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613B1 -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613B1
KR101933613B1 KR1020170134021A KR20170134021A KR101933613B1 KR 101933613 B1 KR101933613 B1 KR 101933613B1 KR 1020170134021 A KR1020170134021 A KR 1020170134021A KR 20170134021 A KR20170134021 A KR 20170134021A KR 101933613 B1 KR101933613 B1 KR 101933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portable terminal
plate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0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세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텀
Priority to KR102017013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613B1/en
Priority to US15/969,207 priority patent/US1011856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holding a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body unit including a body wherein a portable terminal is placed thereon and a lower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 fixing pad to support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 moving unit including a moving pad (220) to move straight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position separa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elastic plate to fix a movement of the moving pad on the second position; a button which is pr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in a process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body unit, and releases a movement of the moving pad of the elastic plate; a tongs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unit; and a rotation unit fixed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ongs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unit. The body unit includes: a rotation coupling unit protruding downwards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having a circular shape; a rotation insertion unit indented upwards from the rotation coupling unit, to which the rotation unit is inserted and coupled; an irregular unit having irregularities continuously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insertion unit; and a lower cover including a rotary shaft formed into a cylinder on a center of the rotation insertion unit.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rotation body including a rotary plate which is a disk and has a through hole whose center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a plate spring suppor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and a plate spring fixed and coupled to the plate spring support.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0001]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0002]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in a vehicle.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PMP, PDA, DMB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하면서 사용함은 물론, 차량 내부에 거치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내부에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에 거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대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승하강 홀딩 부재를 눌러 휴대용 단말기를 홀딩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에 운전자의 양손을 필요로 하므로, 운전 중에는 단말기 거치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빼내는 과정에 다수의 동작을 필요로 하므로 과정이 번거롭다.Generally, portable terminals such as navigation, PMP, PDA, DMB player, electronic dictionary, mobile phone and the like are miniaturized so that they can be used not only while being portable, but also being mounted inside a vehicle.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a portable terminal mounting apparatus in a vehicle.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device holds the portable terminal by pressing the lifting / lowering holding member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positioned in the cradle. Since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requires both hands of the driver in the moun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not easy to mount the terminal during operation, and a lot of operations are required in the process of mounting or removing the terminal.

한편,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 가로 길이의 기울기에 따라 화면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모두 제공 가능하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에 고정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설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the portable terminal can provide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fixed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has inconvenience that the user can not set the screen in a desired direc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차량 내에 안정적으로 거치 가능하고, 한 손으로도 휴대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mounting device capable of stably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mounting device in a vehicle and conveniently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또한, 본 발명은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rotating a mounte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며 하면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측을 지지하는 고정 패드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제2위치간에 직선 이동 가능한 이동 패드를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 패드의 움직임을 상기 제2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몸체부에 놓이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지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상기 이동 패드 움직임 고정을 해제하는 버튼;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 결합부와, 상기 회전 결합부에서 상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가 삽입 결합되는 회전 삽입부와, 상기 회전 삽입부의 내주면에 연속적으로 요철이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회전 삽입부의 중심에서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원판이며 중앙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판스프링 지지대를 포함하는 회전 본체와, 상기 판스프링 지지대에 고정 결합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portion including a body o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placed, a bottom surface of which is opened; and a fixing pad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 moving part including a movable pad which is linearly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lastic plate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d at the second position; A button that is pr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body and releases the movement of the elastic plate from the movement pad; A grip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rotation part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ip part and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body part has a rotation coupling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and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lower cover including a rotation shaft formed as a cylinder at the center of the rotation insertion portion, wherein the rotatio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by being embedded in the rotation insertion portion a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rotation insertion portion,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rotation body including a rotation plate having a circular plate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enter passes vertically, and a plate spring suppor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plate, and a leaf spring fixedly coupled to the plate spring support .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패드와 결합하는 이동 베이스와, 일 단이 개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에 삽입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삽입 가능한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이동 샤프트와, 상기 이동 샤프트가 삽입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상기 이동 샤프트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unit includes a moving base for engaging with the moving pad, a moving shaft having one end opened to be inserted into the moving base and the other end to be inserted into the elastic plate, And a spring elastically compressed by the moving shaft linearly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또한, 상기 집게부는 판상인 집게 본체와 상기 집게 본체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집게 다리를 포함하는 집게 클립과, 상기 집게 클립과 결합되며 고정 볼트에 의해 상기 회전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하면에서 삽입되며 상기 결합 클립이 안착 결합되는 맞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amping unit may include a clamping clip including a clamping body having a plate shape and a clamping leg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clamping body, and a coupling clip coupled with the clamping clip and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by a fixing bolt And the rotation plate is inserte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plate, and the fitting clip is seated and engaged.

또한, 상기 회전축은 하단이 상기 회전 삽입부에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회전판이 안착되는 제 1 축과, 상기 제 1 축 위에서 제 1 축보다 작은 원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 2 축과, 상기 제 1 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 지지대는 상기 회전 삽입부에 결합된 상기 회전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걸림부와 맞닿는 제 2 걸림부가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on shaft may include a first shaft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rotation inserting portion and having the rotation plate se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haft formed with a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first axis on the first shaft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rotation plat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wherein the plate spring supporting base has a second engaging portion that abuts 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by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rotation inser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곡면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요철부에 걸려 상기 회전판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기부와, 양단이 상기 곡면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스프링 양단과 결합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plate spring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center of the curved surface and interposed betwee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and a fitting portion having both ends bent to the inside of the curved surface and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plate spring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상기 집게부에 의해 상기 회전 결합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결합부는 외주면에 단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는 회전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rotary coupling portion by the claw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a rotatable seat portion to which the seat is additionally seated.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지지 본체와, 상기 지지 본체의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홀과, 상기 회전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 안착부에 안착되는 회전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rotation hol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body, and a rota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hole and seated in the rotation seat portion .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 본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말단이 상기 지지 본체의 상부로 꺾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접촉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support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upport body and having distal ends bent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한 손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차량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base with one hand, the portable terminal base is stably fixed in the vehicle.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을 조절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of the stationary portable terminal,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set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t an angle desir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하부 커버와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탄성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6는 회전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몸체부와 결합된 지지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over and the rotating part.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ad is located at a position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ortable terminal.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sprin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body.
Figures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upport.
FIGS. 9 and 10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rotates.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are described together when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하부 커버와 회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탄성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6는 회전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몸체부와 결합된 지지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over and the rotating part.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ad is located at a position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ortable terminal.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sprin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body. Figures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upport. FIGS. 9 and 10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rotat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차량 내에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차량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차량의 에어컨 송풍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탑승자가 휴대 가능한 소형 단말기로, 핸드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네비게이션, GPS 등을 포함한다. A portable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vehicle and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 may be mount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apparatus 10 may be mounted on an air conditioner blowing hole of a vehicl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avigation system, a GPS, and the like.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몸체부(100), 이동부(200), 탄성 플레이트(300), 버튼(400), 집게부(500) 및 회전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지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 includes a body 100, a moving part 200, an elastic plate 300, a button 400, a grip part 500, and a rotation part 600.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700.

상기 몸체부(100)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놓인다. 상기 이동부(200)는 몸체부(100)에 대해 일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한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300)는 이동부(200)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상기 버튼(400)은 탄성 플레이트(300)를 눌러 이동부(200)의 움직임 고정을 해제한다. 상기 집게부(500)는 몸체부(100)를 차량 송풍구에 고정시킨다. 상기 회전부(600)는 몸체부(100)에 집게부(50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부(700)는 집게부(500)에 의해 차량 송풍구에 고정된 몸체부(100)를 지지한다. A portable terminal is placed in the body part 100. The mov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thereby securing a spac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placed and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elastic plate 300 fix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200. The button 400 releas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200 by pressing the elastic plate 300. The forceps unit 500 fixes the body 100 to the vehicle air outlet. The rotation unit 600 rotatably couples the grip unit 500 to the body 100. The support part 700 supports the body part 100 fixed to the vehicle air outlet by the clamp part 500.

상기 몸체부(100)는 몸체(110), 고정 패드(120), 하부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패드(120)는 몸체(110)의 상면에서 안착되며, 몸체(110)와 고정 결합한다. 상기 하부 커버(130)는 몸체(110)의 하면에서 몸체(110)와 고정 결합된다. The body 100 includes a body 110, a fixing pad 120, and a lower cover 130. The fixing pad 1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fixedly coupled to the body 110. The lower cover 130 is fixedly coupled to the body 1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상기 몸체(110)는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는 주요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하면은 개방된다. 상기 몸체(110)의 일 단(111)은 꺾이어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몸체(110)에는 버튼 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 홀(112)은 이동부(200)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체결 홈(113)과 너트 돌기(11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 홈(113)은 몸체(110)의 개방된 하부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 홈(113)은 몸체(110)의 개방된 하부에 하부 커버(130)를 결합 고정한다. 상기 너트 돌기(114)에는 몸체부(100)에 집게부(500)와 회전부(600)를 결합하는 고정 볼트(540)가 삽입 결합된다. The body 110 forms a main area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The body 11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is formed flat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opened. One end (111) of the body (110)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folding line. A button hole 112 is formed in the body 110. The button hole 112 may be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moving part 200. A coupling groove 113 and a nut projection 114 ar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The fastening groove 113 is formed at both ends of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The coupling groove 113 connects and fixes the lower cover 130 to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 fixing bolt 540 for coupling the clamping unit 500 and the rotation unit 600 is inserted into the nut protrusion 114 of the body 100.

상기 고정 패드(120)는 몸체(110)의 일 단(111)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고정 패드(120)는 몸체(110)에 놓이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단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 패드(12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패드(12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패드(120)는 부딪힘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손상을 예방한다. The fixing pad 120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111 of the body 110. The fixing pad 120 supports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placed on the body 110. The fixing pad 1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xing pad 120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e fixing pad 120 prevents da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collision.

상기 하부 커버(130)는 가이드 홈(131), 체결 돌기(132a, 132b) 및 회전 결합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커버(130)는 몸체(110)와 결합하여 몸체(110)의 개방된 하면을 덮는다. The lower cover 130 includes a guide groove 131, fastening protrusions 132a and 132b, and a rotation coupling part 133. [ The lower cover 130 is engaged with the body 110 to cover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상기 가이드 홈(131)은 하부 커버(13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31)은 이동부(20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31)은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31)에는 스프링(230)이 놓인다. The guide groove 13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130. The guide groove 131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200. The guide grooves 131 may be formed in a pair. A spring 230 is placed in the guide groove 131.

상기 체결 돌기(132a, 132b)는 하부 커버(130)의 양단에서 일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 돌기(132a, 132b)는 몸체(110)의 체결 홈(113)에 삽입되어 몸체(110)와 하부 커버(130)의 결합을 고정한다.The fastening protrusions 132a and 132b are formed in one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lower cover 130. The fastening protrusions 132a and 132b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recesses 113 of the body 110 to fix the coupling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lower cover 130. [

상기 회전 결합부(133)는 회전 삽입부(133a), 요철부(133b), 회전축(134) 및 회전 안착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결합부(133)는 하부 커버(130)의 하면에서 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 결합부(133)에는 집게부(500), 회전부(600) 및 지지부(700)가 고정 볼트(540)에 의해 결합된다.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133 includes a rotation insertion portion 133a, a concave / convex portion 133b, a rotation shaft 134, and a rotation seat portion 135. [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133 is formed by protruding in a circular shap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130. The rotary unit 600 and the support unit 700 are coupled to the rotary coupling unit 133 by the fixing bolts 540. [

상기 회전 삽입부(133a)는 회전 결합부(133)에서 하부 커버(130)의 상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 삽입부(133a)는 회전 결합부(133)보다 작은 원주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 삽입부(133a)에는 회전부(600)가 삽입 결합된다.The rotation inserting portion 133a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cover 133 from above the lower cover 130. The rotation inserting portion 133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smaller circumference than the rotational engaging portion 133. [ The rotation part 60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insertion part 133a.

상기 요철부(133b)는 상기 회전 삽입부(133a)의 내주면에 연속적인 요철로 형성된다.  The concavity and convexity 133b is formed as continuous unevennes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insertion portion 133a.

상기 회전축(134)은 제 1 축(134a)과 제 2 축(134b)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34)은 회전 삽입부(133a)의 중심에서 하부 커버(130)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원기둥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34)은 회전부(600)와 결합하여 회전부(600)의 회전 중심축으로 작용한다. 상기 회전축(134)의 중심부는 관통되며 고정 볼트(540)가 통과하여 몸체(110)의 너트 돌기(114)에 삽입 고정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The rotation shaft 134 includes a first shaft 134a and a second shaft 134b. The rotation shaft 134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 inserting portion 133a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rotation shaft 134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part 600 and acts as a rotation center axis of the rotation part 600.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134 passes through and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 540 passes a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nut projection 114 of the body 110.

상기 제 1 축(134a)은 하단이 회전 삽입부(133a)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축(134a)의 외주면에는 제 1 걸림부(134c)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축(134b)은 제 1 축(134a) 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축(134b)은 제 1 축(134a)보다 작은 원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축(134a)의 상면에는 회전 본체(610)가 안착되며, 상기 제 2 축(134b)은 회전 본체(610)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134a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on inserting portion 133a. A first latching portion 134c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134a. The second shaft 134b is formed on the first shaft 134a. The second axis 134b is formed as a circumference smaller than the first axis 134a. A rotating body 610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aft 134a and a second shaft 134b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the rotating body 610. [

상기 회전 안착부(135)는 돌출부(135a)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안착부(135)는 회전 결합부(133)의 외주에 단턱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 안착부(135)에는 지지부(700)가 안착된다. 상기 회전 안착부(135)는 지지부(700)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상기 돌출부(135a)는 회전 안착부(135)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5a)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35a)는 90도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rotary seating part 135 includes a protrusion 135a. The rotary seating part 135 is formed as a step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ry joint part 133. A supporting part 700 is seated on the rotary seating part 135. The rotary seating part 135 guides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art 700. The projecting portion 135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seat portion 135. [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135a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four protrusions 135a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상기 이동부(200)는 이동 베이스(210), 이동 패드(220), 이동 샤프트(230) 및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베이스(210)에는 상부에서 이동 패드(220)가 안착 결합된다. 상기 이동 샤프트(230)는 일 단이 이동 베이스(210)와 이동 패드(220)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240)은 이동 샤프트(230)에 끼움 결합된다.The moving unit 200 includes a moving base 210, a moving pad 220, a moving shaft 230, and a spring 240. A moving pad 220 is seated on the moving base 210. One end of the moving shaft 230 is fixed to the moving base 210 and the moving pad 220. The spring 240 is fitted to the moving shaft 230.

상기 이동 베이스(210)는 샤프트 홀(210a)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베이스(210)는 고정 패드(120)로부터 멀리 떨어진 몸체(110)의 타 측에 위치한다. 상기 이동 베이스(210)는 일 단이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이동 베이스(210)의 일 단은 몸체(110)의 일 단(111)과 서로 마주한다. 상기 샤프트 홀(210a)은 몸체(110)를 향한 이동 베이스(2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홀(210a)은 2개가 형성되며, 2개의 홀은 서로 이동 샤프트(230)의 가로 길이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홀(210a)에는 이동 샤프트(230)가 삽입된다.The moving base 210 includes a shaft hole 210a. The moving base 210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away from the fixing pad 120. One end of the moving base 210 protrudes upward. One end of the moving base 210 faces one end 111 of the body 110. The shaft hole 210a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ving base 210 toward the body 110. [ Two of the shaft holes 210a are formed, and the two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moving shaft 230. A moving shaft 230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210a.

상기 이동 패드(220)는 이동 베이스(210)에 안착 결합된다. 상기 이동 패드(220)는 고정 패드(120)와 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한다. 상기 이동 패드(220)는 고정 패드(120)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패드(220)는 부딪힘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손상을 예방한다. 상기 이동 패드(220)는 이동 베이스(210)에 고정 결합되면서, 이동 베이스(210)에 삽입된 이동 샤프트(230)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The movable pad 220 is seated on the movable base 210. The movable pad 220 supports the portable terminal in combination with the fixed pad 120. The movable pad 2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material as the fixed pad 120. The movable pad 220 prevents da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collision. The moving pad 220 is fixedly coupled to the moving base 210 so that the moving shaft 230 inserted into the moving base 210 is not released.

상기 이동 샤프트(230)는 고정부(231)와 막대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샤프트(230)는 일 측이 개방된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 샤프트(2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31)는 평평한 면을 갖는 짧은 막대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31)에는 걸림 돌기(231a)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231a)는 상기 고정부(231)의 하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는, 상기 걸림 돌기(231a)는 상기 고정부(231)의 하부에서 일부가 함입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1)는 하부 커버(130)에서 가이드 홈(13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걸림 돌기(231a)는 탄성 플레이트(300)의 고정 걸림부(342)에 걸려 이동 패드(220)의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31a)가 고정 걸림부(342)에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 돌기(231a)는 탄성 플레이트(300)의 진동판(344)을 튕겨 소리를 낼 수 있다. The moving shaft 230 includes a fixing portion 231 and a rod portion 232. The moving shaft 230 is a rectangular frame having one side opened and formed in a U-shape. The moving shaft 23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fixing portion 231 is formed as a short bar having a flat surface. The fixing portion 231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231a. The latching protrusion 231a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231. [ Alternatively, the latching protrusion 231a may be partially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31. [ The fixing portion 231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31 in the lower cover 130. The latching protrusion 231a may be engaged with the fixing latching portion 342 of the elastic plate 300 to fix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pad 220. [ The latching protrusion 231a can repel the diaphragm 344 of the elastic plate 300 and make a sound when the latching protrusion 231a is caught by the latching portion 342. [

상기 막대부(232)는 결합 홈(232a)을 포함한다. 상기 막대부(232)는 고정부(231)의 양단에서 고정부(231)와 직각을 이루며 일 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막대부(232)는 길고 둥근 막대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막대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결합 홈(232a)은 막대부(232)의 일 단에 함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홈(232a)는 한 쌍의 막대부(232)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막대부(232)가 샤프트 홀(210a)에 삽입되고 이동 패드(220)가 이동 베이스(210)에 고정 결합되는 경우, 이동 패드(220)가 상기 결합 홈(232a)과 결합되어 이동 샤프트(230)를 이동 베이스(210)에 고정시킨다. The rod portion 232 includes a coupling groove 232a. The rod portion 232 is perpendicular to the fixing portion 231 at both ends of the fixing portion 231 and extends to one side. The rod portion 232 has a long, round rod shape, and a pair of rods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engaging groove 232a is formed in one end of the bar 232. The coupling grooves 232a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pair of rods 232. [ When the rod portion 232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210a and the movable pad 220 is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base 210, the movable pad 22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232a, 230 are fixed to the movable base 210.

상기 스프링(240)은 코일 스프링으로 막대부(232)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240)은 한 쌍 제공되며, 이동 샤프트(230)의 막대부(232)가 한 쌍의 스프링(240)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240)은 가이드 홈(131)에 안착된다. 상기 스프링(240)은 일 단이 가이드 홈(13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240)은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 샤프트(230)에 의해 타 단이 가압되며, 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The spring 240 has a length of the rod portion 232 as a coil spring. The spring 240 is provided in a pair, and the rod portion 232 of the moving shaft 230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springs 240, respectively. The spring (240)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131). One end of the spring 240 is supported by the guide groove 131. The spring 240 is pressed by the moving shaft 230 that moves linearly from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second position P2 and is elastically compressed.

상기 탄성 플레이트(300)는 걸림판(310), 지지판(320), 경사판(330), 및 눌림판(34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300)는 몸체(110)와 하부 커버(130) 사이에서 몸체부(100) 내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300)는 두께가 얇은 탄성 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3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The elastic plate 300 includes an engagement plate 310, a support plate 320, a swash plate 330, and a pressing plate 340. The elastic plate 300 is disposed in the body part 100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lower cover 130. The elastic plate 300 is formed of a thin elastic plate. The elastic plate 300 may be made of plastic or metal.

상기 걸림판(310)은 일 단이 상기 걸림판(310)의 상방으로 구부러져 밀착 돌기(311)를 형성한다. 상기 걸림판(310)은 몸체(110)의 체결 홈(113)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판(310)은 상면이 체결 홈(113)에 삽입되는 체결 돌기(132b) 위에 안착된다. 상기 밀착 돌기(311)는 체결 홈에 삽입되는 체결 돌기(132b)에 의해 체결 홈의 안쪽으로 밀려 체결 홈의 내벽에 밀착된다. One end of the latching plate 310 is bent upwardly of the latching plate 310 to form a contact protrusion 311. The fastening plate 31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13 of the body 110. The latching plate 310 is seated on a fastening protrusion 132b whose upp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13. The contact protrusion 311 is pushed toward the inside of the fastening groove by the fastening protrusion 132b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astening groove.

상기 지지판(320)은 걸림판(310)의 상기 일 단과 마주보는 타 단에서 일정 길이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지지판(320)은 버튼(400)에 의해 몸체(110)의 하방으로 탄성 플레이트(300)가 가압되는 경우, 하부 커버(130)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 플레이트(30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한다. The support plate 320 is elonga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retaining plate 310. The support plate 320 is supported by the lower cover 130 to limi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elastic plate 300 when the elastic plate 300 is pressed downwardly of the body 110 by the button 400.

상기 경사판(330)은 지지판(320)의 타 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The swash plate 330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320.

상기 눌림판(340)은 눌림부(341), 고정 걸림부(342), 및 삽입공(343) 및 진동판(344)을 포함한다. 상기 눌림판(340)은 상기 경사판(330)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지지판(32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눌림부(341)는 버튼(400)의 하단과 맞닿는 영역으로, 버튼(400)의 눌림과 함께 아래로 눌려진다. 상기 고정 걸림부(342)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홀로, 이동 샤프트(230) 고정부(231)의 걸림 돌기(231a)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343)은 몸체(110)의 개방된 하면에 형성된 너트 돌기(114)가 삽입된다. 상기 진동판(344)은 일 측이 경사판(330)으로부터 연장되며, 타 측이 고정 걸림부(342)의 일변을 형성한다. 상기 진동판(334)의 양 변은 눌림판(340)과 경사판(330)의 내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진동판(344)은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 샤프트(230)의 걸림 돌기(231a)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이에 상기 진동판(344)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판(344)의 소리는 진동판(344)의 길이에 따라 그 음이 달라질 수 있다. The pressing plate 340 includes a pressing portion 341, a fixing engagement portion 342, and an insertion hole 343 and a diaphragm 344. The pressing plate 340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swash plate 33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late 320. The pressing portion 341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end of the button 400 with the button 400 pressed down. The fastening portion 342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31a of the fastening portion 231 of the moving shaft 230 is inserted. The insertion hole 343 is inserted with a nut projection 114 formed on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The diaphragm 344 extends from the swash plate 330 on one side and forms one side of the fixed engaging portion 342 on the other side. Both sides of the vibration plate 334 are formed by cutting the inside of the pressing plate 340 and the swash plate 330. The diaphragm 344 is elastically pressed by the latching protrusion 231a of the moving shaft 230 which linearly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second position P2. The diaphragm 344 vibrates to generate sound. The sound of the diaphragm 344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iaphragm 344.

상기 눌림판(340)은 몸체(110)의 개방된 하면과 접촉하며, 하부 커버(13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이격하여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 플레이트(300)는 상기 눌림판(340)이 상기 지지판(3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The pressing plate 340 contacts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ly, the pressing plate 340 of the elastic plate 30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late 320.

상기 버튼(400)은 버튼 홀(112)에 삽입되며, 하단이 탄성 플레이트(300)의 눌림부(341)에 놓이고, 상단이 몸체(110)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버튼(400)은 휴대용 단말기가 커버에 놓이는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진다. The button 400 is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button 400 is placed on the pressing portion 341 of the elastic plate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button 400 is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The button 400 is pr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cover.

상기 집게부(500)는 집게 클립(510), 결합 클립(520) 및 집게 홀더(530)를 포함한다. 상기 집게부(500)는 고정 볼트(540)에 의하여 하부 커버(130)의 하부에서 몸체(110)와 결합한다. 상기 결합 클립(520)은 고정 볼트(540)에 의하여 하부 커버(130)에 결합되면서 집게 클립(510)과 집게 홀더(530)를 하부 커버(130)에 고정한다. 상기 집게 클립(510)은 결합 클립(520)과 결합되어 집게 홀더(530)와 함께 인써트 사출된다. The clamping unit 500 includes a clamping clip 510, a clamping clip 520, and a clamp holder 530. The clamping unit 500 is engaged with the body 110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130 by the fixing bolts 540. The engaging clip 520 is coupled to the lower cover 130 by the fixing bolts 540 and fixes the clamping clip 510 and the clamp holder 530 to the lower cover 130. The clamping clip 510 is coupled with the clamping clip 520 and is insert injected together with the clamping holder 530.

상기 집게 클립(510)은 집게 본체(511), 집게 본체 홀(512), 집게 다리(513) 및 집게 다리 홀(514)을 포함한다. 상기 집게 본체(511)는 판상이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집게 본체(511)는 결합 클립(520)과 결합되어 집게 클립(510)이 결합 클립(520)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집게 본체 홀(512)은 집게 본체(511)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집게 본체 홀(512)은 결합 클립(520)이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집게 다리(513)는 집게 본체(511)의 양측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집게 다리(513)는 집게 클립(510)이 집게 홀더(530)와 분리되지 않는데 필요한 결합 강도를 갖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집게 다리(513)는 바람직하게는 2개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게 다리 홀(514)은 집게 다리(513)의 중앙에서 집게 다리(513)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집게 다리 홀(514)은 집게 홀더(530)의 사출 과정에서 집게 홀더(530)의 수지 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집게 다리 홀(514)은 집게 홀더(530)가 집게 클립(51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The clamping clip 510 includes a clamping body 511, a clamping body hole 512, a clamping leg 513 and a clamping leg hole 514. The pawl body 511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pawl body 511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clip 520 to allow the pawl clip 510 to engage the engaging clip 520. The pawl body hole 5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awl body 511. The pawl body holes 512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engagement clip 520 is engaged. The clamping legs 513 extend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clamping body 511. [ The clamping legs 513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have the necessary bonding strength so that the clamping clip 510 is not separated from the clamping holder 530. The claw legs 513 are preferably formed of two and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clamping leg holes 514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lamping legs 513 so as to penetrate from one surface of the clamping legs 513 to the other surface. The clamping hole 514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resin material of the clamping holder 530 is introduced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clamping holder 530. The claw leg holes 514 prevent the claw holder 530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claw clips 510.

상기 결합 클립(520)은 결합 본체(521), 결합 본체 홀(522), 결합 다리(523) 및 결합 판(5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 클립(520)은 결합 탄성 돌기(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클립(520)은 결합 다리(523)가 집게 클립(510)의 집게 본체 홀(512)에 삽입되고 결합 판(524)이 집게 다리 홀(514)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합 다리(523)는 탄성적으로 결합 본체(521)에 결합되므로 집게 본체 홀(512)에 삽입될 때는 내측으로 변형되고 삽입이 완료된 때에 외측으로 변형된다. 상기 결합 판(524)은 집게 다리(513)가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상부변이 집게 본체(511)의 하면과 접촉되어 결합 클립(520)을 집게 클립(510)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결합 클립(520)은 결합 본체(521)의 하면이 집게 본체(511)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집게 클립(51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 클립(520)은 결합 판(524)이 집게 본체 홀(512)에 결합되어 집게 클립(5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The coupling clip 520 includes a coupling body 521, a coupling body hole 522, a coupling leg 523, and a coupling plate 524. In addition, the engaging clip 520 may include an engaging elastic protrusion 525. The engaging clip 520 is engaged such that the engaging leg 523 is inserted into the clamp body hole 512 of the clamping clip 510 and the engaging plate 524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leg hole 514. The engaging legs 523 are elastically coupled to the engaging body 521, so they are deformed inward when inserted into the clamp body holes 512 and deformed outward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engaging plate 524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main body 511 while fixing the clamping clip 520 to the clamping clip 510 while the clamping leg 513 is deformed outward. The engaging clip 520 is also engaged with the clamping clip 51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body 521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511. The engaging clip 520 is not detached from the gripper clip 510 when the engaging plate 524 is engaged with the gripper body hole 512.

상기 결합 본체(52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본체(521)는 고정 볼트(540)에 의하여 회전 본체(61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 본체(521)는 결합 클립(520)이 집게 클립(510)에 결합될 때 집게 본체(511)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결합 본체(521)는 결합 클립(520)이 회전 본체(610)와 결합할 때 회전판(611)의 맞춤부(611b)에 안착된다. The coupling body 52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engaging body 521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610 by a fixing bolt 540. The engaging body 52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511 when the engaging clip 520 is engaged with the clamping clip 510. The engaging body 521 is seated on the engaging portion 611b of the rotating plate 611 when the engaging clip 520 engages with the rotating body 610.

상기 결합 본체 홀(522)은 결합 본체(521)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 본체 홀(522)은 집게 본체 홀(512)과 동일 중심 축 상에 위치한다. 상기 결합 본체 홀(522)은 집게부(500)를 몸체부(100)에 결합시키는 고정 볼트(54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 본체 홀(522)은 고정 볼트(540)의 머리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볼트(540)는 볼트 머리가 결합 본체(521)의 하면에 안착되도록 결합 본체 홀(52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 볼트(540)는 결합 클립(520)을 하부 커버(130)에 결합시킨다. The coupling body hole 5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body 521. The engaging body hole 522 is located on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forceps body hole 512. The coupling body hole 522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 540 coupling the clamping unit 500 to the body 100 passes. The coupling body hole 522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head of the fixing bolt 540. The fixing bolt 5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dy hole 522 so that the bolt head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521. The fixing bolt 540 engages the engaging clip 520 with the lower cover 130.

상기 결합 다리(523)는 결합 본체(521)의 양측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 다리(523)는 결합 클립(520)이 집게 클립(510)에 결합될 때 집게 다리 홀(514)의 하변보다 낮은 위치에 하단부가 위치하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다리(523)는 집게 다리 홀(514)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다리(523)는 집게 본체 홀(512)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 다리(523)는 외측면이 집게 다리(513) 내측면과 접하도록 결합된다. The coupling legs 523 extend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coupling body 521. The engaging legs 523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uch that the lower ends of the engaging legs 523 are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legs of the clamping leg holes 514 when the engaging clip 520 is engaged with the clamping clip 510. The coupling legs 523 are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lamping leg holes 514. [ The engaging legs 523 are inserted into the grip body holes 512. The coupling legs 523 are coupled so that their outer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legs 513.

상기 결합 판(524)은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변이 결합 다리(523)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 판(524)은 결합 다리(523)에서 하부 변을 제외한 양측 변과 상부 변이 절개되고, 하부 변을 중심으로 결합 다리(523)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판(524)은 결합 다리(523)의 외측이 하부 변에서 상부 변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 판(524)은 상부 변이 집게 본체(511)의 하면과 접촉되어 결합 클립(520)이 집게 클립(510)에 결합되도록 한다. The coupling plate 524 is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nd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plate 524 is coupled to the coupling leg 523. That is, the coupling plate 524 is formed by cutting both sides and upper sides of the coupling leg 523 except for the lower side, and bending the coupling legs 523 around the lower side. The coupling plate 524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side of the coupling legs 523 protrudes furth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engaging plate 52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ransverse gripper main body 511 so that the engaging clip 520 is engaged with the gripper clip 510.

상기 결합 탄성 돌기(525)는 결합 본체(521)의 양측에서 결합 본체(52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탄성 돌기(525)는 결합 본체(521)가 고정 볼트(540)에 의하여 회전 본체(610)에 결합된 후에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 볼트(540)가 다시 풀리지 않도록 한다.The coupling elastic protrusions 525 are formed by protruding the coupling body 521 from both sides of the coupling body 521. The coupling elastic projection 525 prevents the fixing bolt 540 from being released again by the elastic force after the coupling body 521 is coupled to the rotation body 610 by the fixing bolt 540.

상기 집게 홀더(530)는 홀더 본체(531)와 홀더 다리(5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홀더 본체(531)와 홀더 다리(532)는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집게 홀더(530)는 집게 클립(510)과 결합 클립(5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집게 클립(510)의 집게 다리(513)와 결합 클립(520)의 결합 다리(523)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The clamp holder 530 includes a holder body 531 and a holder leg 532. The holder main body 531 and the holder leg 532 are formed of elastic rubber. The clamp holder 530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leg 523 of the clamping clip 520 and the clamping leg 513 of the clamping clip 510 by insert molding in a state where the clamping clip 510 and the clamping clip 520 are coupled, As shown in FIG.

상기 홀더 본체(531)는 평면 형상이 원형인 블록 형상이며, 집게 본체(511)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 본체(531)는 집게부(500)가 몸체부(100)에 결합될 때 회전부(600)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더 본체 홈(531a)이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홀더 본체(531)는 집게 본체(511)의 측면과 하면 및 집게 다리(514)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531)는 고정 볼트(540)의 머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더 본체 홈(531a)의 바닥면에서는 집게 클립(510)의 집게 본체(511)의 상면과 결합 클립(520)의 결합 본체(521)가 노출된다. The holder main body 531 is formed in a block shape having a circular planar shape and has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gripper main body 511. The holder main body 531 is formed with a holder main body groove 531a into which a part of the rotation part 600 is inserted when the grip part 5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he holder main body 531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511 and the top of the main body 514. The holder body 531 is formed to surround the head portion of the fixing bolt 540.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ing body 511 of the clamping clip 510 and the engaging body 521 of the engaging clip 520 are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body groove 531a.

상기 홀더 다리(532)는 홀더 본체(531)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홀더 다리(532)는 2개로 형성되며 홀더 본체(5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더 다리(532)는 집게 다리(513)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집게 다리(51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 다리(532)는 차량의 에어컨 송풍구에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차량에 고정한다. The holder legs 532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531. The holder legs 532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lder body 531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holder legs 532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lamping legs 513 so as to entirely cover the clamping legs 513. The holder leg 532 is coupled to an air conditioner blowing port of the vehicle to fix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device to the vehicle.

상기 회전부(600)는 회전 본체(610)와 판스프링(62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600)는 회전 본체(610)와 판스프링(620)이 결합되고, 고정 볼트(540)에 의해 몸체부(100)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600)는 고정 볼트(540)를 통해 집게부(500)를 회전 본체의(610)의 하부에 고정시킨다.The rotation unit 600 includes a rotation body 610 and a leaf spring 620. The rotation unit 600 is coupled to the rotation body 610 and the leaf spring 620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0 by the fixing bolts 540. The rotation unit 600 fixes the clamp unit 50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body 610 through the fixing bolt 540.

상기 회전 본체(610)는 하부 커버(130)의 회전 결합부(133)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판스프링(620)은 상기 회전 본체(610)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본체(610)와 함께 회전 결합부(133)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회전 본체(610)와 판스프링(620)은 고정 볼트(540)에 의해 회전 결합부(133)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 본체(610)에는 고정 볼트(540)에 의해 결합 클립(520)이 고정 결합된다. The rotation body 61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133 of the lower cover 130. The leaf spring 620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body 610 and inserted into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3 together with the rotation body 610. The rotation body 610 and the leaf spring 620 are fix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133 by the fixing bolts 540. The engaging clip 520 is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610 by a fixing bolt 540.

상기 회전 본체(610)는 회전판(611)과 판스프링 지지대(61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611)은 원판으로 형성되며, 회전 삽입부(133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611)의 하면에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맞춤부(611b)가 형성된다. 상기 맞춤부(611b)는 결합 클립(520)의 상면과 정합된다. 상기 맞춤부(611b)에는 결합 클립(520)의 결합 본체(521)가 결합되어 고정 볼트(540)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결합 클립(520)이 회전할 때 회전 본체(610)가 결합 클립(520)과 일체를 이루어 미끄러짐 없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611)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은 회전축(134)의 제 1 축(134a)이 삽입되며, 고정 볼트(540)가 통과하여 회전축(134)에 고정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The rotating body 610 includes a rotating plate 611 and a leaf spring support 612. The rotating plate 611 is formed of a circular plate and has a size and a thicknes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inserting portion 133a. And a fitting portion 611b to be inserted in a + shap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611. [ The fitting portion 611b is match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clip 520. [ The engaging body 521 of the engaging clip 52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611b and is fixed by the fixing bolt 540. [ Accordingly, when the engaging clip 520 rotates, the rotating body 610 can rotate without slip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clip 520. A through hole is vertic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ry plate 611.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with a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shaft 134a of the rotation shaft 134 is inserted and the fixing bolt 540 passes and can be fixed to the rotation shaft 134. [

상기 판스프링 지지대(612)는 상기 회전 본체(6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 지지대(612)는 마주보는 대칭 구조로 2개가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 지지대(612)는 양단의 형상이 판스프링(620) 양단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판스프링(620)이 판스프링 지지대(612)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 지지대(612)에 판스프링(620)이 끼워지는 경우에 상기 판스프링 지지대(612)의 중심부는 판스프링(620)과 이격 되어 상기 판스프링(620)이 압축 변형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두 개의 판스프링 지지대(612)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제 2 걸림부(6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걸림부(612a)는 회전 본체(610)가 회전 삽입부(133a)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경우에 제 1 걸림부(134c)에 맞닿아 회전 본체(6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The plate spring support base 612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body 610. The plate spring support base 612 is formed with two symmetrical structures facing each other. The shape of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support base 612 is the same as the shape of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620 so that the leaf spring 620 can be fixed to the leaf spring support base 612. When the plate spring 620 is fitted to the plate spring support base 612,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spring support base 612 is spaced apart from the plate spring 620 so that the plate spring 620 can be compression- . A second latching portion 612a is formed on the inside of any one of the two leaf spring supports 612.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12a may contact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c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610 when the rotating body 610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inserting portion 133a and rotates .

상기 판스프링(620)은 돌기부(621)와 끼움부(622a, 622b)를 포함한다. 상기 판스프링(620)은 몸체부(100)에 결합된 회전 본체(610)에 결합되어 회전 본체(610)에 결합된 집게부(500)가 몸체부(100)에 대해 임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leaf spring 620 includes a protrusion 621 and fitting portions 622a and 622b. The leaf spring 620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610 coupled to the body 100 to prevent the clamping unit 500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610 from rotating arbitrarily relative to the body 100 .

상기 돌기부(621)는 판스프링(620)의 곡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621)는 요철부(133b)의 오목한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protrusion 621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leaf spring 620. The protrusions 621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oncave portions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33b.

상기 끼움부(622a, 622b)는 판스프링(620)의 양단이 둥근 곡면의 내측으로 꺾여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622a, 622b)에는 회전 본체(610)의 판스프링 지지대(612)가 끼워져 판스프링(620)과 회전 본체(610)가 결합된다. The fitting portions 622a and 622b are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620 to the inside of the rounded curved surface. The leaf spring support base 612 of the rotation body 610 is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s 622a and 622b so that the leaf spring 620 and the rotation body 610 are engaged.

상기 판스프링(620)은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620)은 집게부(500)와 회전 본체(610)를 통해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돌기부(621)가 요철부(133b)에서 오목한 부분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상기 판스프링(620)이 집게부(500)와 회전 본체(610)를 통해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경우 돌기부(621)가 요철부(133b)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이후에 다시 상기 돌기부(621)가 요철부(133b)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되어 가압이 제거되면 상기 판스프링(62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Two of the leaf springs 620 may be used. The leaf spring 620 is disposed so that the protrusion 621 is placed on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33b when a rotational force of a certain magnitude or more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clamping unit 500 and the rotary body 610. [ When the plate spring 620 is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transmitted through the clamping unit 500 and the rotating body 610, the protrusion 621 is pressed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33b, Compressed. Thereafter, when the protrusion 621 is positioned on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33b and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plate spring 6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지지부(700)는 지지 본체(710), 회전홀(720), 회전 돌출부(730) 및 접촉 지지대(7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700)는 하부 커버(130)의 회전 안착부(135)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700)는 집게부(500)가 고정 볼트(540)에 의해 몸체부(100)에 결합되면서 집게부(500)에 의하여 몸체부(100)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700)는 몸체부(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700)는 몸체부(100)에 대하여 집게부(500)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The support portion 700 includes a support body 710, a rotation hole 720, a rotation protrusion 730, and a contact support 740. The support portion 700 is seated on the rotation seat portion 135 of the lower cover 130. The support part 700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00 by the clamp part 500 while the clamp part 500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00 by the fixing bolt 540. The support part 7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100. The support part 700 is rotatable independently from the grip part 500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00.

상기 지지 본체(7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 본체(71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 본체(71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홀(720)은 지지 본체(710)의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support body 710 is formed as a circular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upport body 71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support body 71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e rotation hole 72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body 710 in a circular shape.

상기 회전홀(720)은 지지 본체(710)가 하부 커버(130)의 회전 결합부(133)와 결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 돌출부(730)는 회전홀(72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The rotation hole 720 is formed such that the support body 710 can engage with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133 of the lower cover 130. The rotation protrusion 73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hole 720.

상기 회전 돌출부(730)는 지지 본체(710)가 회전 결합부(133)와 결합할 때 회전 안착부(135)에 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 돌출부(730)는 하면이 회전 안착부(135)에 안착되고, 상면에 집게 홀더(530)가 안착된다. 상기 회전 돌출부(730)는 회전 안착부(135)를 따라 회전하여 지지 본체(710)를 회전 시킨다. 상기 회전 돌출부(730)에는 돌출 홈(731)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 홈(731)은 하부 커버(130)의 회전 돌출부(7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돌출부(7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 홈(731)에는 지지부(700)와 몸체부(100)가 결합할 때 회전 돌출부(730)가 결합된다. 상기 돌출 홈(731)은 회전 돌출부(730)와 결합되어 지지부(700)가 회전할 때 지지부(700)의 회전이 정지되는 위치를 가이드 한다. The rotary protrusion 730 is formed to be seated on the rotary seat 135 when the support body 710 engages with the rotary joint 133.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protrusion 730 is seated on the rotary seat 135 and the upper holder 53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rotary protrusion 730 rotates along the rotary seat 135 to rotate the support body 710. A protrusion groove 731 is formed in the rotation protrusion 730. The protrusion groove 73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protrusion 730 of the lower cover 130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protrusion 730. Therefore, in the protruding groove 731, the rotation protrusion 730 is engaged when the support 700 and the body 100 are engaged. The protrusion groove 731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protrusion 730 to guide the rotation stop position of the supporter 700 when the supporter 700 is rotated.

상기 접촉 지지대(740)는 지지 본체(710)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 지지대(740)는 지지 본체(71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말단이 상부로 꺾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지지대(740)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지지대(740)가 3개 형성되는 경우 2개는 서로 180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다른 2개의 접촉 지지대(740)와 90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형성된다. 상기 접촉 지지대(740)는 집게부(500)가 차량의 에어컨 송풍구에 결합되는 경우 에어컨 송풍구를 지지하여 몸체부(100)를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The contact support 740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710. The contact support 740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support body 710 and may have an extended end bent upward. At least two contact supports 740 may be formed. When the three contact supports 740 are formed, the two contact supports 740 are formed at positions 180 degrees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ther one is formed at 90 degrees with the other two contact supports 740. The contact support 740 supports the air conditioner blowing port to prevent the body part 100 from shaking when the forceps unit 500 is coupled to the air conditioner blowing hole of the vehicle.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운전자는 차량의 정차 또는 운행 중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데,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이용할 경우, 한 손만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조절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배치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 When the driver puts the portable terminal in a stationary state or in oper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using only one hand. Also,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disposed by adjust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먼저, 사용자는 상기 집게부(500)를 차량의 에어컨 송풍구에 설치된 바에 결합시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고정 한다. 이 때, 상기 지지부(700)는 송풍구와 접촉하여 바에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가 바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700)를 상기 접촉 지지대(740)가 송풍구와 밀착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First, the user fixes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by coupling the claw assembly 500 to a bar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supporter 700 supports the portable terminal attachment devi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ventilation hole and is coupled to the bar, so as not to be shaken by the bar. The user can rotate the support portion 700 so that the contact support 740 is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in tight contact with the ventilation hole.

상기 이동 패드(220)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P1)는 이동 패드(220)와 고정 패드(120)와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 방향 폭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상기 이동 패드(220)는 제1위치(P1)에서 고정 패드(120)와 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다. 상기 제2위치(P2)는 이동 패드(220)와 고정 패드(120)와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 방향 폭보다 큰 위치이다. The moving pad 220 may move linearly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The first position P1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on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etween the movable pad 220 and the fixed pad 120. [ The movable pad 220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in combination with the fixed pad 120 at the first position Pl. The second position P2 is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movable pad 220 and the fixed pad 120 is larger than the width of on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사용자는 이동부(200)를 이동시켜 이동 패드(220)를 제2위치(P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몸체부(100)에 올려 놓는다. 상기 제2위치(P2)에서 이동 패드(220)와 고정 패드(120)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크므로, 사용자는 이동 패드(220)와 고정 패드(120)와의 간섭 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몸체부(100)에 올려놓을 수 있다. The user moves the mobile unit 200 to place the mobile unit 220 on the body unit 100 while the mobile unit 22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P2. The distance between the movable pad 220 and the fixed pad 120 at the second position P2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portable terminal 22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vable pad 220 and the fixed pad 120. [ And can be placed on the body part 100.

사용자는 이동부(200)를 잡고 이동 패드(220)를 제2위치(P2)로 이동시킬 경우에 이동 샤프트(230)는 이동 베이스(210)에 딸려 몸체부(100) 외부로 이동하고, 일부가 몸체부(100) 내부에 위치한다. 이 과정에서 이동 사프트의 고정부(231)에 의해 스프링(240)이 압축된다. 상기 고정부(231)는 탄성 플레이트의 고정 걸림부(342)의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며, 걸림 돌기(231a)가 고정 걸림부(342)에 걸려 이동부(2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사용자가 이동부(200)에서 손을 놓더라도, 걸림 돌기(231a)가 고정 걸림부(342)에 걸리므로 이동부(200)는 제1위치(P1)로 돌아가지 않으며, 스프링(240)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When the user holds the moving part 200 and moves the moving pad 220 to the second position P2, the moving shaft 230 mov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base 210, Is located inside the body part 100. [ In this process, the spring 240 is compressed by the fixing portion 231 of the movable shaft. The fixing portion 231 is movable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portion 342 of the elastic plat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31a is caught by the fixing portion 342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200 is restricted. The moving part 200 does not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P1 because the locking protrusion 231a is caught by the fixed locking part 342 even if the user hands the moving part 200, Maintain the compressed state.

상기 사용자가 이동부(200)를 제2위치(P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몸체부(100)에 올려놓는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몸체의 상면에 놓이는 과정에서 버튼(400)은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지며, 버튼(400)은 하단에 놓인 탄성 플레이트의 눌림부(341)를 누른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눌림부(341)가 아래로 눌러짐으로 인해, 고정 걸림부(342)가 아래로 이동하여 걸림 돌기(231a)의 걸림이 해제된다. 상기 걸림 돌기(231a)의 걸림 해제로, 스프링(240)의 탄성력이 이동 샤프트(230)의 고정부(231)에 전달된다. 상기 스프링(240)의 탄성력은 이동 샤프트(230)를 고정 패드(120) 측으로 이동시키며, 이 과정에서 이동 베이스(210), 이동 패드(220)도 함께 딸려 이동한다. 상기 이동 패드(220)는 제1위치(P1)로 이동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일 측부를 고정한다. The user places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body part 100 in a state where the user moves the moving part 200 to the second position P2. The button 400 is pr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button 400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portion 341 of the elastic plate placed at the lower end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pressing portion 341 of the elastic plate is pressed downward, so that the fixing portion 342 moves downward and the latching protrusion 231a is released. The resilient force of the spring 240 is transmitted to the fixed portion 231 of the movable shaft 230 by releasing the engagement protrusion 231a.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40 moves the movable shaft 230 to the fixed pad 120 side while moving the movable base 210 and the movable pad 220 together. The movable pad 220 moves to the first position P1 and fixes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부(200)를 잡고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이동 과정에서 걸림 돌기(231a)가 고정 걸림부(342)에 걸려 이동부(200)가 제2위치(P2)에서 자동 고정된다. 이처럼 이동부(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별도 동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부(200)만 잡고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도 상기 지지부(700)가 송풍구와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가 송풍구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When the user holds the moving part 200 with one hand and moves the moving part 200 in one direction, the locking protrusion 231a is caught by the fixing part 342 in the moving process and the moving part 200 is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P2 . Since the separate operation of the user for fixing the moving unit 200 is not required,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one hand. Also, even if the user holds the moving part 200 with one hand and applies a force in one direction, the body part 100 is stably fixed to the tuyer due to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support part 700 contacting the tuyeres do.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몸체(110) 위에 올려 놓는 것만으로도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버튼(400)이 눌러져 이동부(200)가 제1위치(P1)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 예컨대 사용자가 손으로 해제 버튼(400)을 누르는 등의 동작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충분히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imply placing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body 110, the button 400 can be push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oving part 200 can be moved to the first position P1.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move the moving part 200, for example, the user manually presses the release button 400,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또한, 상기 이동부(200)는 이동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므로,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제1위치(P1)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ing unit 200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during the movement, the first position P1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fixed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an be mounted on portable terminals of various sizes.

사용자는 몸체부(100) 또는 집게부(500)를 회전시켜 휴대폰 단말기가 거치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가 에어컨 송풍구에 고정되기 전에 몸체부(100)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집게부(500)를 돌려 집게부(500)에 대한 몸체부(10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가 에어컨 송풍구에 고정된 후에 몸체부(100)를 한 손으로 잡고 돌려 몸체부(100)의 배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The user can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mounted by rotating the body 100 or the clamp unit 500. [ The user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with respect to the claw part 500 by rotating the claw part 500 with one hand while holding the claw part 100 with one hand before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claw device to the air conditioner tuyer . Alternatively, afte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fixed to the air conditioner, the user can hold the body part 100 with one han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

사용자가 집게부(500)를 에어컨 송풍구에 고정하고 몸체부(100)를 회전시키는 경우 판스프링(620)이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회전 결합부(133)가 회전하고 돌기부(621)가 결합되는 요철부(133b)의 위치가 변경된다. 또는, 사용자가 몸체부(100)를 손으로 잡아 고정하고 집게부(5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집게부(500)에 결합된 회전 본체(610)가 회전한다. 이에, 회전 본체(610)에 결합된 판스프링(620)이 회전하면서 요철부(133b)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판스프링(620)은 탄성력에 의해 형상이 복원되면서 돌기부(621)가 결합되는 요철부(133b)의 위치가 변경된다. When the user fixes the grip unit 500 to the air conditioner and rotates the body 100, the leaf spring 620 is elastically compressed so that the rotational engaging unit 133 rotates and the protrusion 621 is engaged with the concave / The position of the portion 133b is changed. Alternatively, when the user grips and fixes the body part 100 by hand and rotates the gripper part 500, the rotating body 610 coupled to the gripper part 500 rotates. Thus, the leaf spring 620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610 is elastically compressed by the concave-convex portion 133b while being rotated. The shape of the leaf spring 620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position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33b to which the protrusion 621 is coupled is chang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quivalents include all components that are invented in order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irrespective of the currently known equivalents as well as the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10: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100: 몸체부 110: 몸체 112: 버튼 홀 113: 체결 홈 114: 너트 돌기
120: 고정 패드
130: 하부 커버 131: 가이드 홈 132a, 132b: 체결 돌기
133: 회전 결합부 133a: 회전 삽입부 133b: 요철부
134: 회전축 134a: 제1축 134b: 제2축 134c: 제1걸림부
135: 회전 안착부 135a: 돌출부
200, 200-1: 이동부 210: 이동 베이스 210a: 샤프트 홀 220: 이동 패드
230: 이동 사프트 231: 고정부 231a: 걸림 돌기 232: 막대부 232a: 결합 홈
240: 스프링
300: 탄성 플레이트 310: 걸림판 311: 밀착 돌기 320: 지지판 330: 경사판
340: 눌림판 341: 눌림부 342: 고정 걸림부 343: 삽입공 344: 진동판
400: 버튼
500: 집게부
510: 집게 클립 511: 집게 본체 512: 집게 본체 홀 513: 집게 다리 514: 집게 다리 홀
520: 결합 클립 521: 결합 본체 522: 결합 본체 홀 523: 결합 다리 524: 결합 판
525: 결합 탄성 돌기
530: 집게 홀더 531: 홀더 본체 531a: 홀더 본체 홈 532: 홀더 다리 540: 고정 볼트
600: 회전부
610: 회전 본체 611: 회전판 611a: 관통홀 611b: 맞춤부 612: 판스프링 지지대
620: 판스프링 621: 돌기부 622a, 622b: 끼움부
700, 700-1, 700-2: 지지부 710: 지지 본체 720: 회전홀 730: 회전 돌출부 731: 돌출 홈
740: 접촉 지지대
10: Portable terminal mounting devic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hole, and more particularly,
120: Fixing pad
130: lower cover 131: guide groove 132a, 132b:
133: rotation coupling portion 133a: rotation insertion portion 133b: concave /
134: rotational shaft 134a: first shaft 134b: second shaft 134c: first engaging portion
135: Rotating seat part 135a:
200, 200-1: moving part 210: moving base 210a: shaft hole 220: moving pad
230: moving shaft 231: fixing portion 231a: engaging projection 232: bar portion 232a: engaging groove
240: spring
300: Elastic plate 310: Retaining plate 311: Adhesive projection 320: Support plate 330:
340: pressing plate 341: pressing portion 342: fixed engaging portion 343: insertion hole 344: diaphragm
400: Button
500:
510: Clip clip 511: Clip assembly 512: Clip assembly hole 513: Clip assembly 514: Clip assembly hole
520: engaging clip 521: engaging body 522: engaging body hole 523: engaging leg 524: engaging plate
525:
530: Tongue holder 531: Holder body 531a: Holder body groove 532: Holder bridge 540: Fixing bolt
600:
610: rotating body 611: rotating plate 611a: through hole 611b: fitting portion 612:
620: leaf spring 621: protrusions 622a, 622b:
700, 700-1, 700-2: Support part 710: Support body 720: Rotation hole 730: Rotation projection part 731:
740: contact support

Claims (8)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며 하면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측을 지지하는 고정 패드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제2위치간에 직선 이동 가능한 이동 패드를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 패드의 움직임을 상기 제2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몸체부에 놓이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지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상기 이동 패드 움직임 고정을 해제하는 버튼;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 결합부와, 상기 회전 결합부에서 상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가 삽입 결합되는 회전 삽입부와, 상기 회전 삽입부의 내주면에 연속적으로 요철이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회전 삽입부의 중심에서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원판이며 중앙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판스프링 지지대를 포함하는 회전 본체와, 상기 판스프링 지지대에 고정 결합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곡면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요철부에 걸려 상기 회전판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기부와, 양단이 상기 곡면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스프링 양단과 결합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A body portion including a body o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placed,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fixing pad for supporting a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 moving part including a movable pad which is linearly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lastic plate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d at the second position;
A button that is pr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body and releases the movement of the elastic plate from the movement pad;
A grip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nd a rotation unit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unit,
The body
A rotation insertion port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upward by being inserted in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rotation portion; and a concave / convex portion formed continuous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insertion portion, And a lower cover including a rotation shaf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center of the rotation insertion portion,
The rotating part
And a plate spring fixedly coupled to the plate spring support, wherein the plate spring is fixed to the rotation body,
The leaf spring
And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center of the curved surface and interposed betwee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and a fitting portion having both ends bent to the inside of the curved surface and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plate spring. Mou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패드와 결합하는 이동 베이스와, 일 단이 개방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에 삽입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삽입 가능한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이동 샤프트와, 상기 이동 샤프트가 삽입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상기 이동 샤프트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A movable shaft which is engaged with the movable pad, a movable shaft which is opened at one end to be inserted into the movable base and whose other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insertable into the elastic plate, And a spring elastically compressed by the moving shaft linearly moving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판상인 집게 본체와 상기 집게 본체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집게 다리를 포함하는 집게 클립과, 상기 집게 클립과 결합되며 고정 볼트에 의해 상기 회전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하면에서 삽입되며 상기 결합 클립이 안착 결합되는 맞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amp
A clamping clip including a clamping body having a plate shape and a clamping leg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clamping body; and a coupling clip coupled with the clamping clip and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by a fixing bolt,
The rotating plate
And a fitt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case and to which the coupling clip is s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하단이 상기 회전 삽입부에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회전판이 안착되는 제 1 축과, 상기 제 1 축 위에서 제 1 축보다 작은 원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 2 축과, 상기 제 1 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 지지대는
상기 회전 삽입부에 결합된 상기 회전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걸림부와 맞닿는 제 2 걸림부(612a)가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shaft
A first shaft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rotation inserting portion and having the rotation plat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shaft formed on the first shaft with a smaller circumference than the first axis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rotation plate,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The plate spring supports
And a second latching part (612a)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atching part (612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atching part by rotation of the rotation body coupled to the rotation inserting pa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상기 집게부에 의해 상기 회전 결합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결합부는
외주면에 단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는 회전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rotary coupling portion by the claw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he rotation-
Further comprising: a rotatable seating part formed at a stepwise outer surface and on which the support part is sea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지지 본체와, 상기 지지 본체의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홀과, 상기 회전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 안착부에 안착되는 회전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upport
And a rota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hole and seated on the rotation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support member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 본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말단이 상기 지지 본체의 상부로 꺾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접촉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And a plurality of contact support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upport body and extending from the support bod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KR1020170134021A 2015-05-08 2017-10-16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KR101933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21A KR101933613B1 (en) 2017-10-16 2017-10-16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US15/969,207 US10118565B2 (en) 2015-05-08 2018-05-02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21A KR101933613B1 (en) 2017-10-16 2017-10-16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613B1 true KR101933613B1 (en) 2019-04-10

Family

ID=6616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021A KR101933613B1 (en) 2015-05-08 2017-10-16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6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727A (en) * 2021-12-14 2023-06-21 (주)메이튼 hand phone crad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554A (en) * 2011-11-24 2013-06-03 윤세형 Supporting holder for mobile phone of bicycle
KR20140005297U (en) * 2013-04-02 2014-10-13 송해성 The holder of handphone
KR101566660B1 (en) * 2015-05-08 2015-11-05 김세한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554A (en) * 2011-11-24 2013-06-03 윤세형 Supporting holder for mobile phone of bicycle
KR20140005297U (en) * 2013-04-02 2014-10-13 송해성 The holder of handphone
KR101566660B1 (en) * 2015-05-08 2015-11-05 김세한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727A (en) * 2021-12-14 2023-06-21 (주)메이튼 hand phone cradle
KR102627678B1 (en) 2021-12-14 2024-01-23 (주)메이튼 hand phone cra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8565B2 (e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US9568148B2 (en) Finger grip mounting apparatus
US6003831A (en) Instrument with stand and hook
EP2249074B1 (en) Holder
US10554799B2 (en)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US10330251B2 (en) Finger grip mounting apparatus
US20120120626A1 (en)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US7661648B2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JP3222415U (en) Support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and PC device
US7815155B2 (en) Suction device and suppor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63058B1 (en) Smartphone holder
CN204124071U (en) Vehicle-mounted flat electronic device stand
KR101933613B1 (e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US10459488B1 (en) Docking station
KR101591831B1 (en) Smart phone holder for car
CN110337802B (en) Air outlet fixing type mobile phone support
KR101735081B1 (en) Holder for vehicles
JP2021139430A (en) pedestal
US8993864B1 (en) Support device for harmonica and microphone
JP2007249008A (en) Clip mechanism and imag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101575799B1 (en) Supporter for vehicle
KR200487229Y1 (en) Mounting member
JP3171229U (en) Strike-type handrail level
KR102064280B1 (en)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s
KR200494821Y1 (en)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