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373A - 파쇄건조기 - Google Patents

파쇄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373A
KR20120007373A KR1020100068105A KR20100068105A KR20120007373A KR 20120007373 A KR20120007373 A KR 20120007373A KR 1020100068105 A KR1020100068105 A KR 1020100068105A KR 20100068105 A KR20100068105 A KR 20100068105A KR 20120007373 A KR20120007373 A KR 2012000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rushing
vapor
odor
deod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593B1 (ko
Inventor
최신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이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이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이아
Priority to KR102010006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59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사축을 처리함에 있어서, 상기의 폐사축을 파쇄장치 및 가열장치를 통해 처리가 용이한 상태로 가열, 건조시키되, 상기 폐사축의 파쇄 및 건조시 발생되는 악취증기를 해결하기 위해, 2차에 걸쳐 폐사축의 악취증기 내 분진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필터장치와, 상기 필터장치를 송풍장치를 통해 이동시켜, 탈취히터와 촉매탈취장치를 통해 악취증기 내 악취성분을 열산화 및 촉매산화하여 청정증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폐사축의 처리시 문제가 된 토양, 수질, 대기 오염을 사전에 방지하면서 폐사축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파쇄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쇄건조기{Crushing and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사축을 파쇄 및 건조하여 처리가 용이한 상태로 배출함과 동시에, 건조시 발생되는 악취증기는 여과 및 탈취되어 배출되도록 한 파쇄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염병, 수해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집단 폐사축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집단 폐사에 따른 다량의 유기성 폐기물 발생시 대다수 양축 농가의 경우 농장 주변 야산이나 빈터에 투기하거나, 매립하는 현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집단 유기성 폐기물의 매립은, 침출수 발생 및 지하수 오염문제로 전면적으로 금지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소각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소각처리 방법은 소각시 발생하는 다이옥신에 따른 환경, 민원문제와 고가의 설치비 및 유지 운영비 문제로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폐사축을 처리가 용이한 형태로 파쇄건조시킴으로써, 친 환경적이고 위생적이며, 경제적인 효율성 뿐만 아니라 가축의 전염병 방지 및 방역상의 문제에서도, 재활용면에서도 매우 효과적인 파쇄 및 건조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폐사축을 처리하는 경우, 땅을 일정깊이 시추한 후, 시추공에 매립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일정기간이 지나면 매립지부분에 악취가 진동하게 되고, 상기 매립된 폐사축에서 발생되는 부패물질로 인해, 토양 및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폐사축을 처리가 용이한 상태로 파쇄 및 건조할 수 있도록 하되, 건조시 발생되는 악취는 탈취장치를 통해 완전 연소 및 탈취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파쇄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입되는 폐사축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장치(10)와; 파쇄되는 폐사축을 가열건조시키기 위한 가열장치(20)와; 폐사축의 파쇄건조 시 발생되는 악취증기 내 분진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30)와; 분진이 제거된 악취증기를 공냉시키는 응축기(40)와; 상기 응축기(40)를 거친 악취증기의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장치(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20)는 케이싱(2)의 내부에서 상기 파쇄장치(10)를 내설하는 내통(11)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2) 내에 채워져, 상기 내통(11)이 일부분 담궈지는 열매체유(21)와; 상기 열매체유(21)를 가열하기 위해 케이싱(2)에 내설되는 다수의 가열히터(2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장치(30)는 상기 파쇄장치(10) 내에 설치되어 악취증기 내 분진을 여과하는 1차 분진필터(31)와; 상기 파쇄장치(10) 외부에 설치되어, 1차 분진필터(31)를 거친 악취증기 내 분진을 재여과하는 2차 분진필터(3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취장치(60)는 상기 응축기(40)를 거친 악취공기 내 악취성분을 열산화시켜 제거하는 탈취히터(61)와; 상기 탈취히터(61)를 거친 악취증기가 유입되어, 촉매(64)에 의해 잔여 악취성분을 산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촉매탈취장치(62)와; 상기 탈취히터(61) 및 촉매탈취장치(62) 내에 설치되어, 악취증기 내 수분을 가열건조하기 위한 가열수단(63);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취장치(60)는 열매체유(21)가 채워지는 케이싱(2)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열매체유(21)의 가열에 의해 내부의 증기가 가열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사축을 파쇄 및 건조하여, 처리가 용이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사축을 파쇄 및 건조시 발생하는 유해한 악취증기를 연소 및 탈취하여 무해한 청정증기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의 폐사축을 단시간 내에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되는 폐사축을 90 내지 95℃ 이상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유해성 바이러스가 사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사축을 처리가 용이한 상태로 파쇄 및 건조시킴으로써, 기존의 폐사축 처리방법에서 문제가 된 토양오염, 수질오염, 대기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사축을 파쇄, 건조, 가열, 탈취의 순차적인 작업을 행하는 장치를 통해 손쉽게 처리함으로써, 폐사축의 처리시간 단축, 작업인원의 감축, 작업의 효율성 증대 등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건조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건조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건조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건조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건조기의 공기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쇄건조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쇄건조기(1)는 파쇄장치(10), 가열장치(20), 필터장치(30), 응축기(40), 탈취장치(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쇄건조기(1)는 폐사축(물론 사용자에 따라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음이다.)을 환경오염이 되지 않도록 처리가능한 상태 및 비료로의 사용가능한 상태로 처리하는 것으로서, 후술 될 파쇄장치(10), 가열장치(20), 필터장치(30), 응축기(40), 탈취장치(60)가 설치되는 케이싱(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싱(2)에는 폐사축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3)가 상면에 온/오프(on/off) 가능한 커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2) 내에서 처리된 폐사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4)를 전면에 온/오프 가능한 커버형태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배출구(4)는 파쇄장치(10)가 내설된 내통(11)과 연통되어 있는 형태를 가져야 할 것이다.
상기 파쇄장치(10)는 케이싱(2)의 내부 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파쇄장치(10)는 케이싱(2)에 내설되는 내통(11)과, 상기 내통(1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설치되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싱(2)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수단(70)(ex: 모터 등)과 동력전달수단(체인, 벨트 등)에 의해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2) 내부에서 회전되는 파쇄축(12)과, 상기 파쇄축(12)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향해 사방으로 돌출형성되되 파쇄축(1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투입구(3)를 통해 파쇄장치(10) 내부(더욱 자세히는 내통(11) 내부)로 유입되는 폐사축을 파쇄하는 다수의 파쇄날(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쇄날(13)의 형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가능한 부분임은 당연하다.)
상기 가열장치(20)는 전술된 파쇄장치(10)에 폐사축이 유입되어 파쇄시, 그와 동시에 상기 폐사축을 가열건조시킴으로써, 파쇄시 발생되는 폐사축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열장치(20)는 상기 내통(11)이 내설된 케이싱(2)의 내부에 소정높이로 채워짐으로써, 상기 케이싱(2) 내부에서 내통(11)의 외주연을 가열하여 내통(11) 및 내통(11) 내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유(21)와, 상기 케이싱(2)의 양측에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싱(2)에 내설되는 다수의 가열히터(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히터(22)는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극봉 및 코일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에서 케이싱(2) 내부에 설치된다 하였지만, 이는 곧 케이싱(2) 내부에 채워지는 열매체유(21)에 내에 설치됨으로 의미한다.
물론, 상기 가열히터(22)는 케이싱(2)에 설치된 전원공급장치(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90)로부터 전원공급에 의해 가열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전원공급장치(90)는 온/오프 및 공급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열매체유(21)의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2)에는 전술된 열매체유(2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단이 열매체유(21)까지 내입되는 온도센서(23)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이다.
더불어, 이러한 본 발명의 가열장치(20)는 폐사축이 유입되어 파쇄시, 파쇄되는 폐사축을 90 내지 95℃ 이상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유해성 바이러스가 사멸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필터장치(30)는 전술된 파쇄장치(10) 및 가열장치(20)를 통해 폐사축을 파쇄, 건조 시, 폐사축에서 발생되는 악취증기 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필터장치(30)는 파쇄장치(10) 내부에 설치되어, 파쇄장치(10) 내, 더욱 자세히는 내통(11)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증기 내 분진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1차 분진필터(31)와, 상기 파쇄장치(10)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1차 분진필터(31)와 연결되어 1차 분진필터(31)를 거치며 1차 여과된 악취증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유입된 악취증기 내 분진을 2차로 재여과하는 2차 분진필터(3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진이 포함된 악취증기가 2차 분진필터(32)를 거치며 여과될 시, 가열되었던 증기가 식으면서 발생되는 응축수(W)는 본 발명의 파쇄건조기(1) 후단에 설치된 응축수 저장탱크(80)로 이동되도록 하여 응축수(W)만 외부로 별도 배출가능토록 한다.
상기 응축기(40)는 1차 분진필터(31)와 2차 분진필터(32)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분진이 제거된 악취증기가 유입되는 곳으로, 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W) 형태로 변화시켜 전술된 응축수 저장탱크(8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응축기(40)는 응축기(40)가 유동하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동관(41)과, 상기 유동관(41)의 하단에서 외기를 유동관(41) 사이로 불어 넣어줌으로써, 유동관(41) 내에서 분진이 제거된 악취증기가 공냉되도록 하는 다수의 팬(42)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의 응축기(40)의 구동전원은 전술된 전원공급장치(90)에서 공급되어질 수 있으며, 온/오프(ON/OFF)와 같은 작동여부, 팬(42)의 회전속도 등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원공급장치(90)에서 제어가 가능한 부분일 것이다.)
즉, 상기의 응축기(40)를 통과한 악취증기는 내부의 수분이 응축수(W)가 되어 응축수 저장탱크(80)로 저장되어 지고, 이렇게 응축기(40)에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송풍장치(50)(ex: 블로어(Blower))를 통해 후술될 탈취장치(60)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탈취장치(60)는 1차 분진필터(31) 및 2차 분진필터(32)를 통해 폐사축에서 발생된 분진이 포함된 증기 내 분진이 제거되고, 응축기(40)를 거치며 수분이 제거된 악취증기가 유입되는 곳으로, 상기 탈취장치(60)는 응축기(40)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된 악취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성분을 탈취하는 곳이다.
이를 위한 탈취장치(60)는 케이싱(2) 내 열매체유(21)가 저장되어 있는 곳에 각각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통(11)에서 파쇄되고 있는 폐사축의 건조를 위해 가열되는 열매체유(21)의 열이 사용되도록 하는데, 즉, 상기 케이싱(2) 내에서 열매체유(21)에 담궈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탈취장치(60)는 열매체유(21)의 열로 인해 상기 탈취장치(60) 내부로 가열되어, 상기 탈취장치(60) 내부로 이동하는 공기 내 잔여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탈취장치(60)는 탈취히터(61)와, 촉매탈취장치(6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탈취히터(61)와 촉매탈취장치(62) 모두 전술된 바와 같이 열매체유(21)에 담궈지는 형태로 케이싱(2)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응축기(40)를 거친 공기는 우선, 탈취히터(61)를 거친 후, 촉매탈취장치(62)로 연속해서 거치도록 한다.
상기 탈취히터(61)는 열매체유(21)에 의한 가열뿐만 아니라, 내부에 길이방향을 향해 설치되며 전원공급장치(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어 열을 발산하는 가열수단(63)(ex: 전극봉 또는 가열코일, 이는 후술될 촉매탈취장치(62)의 가열수단(63)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열매체유(21)에 의한 열 및 가열수단(63)에 의한 열을 통해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 내 악취성분을 열산화시켜 1차로 탈취한다.
상기 촉매탈취장치(62)는 탈취히터(61)를 거친 공기가 유입되는 곳으로, 상기 촉매탈취장치(62)는 탈취히터(61)와 마찬가지로 열매체유(21)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내부를 이동하는 증기 내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증기가 상기 촉매탈취장치(62)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향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설치되는 촉매(64)를 통과하면서 악취성분이 촉매산화되면서 탈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촉매탈취장치(62)의 촉매(64)로 백금촉매(Pt Catalyst)가 사용되었다. 또한, 상기 촉매탈취장치(62) 또한 탈취히터(61)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가열수단(63)이 설치되어 내부의 증기를 가열할 수도 있음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탈취장치(60)를 거쳐 악취성분이 제거된 무해한 증기는 케이싱(2)에 설치된 배출관(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더불어, 전술된 1차 분진필터(31), 2차 분진필터(32), 응축기(40), 송풍장치(50), 탈취히터(61), 촉매탈취히터(61), 배출관(5) 등 구성요소간의 상호 연결은 증기 또는 공기 또는 응축수(W)가 유동될 수 있는 파이프 형태의 관 또는 호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파쇄건조기(1)의 케이싱(2) 내부, 더욱 자세히는 내통(11) 내부에 투입구(3)를 통해 폐사축을 투입하면, 상기 내통(11)에 설치된 파쇄장치(10)를 통해 폐사축이 파쇄된다. 이때, 케이싱(2) 내부에 채워져 있는 열매체유(21)가 가열장치(20)에 의해 가열되면서, 파쇄되고 있는 내통(11) 내 폐사축을 가열하게 되고, 이로써, 폐사축은 내통(11) 내에서 파쇄되되 파쇄시 발생되는 수분들이 건조된다.
건조시 발생되는 분진이 포함된 악취 증기(A)는 케이싱(2) 내의 1차 분진필터(31)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증기 내 분진이 제거되고, 1차 분진필터(31)를 거친 증기는 2차 분진필터(32)를 거치면서 재여과되어 분진이 여과된 악취 증기(B)가 된다.
이후, 상기 2차 분진필터(32)를 거치며 분진이 여과된 악취 증기(B)는 응축기(40)를 거치며 응축되어, 증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을 응축하여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응축기(40)를 거침으로써 수분이 제거된 악취 증기(C)는 송풍장치(50)를 통해 탈취히터(61)를 거치며 증기 내 잔여수분 및 악취성분이 제거되어 1차적으로 탈취되고, 탈취히터(61)를 거친 악취 증기(C)는 연속적으로 촉매탈취장치(62)를 거치며 증기 내 잔여수분 및 악취성분이 완전히 제거된 후, 탈취가 된 청정공기(D)가 되어 배출관(5)을 통해 본 발명의 파쇄건조기(1)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상기 배출구(4)를 통해 분쇄 및 건조와 더불어 탈취가 된 폐사축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파쇄건조기 2: 케이싱
3: 투입구 4: 배출구
5: 배출관 10: 파쇄장치
11: 내통 12: 파쇄축
13: 파쇄날 20: 가열장치
21: 열매체유 22: 가열히터
30: 필터장치 31: 1차 분진필터
32: 2차 분진필터 40: 응축기
41: 유동관 42: 팬
50: 송풍장치 60: 탈취장치
61: 탈취히터 62: 촉매탈취히터
63: 가열수단 64: 촉매
70: 동력수단 80: 응축수 저장탱크
90: 전원공급장치

Claims (5)

  1. 유입되는 폐사축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장치(10)와;
    파쇄되는 폐사축을 가열건조시키기 위한 가열장치(20)와;
    폐사축의 파쇄건조 시 발생되는 악취증기 내 분진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30)와;
    분진이 제거된 악취증기를 공냉시키는 응축기(40)와;
    상기 응축기(40)를 거친 악취증기 내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장치(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20)는
    케이싱(2)의 내부에서 상기 파쇄장치(10)를 내설하는 내통(11)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2) 내에 채워져, 상기 내통(11)이 일부분 담궈지는 열매체유(21)와;
    상기 열매체유(21)를 가열하기 위해 케이싱(2)에 내설되는 다수의 가열히터(2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30)는
    상기 파쇄장치(10) 내에 설치되어 악취증기 내 분진을 여과하는 1차 분진필터(31)와;
    상기 파쇄장치(10) 외부에 설치되어, 1차 분진필터(31)를 거친 악취증기 내 분진을 재여과하는 2차 분진필터(3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장치(60)는
    상기 응축기(40)를 거친 악취공기 내 악취성분을 열산화시켜 제거하는 탈취히터(61)와;
    상기 탈취히터(61)를 거친 악취증기가 유입되어, 촉매(64)에 의해 잔여 악취성분을 산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촉매탈취장치(62)와;
    상기 탈취히터(61) 및 촉매탈취장치(62) 내에 설치되어, 악취증기 내 수분을 가열건조하기 위한 가열수단(63);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건조기.
  5.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장치(60)는
    열매체유(21)가 채워지는 케이싱(2)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열매체유(21)의 가열에 의해 내부의 증기가 가열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건조기.
KR1020100068105A 2010-07-14 2010-07-14 파쇄건조기 KR101227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105A KR101227593B1 (ko) 2010-07-14 2010-07-14 파쇄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105A KR101227593B1 (ko) 2010-07-14 2010-07-14 파쇄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73A true KR20120007373A (ko) 2012-01-20
KR101227593B1 KR101227593B1 (ko) 2013-01-29

Family

ID=4561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105A KR101227593B1 (ko) 2010-07-14 2010-07-14 파쇄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087A (ko) * 2017-11-30 2019-06-10 장영현 가축 처리장치
KR20210024907A (ko) * 2019-08-26 2021-03-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매몰지 가축 사체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46Y1 (ko) * 1998-03-25 2000-07-01 정재덕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0344246B1 (ko) * 2000-07-05 2002-07-24 정상욱 음식물 쓰레기의 진공 건조 및 사료 제조장치
JP2003236496A (ja) * 2002-02-13 2003-08-26 Oshima Shipbuilding Co Ltd 畜産副生物の処理システムおよび処理残渣からなる陶器質材料
KR101045501B1 (ko) * 2008-12-29 2011-06-30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폐사 가축 멸균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087A (ko) * 2017-11-30 2019-06-10 장영현 가축 처리장치
KR20210024907A (ko) * 2019-08-26 2021-03-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매몰지 가축 사체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593B1 (ko)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0952474B1 (ko) 연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4493B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101227593B1 (ko) 파쇄건조기
KR101532945B1 (ko) 악취 및 먼지와 유해가스 제거기능을 갖춘 마이크로파 방식의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0905176B1 (ko) 보일러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
KR101045501B1 (ko) 폐사 가축 멸균처리 시스템
KR20120103790A (ko) 가축 매몰처분 사체에 의한 토양오염방지 처리방법
KR20140042242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KR101381245B1 (ko)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100523998B1 (ko)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100881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응축 건조 장치
KR100506535B1 (ko) 탈취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0666733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176369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2427902B1 (ko) 고속건조장치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342927B1 (ko) 가스 및 기름 연료를 사용하는 건조장치
KR101913064B1 (ko) 폐 가금류 소각 처리장치
KR102031797B1 (ko) 동물의 살처분 처리장치
KR101176373B1 (ko)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06495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