에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255B1
KR102580255B1 KR1020210101402A KR20210101402A KR102580255B1 KR 102580255 B1 KR102580255 B1 KR 102580255B1 KR 1020210101402 A KR1020210101402 A KR 1020210101402A KR 20210101402 A KR20210101402 A KR 20210101402A KR 102580255 B1 KR102580255 B1 KR 102580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candidate
scanning signal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284A (ko
Inventor
홍인기
안희준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076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02J50/23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tting antennas, e.g. directional array antennas or Yagi 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기설정된 복수의 방사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닝 신호 출력부와,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고,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결정하는 후보 단말 결정부와,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와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방사각에 기초하는 스캐닝 신호에 따른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에 대한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전력 전송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단말에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TO MULTI DEVICE}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말에 무선전력을 동시 전송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원리에 따라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유도 방식은 송신부 코일과 수신부 코일 사이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자기 공진 방식은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수신부 코일에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전자기파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은 송신부에서 발생된 전자기파를 수신부에서 여러 개의 렉테나를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단일의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구비된 환경에서 무선전력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무선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복수의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을 동시 전송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술한 선행 연구는 단순히 무선전력의 순차적 전송 방식 및 동시 전송 방식만을 개시할 뿐, 특정 기준에 따라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또는 순차 전송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은 연구되지 않아 무선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7316호,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41281호, "무선 전력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의 수신 전력 정보 및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무선전력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단말에서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회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기설정된 복수의 방사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닝 신호 출력부와,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고,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결정하는 후보 단말 결정부와,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와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방사각에 기초하는 스캐닝 신호에 따른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에 대한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전력 전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후보 단말 결정부는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 중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 이상이 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을 후보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은 복수의 단말의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구동 전력값 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위치 추정부는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와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으면, 제1 스캐닝 신호에 대한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에 제1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을 반영한 값과, 제2 스캐닝 신호에 대한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에 제2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을 반영한 값을 합산한 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전송 제어부는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기준 단말로 결정하고, 기준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전송 제어부는 제1 후보 단말 및 제2 후보 단말을 포함하는 후보 단말 중 제1 후보 단말이 기준 단말로 결정되면, 제1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1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와 제1 후보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1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제1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전송 제어부는 제1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2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와, 제1 후보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2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제2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전송 제어부는 기준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캐닝 신호 출력부로 제공하며, 기준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수신 전력 정보를 제2 수신 전력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후보 단말 중 기준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은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전송 제어부는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가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 이상이 되면, 동시 전송 모드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방법은 스캐닝 신호 출력부에서 기설정된 복수의 방사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후보 단말 결정부에서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고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와, 위치 추정부에서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와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및 전력 전송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방사각에 기초하는 스캐닝 신호에 따른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에 대한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의 수신 전력 정보 및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무선전력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단말에서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회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무선전력 전송장치(Tx)와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은 무선전력 전송 장치(Tx)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기 에너지(즉, 무선전력)를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단말을 제1 내지 제4 단말(Rx1 내지 Rx4)로 설명하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장치(Tx)는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이 가깝게 위치하여 동시에 무선전력을 전송하여도 무방하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에 무선전력을 동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전력 전송 장치(Tx)는 기설정된 복수의 방사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스캐닝 신호(110 내지 140)를 출력하고,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 각각으로부터 스캐닝 신호(110 내지 140)에 대응되는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 받으며,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로부터 수신 받은 수신 전력 정보와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의 안테나(즉,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에 대해 무선전력의 동시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전력 전송장치(Tx)는 무선전력의 전송을 위해 기설정된 방사 방향에서 기설정된 가상의 참고선(즉, 0° 방사각에 대응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하여 -3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1 스캐닝 신호(110), -1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2 스캐닝 신호(120), 1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3 스캐닝 신호(130) 및 3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4 스캐닝 신호(14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전송 장치(Tx)는 제1 내지 제4 스캐닝 신호(110 내지 140)에 대응되는 수신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 각각으로부터, 하기 표1과 같이 제1 내지 제4 스캐닝 신호(110 내지 140)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전력 전송 장치(Tx)로부터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로 출력된 신호에 대한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 각각의 안테나 이득 값은 각각의 수신 안테나의 규격에 따라 정해지는 값이기 때문에, 무선전력 전송장치(Tx)는 기설정된 모든 방사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 각각의 안테나 이득 정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기 표2와 같이 -30°, -10°, 10° 및 30°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Rx1 내지 Rx4) 각각의 안테나 이득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Tx)에서 무선전력의 동시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를 이후 실시예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200)는 복수의 단말의 수신 전력 정보 및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무선전력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은 무선전력 전송장치(200)에서의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회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전력 전송장치(200)는 스캐닝 신호 출력부(210), 후보 단말 결정부(220), 위치 추정부(230) 및 전력 전송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신호 출력부(210)는 기설정된 복수의 방사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스캐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스캐닝 신호는 -3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1 스캐닝 신호와, -1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2 스캐닝 신호와, 1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3 스캐닝 신호 및 3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4 스캐닝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후보 단말 결정부(220)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고,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후보 단말 결정부(220)는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 중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 이상이 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을 후보 단말로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력 임계값은 복수의 단말의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구동 전력값 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단말 각각에서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회로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이 -42dBm인 경우에, 후보 단말 결정을 위한 전력 임계값은 -42dBm 이상의 전력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표1을 통해 설명한 예시에서 전력 임계값이 -41dBm으로 설정되면, 제3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3 단말의 제1 수신 전력(-37.44 dBm)과, 제4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4 단말의 제1 수신 전력(-36.26 dBm)이 전력 임계값(-41dBm) 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후보 단말 결정부(220)는 제3 단말 및 제4 단말을 후보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정부(230)는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와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추정부(230)는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와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으면,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에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을 반영한 값과,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에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을 반영한 값을 합산한 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복수의 제1 수신 전력 정보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를 의미하고,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복수의 제1 수신 전력 정보 중 두번째로 큰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표1을 통해 설명한 예시에서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이 제3 단말인 경우에, 위치 추정부(230)는 가장 큰 수신 전력 값(-37.44 dBm)을 갖는 제3 스캐닝 신호를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로 도출하고, 두번째로 큰 수신 전력 값(-40.9 dBm)을 갖는 제4 스캐닝 신호를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로 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추정부(230)는 하기 수학식1에 기초한 연산을 통해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수학식1]
여기서, A [dBi]는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Beam A)에 대한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 B [dBi]는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Beam B)에 대한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 θa [°]는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Beam A)에 대응되는 방사각, θb [°]는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Beam B)에 대응되는 방사각을 의미한다.
한편, 위치 추정부(230)는 복수의 단말(제1 내지 제4 단말) 중 후보 단말(일례로, 제3 내지 제4 단말)뿐만 아니라, 후보 단말 이외에 나머지 단말(일례로, 제1 내지 제2 단말)의 위치도 수학식1을 통해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장치(200)는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복수의 수신 전력 정보간의 비교 과정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방사각에 기초하는 스캐닝 신호에 따른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에 대한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후보 단말인 제3 단말 및 제4 단말 중 제3 단말이 12°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면, 12°의 방사각에 기초하는 스캐닝 신호에 따른 제3 단말 및 제4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기준 단말로 결정하고, 기준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복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수신 전력 정보 및 안테나 이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기준 단말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제1 후보 단말 및 제2 후보 단말을 포함하는 후보 단말 중 제1 후보 단말이 기준 단말로 결정되면, 제1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1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와 제1 후보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1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제1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제1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2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와, 제1 후보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2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제2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제1 후보 단말(기준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기준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으로 보상하며, 제1 후보 단말의 보상된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기준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기준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2 후보 단말의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제2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으로 보상하며, 제2 후보 단말의 보상된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제2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스캐닝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즉 제1 수신 전력 정보는 하기 수학식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2]
여기서, 은 수신 전력, 는 거리 r에 따른 경로손실, 는 단말이 위치한 각도 θ(즉, 방사각)에 따른 안테나 이득을 의미한다.
수학식2에서 송신 전력 와 경로 손실이 두 개의 스캐닝 신호에 대해 동일한 값을 가지기 때문에 제1 수신 전력 정보는 안테나(수신 안테나) 이득 의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하기 수학식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3]
따라서,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수학식3의 관계에 기초한 기준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 보상을 통해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받은 이후에 추가적인 스캐닝 신호의 출력없이 상술한 연산만으로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기준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캐닝 신호 출력부(210)로 제공하며, 기준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수신 전력 정보를 제2 수신 전력 정보로 산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닝 신호 출력부(210)는 전력 전송 제어부(2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기준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후보 단말 결정부(220)는 기준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으며,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후보 단말 결정부(220)를 통해 피드백 받은 수신 전력 정보를 제2 수신 전력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전력 전송장치(200)는 기준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를 추가적으로 출력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으며, 피드백 받은 제2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가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 이상이 되면, 동시 전송 모드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후보 단말인 제3 단말 및 제4 단말의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가 단말에서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회로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 이상으로 설정된 전력 임계값(일례로, -41 dBm)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동시 전송 모드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후보 단말 중 기준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은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후보 단말에 동시 전력 모드의 적용 여부의 판단 결과를 후보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보 단말인 제3 단말 및 제4 단말에 대한 동시 전력 모드의 적용이 결정되면, 제4 단말은 전력 전송 제어부(240)에서 기준 단말인 제3 단말의 위치(일례로 12°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위치)로 무선전력 전송 시 무선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되어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회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후보 단말인 제3 단말 및 제4 단말에 대한 동시 전력 모드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4 단말은 전력 전송 제어부(240)에서 기준 단말인 제3 단말의 위치로 무선전력 전송 시 무선전력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아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회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200)는 기준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방사각으로 무선전력 전송 시에 다른 후보 단말에서 수신하는 전력이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회로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 이상이 되지 않으면 동시 전력 모드의 적용이 효용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다른 후보 단말은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회로를 비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전송 제어부(240)는 동시 전력 모드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후보 단말 또는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방사각(일례로, 수학식1을 통해 추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방사각)으로 무선전력을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 각각은 자신의 위치에 대응되는 무선전력이 수신될 때만 무선전력 수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300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기설정된 방사각으로 출력된 제1 내지 제4 스캐닝 신호(s1 내지 s4)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의 제1 수신 전력 정보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참조부호 300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3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1 스캐닝 신호와, -1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2 스캐닝 신호와, 1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3 스캐닝 신호 및 30°의 방사각을 주방향으로 하는 제4 스캐닝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복수의 단말로부터 제1 내지 제4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기설정된 복수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 각각의 안테나 이득 정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 중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 이상이 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을 후보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와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으면,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에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을 반영한 값과,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에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을 반영한 값을 합산한 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상술한 수학식1에 기초한 연산을 통해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표1 및 표2를 통해 설명한 예시에서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은 10°이고,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3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는 5.899[dBi]이며,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은 30°이고,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3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는 0.8558[dBi]이므로, 이를 수학식1에 적용하면 제3 단말의 위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기준으로 12.5339°(약 12°)의 방사각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은 10°이고,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4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는 1.873[dBi]이며,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은 30°이고,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4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는 5.496[dBi]이므로, 이를 수학식1에 적용하면 제4 단말의 위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기준으로 24.9165°(약 25°)의 방사각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400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에서 후보 단말인 제3 단말(Rx3) 및 제4 단말(Rx4)의 위치 정보(Rx3/Rx4 direction)에 대응되는 방사각에 기초하는 스캐닝 신호에 따른 제2 수신 전력 정보(Rx3/Rx4 power)의 산출 결과를 도시한다.
도 400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수학식1을 이용한 연산을 통해 후보 단말인 제3 단말의 위치(12°의 방사각) 및 제4 단말의 위치(25° 방사각)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으며, 기준 단말인 제3 단말의 추정된 위치(12°의 방사각)에 기초하여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1 및 표2를 통해 설명한 예시에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후보 단말 중 제3 단말이 기준 단말로 결정되면, 제3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10°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3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와 제3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12°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3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인 제3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제3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10°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4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와 제3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12°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제4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인 제4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단말의 추정된 위치(실제 위치)가 12°의 방사각의 방향이고, 그에 대한 안테나 이득 정보가 5.899 [dBi]이며, 만약 스캐닝 신호가 제3 단말의 위치로 정확히 출력되었다면 제3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는 피크값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고 그 값은 6 [dBi]일 수 있다.
즉,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제3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을 0.101(6 - 5.899) [dBi]로 산출할 수 있으며, 수학식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가 곧 수신 전력 정보의 차이와 동일하므로, 제3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12°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제3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는 -37.44 [dBm] + 0.101 [dBi] = -37.339 (즉, -37.34) [dBm]으로 산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제3 단말의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한 방법으로 다른 후보 단말인 제4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표1 및 표2를 통해 설명한 정보와, 12°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제4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제4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2.659 [dBi] - 1.873 [dBi] = 0.786 [dBi])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제4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12°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제4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41.46 [dBm] + 0.786 [dBi] = -40.674 [dBm])를 산출할 수 있다.
제3 단말 및 제4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의 산출 결과는 하기 표3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12°의 방사각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고, 후보 단말인 제3 단말 및 제4 단말로부터 출력된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으며, 피드백 받은 수신 전력 정보를 제2 수신 전력 정보로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후보 단말인 제3 단말 및 제4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가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ap) 이상이되면, 동시 전송 모드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전력 임계값(ap)은 복수의 단말의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구동 전력값(a) 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구동 전력값(a)인 -42 [dBm] 보다 큰 -41 [dBm]을 전력 임계값(ap)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12°의 방사각에서의 제3 단말의 제2 수신전력 정보(-41.46 [dBm])와 제4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41.67 [dBm])가 모두 전력 임계값(-41 [dBm]) 이상의 값을 갖으므로, 12°의 방사각으로 무선전력 전송 시 제3 단말 및 제4 단말에서 무선전력이 동시 수신 되도록 동시 전송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 도 5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이하에서 도 5를 통해 설명하는 내용 중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5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방법은 스캐닝 신호 출력부에서 기설정된 복수의 방사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스캐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5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방법은 후보 단말 결정부에서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스캐닝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고,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5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방법은 위치 추정부에서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와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54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방법은 전력 전송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방사각에 기초하는 스캐닝 신호에 따른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단말에 대한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복수의 단말의 수신 전력 정보 및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무선전력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단말에서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회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장치,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무선전력 전송장치 210: 스캐닝 신호 출력부
220: 후보 단말 결정부 230: 위치 추정부
240: 전력 전송 제어부

Claims (11)

  1. 기설정된 복수의 방사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닝 신호 출력부;
    복수의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캐닝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고, 상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결정하는 후보 단말 결정부;
    상기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와 상기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방사각에 기초하는 스캐닝 신호에 따른 상기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에 대한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전력 전송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추정부는,
    상기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캐닝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와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으면, 상기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와, 상기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 정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단말 결정부는,
    상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 중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 이상이 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을 상기 후보 단말로 결정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은,
    상기 복수의 단말의 무선전력 수신을 위한 구동 전력값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에 상기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을 반영한 값과, 상기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에 상기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을 반영한 값을 합산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상기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기준 단말로 결정하고, 상기 기준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제1 후보 단말 및 제2 후보 단말을 포함하는 상기 후보 단말 중 상기 제1 후보 단말이 상기 기준 단말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제1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와 상기 제1 후보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제1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1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가 가장 큰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제2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와, 상기 제1 후보 단말의 추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제2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상기 기준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스캐닝 신호 출력부로 제공하며, 상기 기준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스캐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수신 전력 정보를 상기 제2 수신 전력 정보로 산출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단말 중 상기 기준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은,
    상기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전력 수신 모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가 기설정된 전력 임계값 이상이 되면, 상기 동시 전송 모드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스캐닝 신호 출력부에서, 기설정된 복수의 방사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스캐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후보 단말 결정부에서, 복수의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캐닝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고, 상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위치 추정부에서, 상기 후보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제1 수신 전력 정보와 상기 후보 단말의 안테나 이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및
    전력 전송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방사각에 기초하는 스캐닝 신호에 따른 상기 후보 단말의 제2 수신 전력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2 수신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단말에 대한 무선전력의 동시 전송 모드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추정부에서, 상기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캐닝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와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전력 정보를 피드백 받으면, 상기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와, 상기 어느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 정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한 상기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수신 안테나 이득 정보와, 상기 다른 하나의 스캐닝 신호에 대응되는 방사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후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무선전력 전송방법.
KR1020210101402A 2020-11-30 2021-08-02 복수의 단말에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580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930 2020-11-30
KR20200163930 202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284A KR20220076284A (ko) 2022-06-08
KR102580255B1 true KR102580255B1 (ko) 2023-09-20

Family

ID=8198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402A KR102580255B1 (ko) 2020-11-30 2021-08-02 복수의 단말에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2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1150A (ja) * 2016-07-12 2018-01-1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推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316B1 (ko) 2010-07-22 2012-11-05 한국과학기술원 빔조향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방법
US10312715B2 (en) * 2015-09-16 2019-06-04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charging
US9225396B2 (en) * 2013-02-15 2015-12-2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3241224A4 (en) * 2014-12-29 2018-05-30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2211836B1 (ko) 2018-06-14 2021-02-05 김형준 무선 전력 송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1150A (ja) * 2016-07-12 2018-01-1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推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284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06689A (zh) 用于rf信号的无源反射的系统和方法
EP3804162B1 (en) Coexistence of radar prob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US8116694B2 (en) System for facilitating beam training
US10164700B2 (en) Fault detection method and fault detection device for external antenna
RU2529005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KR20060120265A (ko) 스위칭 빔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빔 스위칭의 과도한임펙트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20100246476A1 (en) Method for driving smart antenna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200150263A1 (en) Wlan radar
JP2004072179A (ja) 基地局接続方法、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移動局
EP1266464A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base station thereof, and method of antenna selection
US7405695B2 (en) Switching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antenna module
KR20110026535A (ko) 안테나 어레이 패턴 왜곡 완화
JPH09135199A (ja) アンテナアラーム検出方式
CN112666514A (zh) 用于检测到达角的系统及位置检测系统
KR20120062552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580255B1 (ko) 복수의 단말에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08182366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WO2023197676A1 (zh) 获取天线组合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969733A (zh) 一种无线能量发射控制装置、方法及系统
CN106025500B (zh) 利用解耦网络的多重天线
CA2765002C (en)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single transmitter
KR102382509B1 (ko)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41211A (ja) 近距離無線システム、近距離無線装置及び近距離無線方法
US20140113572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Improving Mobile Communication
JP2011147064A (ja) 移動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