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668B1 -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668B1
KR101616668B1 KR1020150000701A KR20150000701A KR101616668B1 KR 101616668 B1 KR101616668 B1 KR 101616668B1 KR 1020150000701 A KR1020150000701 A KR 1020150000701A KR 20150000701 A KR20150000701 A KR 20150000701A KR 101616668 B1 KR101616668 B1 KR 10161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mouse
pad
touch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102015000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Abstract

터치패드의 터치면을 아래로 향하도록 구비한 터치패드 마우스를 사용시 터치패드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는, 마우스 몸체의 일면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터치패드 마우스에 사용하는 마우스패드장치로서, 터치패드의 터치면을 상면으로 하여 사용하는 기존의 터치패드방식은 물론 터치패드의 터치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마우스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도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는 마우스패드부와, 마우스패드부에 설치되어 마우스를 마우스패드부 상에서 움직일때 터치패드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MOUSE PAD DEVICE FOR USING IN TOUCHPAD MOUSE}
본 발명은 마우스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 몸체의 하부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터치패드 마우스 또는 몸체의 일면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터치패드 마우스의 터치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사용하는 마우스패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드(touchpad)는 상면을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펜 등으로 터치하여 움직이면 이러한 터치입력을 인식하여 컴퓨터 모니터 등에 커서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터치패드를 무선화하여 편의성을 높이고 키보드와 결합하는 방식도 등장하고 있으나 클릭하는 동작에서 커서가 움직이거나 마우스 좌측버튼, 우측버튼 클릭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구조적 불편함이 많다.
또한, 일반적인 마우스, 예컨대 광마우스, 레이저마우스 또는 유선마우스 등을 사용하던 습관(손목으로 커서를 움직이기 때문에 손가락을 자유롭게 클릭이 가능함)에 익숙해 있는 사용자가 노트북에 장착되어 출시되는 터치패드를 이런 이유로 일반적인 유무선마우스를 별도로 소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공개특허공보 10-1999-0048823 "터치패드 겸용 마우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1659 "마우스패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패드의 터치면을 위로하여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으로 사용하거나, 터치패드의 터치면을 반대로 뒤집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도 일반 마우스처럼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터치패드의 터치패드면을 아래로 향하도록 구비한 터치패드 마우스를 사용시 터치패드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터치패드의 방식에 따라 터치 입력을 인식시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는, 마우스 몸체의 일면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터치패드 마우스에 사용하는 마우스패드장치로서, 상기 마우스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는 마우스패드부; 및 상기 마우스패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를 상기 마우스패드부 상에서 움직일때 상기 터치패드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기 마우스패드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기 마우스패드부에 형성된 착탈홀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기 마우스패드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패드입력부의 상면이 상기 마우스패드부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기 마우스패드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패드입력부의 상면이 상기 마우스패드부의 상면 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는, 마우스 몸체의 일면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터치패드 마우스에 사용하는 마우스패드장치로서, 상기 마우스를 움직일때 상기 터치패드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입력부; 및 상기 터치패드입력부 보다 큰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입력부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며,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대상물에 부착되는 부착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패드부는 스티커형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는, 마우스 몸체의 일면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터치패드 마우스에 사용하는 마우스패드장치로서, 상기 마우스를 움직일 때 상기 터치패드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입력부; 및 상기 터치패드입력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를 부착대상물에 부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방식에 따라 터치 입력을 인식시켜 작동하도록 하는 터치인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가 압력을 인식하여 작동하는 저항막방식(감압식) 터치패드인 경우,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터치패드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상단이 뾰족하게 첨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가 전하의 변화를 인식하여 작동하는 정전용량방식(정전식) 터치패드인 경우,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터치패드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돌출된 상면의 일정 표면적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스크래치 방지를 위하여 상기 터치패드입력부의 가장자리를 하향 경사지게 라운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에 따르면, 터치패드의 터치면을 위로 하여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으로 사용하거나, 터치패드의 터치면을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터치패드 마우스를 일반 마우스처럼 마우스패드 위에 올려놓고 사용시에도 마우스패드부에 설치된 터치패드입력부가 터치패드의 터치면에 작용하여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터치패드의 터치입력 기능을 위나, 아래 방향으로 하는 양방향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환경에 맞춰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패드 방식에 따라 터치인식물질이 다른 터치패드입력부를 마우스패드부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압식 터치패드인 경우에는 압력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단이 뾰족하게 첨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부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드입력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정전식 터치패드인 경우에는 전하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드입력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터치패드 방식에 따라 터치인식 물질을 교체하거나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우스패드장치를 스티커 필름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스티커처럼 편리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기존 마우스패드 사이즈 보다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감압식 터치패드에 적용할 수 있는 터치패드입력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정전식 터치패드에 적용할 수 있는 터치패드입력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시도.
도 6은 터치패드입력부의 탈부착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마우스패드장치는 마우스 몸체의 일면에 터치패드가 구비되고 터치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시, 마우스 몸체의 다른 일면 또는 측면부에 우측 클릭버튼 및 좌측 클릭버튼과 스크롤휠이 구비될 수 있는 터치패드 마우스에 사용하는 터치패드 전용 마우스패드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드(touchpad)는 상면을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펜 등으로 터치하여 움직이면 이러한 터치입력을 인식하여 컴퓨터 모니터 등에 커서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패드는 구현 원리와 동작 방법에 따라 저항막방식(감압식), 정전용량방식(정전식), 적외선광학방식, 초음파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여러 방식들 중에서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탑재되는 터치패드는 저항막방식과 정전용량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저항막방식(감압식) 터치패드는 압력을 인식하여 작동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감압식 터치패드는 기판 위에 여러 겹으로 막(스크린)이 쌓여있는 형태로 가장 바깥쪽(손이나 펜이 맞닿는 부위)에는 부드러우면서 흠집이 강한 재질의 막이 있고, 다음에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막, 그리고 다음은 압력을 감지하는 투명 전도막(전기가 통하는 얇고 두명한 기판) 2장이 겹쳐있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터치면을 누르면, 투명 전도막 2장이 서로 맞닿으면서(전기적 접촉, 압력) 발생한 전류와 저항의 변화를 감지해 입력을 판별(가로, 세로 좌표 인식)한다. 따라서, 손가락은 물론, 스타일러스펜(터치펜), 손에 쥘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을 이용해 터치패드의 터치면을 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감압식 터치패드는 여러 접촉 부위를 동시에 인식하는 멀티터치를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정전용량방식(정전식) 터치패드는 우리 몸에 있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즉, 기판에 전기가 통하는 화합물을 코팅해서 전류가 계속 흐르도록 만들고, 터치면에 손가락이 닿으면 기판 위를 흐르던 전자가 접촉 지점으로 끌려오게 된다. 그러면 터치패드 모퉁이의 센서가 이를 감지해서 입력을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패드를 살짝 스치듯 만져도 터치 입력이 가능하며, 여러 접촉 부위를 동시에 인식하는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정전식 터치패드는 손가락 처럼 전자를 유도하는 물질이 아닐 경우(비전도체: 전기가 흐르지 않음) 터치 입력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감압식에서 쓰이는 일반적인 스타일러스펜을 사용할 수 없으며, 손가락이나 정전식 전용 스타일러스펜을 사용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감압식 터치패드에 적용할 수 있는 터치패드입력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정전식 터치패드에 적용할 수 있는 터치패드입력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100)는 마우스패드부(110) 및 터치패드입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우스패드부(110)는 터치패드 마우스(10)를 올려놓고 움직여 사용할 수 있도록 두께가 얇은 평판 형상을 가진다. 마우스패드부(110)는 마우스(10)를 이동할때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패드부(110)를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터치패드입력부(120)는 마우스패드부(110)에 설치되어 마우스(10)를 마우스패드부(110) 상에서 움직일때 터치패드(11)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터치패드입력부(120)는 마우스패드부(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위치하며, 마우스패드부(1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드입력부(120)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패드입력부(120)는 도 2와 같이 터치패드입력부(120)의 상면이 마우스패드부(110)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3 및 도 4와 같이 터치패드입력부(120)의 상면이 마우스패드부(110)의 상면 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입력부(120)는 터치패드의 방식에 따라 터치 입력을 인식시켜 작동하도록 하는 터치인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압식 터치패드인 경우에 터치패드입력부(120)는 압력 인식 물질을 포함하고, 정전식 터치패드인 경우에 터치패드입력부(120)는 전하량 인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10)의 터치패드(11)가 압력을 인식하여 작동하는 저항막방식(감압식) 터치패드(11a)인 경우, 터치패드입력부(120)는 압력 인식 물질, 예컨대 가압부재(120a)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압부재(120a) 형태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드입력부(120)는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되, 감압식 터치패드(11a)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상단이 뾰족하게 첨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10)의 터치패드(11)가 전하의 변화를 인식하여 작동하는 정전용량방식(정전식) 터치패드(11b)인 경우, 터치패드입력부(120)는 전하량 인식 물질, 예컨대 전도체(120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도체(120b)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드입력부(120)는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정전식 터치패드(11b)의 특성상 일정 면적 이상의 전하량 변화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터치패드입력부(120)의 전도체(120b) 상단 접촉면적이 너무 작아도 터치 인식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정전식 터치패드(11b)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돌출된 전도체(120b) 상면의 일정 표면적을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터치패드입력부(120)는 마우스(10)를 움직일때 정전식 터치패드(11b)에 스크래치 방지를 위하여 터치패드입력부(120)의 전도체(120b) 가장자리를 하향 경사지게 라운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100)는, 터치패드(11)의 터치면을 아래로 향하도록 구비한 터치패드 마우스(10)를 올려놓고 사용시 마우스패드부(110)에 설치된 터치패드입력부(120)가 터치패드(11)의 터치면에 작용하여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터치패드입력부(120)는 터치패드(11)의 방식에 따라 터치 입력을 인식시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마우스(10)의 터치패드(11)가 압력을 인식하여 작동하는 저항막방식(감압식) 터치패드(11a)인 경우, 마우스(10)를 마우스패드부(110) 상에서 움직일때 상단이 뾰족하게 첨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부재(120a) 형태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드입력부(120)가 감압식 터치패드(11a)의 표면을 가압 터치하게 되면, 감압식 터치패드(11a)가 이러한 터치입력에 따른 압력을 인식하여 컴퓨터 모니터 등에 커서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마우스(10)의 터치패드(11)가 전하의 변화를 인식하여 작동하는 정전용량방식(정전식) 터치패드(11b)인 경우, 마우스(10)를 마우스패드부(110) 상에서 움직일때 전도체(120b)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드입력부(120)가 정전식 터치패드(11b)의 표면을 터치하게 되면, 정전식 터치패드(11b)가 이러한 터치입력에 따른 전하의 변화를 인식하여 컴퓨터 모니터 등에 커서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터치패드입력부(120)의 전도체(120b) 상면의 일정 표면적을 평평하게 형성하여 정전식 터치패드(11b)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터치 인식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터치패드입력부의 탈부착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200)는 마우스패드부(210) 및 터치패드입력부(220)를 포함하며, 터치패드입력부(220)를 마우스패드부(210)에 탈부착할 수 있는 구성(탈부착형)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마우스패드부(210)는 일측,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착탈홀(211)이 형성되고, 터치패드입력부(220)는 마우스패드부(210)의 착탈홀(211)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마우스패드부(210)에 터치패드입력부(220)를 착탈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패드부(210)의 착탈홀(211) 내주면에 홈(210a)을 형성하고 터치패드입력부(220)의 외주면에 돌기(220a)를 형성하여 터치패드입력부(220)의 돌기(220a)가 마우스패드부(210)의 홈(210a)에 끼워져 터치패드입력부(220)를 마우스패드부(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마우스패드부(210)의 착탈홀(211) 내주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터치패드입력부(220)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터치패드입력부(220)의 홈에 마우스패드부(210)의 돌기가 끼워져 터치패드입력부(220)를 마우스패드부(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220a)와 홈(210a)을 형성하여 터치패드입력부(220)를 마우스패드부(210)에 착탈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체결결합구조, 억지끼움결합구조 등 다양한 형태의 착탈구조를 통해 터치패드입력부(220)를 마우스패드부(210)에 착탈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착탈구조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200)는, 터치패드 방식에 따라 터치인식물질이 다른 터치패드입력부(22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압식 터치패드(11a, 도 3 참조)인 경우에는 압력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단이 뾰족하게 첨두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부재(120a, 도 3 참조) 형태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드입력부를 교체하여 사용하고, 정전식 터치패드(11b, 도 4 참조)인 경우에는 전하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전도체(120b, 도 4 참조)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드입력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터치패드 방식에 따라 터치인식 물질을 교체하거나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300)는 부착패드부(310) 및 터치패드입력부(320)를 포함하며, 부착패드부(310)를 스티커형 필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 터치패드입력부(32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부착패드부(3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부착패드부(310)는 스티커형 필름 형태로 형성되고 터치패드입력부(320) 보다 큰 표면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패드부(310)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부착패드부(310)는 터치패드입력부(32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며, 하면에 접착제(330)가 도포되어 부착대상물(1), 예컨대 테이블, 책상 등의 상면에 부착된다. 접착제(330)는 일회용 끈끈이 접착제나 수회 반복사용이 가능한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부착패드부(310)의 접착제(330)가 도포된 면에는 접착제(330) 성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시트(미도시)를 부착하고, 사용시에는 보호시트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300)는, 스티커 필름 형태로 제작하여 부착대상물(1), 예컨대 테이블, 책상 등의 상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마우스패드장치(300)를 스티커 필름 형태로 제작하므로 스티커처럼 편리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기존 마우스패드 사이즈 보다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400)는 부착패드부(410) 및 터치패드입력부(420)를 포함하며, 부착패드부(410)를 스티커형태로 하되 터치패드입력부(420)가 돌출되도록 부착패드부(410)를 타공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된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3 실시예와 상이한 형태인 부착패드부(4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부착패드부(410)는 터치패드입력부(420)가 돌출되도록 터치패드입력부(420)보다 넓은 면적을 부착패드부(410)에 타공하여, 터치면과의 터치패드입력부(420)가 직접 닿아 터치감도를 높히고, 터치면과의 마찰로 인해 부착패드부(410)가 닳아 없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500)는 마우스(10)를 움직일때 터치패드(11)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입력부(520)와, 터치패드입력부(520)의 하면에 형성되어 터치패드입력부(520)를 부착대상물(1), 예컨대 테이블, 책상 등의 상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제(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드입력부(520)는 터치패드의 방식에 따라 터치 입력을 인식시켜 작동하도록 하는 터치인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압식 터치패드인 경우에 터치패드입력부(520)는 압력 인식 물질을 포함하고, 정전식 터치패드인 경우에 터치패드입력부(520)는 전하량 인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터치패드입력부(520)의 접착제(530)가 도포된 면에는 접착제(530) 성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시트(미도시)를 부착하고, 사용시에는 보호시트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3 실시예의 부착패드부(310)와 같은 스티커형 필름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만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된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500)는, 터치패드입력부(520)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제(530)를 테이블, 책상 등의 상면에 편리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마우스
11 : 터치패드
100, 200, 300, 400, 500 : 마우스패드장치
110, 210 : 마우스패드부
120, 220, 320, 420, 520 : 터치패드입력부
310, 410 : 부착패드부
330, 430, 530 : 접착제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마우스 몸체의 일면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터치패드 마우스를 터치패드부가 하부로 향하게 하여 사용하는 마우스패드장치로서,
    상기 마우스를 움직일때 상기 터치패드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입력부; 및
    상기 터치패드입력부 보다 큰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입력부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며,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대상물에 부착되는 부착패드부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패드부는 스티커형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장치.
  8. 마우스 몸체의 일면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터치패드 마우스를 터치패드부가 하부로 향하게 하여 사용하는 마우스패드장치로서,
    상기 마우스를 움직일때 상기 터치패드에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패드입력부; 및
    상기 터치패드입력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를 부착대상물에 부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마우스패드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방식에 따라 터치 입력을 인식시켜 작동하도록 하는 터치인식 물질을 포함하는 마우스패드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가 압력을 인식하여 작동하는 저항막방식(감압식) 터치패드인 경우,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터치패드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상단이 뾰족하게 첨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가 전하의 변화를 인식하여 작동하는 정전용량방식(정전식) 터치패드인 경우,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장치.
  13.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터치패드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돌출된 상면의 일정 표면적을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입력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스크래치 방지를 위하여 상기 터치패드입력부의 가장자리를 하향 경사지게 라운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패드장치.
KR1020150000701A 2015-01-05 2015-01-05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 KR101616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701A KR101616668B1 (ko) 2015-01-05 2015-01-05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701A KR101616668B1 (ko) 2015-01-05 2015-01-05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668B1 true KR101616668B1 (ko) 2016-04-28

Family

ID=5591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701A KR101616668B1 (ko) 2015-01-05 2015-01-05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6220B2 (en) 2019-02-04 2022-12-13 Razer (Asia-Pacific) Ptd. Ltd. Method and apparatus of using a computer touchpad or digitizer stylus pad as a mousepa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823A (ko) 1997-12-11 1999-07-05 구자홍 터치패드 겸용 마우스
KR200201659Y1 (ko) 2000-05-22 2000-11-01 오선택 마우스패드
CN202632235U (zh) * 2012-06-25 2012-12-26 深圳市深越光电技术有限公司 触摸鼠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823A (ko) 1997-12-11 1999-07-05 구자홍 터치패드 겸용 마우스
KR200201659Y1 (ko) 2000-05-22 2000-11-01 오선택 마우스패드
CN202632235U (zh) * 2012-06-25 2012-12-26 深圳市深越光电技术有限公司 触摸鼠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6220B2 (en) 2019-02-04 2022-12-13 Razer (Asia-Pacific) Ptd. Ltd. Method and apparatus of using a computer touchpad or digitizer stylus pad as a mousep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706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AU2010235941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JP3169346U (ja) キーパッド
JP5667002B2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装置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JP5903131B2 (ja) タッチペン及びそのペン先
US9829990B2 (en) Flexible keyboard cover film
KR20150032950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가진 디지탈 기기
KR102599381B1 (ko)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 이를 갖는 터치 센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KR101616668B1 (ko) 터치패드 마우스용 마우스패드장치
KR20230027136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4808279U (zh) 触控面板
KR102325197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용 보조입력장치
KR102015313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309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8012A (ko) 하이브리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모바일 기기
US20170038878A1 (en) Touch panel with pressure sensing function
TWI497355B (zh) 觸摸式滑鼠墊及其應用方法
KR20060010579A (ko) 마우스 터치패드
KR20140136334A (ko) 정전식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기능성 필름
US20120139869A1 (en) Reattachable touch input device
JP4948188B2 (ja) 座標入力装置
KR101449159B1 (ko) 터치패널이 구비된 입력 장치
KR20200040623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SG172488A1 (en) Computer m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