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786A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786A
KR20120007786A KR1020100068487A KR20100068487A KR20120007786A KR 20120007786 A KR20120007786 A KR 20120007786A KR 1020100068487 A KR1020100068487 A KR 1020100068487A KR 20100068487 A KR20100068487 A KR 20100068487A KR 20120007786 A KR20120007786 A KR 20120007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ing
battery
time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431B1 (ko
Inventor
김재홍
이해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4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그리드 망으로부터 수신된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바탕으로, 전력요금이 비싼 시간구간에서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고 전력요금이 싼 시간구간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전력요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ging Battery Of The Same}
본 발명은 에너지 절약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가 문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력수요처에서의 전력사용의 효율화를 위한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가 도입이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능형 전력망이 도입되면 전력수요에 따라서 전력요금이 달라지는 변동요금제가 도입될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가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를 스마트 그리드의 도입과 관련하여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력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와 관련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 및 전력수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간 구간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와 관련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전력요금 정보 및 상기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급속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로 상기 충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와 관련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추천 시각을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추천 시각을 포함하는 충전 추천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은, 전자 기기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 및 전력수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간 구간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전력요금이 기준치 이하인 시간구간 및 전력수요가 기준치 이하의 시간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구간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은, 전자 기기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급속 충전 모드와 일반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요금이 비싼 고액과금 시간구간에서는 배터리 충전을 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전력요금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사용이 높은 시간대에 전기 사용을 줄이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제적 이익과 지구적인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수요처인 가정에서의 전력관리네트워크(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전력관리네트워크(10)의 블록 구성도 및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가능한 로봇 청소기(10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60)와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스마트 그리드 정보 및 방송 콘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도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그리드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또는 수력발전을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소와,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화력발전 또는 원자력발전소 또는 수력발전소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전력을 보내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보내어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보내져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력저장장치를 거쳐서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가정용 전력관리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를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를 자체공급할 수 있고, 남는 전기는 스마트 미터를 통한 역전송에 의해 외부에 되팔수도 있다.
그리고,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스마트 계측장치가 마련되어서 각 수요처에서 사용되는 전력 및 전력요금을 실시간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사용되는 전력량 및 전력요금을 인지하여 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량이나 전력요금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전소, 전력소, 저장장치 및 수요처는 양방향 통신이 되기 때문에 수요처에서 일방적으로 전기를 받도록 하는 것만을 떠나서, 수요처의 상황을 저장장치, 전력소, 발전소로 통지함으로써 수요처의 상황에 맞게 전기 생산 및 전기분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수요처의 실시간 전력관리 및 소요전력의 실시간 예측을 담당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의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계측장치는 오픈 아키텍쳐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를 통합하려는 기반기술로서 소비자에게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전력공급자에게는 시스템상의 문제를 탐지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오픈 아키텍쳐란 일반적인 통신망과는 달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전기기구가 어느 제조업체에서 제조되었는지 상관없이 모든 전기기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 사용되는 계측장치는 "가격 대 장치(Prices to Devices)"와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효율성 개념을 가능케 한다. 즉, 전력시장의 실시간 가격신호가 각 가정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장치(EMS)를 통하여 중계되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각 전기장치와 통신을 하며 이를 제어하므로 사용자는 에너지관리장치(EMS)를 보고 각 전기장치의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소모전력량이나 전력요금 한계설정 등과 같은 전력정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상기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에서 취합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에너지관리장치(EMS)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전력정보에 관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실시간 전력망 반응"을 현실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크 수요(peak demand)를 맞추는데 소요되는 높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수요처인 가정에서의 전력관리네트워크(1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는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및 전력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 또는 에너지관리장치(EMS)(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력요금은 시간당 요금제를 기준으로 하여 과금될 수 있으며, 전력소모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시간당 전력요금이 비싸지게 되거나, 전력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 시간구간과 같은 때에는 시간당 전력요금이 저렴해질 수 있다.
또한 전력요금은 전력수요가 적은 시간구간이나 전력수요가 많은 시간구간이나 동일하게 과금될 수 있다. 이때 전력수요가 증가되는 구간에서는 사용자가 절전을 할 경우 절전한 금액만큼 전력 소비자에게 리베이트로 되돌려 주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버튼(32) 등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 미터)(20)는 다시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DTV(Digital Television),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청소기, 로봇 청소기(100) 또는 조리기기, 조명장치 또는 차광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이들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포함된 전자기기들에서 소모되고 있는 전력을 관리, 전자기기들에 전력을 공급을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자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DTV 또는 컴퓨터 등에 내장될 수도 있다.
집안 내부에서의 통신은 무선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전자기기는 다른 전자기기들과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는 가정에 마련되는 보조전원(50), 즉, 태양광 발전장치 등과 같은 자가발전시설(51)과, 이러한 자가발전시설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축전할 수 있는 축전지(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52) 이외에 연료전지(53)도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보조전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전원(50)은 전력회사와 같은 외부전원에서 전력을 공급받지 않는 상태에서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보조전원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량 또는 보조전원(50)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량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전력관리네트워크(10)의 블록 구성도 및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가능한 로봇 청소기(10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전력관리프로그램 운영주체(40)는 일반적인 발전장비(화력, 원자력, 수력)를 구비하거나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열) 등을 이용한 발전장비 등을 구비한 전력회사가 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력관리프로그램 운영주체(40)는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변동요금제와 관련한 정보를 각 가정에 제공하여 가정에서 이를 근거로 전력요금변동에 따른 전력요금 절약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력요금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권장하고, 고액과금 시간구간에 대한 기준을 세워주거나 권장함으로써 사용자의 합리적인 전력소비를 돕는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전력관리프로그램 운영주체(40)가 갖는 전력공급원을 외부전원이라고 하겠다.
상기 고액과금 시간구간이라 함은 전력수요의 폭증으로 인하여 시간당 전력요금이 소정기준요금 이상이 되어 전력요금이 다른 때보다 현저하게 높아지는 시간구간대를 말한다.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보조전원 즉, 태양열 발전시설과 같은 자가발전시설(51), 축전지(52) 및 연료전지(5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전원(50)은 상기 외부전원과 구별되고, 상기 외부전원과 별도로 전력을 가정에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조전원(50)과 상기 외부전원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상기 전자기기들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각 전자기기는 상기 외부전원 및/또는 상기 보조전원을 모두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부를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구성을 보면, 제어부(35), 입력부(38), 통신부(34) 및 표시부(39)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도, 제어부(25), 입력부(28), 통신부(24) 및 표시부(29)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나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는 로봇 청소기(10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통신부(34) 또는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의 통신부(24)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통신부(131)를 포함하는 통신부(130)가 구비된다.
그리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통신부(131)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 또는 상기 계측장치(20)로부터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전력요금 정보 등과 같은 전력정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통신부(130) 이외에도, 전원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0)는, 상기 외부전원 및/또는 상기 보조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로봇 청소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전원부(110)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60)와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무선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1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60)는, 댁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전원 공급부(61)와, 상기 전원 공급부(61)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AC/DC 변환부(62)와, 상기 AD/DC 변환부(62)에 의해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전파(Radio Frequency; RF)로 변환시키는 DC/RF 변환부(63)와, 상기 DC/RF 변환부(63)에서 변환된 전파를 상기 전원부(110)로 송신하는 송신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전원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전원부(110)는, 제2 통신부(132)와 RF/DC 변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132)는 상기 송신부(64)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고, 상기 RF/DC 변환부(170)는 상기 제2 통신부(132)에서 수신된 전파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직류 전원으로 상기 전원부(110)에 포함된 배터리(112)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 장치(6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상기 배터리(112)가 충전이 필요한 경우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위해 전파를 상기 로봇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장치(60)는,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 및 전력수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60)는,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통신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요금 정보 등과 같은 스마트 그리드와 관련된 전력 정보(이하에서, 스마트 그리드 정보라 함)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131)와, 상기 전원 공급 장치(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제2 통신부(132) 이외에도, 상기 로봇 청소기(100)와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131)는, 유선(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PLC 등) 또는 무선(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등)으로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스마트 그리드 정보는, 전력 요금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의 소스(source) 및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의 송수신 방식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요금 정보는,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와 전력수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부(131)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스마트 운영 센터(11) 또는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12) 또는 외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특정 서버로부터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부(131)는,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휴대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제1 통신부(13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통신부(131)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 외부에 독립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부(131)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통신부(13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부(13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와 통신 가능한 다른 전자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부(1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이외에도 촉각과 관련된 출력(예를 들어,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햅틱 모듈(15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상기 로봇 청소기(100) 외부에 독립된 형태로 존재하거나 다른 전자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청소기(100)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서로 별개의 독립된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원 공급 소스(source)를 공유할 수도 있고 공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외부에서 수신되거나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외부에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스토리지(storage)로 호칭될 수도 있다.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스마트 그리드 정보 및 방송 콘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스마트 그리드 엔진(181), 클리닝 제어 엔진(Cleaning Control Engine; CCE, 182) 및 UI 처리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그리드 엔진(181)은,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상기 스토리지(160)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12)로부터 가정 외부에 존재하는 스마트 운영 센터(11)를 통해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직접 수신하거나, 상기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12)로부터 가정 내부에 존재하는 스마트 홈 서버(10)를 통해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운영 센터(11)는 전술한 가정 외부의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의 다른 표현이고, 상기 스마트 홈 서버(10)는 전술한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의 다른 표현이다.
상기 클리닝 제어 엔진(182)는,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클리닝 시스템(Cleaning System, 140)을 제어하여 청소 작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시스템(140)은,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 구비되고, 상기 로봇 청소기(100)를 구동하는 구동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 처리부(183)는,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생성, 저장 및 출력에 관계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환경 및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을 상기 제어부(18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신부(131)를 통하여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그리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필요 여부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12)를 통해 상기 배러티(122)를 충전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잔량이 기준치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시각의 전력 요금이 제1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20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의 전력 요금이 상기 제1 기준치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S160].
이때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은,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20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의 전력 요금이 상기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위한 추천 시각을 포함하는 충전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충전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7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위한 추천 시각에 관한 정보(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7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70)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위한 추천 시각에 관한 정보(75)를 포함하는 충전 추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4)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4)는, 상기 배터리(112)를 즉시 충전할 경우에 소요되는 비용에 관한 정보와, 충전 추천 시각(4시간 후)에 충전할 경우에 소요되는 비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70)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4)에 포함되는 상기 충전 추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서 뿐만이 아니라, 상기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에 따라, 상기 충전 추천 시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예측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전력요금이 가장 저렴한 시간 구간을 고려하여 상기 충전 추천 시각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12)를 완충하는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112)를 완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소요 비용에 따라 상기 충전 추천 시각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 추천 정보는, 외부의 전자 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충전 추천 정보를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전자 기기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핸드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로 상기 충전 추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댁내에 존재하는 DTV로 상기 충전 추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클리닝 시스템(140)을 제어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중, 상기 충전 추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청소 작업을 수행하던 중, 상기 배터리(112)의 잔량이 기준치 이하가 됨에 따라 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충전 추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70)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지를 판단하여[S140], 사용자의 확인이 있으면 상기 S130 단계에서 제공된 추천 시각이 도래하는지를 판단하고[S150], 상기 추천 시각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확인은, 상기 S130 단계에서 제공된 상기 충전 추천 시각에 충전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상기 충전 추천 시각(71)에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승낙을 수신하기 위한 승낙 버튼(72)과, 사용자의 거절을 수신하기 위한 거부 버튼(7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4)는, 지금 충전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76)과, 충전 추천 시각(4시간 후)에 충전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77)과, 충전을 수행하지 말라는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78)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70)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4)에 포함된 각종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상기 로봇 청소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각종 버튼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상기 각종 버튼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70)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모드가 자동 충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170], 자동 충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17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모드가 자동 충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70)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즉시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S16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봇 청소기(100)가 수신하는 전력 정보는, 전력수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전력수요 정보에 따라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수신된 전력수요 정보에 따라 현재 시간구간이 전력수요가 높은 시간구간인 경우,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하지 않고, 전력수요가 낮은 시간구간에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청소기(100)가 상기 전력수요 정보에 따라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식은, 상기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에 따라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 및 상기 전력수요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시간구간이 전력요금 및 전력수요의 기준에 모두 부합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장치(60)가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60)는, 상기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 및 상기 전력수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상기 전원 공급 장치(60)는, 상기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 및 상기 전력수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시간구간이 전력요금 기준 및 전력수요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하도록 전파를 상기 로봇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환경 및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을 상기 제어부(18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모드가 자동 충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모드가 자동 충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여[S210], 충전할 필요가 있으면,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220].
상기 S220 단계에서 산출되는 충전 소요 시간은, 일반 충전 모드로 충전하는데 걸리는 소요 시간과, 급속 충전 모드로 충전하는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충전 소요 시간과 시간대별 전력 요금을 고려하여 일반 충전 모드와 급속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S230], 상기 선택된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S240].
도 10 내지 도 12는, 충전 소요 시간과 시간대별 전력 요금을 고려한 충전 모드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T1은 현재 시각을 나타낸다. 상기 현재 시각은 물리적으로 정확한 현재 시각 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시작하고자 하는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2는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T5는 급속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T4는, 고액과금 시간구간으로 진입하는 시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현재 시각(T1)으로부터 T4가 도래하기 이전에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완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12)를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충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완충하는데 필요한 소요 시간(T2) 동안 전력요금이 기준치(B)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현재 시각(T1)으로부터 T4가 도래하기 이전에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완충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T4가 도래하기 이전에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완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T4가 도래하기 이전에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완충할 수 있으면, 상기 배터리(112)를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충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일반 충전 소요 시간(T2) 동안 전력요금이 상기 기준치(B) 이하를 유지하지 않고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완충하는데 필요한 소요 시간(T5) 동안 전력요금이 상기 기준치(B)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현재 시각(T1)으로부터 T4가 도래하기 이전에 상기 일반 충전 모드 및 상기 급속 충전 모드 중 어떠한 충전 모드로도 상기 배터리(112)를 완충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급속 충전 소요 시간(T5) 동안에도 전력요금이 상기 기준치(B) 이하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2의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 및 상기 급속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하되, 상기 T4가 도래하면 상기 충전을 중지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 및 상기 급속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상기 자동 선택된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 및 상기 급속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하기 전, 사용자의 확인을 얻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일반 충전 모드 및 상기 급속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8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확인을 얻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한 때에 상기 배터리(112)를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로봇 청소기(100)를 기준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 구비되는 배터리(112)의 충전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이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은, 상기 로봇 청소기(100) 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모든 전자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60: 전원 공급 장치 100: 로봇 청소기
110: 전원부 130: 통신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스토리지)
180: 제어부

Claims (19)

  1.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와 관련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 및 전력수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간 구간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고려하여, 전력요금이 기준치 이하인 시간구간 및 전력수요가 기준치 이하의 시간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간구간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로봇 청소기이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로봇 청소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전원이 변환된 전파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파를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과 상기 기준치 이하의 전력요금 시간구간을 고려하여 급속 충전 모드와 일반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로 상기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와 관련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전력요금 정보 및 상기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급속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로 상기 충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로봇 청소기이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로봇 청소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전원이 변환된 전파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파를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완충하는데 필요한 제1 소요 시간 동안 전력요금이 기준치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소요 시간 동안 전력요금이 상기 기준치 이하를 유지하지 않고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완충하는데 필요한 제2 소요 시간 동안 전력요금이 상기 기준치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소요 시간 동안 전력요금이 상기 기준치 이하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와 관련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추천 시각을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추천 시각을 포함하는 충전 추천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추천 정보는,
    상기 추천 시각부터 상기 충전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완충하는데 소요되는 요금에 관한 요금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추천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에 구비된 음향 출력부를 통해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거나, 상기 전자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추천 정보를 외부에 존재하는 전자 기기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전자 기기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 및 전력수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시간 구간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전력요금이 기준치 이하인 시간구간 및 전력수요가 기준치 이하의 시간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구간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17. 전자 기기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기 시간대별 전력요금 정보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급속 충전 모드와 일반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완충하는데 필요한 제1 소요 시간 동안 전력요금이 기준치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일반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요 시간 동안 전력요금이 상기 기준치 이하를 유지하지 않고 상기 급속 충전 모드로 상기 배터리를 완충하는데 필요한 제2 소요 시간 동안 전력요금이 상기 기준치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급속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0100068487A 2010-07-15 2010-07-15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1692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87A KR101692431B1 (ko) 2010-07-15 2010-07-15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87A KR101692431B1 (ko) 2010-07-15 2010-07-15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86A true KR20120007786A (ko) 2012-01-25
KR101692431B1 KR101692431B1 (ko) 2017-01-03

Family

ID=4561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487A KR101692431B1 (ko) 2010-07-15 2010-07-15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2399B1 (en) 2017-01-03 2022-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3204331A1 (ko) * 2022-04-22 2023-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Ess 기반 인공 지능 장치 및 그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4046A (ja) * 1998-01-26 1999-08-06 Aichi Corp バッテリ充電装置
JP2003111311A (ja) * 2001-09-26 2003-04-11 Toyota Industries Corp 電力コスト低減装置及び電力コスト低減方法
KR20060061776A (ko) * 2006-05-12 2006-06-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ic칩
KR20090085920A (ko) * 2008-02-05 2009-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수요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전자식 미터 및 이를이용한 수요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4046A (ja) * 1998-01-26 1999-08-06 Aichi Corp バッテリ充電装置
JP2003111311A (ja) * 2001-09-26 2003-04-11 Toyota Industries Corp 電力コスト低減装置及び電力コスト低減方法
KR20060061776A (ko) * 2006-05-12 2006-06-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ic칩
KR20090085920A (ko) * 2008-02-05 2009-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수요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전자식 미터 및 이를이용한 수요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2399B1 (en) 2017-01-03 2022-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3204331A1 (ko) * 2022-04-22 2023-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Ess 기반 인공 지능 장치 및 그의 전자기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431B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8109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エネルギー管理装置および管理サーバ
CN102597788B (zh) 电力消耗测量系统、插座装置、控制装置、测量装置以及电力消耗测量方法
US20130207466A1 (en) Hom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with new renewable energy
US85083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798834B2 (en) Movable component for a network system
KR101622407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732628B1 (ko) 소비 전력 제어를 위한 전력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20158204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KR101692431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1603995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20000026A (ko) 네트워크 시스템
WO2016084391A1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および電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76954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20014470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163608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 소비부
KR101853661B1 (ko) 전자기기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1218019B1 (ko) 전기제품
EP2568657A1 (en) Network system
US20110273007A1 (en) Network system
KR10167776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 소비부
KR20130090033A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3487B1 (ko)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JP5933229B2 (ja) 車両連携の給電システム
KR10164822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019A (ko)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