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381A - 전기난로 - Google Patents

전기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381A
KR20120009381A KR1020100100189A KR20100100189A KR20120009381A KR 20120009381 A KR20120009381 A KR 20120009381A KR 1020100100189 A KR1020100100189 A KR 1020100100189A KR 20100100189 A KR20100100189 A KR 20100100189A KR 20120009381 A KR20120009381 A KR 20120009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ctric stove
heating element
base element
fuse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제란
김종표
Original Assignee
전제란
김종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제란, 김종표 filed Critical 전제란
Priority to KR102010010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381A/ko
Publication of KR2012000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4Radiant bodies or panel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열원을 주변으로 조사하여 난방하는 전기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전장부품들이 내장되는 기계실이 구비되는 동체와; 상기 동체의 상부에서 간격을 유지해 통로가 마련되도록 탑재되며, 절연물인 기저요소와 상기 기저요소에 나선상으로 감아 배치되는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발열체; 및 상기 동체 상에 탑재되고, 상기 발열체의 주위를 감싸 보호하는 망형상의 보호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절연물인 기저요소에 전열선을 나선상으로 감아 이룬 발열체를 이용해 사방팔방으로 발열이 조사되게 함으로써, 무효영역이 해소되고 실내 전체를 고루 균일하게 난방할 수 있어 난방효율이 향상되고 난방비가 절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난로{Electric stove}
본 발명은 발열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열원을 주변으로 조사하여 난방하는 전기난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난로에 의해 발생하는 열원이 사방팔방으로 조사되게 하여 실내 전체를 균일하고도 지속적으로 난방시킴은 물론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열기구는 발열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열원을 조사하여 주변공기를 난방하는 전장품으로서, 이 전열기구는 상기 발열요소로서 전열선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전열선 방식과, 상기 발열요소로서 발열램프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발열램프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한 전열선 방식은 세라믹 등으로 이루는 절연물인 평판재의 기저부상에 지그재그식으로 전열선을 배치하여 전기 다리미나 전기밥솥 또는 전기난로 등으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고, 상기한 발열램프 방식은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반사판의 전방측에 발열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반사판에 의해 열원이 전방으로 반사되는 전기난로 등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 발열램프 방식의 전기난로를 살펴보면, 상기 반사판의 전방에 발열램프를 배치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전기난로에 의해 발생하는 열원이 상기 반사판의 전방측으로만 극히 한정되어 조사되고 후방측으로는 조사되지 않는 무효영역이 발생하여 난방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전기난로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무효영역의 난방을 요하는 경우 상기 전기난로의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방향전환의 과정에서 불편함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난로의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화재나 화상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전열선 방식과 상기 발열램프 방식의 혼합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혼합형 방식은 상기 반사판의 중심부에 세라믹 등의 절연물로 이루는 봉형상의 기저부 주벽에 나사상으로 전열선을 감아 이룬 발열체를 설치하고, 상기 반사판을 별도의 구동기를 이용하여 회전되게 하여 사방팔방으로 소기의 난방을 이루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혼합형 방식의 전기난로는 상기 반사판이 회전하면서 주거공간으로 골고루 난방시키어 조사방향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상기 반사판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무효영역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므로 상기 열원이 지속적으로 조사되지 못하여 난방효율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 혼합형 방식의 전기난로들은 대부분 자연대류를 이용하므로 주거공간의 공기조화효율이 떨어지고 난방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둥형의 기저요소에 나선상으로 전열선을 감아 이룬 발열체를 이용해 사방팔방으로 발열이 조사되게 함으로써, 무효영역이 해소되고 실내 전체를 고루 균일하고도 지속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게 한 전기난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체가 다단계로 열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내의 난방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전기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팬을 이용해 실내의 공기가 강제대류되게 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키는 전기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습기를 이용해 실내의 습도조절이 가능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전기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장부품들이 내장되는 기계실이 구비되는 동체와, 이 동체의 상부에 간격을 유지해 탑재되며, 절연물인 기저요소와 이 기저요소에 나선상으로 감아 배치되는 전열선으로 이루는 발열체 및 동체 상에 탑재되고, 발열체의 주위를 감싸 보호하는 망형상의 보호체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절연물인 기저요소에 전열선을 나선상으로 감아 이룬 발열체를 이용해 사방팔방으로 발열이 조사되게 함으로써, 무효영역이 해소되고 실내 전체를 고루 균일하고도 지속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기저요소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열풍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원이 사방팔방으로 조사되어 상기 실내 전체의 난방에 따른 각종 효율성 및 난방비가 절감된다.
셋째, 상기 발열체가 다단계적으로 열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실내의 난방의 설정온도에 맞추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전력소비를 절감시키어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넷째, 상기 전기난로에 구성된 송풍팬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공기가 강제대류되게 함으로써, 상기 실내의 난방을 균일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난방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전기난로에 구성된 가습요소를 이용해 실내의 습도조절을 원활하게 이루게 함으로써, 상기 실내의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위생적 효과를 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난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난로의 이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발열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3의 전기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5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난로의 일 실시예 및 이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10은 전기난로의 동체이다.
여기서, 도 1의 전기난로와 도 3의 전기난로는 상기 발열체(20)의 구조만 상이할 뿐 그외의 구성요소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발열체(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병합하여 설명함을 첨언한다.
그리고, 상기 동체(1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기난로의 지지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전장부품들이 내장되는 기계실(12)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11)을 포함한 부대부품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동체(10)의 상부측에 브래킷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통해 상기 발열체(20)가 수직으로 탑재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열체(20)에는 상기 동체(10)의 상부에서 일정높이를 갖는 간격유지요소(14)를 이용해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상기 열풍의 송풍 경로를 제공하는 소정크기의 통로(15)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발열체(20)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도 1에서와 같이 기둥형으로 형성된 절연물인 기저요소(22)에 나선상으로 전열선(24)을 감아 구성할 수도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보빈형으로 형성된 절연물인 기저요소(22)에 나선상으로 전열선(24)을 감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기저요소(22)를 보빈형으로 구성하려는 경우, 도 3 및 4에서와 같이 그 둘레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다수개의 열풍배출공(25)을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열풍의 대류현상을 보다더 확실하게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체(20)는 도 5에서와 같이 1.2.3차 발열요소들(20a,20b,20c)로 구획되어 이루고 선택스위치(21)에 의해 저.중.고의 다단계적으로 온도조절이 필요에 따라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5에 의하면, 상기 발열체(20)는 저온의 경우 1차발열요소(20a)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하게 되고, 중온의 경우는 1차와 2차발열요소들(20a,20b)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하며, 고온의 경우에는 1차와 2차 그리고 3차발열요소들(20a, 20b,20c)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하게 된다.
이렇게 기둥형 또는 보빈형으로 이루는 발열체(20)는 공조를 위한 실내를 사방팔방으로 난방효과를 얻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기계실(12)은 상기 동체(10)의 외관을 이루면서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열풍의 공조를 위한 수단으로 송풍팬(40)이 설치되어 대류현상이 유도된다.
즉, 상기 송풍팬(40)이 구동하면, 상기 동체(10)의 흡입공(11)을 경유하여 실내의 공기가 흡기되어 상기 발열체(20) 사이의 통로(15)를 통해 발열체(20)의 주위로 지나면서 열교환을 이루므로, 상기 흡입공(11)을 경유하는 공기가 실내 측으로 급기되어 대류현상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열체(20)의 주위에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구조물인 망형상의 보호체(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체(30)의 상면에는 가습수가 저장됨으로써 상기 발열체(2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증기를 발생하여 실내의 가습효과를 이루도록 하는 가습요소(50)를 갖추고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체(30)의 둘레면에는 탈착식으로 반사판(6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보호체(30)의 둘레에서 임의적이고 선택적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반사판(60)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보호체(30)의 둘레면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기난로에 의한 집중난방이 필요한 경우 상기 보호체(30)의 원하는 위치에 후크방식으로 상기 반사판(6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반사판(60)의 반사작용에 의해 어느 일방으로만 집중적으로 열원이 조사되게 하여서 소기의 집중난방 효과를 이루게 할 수도 있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동체 12 : 기계실
14 : 간격유지요소 15 : 통로
20 : 발열체 22 : 기저요소
24 : 전열선 25 : 열풍배출공
30 : 보호체 40 : 송풍팬
50 : 가습요소 60 : 반사판

Claims (7)

  1. 전장부품들이 내장되는 기계실이 구비되는 동체;
    상기 동체의 상부에서 간격을 유지해 통로가 마련되도록 탑재되며, 절연물인 기저요소와 상기 기저요소에 나선상으로 감아 배치되는 전열선으로 이루어져 열원을 발생하는 발열체; 및
    상기 동체 상에 탑재되고, 상기 발열체의 주위를 감싸 보호하는 망형상의 보호체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난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요소는
    그 외관이 기둥형 또는 보빈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난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요소를 보빈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기저요소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열풍배출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난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1.2.3차 발열요소로 이루어 선택스위치에 의해 다단계적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전기난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내장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동체와 상기 발열체 사이의 통로를 통해 송풍경로를 이루어 실내의 강제적인 대류를 이루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전기난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실내 가습을 위한 가습요소를 더 포함하는 전기난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체에 탈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열원을 일방향으로 조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전기난로.
KR1020100100189A 2010-07-22 2010-10-14 전기난로 KR20120009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89A KR20120009381A (ko) 2010-07-22 2010-10-14 전기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0818 2010-07-22
KR1020100070818 2010-07-22
KR1020100100189A KR20120009381A (ko) 2010-07-22 2010-10-14 전기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381A true KR20120009381A (ko) 2012-02-01

Family

ID=4583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189A KR20120009381A (ko) 2010-07-22 2010-10-14 전기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3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9072A (zh) * 2019-07-25 2020-02-11 贵州凌达风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取暖装置
KR20200117270A (ko) * 2019-04-03 2020-10-14 정은숙 대류식 난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270A (ko) * 2019-04-03 2020-10-14 정은숙 대류식 난방장치
CN110779072A (zh) * 2019-07-25 2020-02-11 贵州凌达风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取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8803A (ko)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KR101336725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난방기
KR20120009381A (ko) 전기난로
CN102713454B (zh) 双烟道平板对流空气空间加热器
KR20180094813A (ko) 가습 난방기
KR101308030B1 (ko) 가습 기능을 가진 다기능 온풍기
KR20100077404A (ko) 슬림형 히터
KR20090069116A (ko) 열풍기능 및 전열선 보호기능을 갖는 간이 히터
KR0141084B1 (ko) 원적외선 방사 전열히터
KR200452868Y1 (ko) 열풍 블로워
KR101099554B1 (ko) 원적외선 전기 히터
JP3223525U (ja) 電気こたつの発熱装置
EP0188892A1 (en) Electrical heaters
KR200456553Y1 (ko) 패널형 전기 복사 난방 장치
KR200386476Y1 (ko) 전기온풍기
CN216844846U (zh) 踢脚线取暖器
JP2005055141A (ja) 空気調和機
KR200439309Y1 (ko) 원적외선 램프가 구비된 사우나용 전기방열기
KR200237145Y1 (ko) 전기히터
KR200231937Y1 (ko) 전기식 히트파이프 난방기
KR20200072430A (ko) 히터 장치
KR200469261Y1 (ko) 참숯이 내장된 황토패널을 이용한 액자형 난방장치
JP2022145103A (ja) 暖房装置
KR20200072429A (ko) 가습 난방기
KR20130033063A (ko) 열풍이 공급되는 전기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