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025A -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발열장치 - Google Patents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발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025A
KR20120009025A KR1020100070660A KR20100070660A KR20120009025A KR 20120009025 A KR20120009025 A KR 20120009025A KR 1020100070660 A KR1020100070660 A KR 1020100070660A KR 20100070660 A KR20100070660 A KR 20100070660A KR 20120009025 A KR20120009025 A KR 20120009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eating device
protecting
weight
secondary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184B1 (ko
Inventor
박우만
Original Assignee
(주)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8339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0902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티 filed Critical (주)지티
Priority to KR102010007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1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외피 보호를 위한 2차 피복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 학교, 숙박시설, 오피스텔, 펜션 등의 주거 및 상업용 건물에 설치되는 난방용 발열장치의 카본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보호를 위하여 우수한 인장률을 가지면서도 기성 전선 외피와는 다른 성분을 갖는 2차 피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방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은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블록 공중합체 30~50중량%; 오일 20~40중량%; 폴리프로필렌 20~40중량%; 및 충진제 5~11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방발열장치{SECOND SHEATH COMPOSITION FOR WIRE AND H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선의 외피 보호를 위한 2차 피복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 학교, 숙박시설, 오피스텔, 펜션 등의 주거 및 상업용 건물에 설치되는 난방용 발열장치의 카본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보호를 위하여 우수한 인장률을 가지면서도 기성 전선 외피와는 다른 성분을 갖는 2차 피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방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이용한 난방은 쾌적하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운전비용 및 설치비용으로 인하여 선호되고 있다.
특히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하여 사용되는 난방발열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건축자재의 주종을 이루는 콘크리트는 계절적 요인 등에 따른 온도변화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건물 바닥 또는 벽체(또는 천장)에 매립된 전선, 특히 외피에는 인장력 등의 스트레스가 가해지게 되고,
스트레스 강도 및 반복에 다라 외피가 파괴될 수 있다.
전선 외피 파괴시에는 단순히 난방발열장치의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뿐 아니라, 화재 등의 재난 위험이 상존하고, 전기소모량의 증가에 따른 비용증가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 바닥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불가피한 크랙 발생시에도 이러한 전선 외피 파괴 상황은 발생할 수 있다.
중량체가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등 충격, 하중, 진동이 가해질 수밖에 없는 장소에 설치되는 난방발열장치의 경우에도 전선 외피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건물 구조물과 전선 사이에 움직이는 구조물 파편이나 이물질에 의한 외피 파손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난방발열장치의 고장 또는 불량 문제를 제거하고, 설계된 사용 연한을 보장하기 위하여 전선 외피를 보호하는 방안을 조속히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구조물의 수축 및 팽창이나, 파손, 다양한 원인 및 형태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다국적기업, 국내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에 의하여 다양한 용도로 개발이 된 전선 외피 소재와 성분이 달라 전선의 전도체와 직접 접촉하는 1차 외피 소재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는 2차 피복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가격경쟁력이 충분함과 아울러, 기성 전선을 구입하여 난방발열장치에 맞게 2차 피복을 형성하는 작업에 적합한 성형성을 제공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을 구비한 난방발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은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블록 공중합체 30~50중량%;
오일 20~40중량%;
폴리프로필렌 20~40중량%; 및
충진제 5~11중량%;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은 화이트오일이고,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및 카본블랙이며,
이때 상기 충진제의 함량은 탄산칼슘 5~10중량% 및 카본블랙 0.5~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발열장치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은 구조물의 수축 및 팽창이나, 파손, 다양한 원인 및 형태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를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다국적기업, 국내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에 의하여 다양한 용도로 개발이 된 전선 외피 소재와 성분이 달라 전선의 전도체와 직접 접촉하는 1차 외피 소재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수축 및 팽창할 수 있으며, 또 가격경쟁력이 충분함과 아울러 기성 전선을 구입하여 난방발열장치에 맞게 2차 피복을 형성하는 작업에 적합한 성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이 적용되는 난방발열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은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블록 공중합체 30~50중량%, 오일 20~40중량%, 폴리프로필렌 20~40중량%, 그리고 충진제 5~11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SEBS 블록 공중합체는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TPE(thermoplastic elastomer) 특성상 탄성을 가지며 착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상기 오일은 전선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공지의 첨가제인데, 나프텐계, 파라핀계, 기타 방향족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화이트오일을 사용할 경우 인장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화이트오일은 원유(석유) 정제시 생기는 부산물인 미네랄오일의 별칭이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인장강도, 강성, 충격강도, 내굽힘피로성이 우수하고, 성형품의 투명성, 표면광택이 좋으며, 성형수축률이 작기 때문에 외관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충진제는 무기 충전제(예: 탄산칼슘, 클레이, 활석, 규조토, 운모, 알루미나, 황산알루미늄, 황산바륨, 황산칼슘 등)를 비롯하여 카본 블랙이나 실리카와 같은 보강제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충진제로 탄산칼슘 및 카본블랙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특히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탄산칼슘 5~10중량% 및 카본블랙 0.5~1중량%를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난방용 발열장치(1)에 사용된다.
도 1에서, 난방용 발열장치(1)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전선(10)과,
상기 전선(1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도전성 카본발열체(21)와 상기 카본발열체(21)를 감싸는 절연외피(22)로 이루어진 복수의 발열봉(20)과,
상기 발열봉(20)과 상기 전선(10)을 결합하면서 동시에 상기 카본발열체(21)에 전선(10)에 흐르는 전기가 도통되도록 도체로 이루어진 통전부재(미도시됨)를 감싸는 절연커버(40)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전선(10)은 통상 구리로 이루어진 전도체(11), 이를 감싸는 외피(12)(즉, '2차' 피복(13)에 대하여 '1차' 피복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피복인 외피를 감싸는 2차 피복(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 피복(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보호용 조성물로 제조되며,
탄성을 지닌 소재를 이용하여 전선(10)의 전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2차 피복(13)은 전선(10)의 외피(12)와 접합된 상태가 아니라 하지 않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2차 피복(13)이 건물의 바닥, 벽체 또는 천장과 같은 구조물,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건축자재의 주종을 이루는 콘크리트가 계절적 요인 등에 따른 온도변화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거나,
바닥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불가피한 크랙이 발생하거나,
중량체가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등 충격, 하중, 진동이 가해지거나,
구조물 파편이나 이물질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외피(12)와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2차 피복(13)이 외부스트레스에 따라 수축 팽창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전선의 파괴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전선 파손시 발생되는 난방발열장치의 고장 문제나 누전 또는 합선 등의 원인에 의한 전기소모량의 증가 및 화재위험을 해소하여 보다 완벽하고 안전한 난방발열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선을 제조하여 그 강도특성 등을 측정한 바, 그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전선용 2차 피복 특성 측정
Figure pat00001
이상의 설명에서 각 조성물 및 난방발열장치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특정 난방발열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선 11 : 전도체 12 : 외피
13 : 2차 피복 20 : 발열봉 21 : 카본발열체
22 : 절연외피

Claims (4)

  1.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블록 공중합체 30~50중량%;
    오일 20~40중량%;
    폴리프로필렌 20~40중량%; 및
    충진제 5~11중량%;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화이트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및 카본블랙이고,
    각각의 함량은 함량은 탄산칼슘 5~10중량% 및 카본블랙 0.5~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난방발열장치를 위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
  4. 청구항1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을 구비한 난방발열장치.
KR1020100070660A 2010-07-21 2010-07-21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발열장치 KR101141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660A KR101141184B1 (ko) 2010-07-21 2010-07-21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발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660A KR101141184B1 (ko) 2010-07-21 2010-07-21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발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25A true KR20120009025A (ko) 2012-02-01
KR101141184B1 KR101141184B1 (ko) 2012-05-04

Family

ID=4583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660A KR101141184B1 (ko) 2010-07-21 2010-07-21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발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1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950B1 (ko) * 2014-10-28 2015-04-08 서길용 비닐하우스용 난방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08951B1 (ko) * 2014-10-28 2015-04-08 서길용 비닐하우스용 난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9300A (zh) * 2015-10-30 2015-12-30 太仓市天合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火绝缘材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065B1 (ko) * 2001-01-10 2005-08-17 김재연 전선코드용 비­pvc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전선코드
KR100599448B1 (ko) 2004-03-08 2006-07-12 명성통신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코드의 제조 방법
KR101215729B1 (ko) * 2007-04-18 2012-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70020A (ko) * 2008-12-17 2010-06-25 명성통신 주식회사 무독성 케이블용 열가소성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950B1 (ko) * 2014-10-28 2015-04-08 서길용 비닐하우스용 난방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08951B1 (ko) * 2014-10-28 2015-04-08 서길용 비닐하우스용 난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184B1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3738B2 (en) Insulated wire construction with liner
Metwally The evolution of medium voltage power cables
KR101141184B1 (ko) 향상된 인장률을 갖는 전선 외피 보호용 2차 피복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발열장치
CN104332233A (zh) 一种环保型防火绝缘耐腐蚀铠装电缆
CN104240829A (zh) 一种电线电缆
KR20130090460A (ko) 조인트 키트 및 이러한 조인트 키트를 구비한 슬라이딩 부스덕트 조립체
CN103886994A (zh) 一种低烟无卤阻燃环保软电缆
KR20110057801A (ko) 진동 저감을 위한 공기절연방식의 부스닥트
CN219716522U (zh) 一种全候性高速铁路用软电缆
CN216412740U (zh) 节能型中强度铝合金导体架空绝缘电缆
CN201698809U (zh) 聚醚醚酮peek高阻燃低碳柔性耐火电线电缆
CN213211739U (zh) 一种耐环境的绝缘数字通信用聚烯烃绝缘水平对绞电缆
CN211654380U (zh) 一种抗压电缆
CN209344685U (zh) 一种高压线束保护管
KR200295391Y1 (ko) 수배전설비용 큐비클의 불연성 수지를 사용한 단열패널
CN202178090U (zh) 单芯防腐特柔软电缆
CN216353410U (zh) 一种超柔性矿物绝缘电缆
CN104575780A (zh) 一种耐火动力软电缆
CN220731210U (zh) 一种低烟矿物质绝缘电缆
CN219916908U (zh) 一种干式变压器低压线圈
CN109473922A (zh) 一种高压线束保护管
CN214850196U (zh) 一种用于电缆保护的hdpe缆保护套管
CN219123009U (zh) 一种耐火阻燃型电力电缆
CN218729963U (zh) 一种防水防开裂预支分支电缆
CN220856179U (zh) 一种耐火高压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906

Effective date: 201301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