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806U - Distance control for through mobile devices - Google Patents
Distance control for through mobile dev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7806U KR20120007806U KR2020110003864U KR20110003864U KR20120007806U KR 20120007806 U KR20120007806 U KR 20120007806U KR 2020110003864 U KR2020110003864 U KR 2020110003864U KR 20110003864 U KR20110003864 U KR 20110003864U KR 20120007806 U KR20120007806 U KR 2012000780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er
- fastening
- ball
- hole
- fasten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림과 조임으로 간단하게 전후 방향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고,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볼을 따라 상하좌우 기울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는 가압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흡착판을 흡착, 탈착시키도록 양 방향으로 밀어서 작동하는 작동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조임구가 관통하는 체결단이 상부에 형성된 커버를 흡착판의 상부로 체결하며 작동구의 양 끝단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체결단에 체결되어 조임구의 풀림, 조임 작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조절바의 일 끝단에 볼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바에 끼움되는 체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볼이 일부분 삽입되는 미끄럼홈이 후방면에 형성된 후방몸체와 위치조절바에 끼움되는 체결구가 볼을 가압하며 후방몸체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임과 풀림 작동으로 간단하게 전후방향으로의 설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볼을 따라 상하좌우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시인성을 우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ance adjustment tool for a mobile device holder that can be adjusted simp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loosening and tighte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height can be adjusted,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tilting along the ball is possible. Form an operating tool that pushes in both directions to adsorb and detach the adsorption plat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ressure plate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and fastens the cover formed at the upper end with a fastening end through which the fastener penetrates to the upper part of the adsorption plate. And both ends of the operating por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ball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position adjusting bar is fixed to the fastening end is fixed after sliding movement by loosening, tightening operation of the fastener, and is fit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bar The fastener is formed, and the sliding groove into which the ball is partially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rear body and the position adjusting bar formed on the rea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er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rear body by pressing the ball, it is possible to simply adjust the installation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 and can adjust the tilt angle up and down along the ball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xcellent.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풀림과 조임으로 간단하게 전후 방향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고, 볼을 따라 상하좌우 기울기 및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ance control device for a mobile device holder,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dista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loosening and tightening, and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mobile device holder to enable vertical and horizontal tilting and vertical height adjustment along the ball. It's about a phrase.
근래에 들어 급속한 문화발달로 인해 네비게이션, PDA, PMP, DMB와 같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대중화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단말기는 모바일의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거치대에 설치 사용된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ulture, terminals such as navigation, PDA, PMP, and DMB are widely used and popularized.These terminals are installed on a separate holder to be used inside a vehicle as well as a fixed pla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Used.
상기와 같이 단말기를 차량 실내에 설치 고정하는 거치대는 차량의 실내 전면에 형성된 대쉬보드 또는 전면글래스에 부착 고정되는 흡착부가 구비되어 있고 타단은 걸림돌기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걸림돌기에 삽입 고정되고 단말기가 장착되는 거치대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radle for installing and fixing the terminal inside the vehicle has a suction unit attached to and fixed to a dashboard or front glass formed o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of the holder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holder. It consists of a cradle body that is mounted.
이와 같은, 종래 거치대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차량 실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대부분의 거치대는 단말기를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나사식으로 체결 고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받침대를 마련한 후, 이 받침대에 단말기를 억지 끼움식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단말기가 거치대에서 쉽게 탈거되어 단말기가 손상될 수 있었으며, 특히 단말기를 장착/탈착 시키는 거치대의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As suc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erminal can be fixedly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ior using a conventional holder, but most of the holder is fastened by screwing the terminal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fixing bolt or after providing a separate pedestal, Because the terminal is fixed to this stand by force-fitting, the terminal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holder when the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terminal can be damaged. 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the holder for mounting / removing the terminal is complicated to use. there was.
또한, 사용자의 사용 여건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나 전후방으로 길이 조절이 제한되어 있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use conditions,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length adjustment in the front and rear is limited.
이로 인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흡착판의 흡착 능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간단하게 미는 작동을 통해 흡착과 탈거 가능하고, 사용자의 원근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위치선정이 가능하며,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시인성 확보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휴대기기 거리조절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adsorption plate does not deteriorate even after long-term use, and it is possible to adsorb and remove it by simply pushing i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portable device for adjusting the distance.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임과 풀림 작동으로 간단하게 전후방향으로의 설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볼을 따라 상하좌우 기울기 각도 조절 및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 거치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시인성을 우수하도록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mply adjust the installation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tilt angle adjustment and vertical height adjustment along the ba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tance controller for a mobile device holder that can be freely positioned to improve visibilit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네비게이션, 테블릿PC, 스마트폰, 핸드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부착면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는 가압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흡착판을 흡착, 탈착시키도록 양 방향으로 밀어서 작동하는 작동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조임구가 관통하는 체결단이 상부에 형성된 커버를 흡착판의 상부로 체결하며 작동구의 양 끝단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체결단에 체결되어 조임구의 풀림, 조임 작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조절바의 일 끝단에 볼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바에 끼움되는 체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볼이 일부분 삽입되는 미끄럼홈이 후방면에 형성된 후방몸체와 위치조절바에 끼움되는 체결구가 볼을 가압하며 후방몸체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device holder distance control device that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by mounting a mobile device such as navigation, tablet PC, smartphone, mobile phone,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And forming an operating tool that is pushed in both directions to adsorb and detach the adsorption plat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ressure plate, and tightens the cover formed at the upper end with a fastening end through which the fastener penetrates to the upper part of the suction plate. The end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ball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position adjusting bar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end and fixed after sliding movement by loosening and tightening of the fastener. And a fastener inserted into the rear body and the position adjusting bar in which the sliding groove into which the ball is partially inser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and pressurizes the ball. And it provides a distance control for the mobile devic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rear body.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조임과 풀림 작동으로 간단하게 전후방향으로의 설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볼을 따라 상하좌우 기울기 각도 조절 및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 거치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시인성을 우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installation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tilt angle adjustment and vertical height adjustment along the ball can be made freely,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can be freely so that the visibility is excellent.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의 흡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된 흡착 구조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흡착 구조의 작동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거리조절구의 거리 조절을 나타낸 작동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거리조절구의 높낮이 조절을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거리조절구에 연결되는 거치몸체의 기울기 작동도,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몸체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고정구와 틸팅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10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배면 사시도,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 거치대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가 장착된 휴대기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dsorption structure of the mobile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adsorp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of the adsorp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distance control of the distanc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n operation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distanc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ilt operation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distanc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pper fixture and the til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mounted on a mobile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side view of a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mobile device holder equipped with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follow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기기 거치대는 네비게이션, 테블릿PC, 스마트폰, 핸드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200)를 거치하여 부착면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mobile devic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device holder that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by mounting the
먼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는 가압판(11)의 하부에 위치되는 흡착판(10)을 흡착, 탈착시키도록 양 방향으로 밀어서 작동하는 작동구(12)를 형성한다.First, to form an
여기서, 상기 부착면은 자동차의 앞 유리나 자동차의 데쉬보드, 가정에서의 테이블 및 책상 유리, 타일 등을 예로써 설명 가능할 것이다.Here, the attachment surface may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windshield of a vehicle, a dashboard of a vehicle, a table and desk glass at home, a tile,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부착면에 흡착되는 흡착판(10)의 하부면에는 폴리우레탄 또는 겔 폴리머로 이루어진 패드(10a)를 부착하여, 상기 패드(10a)의 접착력으로 부착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이때, 상기 작동구(12)의 삽입홀(12a)이 형성되는 주변 상부면은 경사면(12b)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12b)의 저점에는 비흡착홈(12c)이 형성되고 정점에는 흡착홈(12d)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eripheral upper surface on which the insertion hole 12a of the actuating
즉, 상기 흡착판(10)이 비 흡착시에는 작동구(12)의 비흡착홈(12c)에 핀(16)이 위치된다.That is, when the
그리고, 상기 작동구(12)를 경사면(12b) 쪽으로 밀면 핀(16)이 경사면(12b)을 따라 이동 후 흡착홈(12d)에 위치되는 동시에 체결돌기(18)가 당겨지면서 압축스프링(11a)이 흡착판(10)을 가압하여 흡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en, when the
그리고, 상부에 조임구(13)가 관통하는 체결단(14)이 상부에 형성된 커버(15)를 흡착판(10)의 상부로 체결하며 작동구(12)의 양 끝단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커버(15)의 체결단(14)은 2열의 체결홈(14a)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구(13)가 체결단(14)을 관통 나선 체결된다.In this case, the
아울러, 상기 체결단(14)이 형성된 하부로는 작동구(12)의 양 끝단이 노출되는 작동홀(15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formed with the fastening
즉, 상기 조임구(13)를 나선 체결하면 체결단(14)이 가압되어 체결홈(14a)의 면적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작동구(12)의 일 끝단을 밀면 반대 끝단이 작동홀(15a)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더불어, 상기 가압판(11)과 흡착판(10)의 사이에 압축스프링(11a)을 삽입되는데, 상기 압축스프링(11a)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나 본 고안에서는 원뿔형태로 구성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ompression spring (11a) is inserted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흡착판(10)의 중앙 상부로 핀(16)이 결합 관통되는 핀홀(17)이 관통되는 체결돌기(18)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이러한, 상기 작동구(12)의 중앙에는 삽입홀(12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8)가 삽입홀(12a)을 통과하여 핀홀(17)에 핀(16)이 결합되어 삽입홀(12a)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The
도 1 및 도 2,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단(14)에 체결되어 조임구(13)의 풀림, 조임 작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조절바(20)의 일 끝단에 볼(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바(20)에 끼움되는 체결구(22)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Figure 6a, is fastened to the
여기서, 상기 체결구(22)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팽창홀(22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Here,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위치조절바(20)가 체결되는 커버(15)의 체결단(14)은 2열의 체결홈(14a)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구(13)가 체결단(14)을 관통 나선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체결단(14)이 형성된 하부로는 작동구(12)의 양 끝단이 노출되는 작동홀(15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where the fastening
즉, 상기 조임구(13)를 나선 체결하면 체결단(14)이 가압되어 체결홈(14a)의 면적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작동구(12)의 일 끝단을 밀면 반대 끝단이 작동홀(15a)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더불어, 상기 볼(21)이 일부분 삽입되는 미끄럼홈(31)이 후방면에 형성된 후방몸체(30)와 위치조절바(20)에 끼움되는 체결구(22)가 볼(21)을 가압하며 후방몸체(30)의 후방면에 미끄럼홈(31)이 형성된 체결구단(31a)에 체결된다.In addition, a
도 1 및 도 2,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몸체(30)의 배면 끝단에는 끼움홈(32)과 걸림홈(33)이 십자형태로 연통하며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Figure 8a, the rear end of the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32)에 끼움된 후 회전시키면 걸림홈(33)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단(34)의 후방으로 다수 개의 홀딩홈(35)이 동일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멀티홀딩구(36)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 8B, the plurality of holding
도 8a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몸체(30)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전방몸체(40)의 내부에서 제1스프링(41)에 연결되어 상승 후 하부로 복원되는 상부고정구(42)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몸체(40)의 전방 하부면에 받침고정구(43)를 결합 고정하는 거치몸체(50)를 한다.8A and 9, the
먼저, 상기 거치몸체(50)은 후방몸체(30)와 전방몸체(40)로 구성되는 것으로 위치조절바(20)의 볼(21)을 따라 여러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First, the mounting
그리고, 상기 전방몸체(40)에 결합되는 상부고정구(42)의 일 측면에는 상부 방향 낮아지고 하부방향으로는 높아지는 경사단(42a)의 의 하부에 직각단(42b)이 형성된 걸림단(42c)이 다수 개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locking
아울러, 상기 걸림단(42c)에 걸림 해제되는 틸팅단(44a)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단(44a)의 반대쪽으로 전방몸체(4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단(44b)이 형성된 틸팅부재(44)가 전방몸체(40)의 내부에서 손잡이단(44b) 쪽을 상부로 당겨지게 제2스프링(44c)으로 연결하며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a tilting
즉, 상기 상부고정구(42)를 상부로 이동 후 이동을 해제하면 틸팅단(44a)이 경사단(42a)에 접촉하면서 틸팅, 직각단(42b)에 걸림되어 상부고정구(42)의 위치를 고정한다.That is, when the
더불어, 상기 손잡이단(44b)을 누르면 틸팅단(44a)이 직각단(42b)을 밀어 올리며 걸림 해제되어 상부고정구(42)가 제1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된다.In addition, when the
아울러, 상기 상부고정구(42)의 상부 끝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42d)에 휴대기기(200)의 상부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구(45)가 결합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상부고정구(42)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휴대기기(200)를 받침고정구(43)에 올려놓고 상부고정구(42)를 복귀시켜 고정하여 휴대기기 거치대(100)를 구성한다.That is, the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홀딩구(36)의 홀딩홈(35)의 내부로 휴대기기(200)에 연결되는 전원선이나 안테나선 또는 이어폰 등의 와이어나 블루투스, 터치팬 등을 끼워 정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 10A, a wire such as a power line, an antenna line, or an earphone, a Bluetooth, a touch fan,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고정구(43)는 전방 끝단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하향경사면(43a)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ure 10b, the
그리고, 상기 지지구(45)는 전방 끝단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향경사면(45a)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100)는 흡착판(10)의 상부로 압축스프링(11a)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체결돌기(18)를 가압판(11)을 통과시킨 다음 작동구(12)의 삽입홀(12a)을 재 통과킨 후 핀홀(17)에 핀(16)을 체결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and 5, the
이때, 상기 핀(16)의 길이는 핀홀(17)의 길이보다 길어 체결을 완료하면 양 끝단이 체결돌기(18)를 벗어나 돌출되어 삽입홀(12a)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여기서, 상기 흡착판(10)에 흡입력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핀(16)은 작동구(12)의 비흡착홈(12c)에 삽입 위치된다.Here, when no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이후, 상기 작동구(12)의 양 끝단이 커버(15)의 작동홀(15a)이 노출되도록 삽입된 상태로 가압판(11)의 상부로 커버(1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 결합한다.Thereafter, both ends of the
다음으로, 상기 후방몸체(30)의 미끄럼홈(31)에 위치조절바(20)의 볼(2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구(22)를 끼움하여 볼(21)을 감싸도록 하면서 후방몸체(30)에 나선 체결한다.Next, while fitting the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바(20)의 체결단홀(23)에 체결단(14)을 삽입하고 체결홀(14a)에 조절바(25)를 삽입하여 조임구(13)를 체결단홀(23)을 통해 관통시켜 체결단(14)과 체결로 조임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조임구(13)의 풀림으로 조임이 풀려 위치조절바(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6A and 6B, the
더불어, 상기 체결구(22)를 풀어 거치몸체(5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이 가능하며, 위치조절바(20)를 조임구(13)를 기준으로 전후 끝단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ounting
즉, 상기 위치조절바(20)의 거리 및 높이 조절로 인하여 자동차에 설치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며 거치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That is, when installed and used in the vehicle due to the distance and height adjustment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22)의 조임력을 조절하여 후방몸체(3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7, by adjusting the tightening force of the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몸체(40)의 내측면에 상부고정구(42)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고정구(42)에 형성된 제1돌기(42e)와 전방몸체(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돌기(40a)에 제1스프링(41)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한다.As shown in Figure 8a, 8b and 9, the
아울러, 상기 전방몸체(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돌기(40b)에 틸팅부재(44)가 회전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tilting
이때, 상기 틸팅부재(44)의 후방면에 형성되는 제3돌기(44d)와 전방몸체(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4돌기(40c)에 제2스프링(44c)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한다.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더불어, 상기 틸팅부재(44)의 틸팅단(44a)는 전방몸체(40)에 상부고정구(4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0d)가 일부분 절단된 절단통로(40d')에 걸림되어 제2스프링(44c)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틸팅부재(44)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ilting
그리고, 상기 틸팅부재(44)의 손잡이단(44b)은 전방몸체(4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홀(40e)을 통해 노출된다.Then, the
즉, 상기 틸팅부재(44)의 손잡이단(44b)을 하부로 내리게 되면 회전돌기(40b)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틸팅단(44a)이 상부고정구(42)의 걸림단(42c)을 형성하는 직각단(42b)에 접촉한 상태에서 직각단(42b)과 이탈될 때까지 밀어올리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로써, 상기 상부고정구(42)는 틸팅부재(44)의 손잡이단(44b)을 지속적으로 누르게 되면 하강하게 되고 손잡이단(44b)을 놓으면 제2스프링(44c)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틸팅단(44a)이 걸림단(42c)을 형성하는 직각단(42b)에 걸림되어 상부고정구(42)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a result, the
이후, 상기 후방몸체(30)의 전방으로 전방몸체(40)를 결합하고, 상기 전방몸체(40)의 전방 하부에 받침고정구(43)를 결합, 상기 상부고정구(42)의 결합돌기(42d)에는 지지구(45)를 결합한다.Thereafter, the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홀딩구(36)의 홀딩홈(35)의 내부로 휴대기기(200)에 연결되는 전원선이나 안테나선 또는 이어폰 등의 와이어나 블루투스, 터치팬 등을 끼워 정리한다.As shown in FIG. 10A, a wire such as a power line, an antenna line, or an earphone, a Bluetooth, a touch fan,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고정구(43)의 하향경사면(43a)과 지지구(45)의 상향경사면(45a)면이 휴대기기의 전방 모서리단을 물림 지지하여 휴대기기의 전원버튼이나 볼륨버튼을 간섭하지 않게 되어 휴대기기(200)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0B, the downwardly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거치대(100)는 흡착판(10)을 자동차의 데쉬보드를 일예로 설명하는 부착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동구(12)를 흡착판(10)에 흡착력이 발생시키도록 밀게 된다.As shown in FIGS. 5 and 11, the
즉, 상기 흡착판(10)이 비 흡착시에는 작동구(12)의 비흡착홈(12c)에 핀(16)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구(12)를 경사면(12b) 쪽으로 밀면 핀(16)이 경사면(12b)을 따라 이동 후 흡착홈(12d)에 위치되는 동시에 체결돌기(18)가 당겨지면서 압축스프링(11a)이 흡착판(10)을 가압하여 흡착하여 부착면에 강력하게 흡착된다.That is, when the
이후, 상기 조임구(13)를 풀어 위치조절바(20)를 체결단(14)을 따라 이동시킨 후 조임구(13)를 다시 조여 고정한다.Then, loosen the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구(42)를 상부로 잡아당겨 휴대기기(200)를 받침고정구(43)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틸팅부재(44)의 손잡이단(44b)을 눌러 틸팅단(44a)이 상부고정구(42)의 직각단(42b)과 이탈되면, 상기 상부고정구(42)가 제1스프링(41)의 탄성력으로 하강하면서 지지구(45)가 휴대기기(200)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어 고정하게 된다.And, by pulling th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y way of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who have
10 : 흡착판 10a : 패드
11 : 가압판
11a : 압축스프링 12 : 작동구
12a : 삽입홀 12b : 경사면
12c : 비흡착홈 12d : 흡착홈
13 : 조임구 14 : 체결단
14a : 체결홈 15 : 커버
15a : 작동홀 16 : 핀
17 : 핀홀 18 : 체결돌기
20 : 위치조절바 21 : 볼
22 : 체결구 22a : 팽창홀
23 : 체결단홀 24 : 조임구홀
25 : 조절바 30 : 후방몸체
31 : 미끄럼홈 31a : 체결단홈
32 : 끼움홈 33 : 걸림홈
34 : 걸림단 35 : 홀딩홈
36 : 멀티홀딩구 40 : 전방몸체
40a : 제2돌기 40b : 회전돌기
40c : 제4돌기 40d : 가이드
40d' : 절단통로 40e : 손잡이홀
41 : 제1스프링 42 : 상부고정구
42a : 경사단 42b : 직각단
42c : 걸림단 42d : 결합돌기
42e : 제1돌기 43 : 받침고정구
43a : 하향경사면 44 : 틸팅부재
44a : 틸팅단 44b : 손잡이단
44c : 제2스프링 44d : 제3돌기
45 : 지지구 45a : 상향경사면
50 : 거치몸체 100 : 휴대기기 거치대
200 : 휴대기기10:
11: pressure plate
11a: compression spring 12: operating port
12a:
12c:
13 fastener 14: fastening end
14a: fastening groove 15: cover
15a: operating hole 16: pin
17: pinhole 18: fastening protrusion
20: positioning bar 21: ball
22:
23: tightening end hole 24: tightening hole
25: adjustment bar 30: rear body
31: sliding
32: fitting groove 33: locking groove
34: hanging end 35: holding groove
36: multi-holding hole 40: front body
40a:
40c:
40d ': Cutting
41: first spring 42: upper fixture
42a:
42c: engaging
42e: first projection 43: support fixture
43a: downward slope 44: tilting member
44a: tilting
44c:
45:
50: mounting body 100: mobile device holder
200: mobile device
Claims (4)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는 가압판(11)의 하부에 위치되는 흡착판(10)을 흡착, 탈착시키도록 양 방향으로 밀어서 작동하는 작동구(12)를 형성하고, 상부에 조임구(13)가 관통하는 체결단(14)이 상부에 형성된 커버(15)를 흡착판(10)의 상부로 체결하며 작동구(12)의 양 끝단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체결단(14)에 체결되어 조임구(13)의 풀림, 조임 작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후 고정되는 위치조절바(20)의 일 끝단에 볼(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바(20)에 끼움되는 체결구(22)를 형성하며,
상기 볼(21)이 일부분 삽입되는 미끄럼홈(31)이 후방면에 형성된 후방몸체(30)와 위치조절바(20)에 끼움되는 체결구(22)가 볼(21)을 가압하며 후방몸체(3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In the distance control port for connecting the suction body attached to the mounting body 50 and the mounting surface mounted on the portable device 200, such as navigation, tablet PC, smartphone, mobile phone,
Forming the operating port 12 to operate by pushing in both directions to adsorb, desorb the suction plate 10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11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the fastener 13 penetrates the upper The fastening end 14 is fastened to the cover 15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sorption plate 10 and configured to expose both ends of the operating port 12 to the outside,
The ball 21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position adjusting bar 20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end 14 and fixed after sliding movement by loosening and tightening of the fastener 13, and the position adjusting bar ( To form a fastener 22 fitted in 20),
The fastener 22 fitted to the rear body 30 and the position adjusting bar 20 in which the sliding groove 31 in which the ball 21 is partially inser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pressurizes the ball 21 and the rear body ( 30) mobile device cradle distanc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상기 체결단(14)이 형성된 하부로는 작동구(12)의 양 끝단이 노출되는 작동홀(15a)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구(13)를 나선 체결하면 체결단(14)이 가압되어 체결홈(14a)의 면적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작동구(12)의 일 끝단을 밀면 반대 끝단이 작동홀(15a)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The fastening end 14 of the cover 15 to which the position adjustment bar 20 is fastened is formed with two rows of fastening grooves 14a, and the fastener 13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end 14. The helix is fastened through the
The lower end formed with the fastening end 14 is formed with an operating hole (15a) is exposed both ends of the operating port 12,
When the fastener 13 is spirally fastened, the fastening end 14 is pressurized so that the area of the fastening groove 14a is narrowed. When one end of the operating tool 12 is pushed, the opposite end opens the operating hole 15a. Distance adjusting device for a mobile devic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exposed through.
상기 위치조절바(20)의 체결단홀(23)에 체결단(14)을 삽입하고 체결홀(14a)에 조절바(25)를 삽입하여 조임구(13)를 체결단홀(23)을 통해 관통시켜 체결단(14)과 체결로 조임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조임구(13)의 풀림으로 조임이 풀려 위치조절바(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용 거리조절구.According to claim 2, The fastening end hole 23 penetrating the thickness of the position adjusting bar 20 up and down and the fastener hole 24 penetrating the thickness from left to right are formed in each of the four adjustment bars ( 25),
Insert the fastening end 14 into the fastening end hole 23 of the position adjustment bar 20 and insert the control bar 25 into the fastening hole 14a to pass through the fastener 13 through the fastening end hole 23. The position is fixed by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end 14 and fastening, and the tightening is released by the loosening of the fastener 13, so that the position adjusting bar 20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re adjustable. Distance adjuster for mobile device hold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3864U KR20120007806U (en) | 2011-05-04 | 2011-05-04 | Distance control for through mobile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3864U KR20120007806U (en) | 2011-05-04 | 2011-05-04 | Distance control for through mobile devic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806U true KR20120007806U (en) | 2012-11-14 |
Family
ID=4751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3864U KR20120007806U (en) | 2011-05-04 | 2011-05-04 | Distance control for through mobile devi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7806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2714A (en) * | 2018-02-27 | 2019-09-04 | 주식회사 교원 | Holder |
-
2011
- 2011-05-04 KR KR2020110003864U patent/KR20120007806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2714A (en) * | 2018-02-27 | 2019-09-04 | 주식회사 교원 | Hol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13155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an apparatus capable of holding an object | |
USD593103S1 (en) | Apparatus support device holder | |
KR20120124740A (en) | Stands mobile devices | |
KR200488939Y1 (en) | Portable Smart Device Holder For Vehicle | |
KR101591831B1 (en) | Smart phone holder for car | |
KR20120124742A (en) | Adsorber | |
KR100855391B1 (en) | Holding device for cars | |
KR20140002938A (en) | Fixing device for potable display device | |
US20090090821A1 (en) | Cradle for automobile | |
KR20120007806U (en) | Distance control for through mobile devices | |
KR20120138564A (en) | Smart phone holder easily installing and removing onto the rear view mirror | |
KR101403413B1 (en) | A variable holder for vehicles Monitor bracket | |
KR200370879Y1 (en) | 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 |
US20180100618A1 (en) | Screw clamp having movable follower | |
KR200432333Y1 (en) | A support equipment easily separation and attach for car | |
EP2412578B1 (en) | Device for detachably attaching a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 |
KR20120124741A (en) | Fixer for through mobile devices | |
KR20120088946A (en) | A variable holder for supporter for vehicle of personal portable device | |
KR20130001512U (en) | Smart phone Mounts | |
KR20130080201A (en) | Smartphone navigation holder | |
CN208442531U (en) | The automatic bracket clamped and reset | |
JP3125821U (en) | In-vehicle mobile phone tabletop holder support device | |
KR200474320Y1 (en) |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KR101933613B1 (en) |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 |
CN211731241U (en) | A-pillar clamp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