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879Y1 - 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 Google Patents

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879Y1
KR200370879Y1 KR20-2004-0028176U KR20040028176U KR200370879Y1 KR 200370879 Y1 KR200370879 Y1 KR 200370879Y1 KR 20040028176 U KR20040028176 U KR 20040028176U KR 200370879 Y1 KR200370879 Y1 KR 200370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body
cradle
unevenness
connector
hing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1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영민
이원일
안태영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20-2004-0028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87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879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거치대의 힌지 구조는 상호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를 포함하며, 제1 연결체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요철을 가지며, 제2 연결체는 제1 요철에 결속되기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요철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체가 중심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밀착하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에 대해서 고정될 수가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각도를 위해 제1 요철 및 제2 요철이 상호 맞물리게 함으로써, 일단 밀착된 후에는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를 원하는 고정 각도로 정밀하게 세팅할 수도 있다.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which ar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has a first unevennes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binds to the first unevenness. And the second unevennes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an rotate relatively about the central axis and can be fixed to a desired angle because they ar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prings. In addition, the first unevenness and the second unevenness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for a preset angle, so that once the first unevenness and the second unevenness are closely contacte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may be precisely set to a desired fixed angle.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본 고안은 거치대의 힌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방향 및 자세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힌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structure of th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nge structure of the holder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fixed by varying the orientation and postur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various ways.

거치대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장치, 스파트폰 등과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를 홀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 또는 기타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휴대폰이나 PDA 등을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The cradle is a device for holding a personal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navigation device, or a spat phone. .

이전의 거치대는 개인휴대단말기를 떨어지지 않게 단순히 고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개인휴대단말기에 네비게이션 또는 방송, 영화감상 등의 기능이 포함됨에 따라, 차량 내에서도 개인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필요가 생겼으며, 거치대도 운전자를 향하도록 개인휴대단말기의 방향 및 자세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The previous cradle simply served to fix the personal mobile device without falling. 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navigation, broadcasting, and movie watching functions, there is a need to continuously check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vehicle, and the cradle also faces the driver. It is disclosed that the direction and posture can be changed freely.

종래의 거치대 중 개인휴대단말기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 거치대는 금속의 소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개인휴대단말기의 방향을 바꾸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금속 와이어를 구부려서 방향을 전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노약자에겐 버거울 수가 있으며, 정교한 방향 전환이 어렵고, 금속 와이어 자체의 부피로 인해 거치대의 루트(Root) 및 개인휴대단말기 사이의 공간이 항상 존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부분 차량의 앞 유리에 흡착컵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데, 이 또한 외관상 깔끔하지 못하고 주변 경관을 해친다는 문제점도 있다. 무엇보다도 개인휴대단말기의 액정표시창(LCD)의 90도, 180도 등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정교한 조정이 불가능하며 과도한 뒤틀림으로 인해 금속 와이어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Among conventional cradles there is a metal wire to us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This cradle uses the plasticity of the metal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ersonal mobile device. However, because the metal wire must be bent to change its direction, it may be difficult for the elderly,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direction, and due to the volume of the metal wire itself, there must always be a space between the root of the holder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most of the vehicle is fixed to the windshield by using the adsorption cup, which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neat in appearance and damages the surrounding landscape. Above all, even when the user wants to switch to 90 degrees, 180 degrees, etc.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fine adjustment is impossib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tal wire may be damaged due to excessive distortion.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힌지 구조는 거치대에서 개인휴대단말기의 자세를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 hin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can freely rotate and fix the postur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the holder 360 degrees.

또한, 본 고안의 힌지 구조 및 거치대는 회전 방향에 대한 제한 없이 자유롭게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In addition, the hinge structure and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used to rotate freely without restrictions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또한, 본 고안의 힌지 구조 및 거치대는 원하는 각도에 대해 개인휴대단말기를 정교하게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In addition, the hinge structure and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fixed by precisely adjusti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the desired ang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and cradle fo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and cradle for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3은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and cradle for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4는 도 1의 제1 연결체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다.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connector of FIG. 1.

도 5는 도 1의 제2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connector of FIG. 1.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radle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and cradle fo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거치대 110:제1 연결체101: Mounting station 110: The first connecting body

112:고정 플레이트 113:플랜지112: fixing plate 113: flange

114:연결 원통 115:제1 요철114: connection cylinder 115: first unevenness

116:중심 홀 117:스프링 수용홈116 : Center hole 117 : Spring receiving groove

118:고정 편 119:고정 돌기118: Fixed flight 119: Fixed protrusion

120:제2 연결체 122:가이드 벽120: 2nd connecting body 122: Guide wall

123:힌지 연결구 125:제2 요철123: Hinge connector 125: Second unevenness

126:중심 축 127:나사 홀126 : Center Shaft 127 : Screw Hole

130:스프링 135:스프링 고정구130: Spring 135: Spring fixture

140:거치대 루트140: stand base route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의 힌지 구조는 상호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를 포함하며, 제1 연결체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요철을 가지며, 제2 연결체는 제1 요철에 결속되기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요철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체가 중심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밀착하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에 대해서 고정될 수가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각도를 위해 제1 요철 및 제2 요철이 상호 맞물리게 함으로써, 일단 밀착된 후에는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를 원하는 고정 각도로 정밀하게 세팅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which ar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has a first unevenness arranged in the,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second unevennes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ind to the first unevennes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an rotate relatively about the central axis and can be fixed to a desired angle because they ar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prings. Further, by engaging the first unevenness and the second unevenness with respect to a preset angl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se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to a desired fixed angle once it is in close contact.

따라서 거치대의 힌지 구조는 거치부에 홀딩된 개인휴대단말기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시킨 각도를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체가 상호 분리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밀착하기 때문에 회전 방향 및 회전 수에 대한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자유롭게 전환함으로써 가로 또는 세로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거치대의 제1 및 제2 연결체를 상호 회전 및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디스플레이 방향을 선택할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영화나 텔레비전 방송을 청취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방향을 쉽게 전환하여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can rotate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held in the cradle at a desired angle, and can be stably fixed while maintaining the rotated angl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losely adher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In addition, even whe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by freely switching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select the display direction at a desired angle by rotating and fix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mutually. . In particular, when listening to a movie or television broadca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can be easily changed and fixed.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거치부, 제1 연결체, 제2 연결체 및 거치대 루트를 포함한다. 거치부를 개인휴대단말기를 홀딩하며, 거치대 루트는 거치대를 차량 또는 기타 주변 물품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거치부 및 거치대 루트 구조를 이용할 수가 있다. 단, 본 고안의 거치대는 상술한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를 포함하며, 상호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제1 및 제2 연결체를 이용하여 거치부의 회전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radle, a first connector, a second connector and a cradle route. Holding the cradle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cradle route is for fixing the cradle to the vehicle or other surrounding items, it is possible to use a conventional cradle and cradle route structure. However, th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art can be freely adjusted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odie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last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holder and the cradle for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and holder for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hinge structure of the holder for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 holder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대의 힌지 구조(105)는 제1 연결체(110), 제2 연결체(120), 스프링(130) 및 스프링 고정구(135)를 포함하며, 스프링(130)에 의해서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는 상호 탄성적으로 밀착된다.1 to 3, the hinge structure 105 of the cradle includes a first connector 110, a second connector 120, a spring 130, and a spring fixture 135, and a spring 130.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ar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구체적으로, 제1 연결체(110)는 고정 플레이트(112) 및 고정 플레이트(112)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 원통(114)을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112)의 양단에는 플랜지(113)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플랜지(113)는 거치부의 삽입 가이드에 삽입 및 고정되어 개인휴대단말기 또는 거치부를 제1 연결체(110)와 상호 연결시킨다.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includes a fixing plate 112 and a connecting cylinder 114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late 112. Flange 113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late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lange 113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guide of the mounting portion to interconnec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r the mounting portion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

고정 플레이트(112)의 중앙부에는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고정 편(118) 및 고정 편(118)의 정면 단부에 형성된 고정 돌기(11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113)가 거치부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 돌기(119)는 거치부의 후면에 밀착하게 되고, 고정 돌기(119)는 고정 편(118)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제1 연결체(110)와 거치부를 안정하게 결속시킬 수가 있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12, a fixing piece 118 that is partially cut and movable back and forth and a fixing protrusion 119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iece 118 are formed. Therefore, as the flange 11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the fixing protrusion 11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xing protrusion 119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xing piece 118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body ( 110) and the mounting portion can be securely bound.

고정 플레이트(112)와 연결 원통(114)의 연결부에는 스프링(130)을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수용홈(117)이 형성되며, 스프링 수용홈(117)의 저면 중앙에는 중심 홀(116)이 형성된다. 스프링 수용홈(117)을 포함하는 연결 원통(114)은 제1 연결체(11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연결 원통(114)은 제2 연결체(120)의 원통형 홈에 부분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제1 연결체(110)의 회전축으로도 작용을 할 수가 있다.A spring receiving groove 117 for accommodating the spring 130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xing plate 112 and the connecting cylinder 114, and a center hole 116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pring receiving groove 117. . The connecting cylinder 114 including the spring receiving groove 117 protrudes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110, and the connecting cylinder 114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cylindrical groove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 It may also act as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도 4는 도 1의 제1 연결체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다.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connector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체(110)에서 연결 원통(114)의 후면에는 제1 요철(115)이 중심 홀(116)의 주위로 형성된다. 제1 요철(115)은 원주 방향으로 베벨기어(bevel gear) 또는 스큐 기어(skew gear) 형태로 규칙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한다. 이들 돌기들은 평치차와 같이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원활한 회전을 위해 헬리컬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4, a first unevenness 115 is formed around the center hole 116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cylinder 114 in the first connecting body 110. The first unevenness 115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regularly formed in the form of bevel gears or skew gear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s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like the flat difference, but may also be formed in a helical shape for smooth rotation.

도 5는 도 1의 제2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connector of FIG. 1.

도 5를 참조하면, 제2 연결체(120)는 제1 요철(115)에 대응하여 기어 형태로 형성된 제2 요철(125)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제2 연결체(120)는 제2 요철(125)의주변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벽(122) 및 제2 연결체(120)의 후면에 형성된 힌지 연결구(123)를 포함한다. 제2 요철(125)은 제1 요철(115)과 동일한 치차 및 피치로 형성되어 상호 맞물릴 수 있으며, 제1 요철(115)과 맞물림으로써 제1 연결체(110)가 제2 연결체(120)와 밀착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가이드 벽(122)에 의해서 제2 연결체(120)의 정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가이드 홈의 중앙에는 중심 축(126)이 정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중심 축(126)은 제1 연결체(110)의 중심 홀(116)을 통과하여 스프링 수용홈(117) 내부로 위치하며, 스프링 수용홈(117)에서 중심 축(126)의 주변으로 스프링(130)이 삽입된다. 중심 축(126)의 단부에는 나사 홀(127)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 홀(127)에 의해서 스프링 고정구(135)가 중심 축(126)의 단부에 체결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includes a second unevenness 125 formed in a ge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nevenness 115.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120 includes a guide wall 122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concave-convex 125 and a hinge connector 123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120. The second concave-convex 125 may be formed with the same gear and pitch as the first concave-convex 115, and may interlock with each other. )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by the guide wall 122, and a central axis 126 protrudes toward the front in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 The central shaft 126 passes through the central hole 116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spring receiving groove 117, and the spring (circle) around the central shaft 126 in the spring receiving groove 117. 130) is inserted. A screw hole 127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entral shaft 126, and the spring fastener 135 may be fastened to the end of the central shaft 126 by the screw hole 127.

또한, 힌지 연결구(123)는 제2 연결체(120)의 후면에 형성된다. 제2 연결체(120)는 그 자체로 차량이나 주변 부착될 수 있지만, 좌우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힌지 연결구(123)를 통해 거치대 루트(140)와 연결될 수도 있다. 힌지 연결구(123)는 힌지 홀(124)를 포함하며, 힌지 홀(124)을 통해 거치대 루트(140)와 체결됨으로써 좌우로 회전할 수가 있다. 따라서, 힌지 구조(105)는 힌지 연결구(123)를 이용한 연결 구조에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하나의 자유도를 가지며, 제1 및 제2 연결체(110, 120)를 이용한 연결 구조에서 360도 회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자유도를 갖는다.In addition, the hinge connector 123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120. The second connector 120 may be attached to the vehicle or the periphery by itself, but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cradle route 140 through the hinge connector 123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Hinge connector 123 includes a hinge hole 124, and can be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by engaging with the cradle root 140 through the hinge hole (124). Therefore, the hinge structure 105 has one degree of freedom to rotate left and right in the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hinge connector 123, and rotates 360 degrees in the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10 and 120. It has another degree of freedom to do it.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 연결체(120)의 중심 축(126)이 중심 홀(116)을 통과하여 스프링 수용홈(117)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중심 축(126)의 주변으로 스프링(130)이 제1 연결체(110)의 정면에서 스프링 수용홈(117)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 스프링 고정구(135)가 중심 축(126)의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스프링 고정구(135) 및 제1 연결체(110) 사이에 스프링(130)이 개재되며,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가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제1 연결체(110)가 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제1 요철(115)과 제2 요철(125)이 임시로 분리될 수 있지만, 당기는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는 다시 밀착하고, 제1 요철(115) 및 제2 요철(125)이 상호 맞물리게 된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central axis 126 of the second connector 120 is inserted into the spring receiving groove 117 through the central hole 116, and springs around the inserted central axis 126. 130 is inserted into the spring receiving groove 117 in the front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110). Then, the spring fixture 135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central shaft 126, the spring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spring fixture 135 and the first connector 11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30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ar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Although the first unevenness 115 and the second unevenness 125 may be temporarily separated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being pulled forwar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t the same time as the pulling force is removed. The sieve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unevenness 115 and the second unevenness 12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radle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I)의 후면에는 거치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부(101)에는 제1 연결체(110)의 플랜지(113)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다. 삽입 가이드는 제1 연결체(110)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113)를 수용하기 위해서 안쪽으로 형성된 홈으로 포함하며, 플랜지(113)가 홈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개인휴대단말기(I)를 제1 연결체(110)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서 거치부(101)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거치부(101)는 개인휴대단말기와 분리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의 외면에 밀착함으로써 개인휴대단말기를 홀딩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6, a mounting portion 101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 and an insertion guide for accommodating the flange 113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is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101. Is formed. Insertion guide includes a groove formed inward to accommodate the flange 113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or 110, the flange 113 is inserted along the groove to connec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 to the first connection It can be fixed to the sieve 110. I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adle 10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101 may be manufactured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며, 제1 및 제2 연결체(110, 120)의 회전에 의해서 개인휴대단말기(I)의 회전각은 자유롭게 조절될수가 있다. 제2 연결체(120)의 후면으로 힌지 연결구(123)가 제공되며, 힌지 연결구(123)는 거치대 루트(140)와 연결됨으로써 좌우로 회전을 할 수가 있다.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 can be freely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10 and 120. Can be adjusted The hinge connector 12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cond connector 120, and the hinge connector 123 may rotate left and right by being connected to the holder root 14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djusting rotation angles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and cradle fo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된 제2 연결체(120)에 대해서 제1 연결체(11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일단 제1 연결체(110)와 제2 연결체(120)를 상호 분리시킨다. 양 연결체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제1 연결체(110)를 직접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장착된 개인휴대단말기(I)를 전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를 분리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order to rotat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with respect to the fixed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though the first connector 110 may be moved directly forward to separate both connectors,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are generally pulled forward by pulling the mounted personal portable terminal I forward. Sieve 120 may be separa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110)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프링(130)은 힘을 받아 길이 방향으로 가압되어 높이가 줄어들게 되며, 이때 생긴 유격에 의해서 제1 요철(115)과 제2 요철(125)이 상호 분리될 수 있다(①).As shown in FIG. 3, a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moves forward, the spring 130 is pressuriz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orce, thereby reducing the height. The clearance between the first unevenness 115 may be reduced. The second unevenness 125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①).

제1 요철(115) 및 제2 요철(125)이 분리됨에 따라, 제1 연결체(110)는 제2 연결체(120)에 대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체(110)는 지속적으로 당겨짐으로써 제1 요철(115) 및 제2 요철(125) 간의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으며, 이로써 제1 연결체(110)는 원하는 각도로 회전 이동을 할 수가 있다(②).As the first unevenness 115 and the second unevenness 125 are separat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may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body 110 may be continuously drawn to maintain the separated state between the first unevenness 115 and the second unevenness 125, where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rotates at a desired angle. It can be done (②).

제1 연결체(110)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 이동을 한 다음, 제1 연결체(110)에가해지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제1 요철(115)과 제2 요철(125)을 다시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제1 요철(115) 및 제2 요철(125)이 상호 탄성적으로 밀착 및 맞물림으로써 제1 연결체(11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조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③)After the first connector 110 rotates at a desired angle, the first concave-convex 115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125 may be engaged again by removing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connector 110. . The first concave-convex 115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125 may b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surface 125 may maintain the adjusted angle without rotating further (③).

제1 연결체(11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원하는 각도만큼 이동시킨 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어느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시킨다고 해도 제1 연결체(110) 및 제2 연결체(120) 간의 분리된 상태는 계속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연결 구조가 손상되거나 취약해지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may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maintain the moved state after moving by a desired angle. In addition, even if it is continuously rotated in any direction, since the separated stat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0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e connection structure may not be damaged or vulnerable.

본 고안의 힌지 구조는 거치대에서 개인휴대단말기의 자세를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회전각 및 회전방향에 대한 제한 없이 임의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hin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rotate and fix the postur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a cradle 360 degrees, and can be arbitrarily rotated without restriction on the rotation angle and rotation direction.

또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자세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자유롭게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할 수 있으며, 적합한 화면 비율을 이용하여 최적의 디스플레이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postur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display can be freely arrang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an optimal display result can be obtained by using an appropriate aspect ratio.

또한,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요철을 이용함으로써 힌지 구조 및 거치대는 원하는 각도에 대해 개인휴대단말기를 정교하게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or irregularly arranged, the hinge structure and the holder can be fixed by precisely adjusti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the desired angle.

또한, 이러한 사용 자체가 제1 연결체를 당기고 회전시킨 후, 힘을 제거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서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is use itself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performed simply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removing the force after pulling and rotating the first conn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2)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힌지구조에 있어서,In the hinge structure of the holder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요철을 포함하는 제1 연결체; 및A first connecting member including first unevenness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an axis; And 상기 제1 요철에 대응하여 상기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체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거치대의 힌지 구조.And a second concave-convex disposed circumferentially about the axis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and having a second connecting body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연결체는 상기 제1 요철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체는 상기 중심 홀을 통과하는 중심 축을 포함하고,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center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unevenness,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hole, 상기 중심 축의 단부에는 스프링 고정구가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 고정구 및 상기 제1 연결체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의 힌지 구조.A spring fixture is mounted at an end of the central shaft, and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mpression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pring fixture and the first connecting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중심 홀의 주변으로 상기 제1 연결체의 정면에는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수용홈에 제공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중앙으로 상기 중심 축이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고정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의 힌지 구조.A spring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around the center hole, and the center shaft penetrates into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spring provided in the spring receiving groove to be engaged with the spring fixture. Hinge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 연결체의 후면에는 상기 제1 요철이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체의 정면에는 상기 제1 연결체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저면에 상기 제1 요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요철이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의 힌지 구조.The first concave-convex is regular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a guide groove for partially accommodating the first connecting body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rregulariti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unevenness is formed regular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연결체의 양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삽입 가이드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의 힌지 구조.Flang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uide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연결체의 후면에는 외부의 거치대 루트와 구조적으로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의 힌지 구조.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is formed by protruding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structurally connected to the outer cradle roo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연결체의 중앙부에는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고정 편 및 상기 고정 편의 정면 단부에 형성된 고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의 힌지 구조.The hinge structure of th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is partially cut and the fixing piece which can move back and forth and the fixing projection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iece.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In the holder for a personal mobile terminal, 개인휴대단말기를 홀딩하기 위한 거치부;Mounting unit for hold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상기 거치부와 구조적으로 연결되며, 후면으로는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요철을 포함하는 제1 연결체;A first connector structural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and including a first unevenness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a shaft at a rear surface thereof; 상기 제1 요철에 대응하여 상기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체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제2 연결체; 및A second connecting body including a second unevenness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axis corresponding to the first unevenness, and being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상기 제2 연결체와 힌지로 연결되어 거치대 루트;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The cradl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and a cradle root connected to the hinge and the second connecto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연결체는 상기 제1 요철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체는 상기 중심 홀을 통과하는 중심 축을 포함하고,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center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unevenness,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hole, 상기 중심 축의 단부에는 스프링 고정구가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 고정구 및 상기 제1 연결체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A spring fixture is mounted at an end of the central shaft, and a compression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pring fixture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중심 홀의 주변으로 상기 제1 연결체의 정면에는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수용홈에 제공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중앙으로 상기 중심 축이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고정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A spring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around the center hole, and the central shaft penetrates into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spring provided in the spring receiving groove to be engaged with the spring fixture. Terminal hold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 연결체의 후면에는 상기 제1 요철이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체의 정면에는 상기 제1 연결체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저면에 상기 제1 요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요철이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The first concave-convex is regular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a guide groove for partially accommodating the first connecting body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The bottom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rregulariti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unevenness is formed regular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연결체의 양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후면에는 상기 플랜지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삽입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with a flange, the rear of the mounting portion is a cradle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uid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flange is formed.
KR20-2004-0028176U 2004-10-05 2004-10-05 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KR2003708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176U KR200370879Y1 (en) 2004-10-05 2004-10-05 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176U KR200370879Y1 (en) 2004-10-05 2004-10-05 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879Y1 true KR200370879Y1 (en) 2004-12-17

Family

ID=4944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176U KR200370879Y1 (en) 2004-10-05 2004-10-05 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879Y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424A1 (en) * 2011-03-18 2012-09-27 Yeo Young Kyu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WO2012148052A1 (en) * 2011-04-27 2012-11-01 Choi Dong-Il Device for mounting a portable phone
KR101420144B1 (en) 2012-11-09 2014-07-17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Hinge apparatus for adjusting angle
KR101548095B1 (en) * 2015-01-16 2015-08-27 조형호 Black Box Bracket for rearview mirror
KR101577414B1 (en) * 2015-01-16 2015-12-14 조민수 Black Box Bracket
WO2016114483A1 (en) * 2015-01-16 2016-07-21 조민수 Black box holder
KR102252152B1 (en) * 2020-10-07 2021-05-14 주식회사 프라즈마태우 Rotation angle adjustment device using pitch subdivision of radial clutch
KR102421882B1 (en) * 2021-08-20 2022-07-15 김태형 Multi-Grip for Smartphon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424A1 (en) * 2011-03-18 2012-09-27 Yeo Young Kyu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WO2012148052A1 (en) * 2011-04-27 2012-11-01 Choi Dong-Il Device for mounting a portable phone
KR101420144B1 (en) 2012-11-09 2014-07-17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Hinge apparatus for adjusting angle
KR101548095B1 (en) * 2015-01-16 2015-08-27 조형호 Black Box Bracket for rearview mirror
KR101577414B1 (en) * 2015-01-16 2015-12-14 조민수 Black Box Bracket
WO2016114483A1 (en) * 2015-01-16 2016-07-21 조민수 Black box holder
KR102252152B1 (en) * 2020-10-07 2021-05-14 주식회사 프라즈마태우 Rotation angle adjustment device using pitch subdivision of radial clutch
KR102421882B1 (en) * 2021-08-20 2022-07-15 김태형 Multi-Grip for Smartph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5214B2 (en) Stand for display
US8632041B2 (en) Portable cradle
US7798460B2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US20110255226A1 (en) Electrical Accessory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US8047488B2 (en) Support stand and flat-panel display monitor using the same
US20050258319A1 (en) Monitor apparatus
US20110073743A1 (en) Universal holder and flexible member for mounting, holding and adjustably positioning electronic products and accessories
US20050040311A1 (en) Display apparatus
US20090231797A1 (en) Multi-step hin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200370879Y1 (en) Holding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hing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KR20090041540A (en)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WO2007111078A1 (en) Desktop charger holder
US20200214408A1 (en)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case
KR101960354B1 (en) Accessory having supporting function for handy terminal
EP2557776B1 (en) Display device
KR101384652B1 (en) Holder for vehicles
CN114484172B (en) Support and terminal equipment subassembly
WO2019205845A1 (en) Support for mobile terminal
KR100702709B1 (en) Step hing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reof
CN207674040U (en) A kind of vehicle-mounted bracket
US20060111076A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CN201982913U (en) Support structure
KR200397436Y1 (en) Apparatus of support with DMB phone
KR102544410B1 (en) cellular phone holder
KR20200103448A (en) Portable device holder used in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