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106A - 휴대전자기기용 줄 - Google Patents

휴대전자기기용 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106A
KR20120009106A KR1020100070923A KR20100070923A KR20120009106A KR 20120009106 A KR20120009106 A KR 20120009106A KR 1020100070923 A KR1020100070923 A KR 1020100070923A KR 20100070923 A KR20100070923 A KR 20100070923A KR 20120009106 A KR20120009106 A KR 20120009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touch
electronic device
string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훈
Original Assignee
임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훈 filed Critical 임성훈
Priority to KR102010007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106A/ko
Publication of KR2012000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줄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폭을 갖는 끈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줄부재; 상기 줄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전자기기에 연결되는 고리끈; 및 상기 줄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터치 인식이 될 수 있도록 첨단(尖端)이 구비되는 터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줄에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인식이 될 수 있도록 소정의 터치펜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첨단을 가진 터치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별도로 터치펜을 휴대하지 않고도 터치부재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항시 손가락 자국이나 얼룩이 생기지 않게 깨끗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전자기기용 줄{String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용 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터치펜을 휴대하지 않고도 터치스크린을 항시 손가락 자국이나 얼룩이 생기지 않게 깨끗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아이폰과 같이 DMB, 동영상 플레이어, 인터넷 서핑 등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폰,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전자기기들이 개발되어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전자기기들의 경우 충격에 비교적 강한 내구성을 갖도록 설계되지만 역시 전자기기여서 외부의 강한 충격에는 여전히 취약하므로, 사용자가 사용 중에 실수로 휴대전자기기를 떨어뜨림으로써 휴대전자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거나 손목, 손가락 등에 끼워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용 줄을 구비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특히, 최근 들어 매우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휴대전자기기들은 그 가격도 매우 고가이므로, 휴대전자기기의 낙하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전자기기용 줄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고,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전술된 휴대전자기기들 중 다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게끔 구비되고, 이를 위해 이른바 터치스크린이 필수적으로 탑재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크게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식 및 감도와 내구성 향상을 위해 개발된 터치에 의한 전하의 소실을 감지하는 정전식으로 구분되는데, 많은 사용자들은 감압식과 정전식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조작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손가락에 묻어있던 각종 분진과 땀 등의 이물질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자연스레 얼룩이 생기게 되므로, 터치스크린은 이러한 얼룩을 자주 제거해 주어야 깨끗하고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손가락을 대신할 수 있는 펜 형상을 가진 터치펜이 개발되어 이용자를 넓혀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터치펜은 별도로 고가의 비용을 들여 구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항시 별도로 휴대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휴대의 용이성을 위해 휴대전자기기에 줄과 함께 연결해 둘 경우, 휴대전자기기의 휴대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에 항시 함께 구비되어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줄을 이용하여 감압식, 정전식의 구별 없이 휴대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인식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용 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은 소정의 폭을 갖는 끈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줄부재; 상기 줄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전자기기에 연결되는 고리끈; 및 상기 줄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터치 인식이 될 수 있도록 첨단(尖端)이 구비되는 터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부재의 상기 첨단은, 통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감압식 터치스크린 및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모두 터치 인식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첨단을 이루는 통전성 재료는, 플라스틱반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재는, 그 일측부에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줄부재의 타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는 고리부에 의해 상기 줄부재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재는,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전자기기용 줄에 의하면,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줄에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인식이 될 수 있도록 소정의 터치펜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첨단을 가진 터치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별도로 터치펜을 휴대하지 않고도 터치부재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인식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지 않고 터치부재로 깔끔하게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터치스크린을 항시 손가락 자국이나 얼룩이 생기지 않게 깨끗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에 구비되는 터치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에 구비되는 터치부재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은,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의 구성, 작용효과 및 사용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은 줄부재(100), 고리끈(200) 및 터치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줄부재(100)는 소정의 폭을 갖는 끈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부분이다. 이 줄부재(100)의 일단부에는 줄부재(100)를 휴대전자기기에 연결시키는 고리끈(200)이 구비되고, 그 타단부에는 터치부재(300)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부(1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줄부재(100) 전체가 두 겹으로 이루어져 그 타단부의 절곡된 부분이 고리부(110)를 형성하도록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줄부재(100)는 한 겹으로 이루어지고 그 타단부에 별도로 고리부(110)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고리끈(200)은 고정부재(120)에 의해 줄부재(10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휴대전자기기에 연결됨으로써 줄부재(100)를 휴대전자기기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치부재(300)는 줄부재(10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휴대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터치 인식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부재(300)에는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터치 인식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첨단(3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첨단(310)은 유기(有機) 반도체의 일종인 플라스틱반도체 등과 같은 통전성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감압식 터치스크린 및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모두 터치 인식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첨단(310)은 터치부재(300)에 일체로 형성되게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되어 터치부재(300)에 고정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부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부에 형성된 연결홀(320)을 줄부재(100)의 고리부(110)가 관통하게 구비됨으로써 줄부재(100)에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터치부재(300)를 줄부재(100)에 연결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줄부재(100) 및 터치부재(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 형상으로 구비되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줄부재(10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끈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터치부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경우, 휴대전자기기에 항시 구비되는 휴대전자기기용 줄의 터치부재(300)를 파지하여 터치부재(300)의 첨단(310)을 터치스크린의 원하는 위치에 접촉시킴으로써 터치 인식을 구현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의 구성, 작용효과 및 사용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은 터치부재(30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과 그 구성이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의 터치부재(3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터치부재(300')는 그 심미감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다른 터치부재(300')의 형상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터치부재(300')에 있어서, 그 첨단(310')은 전술된 제1실시예의 첨단(310)과는 달리 줄부재(100)에 연결된 방향을 기준으로 터치부재(300')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이처럼 상기 첨단(310')은 터치부재(300')를 설계함에 있어서, 터치부재(300')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일측으로 편중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첨단(310')의 위치는 터치부재(300')의 형상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에 구비되는 터치부재(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은 터치부재(300'')의 일측부에 홈부(330)가 형성되고, 터치부재(300'')의 길이가 다소 길게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과 그 구성이 유사하다.
상기 홈부(330)는 사용자가 터치부재(300'')를 파지할 때 그 파지감과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터치부재(300'')에 있어서, 상기 홈부(330)는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가 구비되었으나, 그 구비 위치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홈부(330)는 사용자의 검지와 엄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터치부재(3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해 휴대전자기기에 항시 구비되는 휴대전자기기용 줄의 터치부재(300'')를 파지할 경우, 그 손가락을 상기 홈부(330)에 삽입함으로써 터치부재(300)에 대한 파지감을 향상시켜 사용 안정감을 제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자기기용 줄에 의하면,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줄에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인식이 될 수 있도록 소정의 터치펜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첨단(310, 310')을 가진 터치부재(300, 300', 300'')가 구비됨으로써, 별도로 터치펜을 휴대하지 않고도 터치부재(300, 300', 300'')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항시 손가락 자국이나 얼룩이 생기지 않게 깨끗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줄부재 110 : 고리부
120 : 고정부재 200 : 고리끈
300, 300', 300'' : 터치부재 310, 310' : 첨단(尖端)
320 : 연결홀 330 : 홈부

Claims (5)

  1.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줄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는 끈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줄부재;
    상기 줄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전자기기에 연결되는 고리끈; 및
    상기 줄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터치 인식이 될 수 있도록 첨단(尖端)이 구비되는 터치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재의 상기 첨단은,
    통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감압식 터치스크린 및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모두 터치 인식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을 이루는 통전성 재료는,
    플라스틱반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재는,
    그 일측부에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줄부재의 타단부에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는 고리부에 의해 상기 줄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재는,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용 줄.
KR1020100070923A 2010-07-22 2010-07-22 휴대전자기기용 줄 KR20120009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923A KR20120009106A (ko) 2010-07-22 2010-07-22 휴대전자기기용 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923A KR20120009106A (ko) 2010-07-22 2010-07-22 휴대전자기기용 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106A true KR20120009106A (ko) 2012-02-01

Family

ID=4583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923A KR20120009106A (ko) 2010-07-22 2010-07-22 휴대전자기기용 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1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472B1 (ko) * 2013-03-04 2014-10-13 (주)하소인텍 스타일러스 터치 입력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472B1 (ko) * 2013-03-04 2014-10-13 (주)하소인텍 스타일러스 터치 입력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9754B2 (en) Touch screen pen for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US20120050165A1 (en) Keyboard pad for touch screen
US20100090966A1 (en) Capacitive Sensor Gloves
US20110261026A1 (en) Stylus for cellular phone
US9830003B2 (en) Ring button components in electronics
US20130127791A1 (en) Thumb or Finger Devices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Tips & Other Features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 Screens and/or Mechanical Keyboards Employed in Smartphones & Other Small Mobile Devices
KR20100007569U (ko) 감응식 스타일러스 터치펜
CN103677332B (zh) 触摸笔及具有该触摸笔的移动终端
KR100985062B1 (ko) 도전성 터치펜
US20120242618A1 (en) Finger device for operat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CN102156604B (zh) 可携式电子装置
KR20120009106A (ko) 휴대전자기기용 줄
KR200450633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70066415A (ko)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터치 펜
US20120274548A1 (en) Pliable fingertip key depressor for use with small keyboards
KR101087271B1 (ko) 휴대폰 거치대 겸용 터치 펜
KR20100094914A (ko) 클리닝이 가능한 스타일러스 펜
KR101155195B1 (ko) 착용식 터치펜
US20150378451A1 (en) Portable sheath
KR20120002058U (ko) 터치 패널용 입력 장치
TWM493095U (zh) 觸控筆結構
KR101616668B1 (ko)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
KR101371587B1 (ko) 돌기가 형성된 핑거패드
KR101794915B1 (ko)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30070291A (ko) 터치 디스플레이용 골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