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980A - 개량된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개량된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980A
KR20120007980A KR1020110069410A KR20110069410A KR20120007980A KR 20120007980 A KR20120007980 A KR 20120007980A KR 1020110069410 A KR1020110069410 A KR 1020110069410A KR 20110069410 A KR20110069410 A KR 20110069410A KR 20120007980 A KR20120007980 A KR 2012000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valleys
shoe
outsole
referenc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네 보렐
벤자민 그레네트
Original Assignee
살로몬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살로몬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살로몬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0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6Running shoes; Track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1)은 1개의 아웃솔(2)과 1개의 갑피(9)를 포함하되, 아웃솔(2)은 후단(3)에서 전단(4)까지 세로로, 바깥쪽 에지(5)와 안쪽 에지(6) 사이에 가로로 뻗어있고, 아웃솔(2)은 바닥과 닿는 접지면(20)을 갖고 있다.
접지면(20)에는 제 1 라인(21)이 있고 제 1 라인(21)은 돌기(31 내지 36)와 골(41 내지 45)이 번갈아 배치된다. 또한, 접지면(20)에 제 2 라인(22)이 있고 제 2 라인(22) 역시 돌기(51 내지 57)와 골(61 내지 66)이 번갈아 배치된다. 한편, 제 1 라인(21)의 돌기(31 내지 36)와 골(41 내지 45)은 제 2 라인(22)의 돌기(51 내지 57)와 골(61 내지 66)과 번갈아 배치된다.

Description

개량된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SHOES WITH AN IMPROVED OUTSOLE}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신발은 운동을 위한 보행이나 일반적 보행, 평지나 산지에서의 주행, 등산, 또는 스케이트보드, 구기 스포츠 또는 기타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신발은 목 짧은 갑피(upper)나 긴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신발은 또한 상대적으로 유연하여 잘 구부러지거나 반대로 딱딱할 수도 있다. 하나, 그 신발은 그것의 일반적인 외관이나 실제 기능이 어떠하든 간에 분명 사용자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다. 특히, 첫째, 그 신발은 발의 전개가 용이하다. 이는 예컨대 평지에서 발이 자유롭고 규칙적으로 전개됨을 의미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보행이나 주행을 하는 동안 발의 매 동작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그 신발은 지면과 충분히 밀착한다. 이는 곧, 사용자가 지면과 발 사이의 지지력, 충격 또는 감각 정보 전달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시의 미끄럼을 방지해준다는 뜻이다.
물론 이전 기술은 용이한 전개와 충분한 밀착력을 얻기 위한 수많은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그 중에서도 아웃솔(outsole)에 지면과 닿는 접지면이 있고, 그 접지면에 작은 크기의 돌기들이 있는 신발을 제조하는 방식은 특히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개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이유는 돌기 사이의 공간들이 아웃솔의 자유로운 굴절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돌기들이 골고루 분포하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발의 규칙적인 전개를, 다른 한편으로는 평지에서의 충분한 밀착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신발은 특히 보행 또는 예컨대 경기장에서의 주행에 적합하다. 하지만, 이 신발이 수많은 상황에서 발의 자유롭고 규칙적인 전개와 충분한 밀착을 보인다 해도 모든 경우에 있어 그리 하진 못한다.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는 충분한 밀착이 되지 못한다. 산, 혹은 시골이나 숲에서 만나게 되는 울퉁불퉁한 땅이나 바위 또는 다른 장애물이 있는 경우가 특히 그러하다. 실제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신발창과 지면 사이의 접촉면이 너무 적어 충분한 밀착이 되지 못한다.
다른 신발들도 있지만, 특정 지형에 맞춰진 것들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 4,130,947호에 의하면 아웃솔의 접지면에 연속된 가로 홈이 있다. 이들 가로 홈은 수 밀리미터에 이르는 상당한 깊이를 갖는다. 그래서 무른 땅이나 눈 위에서의 결착이 용이하다. 이들 홈의 경우 횡 강성(transverse rigidity)을 증대시키고 종 연성(longitude flexibility)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신발은 완전히 자유롭고 규칙적인 발의 전개를 보장해주진 못한다. 실제로, 아웃솔이 횡축을 따라서 세로로 구부러질 가능성은 부분부분 다르다. 연성의 경우도 하나의 홈에서는 크지만 두 홈 사이에서는 감소된다. 그 이유는 홈의 존재로 인한 아웃솔의 두께 변화 때문이다. 그 결과 아웃솔에서 강성 횡대(transverse zone)와 연성 횡대가 번갈아 나타나게 된다. 그리 되면 신발창의 전개와 그에 따른 발의 전개가 방해를 받아 불규칙해지는 것이다. 게다가, 두꺼운 부분이 두 홈 사이에 포함됨으로써 더 많은 응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보행 또는 주행과 관계된 에너지 효율은 저하된다. 아울러 홈에 위치한 얇은 부분의 피로파괴 위험 또한 유의해야 한다.
기존의 신발 가운데 접지시 아웃솔의 자유롭고 규칙적인 전개, 평탄지(regular soil)에서의 충분한 밀착과 비 평탄지(irregular soil)에서의 밀착 또는 결착 능력을 두루 갖춘 것은 없는 것 같다. 즉, 기존의 신발은 다기능적이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특화되어 있었다.
그에 비해, 본 발명은 이전 기술에 의한 신발들의 개량을 일반적 목적으로 삼는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 가운데 하나는 접지시 아웃솔의 자유롭고 규칙적인 전개, 평탄지에서의 충분한 밀착과 비 평탄지에서의 밀착 또는 결착 능력을 단 하나의 신발에 결집시키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이 하나의 신발을 다기능화 함으로써 모든 상황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뜻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같은 다기능성을 폭넓게 변화시킴으로써, 이른바 마른 땅과 같이 예측 가능한 경우뿐 아니라 축축하거나 습하거나 오염된 땅에서도 다기능성을 획득하는 데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아웃솔에 어느 정도의 완충 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웃솔의 거동을 실제 기능에 따라서 접지면의 전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의적 부분에 최적화시키려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행 또는 주행과 관계된 감각 정보나 충격 전달시 그 정확도를 높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아웃솔의 부피를 가급적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1개의 아웃솔과 1개의 갑피(upper)를 포함하되, 아웃솔이 후단에서부터 전단까지는 세로로, 그리고 바깥쪽 에지(edge)와 안쪽 에지 사이에 가로로 뻗어있으며, 아웃솔이 바닥과 닿는 접지면을 가진 신발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은, 접지면에 제 1 라인이 있고 제 1 라인은 돌기와 골이 번갈아 배치되며, 접지면에 제 2 라인이 있고 제 2 라인 역시 돌기와 골이 번갈아 배치되는 한편, 제 1 라인의 돌기와 골은 제 2 라인의 돌기와 골과 번갈아 배치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라인은 1개의 돌기와 1개의 골이 있는 1개의 기준 섹션을 포함하고, 제 2 라인 역시 1개의 돌기와 1개의 골이 있는 1개의 기준 섹션을 포함하되, 제 1 라인의 기준 섹션에 있는 돌기는 제 2 라인의 기준 섹션에 있는 골과 이웃해 있으며, 제 1 라인의 기준 섹션에 있는 골은 제 2 라인의 기준 섹션에 있는 돌기와 이웃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두 라인의 수평 방향으로 돌기와 골이 번갈아 배치되고, 두 라인의 수직방향으로 돌기와 골이 번갈아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후, 하나의 라인이 접지면의 분할부(subdivision)에 부합하되, 그 라인은 일직선으로 곧게 뻗거나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로 신발의 세로 방향이나 또 다른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것을 잘 알게 될 것이다. 물론, 전술한 교대 배치는 본 발명에 의한 돌기와 골이 있는 접지면의 분할부에 실시한다. 따라서, 접지면이 복수의 분할부를 포함하거나 전체가 분할부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하나의 분할부에서, 돌기는 아웃솔의 전개 방향과 상관없이 편평한 지면과 번갈아 접촉하게 된다. 이는 아웃솔이 라인 방향으로 전개되는 경우 제 1 라인에 있는 1개의 돌기가 지면과 접촉하고, 다음으로 제 2 라인에 있는 1개의 돌기가 지면과 접촉한 후에는 제 1 라인에 있는 또 1개의 돌기가 지면과 접촉하는 식으로 계속 이어진다는 뜻이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모든 전개 방향을 따라 일어나게 된다. 그럼으로써 아웃솔의 전개와 그에 따른 발의 전개가 규칙적이고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아울러, 지면에 대한 밀착도 충분해지는데 그 이유는 지지력에 있어 하나의 돌기에서 다른 돌기로의 이행이 규칙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또한, 아웃솔이 전개될 때 아웃솔의 접지 상태가 지속됨을 관찰할 수 있다.
많든 적든 바위로 뒤덮인 산지에서와 같은 비 평탄지의 경우 지면의 돌출부가 골과 협력하게 된다. 실제로, 이러한 돌출부는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골 안에 들어박히게 된다. 이들 골은 돌기들 사이에 한정하고 있는 각 개구(開口)의 표면적에 비해 넓은 접촉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골 부분에서 밀착도가 증가하였음을 목격할 수 있다. 게다가, 골은 지면의 돌출부와 아웃솔 사이에 장애가 되는 결합을 만들게 된다. 그 결과, 이전 기술에 의한 신발들에 비해서 비 평탄지에서의 밀착 및/또는 결착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질퍽거리는 땅에서도 마찬가지인데 그 이유는 골이 거대한 갈고리판 구실을 하여 진흙이 매우 쉽게 빠지기 때문이다.
끝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의 경우 아웃솔이 평탄지에 규칙적이고 자유로이 전개되며, 이 지면에 충분히 밀착되는 한편, 비 평탄지에도 밀착 또는 결착 된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이 다기능적이며 편평한 곳이든 울퉁불퉁한 곳이든 지면에 잘 밀착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은 이전 기술에 의한 신발에 비해서 결착 능력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이점에 관해서는, 비제한적인 여러 실시 형태에 따라 실시 방법을 보여주는 다음의 별첨 도면을 기초로, 앞으로 이어질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신발의 저면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신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의한 신발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절단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V-V 절단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절단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VII-VII 절단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 도 4와 유사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 도 5와 유사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 신발의 저면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의한 신발의 저면도.
제 1 실시예는 앞으로 기술하겠지만 특별히 보행이나 주행시 또는 울퉁불퉁한 땅에 적합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의 신발 같은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을 기초로 아래에서 기술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듯이, 보행용 신발은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돼 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신발(1)은 아웃솔(2)을 포함하되, 전기의 아웃솔은 후단(3)에서 전단(4)까지 세로방향 L을 따라서, 그리고 바깥쪽 에지(5)에서 안쪽 에지(6)까지는 가로방향 W를 따라서 전개된다. 아웃솔(2)은 후족부 또는 굽(7)과 함께 전족부(8)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아웃솔(2)은 굽(7)과 전족부(8)가 서로 이어지는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돼 있다. 그렇지만 이들 두 부분(7,8)은 서로 분리하여 간격을 둘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신발(1)은 아웃솔 위에 배치된 갑피(9)를 포함한다. 갑피(9)는 앞서 표현한 바와 같이, 상부는 제외하고 발을 둘러싸는 하부(10) 만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 갑피에 상부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갑피(9)는 특히 바깥쪽 쿼터(lateral quarter, 12), 안쪽 쿼터(medial quarter, 13) 및 설포(tongue, 14) 등을 포함하고 있다. 갑피(9)에 연속성을 주기 위해 설포(14)는 쿼터(12,13)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렇지만, 설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경우, 쿼터(12,13)는 서로 분리하거나 포갠 상태로 둘 수 있다.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지는 않지만 체결 장치의 경우 갑피(9)를 역전 가능하게(reversible) 조이도록 한다. 하나, 신발(1)의 경우 체결 장치가 없어도 된다.
갑피의 구조가 어떠하든 간에, 아웃솔(2)은 지면과 닿는 접지면(20)을 가진다. 접지면(20)에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라인(21,22,23,24,25)이 있다. 하나의 라인은 접지면(20)의 분할부(subdivision)로서, 가로 보다 세로가 더 길다. 라인은 하나의 신장된 분할부이긴 하나,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곡선으로 표현되는 분할부 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라인은 직사각형처럼 곧게 뻗은 일직선이거나, 예컨대 알파벳 대문자 C나 S처럼 안쪽으로 휘어진 형태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으로, 접지면(20)에는 적어도 제 1 라인(21)과 제 2 라인(22)이 있다. 접지면(20)이 제 3 라인(23), 제 4 라인(24), 제 5 라인(25),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어서 알게 될 것이다.
제 1 라인(21)은 예컨대 전단(4)과 후단(3) 사이에 교대로 배열되는 돌기(31,32,33,34,35,36)와 골(41,42,43,44,45)을 포함하고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 제 1라인(21)의 경우 1개의 돌기(32)와 1개의 골(41)이 있는 1개의 기준 섹션(47)을 포함한다. 물론 기준 섹션(47)의 돌기(32)와 골(41)은 라인(21)을 따라 차례로 번갈아가며 배열됨으로써 서로 이웃하게 된다. 상세한 기술을 돕기 위해 이 섹션(47)을 선택한 이유는 도면상에서 잘 보이기 때문이다.
같은 취지에서 제 2 라인(22)은 예컨대 전단(4)과 후단(3) 사이에 번갈아 배열되는 돌기(51,52,53,54,55,56,57)와 골(61,62,63,64,65,66)을 포함하고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 제 2 라인(22)의 경우 1개의 돌기(52)와 1개의 골(62)이 있는 1개의 기준 섹션(67)을 포함한다. 물론 거기에서 기준 섹션(67)의 돌기(52)와 골(62)은 라인(22)을 따라 차례로 번갈아가며 배열됨으로써 서로 이웃하게 된다. 이 섹션 역시 도면상에서 잘 보인다는 이유로 선택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라인(22)은 제 1 라인(21)과 인접해 있고, 제 1 라인(21)의 기준 섹션(47)에 있는 돌기(32)는 제 2 라인(22)의 기준 섹션(67)에 있는 골(62)과 이웃해 있으며, 제 1 라인(21)의 기준 섹션(47)에 있는 골(41)은 제 2 라인(22)의 기준 섹션(67)에 있는 돌기(52)와 이웃해 있다.
제 1 라인(21) 및 제 2라인(22)의 기준 섹션(47,67)들을 포함하고 있는 접지면(20) 분할부에서, 라인(21,22)과 수평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돌기와 골은 물론, 상기 라인(21,22)과 수직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돌기와 골을 볼 수 있다. 이 분할부에서 아웃솔(2)은 평탄지 상에 규칙적이고 자유로이 전개되어 이 지면에 충분히 밀착되는 반면, 비 평탄지에는 가역적(reversible)으로 밀착 또는 결착된다. 이 분할부에서는 적어도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이 다기능적이라 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비제한적으로, 접지면(20)이 제 3 라인(23)을 가진다. 이 제 3라인(23)은 예컨대 전단(4)과 후단(3) 사이에 번갈아 배치되는 돌기(71,72,73,74,75,76)와 골(81,82,83,84,85)을 포함하고 있다. 제 3 라인(23)은 1개의 돌기(72)와 1개의 골(81)이 있는 1개의 기준 섹션(87)을 포함한다. 물론 기준 섹션(87)의 돌기(72)와 골(81)은 라인(23)을 따라 서로 이웃해 있다. 이 기준 섹션(87)이 고려 대상이 되었던 이유는 도면상에서 잘 보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과 같은 취지에서, 제 3 라인(23)은 제 2 라인(22)과 인접해 있고, 제 2 라인(22)의 기준 섹션(67)에 있는 돌기(52)는 제 3 라인(23)의 기준 섹션(87)에 있는 골(81)과 이웃해 있으며, 제 2 라인(22)의 기준 섹션(67)에 있는 골(62)은 제 3 라인(23)의 기준 섹션(87)에 있는 돌기(72)와 이웃해 있다.
제 2 라인(22) 및 제 3 라인(23)의 기준 섹션(67,87)들을 포함하고 있는 접지면(20) 분할부에서, 라인(22,23)과 수평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돌기와 골은 물론, 상기 라인(22,23)과 수직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돌기와 골을 볼 수 있다. 이 분할부에서 아웃솔(2)은 평탄지 상에 규칙적이고 자유로이 전개되어 이 지면에 충분히 밀착되는 반면, 울퉁불퉁한 지면에는 가역적(reversible)으로 밀착 또는 결착된다. 이 분할부에서는 적어도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이 다기능적이라 할 수 있다.
대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접지면(20)은 정확히 3개의 라인(21,22,23)만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더도 덜도 필요치 않음을 뜻한다. 결국 라인(21,22,23)은 접지면(20) 전체에 걸쳐 뻗어 있는 셈이다. 예컨대 제 1라인(21)은 바깥쪽에, 제 2라인(22)은 중앙부에, 그리고 제 3라인(23)은 안쪽에 있다. 이는 지면과의 밀착 및 전개 능력을 최적화함으로써 그것이 접지면(20) 전체에 고루 발휘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최적화를 위해서, 제 1 라인(21)은 복수의 섹션(47)을, 제 2 라인(22)은 복수의 섹션(67)을, 그리고 제 3 라인(23)은 복수의 섹션(87)을 각기 포함하고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 1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시 한다.: 제 1 라인(21)에는 5개의 골(41,42,43,44,45)이, 제 2 라인(22)에는 6개의 골(61,62,63,64,65,66), 그리고 제 3 라인(23)에는 5개의 골(81,82,83,84,85)이 있다. 고로, 당연히 제 1 라인(21)에는 6개의 돌기(31,32,33,34,35,36)가, 제 2 라인(22)에는 7개의 돌기(51,52,53,54,55,56,57)가, 그리고 제 3 라인(23)에는 6개의 돌기(71,72,73,74,75,76)가 있다. 이때 돌기와 골은 각 라인을 따라서 교대로 분산 배치함과 아울러 각 라인의 수직방향으로 번갈아가며 분산 배치해야 한다. 실제로, 돌기와 골은 접지면(20) 전체에 걸쳐 바둑판식으로 분산 배치된다.
한편 제 1 라인(21), 제 2 라인(22) 및 제 3 라인(23)은 신발(1)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가게 되는데, 이는 아웃솔(2)의 세로 방향이기도 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 같이 방향을 정함으로써, 전진 보행 또는 주행시 발이 자연스레 전개되는 동안 아웃솔(2)이 복원력을 갖도록 한다.
추가로, 제 1 라인(21)의 골(41 내지 45)은 각기 제 3 라인의 골(81 내지 85)과 수평으로, 다시 말해 아웃솔(2)의 가로방향 W를 따라 정렬돼 있음을 볼 수 있다. 고로, 당연히 제 1 라인(21)의 돌기(31 내지 36)는 각기 제 3 라인(21)의 돌기(71 내지 76)와 현저히 수평으로 정렬하게 된다. 그 때문에, 특히 지면이 편평한 경우 바닥을 딛고 있을 때의 가로 복원력(transverse stability)이 커진다. 반면, 울퉁불퉁한 땅에서는 가로 결착력이 좋다. 실제로, 중앙 라인(22)의 각 골은 바깥쪽 라인(21)과 안쪽 라인(23) 각각의 바깥쪽 돌기와 안쪽 돌기에 의해 한정된다. 결국, 각 골(61 내지 66)은 오로지 접지면(20) 쪽으로 개방된 아웃솔(2)의 공동(空洞)인 셈이다. 따라서, 암벽의 돌출부처럼 지면의 울퉁불퉁한 부분이 중앙 라인(22)의 골 내부에 자리하는 경우, 아웃솔(2)의 횡방향 미끄러짐이 때로는 바깥쪽 돌기에 의해, 또 때로는 안쪽 돌기에 의해 방지된다. 사실상 바깥쪽 또는 안쪽 돌기 각각은 일종의 횡방향 멈추개인 셈이다. 그래서 신발(1)은 산악 주행에 특히나 효과적인데, 그 이유는 가로방향으로 불시에 밀착력이 상실되는 일은 흔치 않을 뿐만 아니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크기 면에서는, 예컨대 제 1 라인(21)의 너비가 아웃솔(2) 너비의 5% 내지 30%이고, 제 2 라인(22)의 너비는 아웃솔(2) 너비의 20% 내지 80%이며, 제 3 라인(23)의 너비는 아웃솔(2) 너비의 5% 내지 30% 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중앙 라인(22)의 경우 바깥쪽 라인(21)과 안쪽 라인(23)보다 더 넓다. 이로써 얻어지는 이점은 울퉁불퉁한 땅에서의 가로 결착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경우 제 1 라인(21), 제 2 라인(22) 및 제 3 라인(23) 각각의 길이를 아웃솔(2) 길이의 85% 내지 100%로 한다. 이는 대개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밀착력과 전개성을 최적화하기 위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제 1 라인(21), 제 2 라인(22) 및 제 3라인(23) 각각의 길이가 아웃솔(2) 길이의 50% 내지 100%일 때 만족스러운 결과가 관찰되었다.
비제한적으로 제 1 라인(21) 및 제 3 라인(23)은 각각 뒷축(93) 및 앞축(94)을 지나 후단(3) 및 전단(4)에서 서로 이어지도록 한다. 이는 결국 바깥쪽 라인(21) 및 안쪽 라인(23)이 후단(3) 및/또는 전단(4)에서 서로 이어진다는 말이다. 마지막으로, 바깥쪽 라인(21), 뒷축(93), 안쪽 라인(23) 및 앞축(94) 등은 접지면(20) 주위를 빙 두르는 일종의 띠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웃솔(2)의 전개가 보다 규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후단(3) 또는 전단(4)에 뒷축(93) 또는 앞축(94) 가운데 단 한개 만을 고려해 넣거나, 그 어느 쪽도 고려해 넣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라인(21)의 너비가 일정하고, 제 3 라인(23)의 너비도 일정한데, 제 2 라인(22)의 너비는 가변적이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제 2 라인 또는 중앙 라인(22)은 전반적으로 후족부(7)보다 전족부(8)에서의 너비가 더 넓다. 그렇기 때문에 전방으로의 가로 결착력이 커지게 된다. 이로써 얻어지는 이점은, 특히 울퉁불퉁한 땅에서 발의 중족골 부분이 심하게 눌릴 때 아웃솔(2)의 복원력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그 점에서 신발은 산악 주행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럼에도 있을 수 있는 성능에 대한 우려 때문에, 아웃솔(2)은 가벼우면서도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에도 잘 견디도록 하였다. 실제로 아웃솔(2)은 지면과 접촉하는 마모층(95)과, 이 마모층(95)을 신발(1)의 나머지 부분과 연결해주는 연결층(96)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마모층(95)이 접지면(20)을 한정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마모층(95)은 예컨대 고무나 그에 상당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층(96)의 경우는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비제한적으로 일종의 완충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결층(96)은 EVA로 약칭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발포제 같은 저밀도 합성소재를 포함한다.
각 층(95,96)은 아웃솔(2) 전체에 걸쳐 전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지면(20) 전체에 완충력과 결합된 밀착력이 부여되는 것이다.
물론, 아웃솔(2)은 2개 이상의 층 및/또는 보조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 전체를 기초로 이해할 수 있듯이,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아웃솔(2)은 두께(t)가 대체로 일정한 마모층(95)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웃솔(2)의 제조가 용이하고 그 중량을 최대한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대체로 일정하다는 표현은, 축축하게 젖은 지면에서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작은 돌기를 추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마모층(95)이 일정한 두께를 가짐을 의미한다. 실제로 각 돌기(31 내지 36, 51 내지 57, 71 내지 76)에는 대부분 기준 돌출부(97)가 있다. 예컨대 V자형의 돌출부인 경우 두께가 0.5mm 내지 7mm로 작은 편이며, 그 두께가 1mm 내지 3mm일 때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들 돌출부(97)는 특히 편평한 지면과 협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골이 필요 없다. 즉, 이들 골(41 내지 45, 61 내지 66, 81 내지 85)은 대부분 편평할 뿐 아니라 매끄럽기까지 한 표면을 가진다. 이는, 골이 울퉁불퉁한 땅의 돌출부와 협력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당연한 결과이다.
한편, 돌기(31 내지 36, 51 내지 57, 71 내지 76)는 대부분 편평한, 다시 말해 돌출부(97)가 전혀 없는 표면을 갖는다는 사실을 도중에 관찰할 수 있다. 이 경우 신발(1)은 편평한 곳이든 울퉁불퉁한 곳이든 마른 땅에서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돌출부(97)와는 독립적으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아웃솔(2)이 두께(t)가 0.5mm 내지 5mm인 마모층(95)을 포함한다는 사실이 관찰되는데, 그 두께가 1mm 내지 3mm일 때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도 4 내지 도 7을 기초로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겠지만, 섹션과 같은 너비를 가진 접지면(20)의 가로 분할부에 있어서 돌기(32,52,53,72)의 꼭지점은 한 평면상에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돌기의 각 꼭지점은 접지면(20)의 편평한 전개면 안에 표시된다. 물론 이 때문에 아웃솔(2)과 그에 따른 발의 규칙적인 전개가 가능해진다.
특히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완충층(96)이 가로방향, 다시 말해 바깥쪽 에지(5)에서 안쪽 에지(6)까지 연속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마모층(95)의 경우는 분할돼 있다. 더 정확히 말해서 마모층(95)과 독립적인 분할부가 각 라인(21,22,23)에 부합한다. 이 때문에 마모층(95)이 처음에는 편평한 모양을 가진다 하더라도 돌출된 접지면(20)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차차 알게 되겠지만, 마모층(95) 전체를 단일편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 전체를 기초로, 그리고 특히 도 6 및 도 7의 비교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듯이, 대부분의 골은 둥근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제 1 라인(21)의 첫 번째 골은 오목한 바닥면(100)과 볼록한 내벽(101,102)을 갖는데, 이들 내벽은 바닥면(100)을 같은 라인의 돌기(31,32)와 결합시킨다. 이로써 아웃솔(2)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울퉁불퉁한 땅에서의 지지력과 평지 또는 평탄지에서의 지지력 간의 이행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도 8 내지 도 12를 기초로 다음에서 제시하고 있다. 편의상 같은 기준에 의해 제 1 실시예와 공통된 요소들을 지정하였다. 그 결과 기본적으로 몇 가지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맨 처음에 도 8 및 도 9를 기초로 언급했던 것은 제 2 실시예이다. 실제로 도 4 및 도 5를 통해 2개의 횡 단면도를 재발견하였다. 여기에서 아웃솔(2)의 마모층(105)이 바깥쪽 에지(5)에서부터 안쪽 에지(6)까지 연속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결국 마모층(105) 전체가 단일편이라는 말이다.
제 3 실시예는 도 10을 통해 제시되었다.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신발(1)의 아웃솔(2)에는 제 1 라인(21), 제 2 라인(22) 및 제 3 라인(23)이 있다. 이 실시예의 특징이라면 1개 또는 복수 개의 골(62 내지 66)이 분할되어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주로 제 2 라인(22)의 골(62 내지 66)이 얇은 내벽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제 2 라인(22)의 두 번째 골(62)에서 111, 112로 명기된 것이 그것이다. 이들 내벽(111,112)은 탄력적인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발의 전개시 아웃솔(2)의 변형이 일어났다가 다시 탄성 회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발의 전개와 관련된 에너지를 축적함으로써 전개가 끝났을 때 에너지를 회복할 수 있다. 고로, 신발과 발의 재활성화가 보다 잘 이뤄지게 된다.
제 4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를 통해 지금 제시하고자 한다. 이 실시예는 접지면(20)이 또 다시 제 1 라인(21), 제 2 라인(22) 및 제 3 라인(23)을 가질 경우, 접지면(20)은 제 4 라인(24)도 함께 포함하되, 제 4 라인(24)에는 돌기(121 내지 124)와 골(131 내지 133)이 번갈아 배치되며, 접지면(20)은 또한 제 5 라인(25)도 포함하되, 제 5 라인(25)에는 돌기(141 내지 145) 및 골(151 내지 154)이 번갈아 배치되는 한편, 주어진 라인의 돌기와 골이 이웃 라인의 돌기와 골과 번갈아 배치된다. 이때 라인(21 내지 25)이 서로 연접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제 1 라인(21), 제 2 라인(22), 제 3 라인(23), 제 4 라인(24) 및 제 5 라인(25)은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다. 여기에서 제 1 라인(21)은 바깥쪽, 제 2 라인(22), 제 3 라인(23) 및 제 4 라인(24)은 중앙부, 그리고 제 5 라인(25)은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제 1 라인(21)에는 4개의 골(161 내지 164), 제 2 라인(22)에는 3개의 골(171 내지 173), 제 3 라인(23)에는 4개의 골(181 내지 184), 제 4 라인(24)에는 3개의 골(131 내지 133), 그리고 제 5 라인(25)에는 4개의 골(151 내지 154)이 있다. 마지막으로, 제 4 실시예에 의한 신발(1)은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방침을 채택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신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인당 골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매우 다기능적이라 할 수 있는데, 신발(1)은 울퉁불퉁한 구간보다 편평한 구간을 좀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혼합 코스의 경우에 적합하다.
어쨌든 본 발명은 여러 재료를 갖고 숙련된 전문가에게 잘 알려져 있는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물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로 그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다음에 오게 될 청구범위 에 포함될 수 있는 그에 상당한 모든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라인의 개수는 달리할 수 있다. 라인의 폭에 따라서, 다양한 골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돌기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골 또는 그중 상당수는 마모층이 전부 또는 일부 없어도 된다.

Claims (24)

1개의 아웃솔(2)과 1개의 갑피(9)를 포함하는 신발(1)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2)은 후단(3)에서 전단(4)까지 세로로, 바깥쪽 에지(5)와 안쪽 에지(6) 사이에 가로로 뻗어있으며, 아웃솔(2)은 바닥과 닿는 접지면(20)을 가진 것으로, 접지면(20)에 제 1 라인(21)이 있고, 제 1 라인(21)은 돌기(31 내지 36)와 골(41 내지 45)이 번갈아 배치되며, 접지면(20)에 제 2 라인(22)이 있고, 제 2 라인(22) 또한 돌기(51 내지 57)와 골(61 내지 66)이 번갈아 배치되는 한편, 제 1 라인(21)의 돌기(31 내지 36)와 골(41 내지 45)은 제 2 라인(22)의 돌기(51 내지 57)와 골(61 내지 66)과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은 1개의 돌기(32)와 1개의 골(41)이 있는 1개의 기준 섹션(47)을 포함하고, 제 2 라인(22) 또한 1개의 돌기(52)와 1개의 골(62)이 있는 1개의 기준 섹션(67)을 포함하며, 제 1 라인(21)의 기준 섹션(47)에 있는 돌기(32)는 제 2 라인(22)의 기준 섹션(67)에 있는 골(62)과 이웃해 있으며, 제 1 라인(21)의 기준 섹션(47)에 있는 골(41)은 제 2 라인(22)의 기준 섹션(67)에 있는 돌기(52)와 이웃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2항에 있어서, 접지면(20)에 제 3 라인(23)이 있고, 제 3 라인(23)은 1개의 돌기(72)와 1개의 골(81)이 있는 1개의 기준 섹션(87)을 포함하고, 제 2 라인(22)의 기준 섹션(67)에 있는 돌기(72)는 제 3 라인(23)의 기준 섹션(87)에 있는 골(81)과 이웃해 있으며, 제 2 라인(22)의 기준 섹션(67)에 있는 골(62)은 제 3 라인(23)의 기준 섹션(87)에 있는 돌기(72)와 이웃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 제 2 라인(22), 및 제 3 라인(23)은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은 바깥쪽, 제 2 라인(22)은 중앙부, 제 3 라인(23)은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은 복수의 섹션(47)을 포함하고, 제 2 라인(22)은 복수의 섹션(67)을 포함하며, 제 3 라인(23)은 복수의 섹션(8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에는 5개의 골(41 내지 45), 제 2 라인(22)에는 6개의 골(61 내지 66), 제 3 라인(23)에는 5개의 골(81 내지 85)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의 골(41 내지 45)은 각기 제 3 라인(23)의 골(81 내지 85)과 수평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의 너비는 아웃솔(2) 너비의 5% 내지 30%이고, 제 2 라인(22)의 너비는 아웃솔(2) 너비의 20% 내지 80%이며, 제 3 라인(23)의 너비는 아웃솔(2) 너비의 5%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3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 제 2 라인(22), 및 제 3 라인(23) 각각의 길이는 아웃솔(2) 길이의 5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접지면(20)은 제 4 라인(2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 4 라인(24)에는 돌기(121 내지 124)와 골(131 내지 133)이 번갈아 배치되고, 접지면(20)은 제 5 라인(25)도 포함하되, 제 5 라인(25)에는 돌기(141 내지 145)와 골(151 내지 154)이 번갈아 배치되는 한편, 주어진 라인의 돌기와 골은 이웃 라인의 돌기와 골과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1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 제 2 라인(22), 제 3 라인(23), 제 4 라인(24), 및 제 5 라인(25)은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2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은 바깥쪽, 제 2 라인(22), 제 3 라인(23), 및 제 4 라인(24)은 중앙부, 제 5 라인(25)은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라인(21)에는 4개의 골(161 내지 164), 제 2 라인(22)에는 3개의 골(171 내지 173), 제 3 라인(23)에는 4개의 골(181 내지 184), 제 4 라인(24)에는 3개의 골(131 내지 133), 제 5 라인(25)에는 4개의 골(151 내지 154)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5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깥쪽 라인(21)과 안쪽 라인(23, 25)은 후단(3) 및/또는 전단(4)에서 서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기는 대부분 편평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기는 대부분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골은 대부분 편평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 개의 골(62 또는 66)은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4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섹션과 같은 너비를 갖는 접지면(20)의 가로 분할부에서 돌기(32,52,53,72)의 꼭지점은 일 평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돌기의 각 꼭지점은 접지면의 편평한 전개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웃솔(2)은 두께(t)가 0.5mm 내지 5mm인 마모층(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웃솔(2)은 두께(t)가 대체로 일정한 마모층(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부분의 골은 둥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
KR1020110069410A 2010-07-15 2011-07-13 개량된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 KR20120007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02985 2010-07-15
FR1002985A FR2962630B1 (fr) 2010-07-15 2010-07-15 Chaussure a semelage ameli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80A true KR20120007980A (ko) 2012-01-25

Family

ID=4383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410A KR20120007980A (ko) 2010-07-15 2011-07-13 개량된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11747A1 (ko)
EP (1) EP2407042A1 (ko)
JP (1) JP2012020136A (ko)
KR (1) KR20120007980A (ko)
CN (1) CN102334777A (ko)
AR (1) AR082227A1 (ko)
BR (1) BRPI1103416A2 (ko)
FR (1) FR2962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10B1 (ko) * 2010-12-07 2011-10-17 (주)지원에프알에스 충격분산과 구름보행을 위한 추진식 신발창
CN103478983A (zh) * 2012-08-30 2014-01-01 芜湖风雪橡胶有限公司 一种胶靴鞋底
US9943134B2 (en) * 2012-12-04 2018-04-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O2016115134A1 (en) * 2015-01-12 2016-07-21 Under Armour, Inc. Sole structure with bottom-loaded compression
US20160227878A1 (en) * 2015-02-07 2016-08-11 Cole Haan Llc Spikeless Golf Shoe
IT201700013177A1 (it) * 2017-02-07 2018-08-07 Alberto Del Biondi S P A Suola per calzature
US11039659B2 (en) * 2017-09-07 2021-06-22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D910997S1 (en) * 2019-10-24 2021-02-23 Nike, Inc. Shoe
CN114528433B (zh) 2022-01-14 2023-10-31 抖音视界有限公司 一种模板选择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D1007825S1 (en) 2022-03-23 2023-12-19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USD1007110S1 (en) 2022-03-23 2023-12-12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USD1008611S1 (en) 2022-03-23 2023-12-26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USD1007826S1 (en) 2022-03-23 2023-12-19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3057A (en) * 1957-06-21 1958-05-06 Ripple Sole Corp Resilient shoe soles
US2981011A (en) * 1958-10-31 1961-04-25 Lombardo Pietro Sole for shoes, not slippery, particularly rubber-made
DK91309C (da) * 1959-02-13 1961-07-10 Pietro Lombardo Formstofsål til fodtøj.
US3018571A (en) * 1960-07-11 1962-01-30 Mishawaka Rubber Company Inc High-traction footwear tread
AT312466B (de) * 1969-01-28 1974-01-10 Semperit Ag Laufsohle mit Absatz aus Gummi oder Kunststoff
FR2374863A1 (fr) 1976-07-29 1978-07-21 Adidas Chaussures Semelle pour chaussures de sport et de loisir
US4372058A (en) * 1977-11-21 1983-02-08 Stubblefield Jerry D Shoe sole construction
FR2434587A1 (fr) * 1978-09-04 1980-03-28 Adidas Chaussures Semelle de chaussures destinees aux sports en salle
US4658514A (en) * 1983-02-07 1987-04-21 Mercury International Trading Corp. Shoe design
US4484398A (en) * 1983-07-21 1984-11-27 Goodwin Boyd G Spiked shoe protector
JP2541871Y2 (ja) * 1993-03-23 1997-07-23 日新化工株式会社 履物底
US5979083A (en) * 1998-01-23 1999-11-09 Acushnet Company Multi-layer outsole
US6276073B1 (en) * 1998-12-04 2001-08-21 John J. Curley, Jr. Dynamic permanent spike outsole
US6860037B1 (en) * 2003-10-23 2005-03-01 Desert boot outsole
US20050210712A1 (en) * 2004-03-26 2005-09-29 Jau Guo J Shoe attachment assembly for various cycles
US20080209766A1 (en) * 2005-02-24 2008-09-04 Glide'n Lock Gmbh Outsole With Tangential Deformation
US7650707B2 (en) * 2006-02-24 2010-01-26 Nike, Inc. Flexible and/or laterally stable foot-support structur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support structures
JP5296437B2 (ja) * 2008-07-23 2013-09-25 ミドリ安全株式会社 靴および靴底
FR2940019B1 (fr) * 2008-12-22 2011-03-25 Salomon Sas Chaussure a semelage ameli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20136A (ja) 2012-02-02
BRPI1103416A2 (pt) 2015-03-24
US20120011747A1 (en) 2012-01-19
FR2962630A1 (fr) 2012-01-20
AR082227A1 (es) 2012-11-21
CN102334777A (zh) 2012-02-01
EP2407042A1 (fr) 2012-01-18
FR2962630B1 (fr)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980A (ko) 개량된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
US7204044B2 (en)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granular surfaces
US7047672B2 (en)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urfaces
US9526298B2 (en) Footwear with improved sole assembly
US11963575B2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EP3386335B1 (en) Article having sole assembly with cleats
CN107750133B (zh) 用于鞋类物品的地面接合结构
CN108135319B (zh) 具有局部应用的拉胀开口和刀槽花纹的鞋底结构
US20140259784A1 (en) Footwear with pontoon sole structure
RU2624190C2 (ru) Обувь с улучшенной подошвой
JP5844952B1 (ja) グリップ性能を改良した靴底
KR102161871B1 (ko) 다수의 신발창 부재를 갖는 신발
CA1162737A (en) Athletic shoe with heel stabilizer
US8578629B2 (en) Footwear
US20150027004A1 (en) Flexible Footwear With Puncture Resistant Sole And Reinforced Strap Mounting
JP2005218543A (ja)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KR101964266B1 (ko) 신발용 밑창
JP5923224B1 (ja) 歩行に適した靴の靴底
KR200458746Y1 (ko) 신발 밑창
JP5583874B1 (ja) 不整地路面に適した靴底
US20190150566A1 (en) Outsole lugs aligned with metatarsal bones
CN215124868U (zh) 减震助力支撑鞋底及运动鞋
CN112955235B (zh) 具有包括鞋底钉区域的鞋底的雪鞋
CN210539219U (zh) 一种防退滑耐磨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