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633A - 흡입 카테터 - Google Patents

흡입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633A
KR20120008633A KR1020100069485A KR20100069485A KR20120008633A KR 20120008633 A KR20120008633 A KR 20120008633A KR 1020100069485 A KR1020100069485 A KR 1020100069485A KR 20100069485 A KR20100069485 A KR 20100069485A KR 20120008633 A KR20120008633 A KR 20120008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tube body
catheter
inhalation
s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정
Original Assignee
이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정 filed Critical 이우정
Priority to KR102010006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633A/ko
Publication of KR2012000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7Details of the aspiration tip,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흡입 카테터는 튜브 본체와; 튜브 본체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라운드형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에는 튜브 본체보다 크기가 작은 제1흡입공이 형성되고, 가이드부의 선단으로부터 튜브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내의 튜브 본체의 영역에는 복수의 제2흡입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흡입 카테터{SUCTION CATHETER}
본 발명은 흡입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입 카테터는 사람이나 동물의 체강 내에 들어 있는 분비물(축적물 포함, 이하 같음)을 진공장치 등을 이용하여 흡입하여 외부로 빼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흡입 카테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흡입 카테터는 튜브 본체(11)와, 튜브 본체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라운드형 가이드부(15)와, 튜브 본체(1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어댑터(13)를 구비한다. 가이드부(15)에 인접한 튜브 본체(11)의 영역에는 보통 1개 또는 2개의 흡입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가이드부(15)를 목구멍에 넣은 다음 어댑터에 연결된 진공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면 가래가 흡입공(17)을 통해 목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인체의 요도에 삽입하여 방광에 모여 있는 오줌을 빼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흡입용 카테터는 가이드부(15)에 인접한 튜브 본체(11)의 영역에만 소수의 흡입공(17)이 형성되어 있어서 흡입 압력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체내 조직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튜브 본체(11)의 선단부와 흡입공(17) 사이가 폐쇄되어 있음으로 인해 튜브 본체의 선단부와 흡입공(17) 사이의 길이에 해당하는 튜브 본체의 부분이 흡입작용에 활용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그 길이만큼 더 깊이 인체 속으로 흡입 카테터를 삽입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비강 내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흡입 카테터 사용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흡입 카테터의 문제점이 더욱 두드러진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체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흡입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단부를 흡입작용에 활용할 수 있는 흡입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강 내 분비물 흡입에 최적화된 흡입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튜브 본체와; 상기 튜브 본체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라운드형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튜브 본체보다 크기가 작은 제1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튜브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내의 상기 튜브 본체의 영역에는 복수의 제2흡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가 제공된다.
상기 제1흡입공은 상기 가이드부의 단면과 동심 또는 편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공은 상기 튜브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는 1cm 내지 3cm 사이일 수 있고, 특히 2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흡입공의 수는 2개 내지 8개일 수 있고, 특히 6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흡입공은 상기 튜브 본체의 대향 면에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공의 각 쌍들은 상기 튜브 본체의 원주 상에서 서로 일정 각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90°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카테터는 다양한 체내 분비물 제거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비강 내 분비물 흡입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체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흡입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단부를 흡입작용에 활용할 수 있는 흡입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강 내 분비물 흡입에 최적화된 흡입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흡입 카테터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 카테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입 카테터의 주요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카테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입 카테터의 주요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카테터는 튜브 본체(21)와, 가이드부(25)와, 제1흡입공(27a)과, 복수의 제2흡입공(27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카테터는 어댑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브 본체(21)는 가늘고 긴 튜브 형상을 갖는다. 튜브 본체(21)의 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튜브 본체(21)는 라텍스나 실리콘 등의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도에 따라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튜브 본체(21)의 선단부에는 가이드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5)는 튜브 본체가 체내로 삽입될 때 선단에서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25)의 형상은 라운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라운드형이라 함은 반드시 반구(hemisphere)와 같은 구의 일부를 뜻하지 않으며, 부드럽거나 완만한 모든 면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가이드부(25)에는 제1흡입공(27a)이 형성되어 있다. 제1흡입공(27a)의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제1흡입공(27a)의 크기는 가이드부(25)의 횡단면, 즉 튜브 본체(21)의 횡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튜브 본체(21) 및 제1흡입공(27a)의 형상이 원형이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입공(27a)의 직경은 튜브 본체(21)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이드부(25)의 라운드 표면의 안내 기능을 유지하면서 흡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입공(27a)은 가이드부(25) 또는 튜브 본체(21)와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조상 또는 사용상 필요에 따라 편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측면에서 볼 때 제1흡입공(27a)이 튜브 본체(21)의 횡단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외관을 갖게 된다.
가이드부(25)에 인접한 튜브 본체(21)의 영역에는 복수의 제2흡입공(27b)이 형성되어 있다. 제2흡입공(27b)의 수를 복수로 한 것은 흡입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복수의 제2흡입공(27b)은 다양한 위치에 분산 배치될 수 있으나, 튜브 본체(21)의 대향하는 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튜브 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각 쌍의 제2흡입공(27b)은 튜브 본체(21)의 원주 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90°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흡입 압력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데 유리하고, 또한 흡입 카테터의 제조시에도 한 번의 펀칭(punching)으로 한 쌍의 제2흡입공(27b)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카테터를 비강 내 분비물 흡입용으로 사용할 경우, 아이와 어른, 황인과 백인과 흑인 등 다양한 인간의 다양한 코의 크기를 고려할 때 제2흡입공(27b)은 가이드부(25)의 선단으로부터 튜브 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1cm 내지 3cm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특히 대략 2c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시술 결과를 도출함이 밝혀졌다. 또한 제2흡입공(27b)의 수는 2개 내지 8개의 범위에서 시술이 가능하고, 특히 6개일 때 가장 양호한 시술 결과가 나온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제2흡입공(27b)의 수가 1개일 때는 흡입 압력 분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개를 초과할 때는 흡입 압력의 분산이 과도하여 사실상 흡입 작용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비강 내 분비물 흡입에 사용되는 흡입 카테터의 경우, 튜브 본체(21)는 대략 2.5mm 내지 7mm의 외경과 대략 1mm 내지 5.5mm의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흡입공(27b)의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입 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본체(21)의 후단부에는 어댑터(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23)는 흡입 카테터 작동 시에 외부의 진공장치 등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흡입 카테터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형되거나 다른 보조기구와 결합되어 사용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흡입 카테터를 비강 내 분비물 흡입에 사용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이드부(25)를 선단부로 하여 사람의 코에 삽입하여 비강 속 3cm 내지 5cm 영역까지 집어넣는다. 다음에 어댑터(23)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장치를 작동하여 진공압을 걸어준다. 이에 따라 비강 내에 들어 있는 분비물이 제1흡입공(27a) 및 제2흡입공(27b)을 통해 흡입되어 튜브 본체(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가이드부(25)의 선단에 제1흡입공(27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25)는 가이드 기능뿐만 아니라 흡입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1흡입공(27a) 및 이로부터 적정 거리 이격된 제2흡입공(27b)에 의하여 흡입 압력이 분산되므로 비강 내의 부드러운 비점막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비강은 코 입구로부터 5cm 내지 12cm 정도의 길이를 형성하므로 깊은 비강에 이르기까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튜브 본체(21)를 더 깊이 삽입함으로써 분비물을 빼낼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비강 내 점액물질 흡입에 최적화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주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적용분야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도나 식도 등 다양한 체강 내의 분비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21: 튜브 본체
23: 어댑터
25: 가이드부
27a: 제1흡입공
27b: 제2흡입공

Claims (11)

  1. 흡입 카테터로서,
    튜브 본체와;
    상기 튜브 본체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라운드형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튜브 본체보다 크기가 작은 제1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튜브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내의 상기 튜브 본체의 영역에는 복수의 제2흡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공은 상기 가이드부의 단면과 동심 또는 편심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공은 상기 튜브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는 1cm 내지 3c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는 2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공의 수는 2개 내지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공의 수는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공은 상기 튜브 본체의 대향 면에 쌍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공의 각 쌍들은 상기 튜브 본체의 원주 상에서 서로 일정 각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각도는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카테터는 비강 내 분비물 흡입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카테터.
KR1020100069485A 2010-07-19 2010-07-19 흡입 카테터 KR20120008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85A KR20120008633A (ko) 2010-07-19 2010-07-19 흡입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85A KR20120008633A (ko) 2010-07-19 2010-07-19 흡입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33A true KR20120008633A (ko) 2012-02-01

Family

ID=4583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485A KR20120008633A (ko) 2010-07-19 2010-07-19 흡입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6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742B1 (ko) 2023-06-19 2023-11-14 백영진 음압을 방지하는 비강카테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742B1 (ko) 2023-06-19 2023-11-14 백영진 음압을 방지하는 비강카테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2570T3 (es) Sistema de aspiracion y de irrigacion de heridas profundas.
JP6498815B2 (ja) 副鼻腔炎治療用カテーテル
ES2926297T3 (es) Dispositivo de intubación para las vías respiratorias
US11229447B2 (en) Systems, instrum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sinuses
ATE440632T1 (de) Katheter mit verbesserter distaler spitze
US20060047285A1 (en) Insertion device for a body lumen
CN112020341B (zh) 吸引头
ES2951639T3 (es) Catéter de eyección nasal aplastable
EP2687250B1 (en) Nasal flushing device
CA2461992A1 (en) Diagnosis catheter for interstitial cystitis
KR20120008633A (ko) 흡입 카테터
ES2243309T3 (es) Dispositivo para el lavado o la irrigacion de la cavidad vaginal y el ostium uretra.
US20220110516A1 (en) Systems, instrum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a subject
JP2014018499A (ja) 鼻汁吸引器
CN104800943A (zh) 一种引流型喉罩
CN210750827U (zh) 一种鼻肠管
KR101614478B1 (ko) 코마개
WO2009005255A2 (en) Close adhesion pad for cupping glass
KR102603432B1 (ko) 비강 카테터
JP6586004B2 (ja) 鼻水吸引器
CN201040110Y (zh) 无创吸痰管
JP4832071B2 (ja) 麻酔装置
CN215961361U (zh) 肠梗阻导管套装
JP3221471U (ja) カテーテル
US20230218301A1 (en) Pharynx aspiration device for minimizing infectious particle exposure during endonasal surg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