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113U - 필기용 보드마카 - Google Patents

필기용 보드마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113U
KR20120008113U KR2020110004293U KR20110004293U KR20120008113U KR 20120008113 U KR20120008113 U KR 20120008113U KR 2020110004293 U KR2020110004293 U KR 2020110004293U KR 20110004293 U KR20110004293 U KR 20110004293U KR 20120008113 U KR20120008113 U KR 201200081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arker
casing
board
li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2020110004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113U/ko
Publication of KR20120008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 활동시 보드판에 필기를 하는 필기용 보드마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의 보드마카를 하나의 몸체에 내장하여 간편한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필기용 보드마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몸체에 다른 색상의 보드마카를 구비해두고 뚜껑을 돌리는 간편한 동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보드마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필기용 보드마카{Board marker}
본 고안은 학습 활동시 보드판에 필기를 하는 필기용 보드마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의 보드마카를 하나의 몸체에 내장하여 간편한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필기용 보드마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마카란 칠판에 분필로 쓰거나 지울 때 가루가 날리는 분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970년대 초 일본에서 화이트 보드와 함께 개발된 제품으로, 그 종류에 따라 케톤형 보드마카, 알코올형 보드마카, 수성 보드마카가 있다. 예컨대, 상기 케톤형 보드마카는 잉크 냄새가 매우 자극적이고 색상이 진한 특징이 있고, 알코올형 보드마카는 냄새가 약하고 잘 지워지는 것이 특징이며, 수성 보드마카는 냄새가 전혀 없으나 글씨를 지울 때 보드판이 지저분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보드마카는 초극세입자가 분산된 안료잉크가 사용되는 것으로, 시간이 경과되면 색소가 침전되어 사용시 색상이 흐려지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 경우 펜촉이 밑으로 가게 거꾸로 세워두면 다시 진해져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보드마카는 전술한 특징에 의해서 주로 학교, 학원, 사무실 등에서 강의용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된다.
한편, 상기 보드마카는 다양한 색상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들은 개별적으로 제공되므로 다른 색상으로 필기를 하고자 하면 여러 개의 보드마카를 구비해야 됨은 물론이고 필기시 원하는 색상에 맞는 보드마카로 교체해야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의 보드마카를 하나의 몸체에 내장하여 간편한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필기용 보드마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로 개방되되 내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된 이송로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상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출몰공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케이싱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및 상기 케이싱의 이송로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에 각기 다른 색상의 보드마카가 장착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에 탄성지지 되는 스프링과, 상기 이동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공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체의 중심과 뚜껑에 형성된 출몰공의 중심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보드마카를 상기 출몰공으로 출몰 작동시키는 출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몸체에 다른 색상의 보드마카를 구비해두고 뚜껑을 돌리는 간편한 동작에 의해 어느 하나의 보드마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용 보드마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용 보드마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용 보드마카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의 필기용 보드마카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필기용 보드마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용 보드마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용 보드마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기용 보드마카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필기용 보드마카는 크게 몸체(100) 및 출몰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몸체(100)는 상하로 개방되되 내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된 이송로(1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슬라이드공(114)이 형성된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 상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출몰공(122)이 형성된 뚜껑(120)과, 상기 케이싱(110) 하면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로(112)는 삼색의 보드마카를 구비할 수 있도록 3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이송로(112)는 횡방향으로는 구획되나 종방향으로는 관통된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하판(130)이 케이싱(110)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보드마카를 교체하거나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출몰수단(200)은 상기 케이싱(110)에 형성된 이송로(112)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에 각기 다른 색상의 보드마카(240)가 장착되는 이동체(210)와, 상기 이동체(210)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130)에 탄성지지 되는 스프링(220) 및 상기 이동체(210)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공(114)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손잡이(230)는 상기 케이싱(110)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14)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220)의 탄성력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230)는 스프링(22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이동체(210)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210)의 상측에는 보드마카(240)가 장착되는데, 이동체(210)마다 각각 상이한 색상의 보드마카(24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3개의 이송로(112)에 각각 설치된 이동체(210)에 검정색, 파란색, 빨간색의 보드마카(240)가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드마카(240)를 직접 스프링(220)에 안치할 수도 있으나 보드마카(24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이동체(210)를 매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몸체(100) 및 출몰수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즉, 케이싱(110)의 내부에 형성된 이송로(112)에는 출몰수단(200)의 이동체(21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체(210)의 하측은 스프링(220)을 매개로 케이싱(110) 하면에 결합되는 하판(130)에 탄성 지지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210)는 비록 스프링(2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더라도 그 일측에 구비되어 케이싱(110)의 슬라이드공(114)으로 돌출된 손잡이(230)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됨은 당연하며, 상기 이동체(210)의 상측에는 보드마카(240)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보드마카(240)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싱(110) 상측에 결합되는 뚜껑(120)에 의해서 하향 밀착되어 이송로(112) 내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 이동체(2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손잡이(230)는 뚜껑(120)이 보드마카(240)의 상단부를 하향 밀착함에 따라 슬라이드공(114)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스프링(220)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20)은 케이싱(110)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된 환홈(116)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알 수 있는데, 뚜껑(120) 및 케이싱(110)을 탄성력 있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형성하여서 필요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싱(110)으로부터 뚜껑(120)을 분리한 뒤 이송로(112) 내에 위치하고 있는 보드마카(240)를 교체할 수도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필기용 보드마카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의 필기용 보드마카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뚜껑(120)에 형성된 출몰공(122)이 케이싱(110)에 형성된 이송로(112)와 수직선상에서 일치하지 않게 됨에 따라 출몰수단(200) 즉, 이동체(210)의 상측에 결합된 보드마카(240)는 뚜껑(120)에 의해 하향 밀착되어 이송로(112)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체(210) 하측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20)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필기를 위해 "나"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뚜껑(120)을 회전시켜 케이싱(110)의 이송로(112)와 중심을 수직선상에서 일치시키게 되면 뚜껑(120)이 더 이상 보드마카(240)를 구속하지 않게 되므로 이동체(210)의 하측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20)이 인장되면서 이동체(210)를 상측으로 밀게 되고, 곧 이동체(210)의 상측에 결합된 보드마카(240)는 뚜껑(120)의 출몰공(12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210)는 그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230)가 슬라이드공(114)의 상측에 걸리게 되므로 스프링(220)의 인장에 의해서도 일정 거리 이동되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보드마카(240)만 뚜껑(120) 상측으로 돌출시킨 후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기가 끝나면 케이싱(110)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14)으로 돌출된 손잡이(230)를 하향시키면서 뚜껑(120)을 다시 회전시켜 이송로(112)와 뚜껑(120)의 출몰공(122)을 수직선상에서 어긋나게 위치시키게 되면 "가"와 같이 보드마카(240)는 이송로(112)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싱(110)에 형성된 각각의 이송로(112)에 구비되는 보드마카(240)를 다른 색상으로 구비하게 되면 하나의 몸체(100)에서 선택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보드마카(24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몸체 110 : 케이싱
112 : 이송로 114 : 슬라이드공
116 : 환홈 120 : 뚜껑
122 : 출몰공 130 : 하판
200 : 출몰수단 210 : 이동체
220 : 스프링 230 : 손잡이
240 : 보드마카

Claims (1)

  1. 상하로 개방되되 내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된 이송로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상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출몰공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케이싱 하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및
    상기 케이싱의 이송로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에 각기 다른 색상의 보드마카가 장착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에 탄성지지 되는 스프링과, 상기 이동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공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체의 중심과 뚜껑에 형성된 출몰공의 중심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보드마카를 상기 출몰공으로 출몰 작동시키는 출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용 보드마카.
KR2020110004293U 2011-05-18 2011-05-18 필기용 보드마카 KR201200081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93U KR20120008113U (ko) 2011-05-18 2011-05-18 필기용 보드마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93U KR20120008113U (ko) 2011-05-18 2011-05-18 필기용 보드마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13U true KR20120008113U (ko) 2012-11-28

Family

ID=4751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293U KR20120008113U (ko) 2011-05-18 2011-05-18 필기용 보드마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11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781B1 (ko) * 2013-07-24 2014-12-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방지수단이 구비된 다색 필기구
KR20180016020A (ko) * 2016-08-05 2018-02-14 김경민 삼 색 리필 사인펜
WO2019022372A1 (ko) * 2017-07-27 2019-01-31 남명석 3색 마카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781B1 (ko) * 2013-07-24 2014-12-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방지수단이 구비된 다색 필기구
KR20180016020A (ko) * 2016-08-05 2018-02-14 김경민 삼 색 리필 사인펜
WO2019022372A1 (ko) * 2017-07-27 2019-01-31 남명석 3색 마카펜
CN110944848A (zh) * 2017-07-27 2020-03-31 南明锡 3色马克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2906B2 (en) Multicolor writing instrument with automatic return function
KR20120008113U (ko) 필기용 보드마카
CN202456938U (zh) 自动粉笔盒
CN103568636A (zh) 一种带墨盒的毛笔
CN210416005U (zh) 一种便携式小学语文教学板
CN204296285U (zh) 一种荧光水彩笔
CN202541191U (zh) 一种多功能调色盘
CN207955163U (zh) 一种艺术设计用工具盒
CN202904497U (zh) 可改变笔触软硬度的笔形输入设备
CN105966128A (zh) 无尘板擦
CN210122024U (zh) 一种美术教师用素描器
CN110356145B (zh) 一种笔
CN201808319U (zh) 多功能多色笔
CN205358598U (zh) 一种教学套盒
CN202573411U (zh) 一种带防污壁的蜡笔
KR20160008075A (ko) 다양한 형광색을 구비한 필기도구
KR200430437Y1 (ko) 접철식 화이트 보드
KR200466619Y1 (ko) 리필 가능한 다용도 필기구
KR200172761Y1 (ko) 화이트보드 칠판
CN202122232U (zh) 一种文具盒
CN209514921U (zh) 一种用于大学教学的多功能教学杆
CN109835086A (zh) 通过摄像头取色的自调色喷墨彩笔
CN211166092U (zh) 一种便于书写修改的办公白板笔
KR200232173Y1 (ko) 학습판
CN201777030U (zh) 一种圆珠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