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115U -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 Google Patents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115U
KR20120007115U KR2020110002912U KR20110002912U KR20120007115U KR 20120007115 U KR20120007115 U KR 20120007115U KR 2020110002912 U KR2020110002912 U KR 2020110002912U KR 20110002912 U KR20110002912 U KR 20110002912U KR 20120007115 U KR20120007115 U KR 201200071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y
pests
bottom plate
pai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505Y1 (ko
Inventor
김성호
정충렬
Original Assignee
파수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수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파수꾼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2020110002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0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끈끈이 밑판에 포획된 해충이 주변 환경에 의해 이동시에 유실되는 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끈끈이 밑판에 포획된 해충의 종류와 개체수 및 밀도 등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이 개시된다. 상기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은, 해충이 붙어있는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끈끈이 밑판을 원통 형태로 말아서 고정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 시 외부 환경에 의해 끈끈이 밑판에 붙어있는 해충이 유실되는 등의 현상 없이 안전하게 끈끈이 밑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끈끈이 밑판의 상부면에는 바둑판 형태의 격자무늬가 인쇄되어 포획된 해충의 수를 단위 면적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 조사 및 확인한 해충의 수를 중복으로 조사 및 확인하는 현상이나 포획된 해충 중 일부를 빼먹고 조사 및 확인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포획된 해충의 종류와 개체수 및 밀도 등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과수의 나방류 발생에 대한 예찰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Sex pheromone trap set for monitoring of moth in orchard}
본 고안은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성충의 유인력을 향상시켜 나방류의 발생예찰이 간편한 성페로몬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 해충 중 나방류들은 주로 과실과 잎에 피해를 주어 과실의 수량감소와 상품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처럼 과수 재배시 해충의 발생은 중요 점검사항이나, 잎이나 과실을 가해하는 시기가 유충단계여서 과수 관리자가 나방류의 발생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렵고, 육안으로 피해가 확인되더라도 방제적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성폐로몬 트랩을 이용하며, 성충의 발생 시기를 파악하여 다음 세대의 알이나 유충시기를 예측하고 적절한 방제적기를 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과수용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은 끈끈이 밑판을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동시에 상기 끈끈이 밑판에 포획된 해충이 훼손되는 현상이 빈번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끈끈이 밑판에 포획된 해충의 수를 조사 및 확인할 때에 중복으로 조사 및 확인하거나 포획된 해충 중 일부를 빼먹고 조사 및 확인하는 등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일반적인 종래의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은 포획된 해충의 종류와 개체수 및 밀도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과수의 나방류 발생에 대한 예찰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끈끈이 밑판을 교체하거나 이동시에 포획된 해충이 유실되거나 훼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끈끈이 밑판에 포획된 해충의 종류와 개체수 및 밀도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정면과 배면이 개방되고 뉘어진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부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이 형성되며, 측면부의 외부면에는 해충의 포획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기재사항 표시란이 인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 홀; 상기 본체부의 저면부의 전, 후방의 양측이 일부 절개되어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제 1 삽입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고정 홀로부터 상기 제 1 삽입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반원 형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걸림 홈이 상기 제 1 고정 홀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삽입구가 상기 제 1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저면부와 한 쌍의 지지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홈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전, 후단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저면부 상부에 안착되는 해충을 붙잡는 끈끈이 밑판을 포함하되, 상기 끈끈이 밑판은 일측에는 제 2 고정 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2 삽입구가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고정 홀에 제 2 삽입구가 삽입 고정되도록 끈끈이가 형성된 상부면이 내주면이 되도록 상기 끈끈이 밑판을 원통 형태로 말아서 고정시켜 끈끈이에 붙은 해충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삽입구의 양측에는 상기 제 2 고정 홀이 형성된 끈끈이 밑판의 끝단부에 걸려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구가 더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의 끝단부는 상기 절개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 형태로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끈끈이 밑판은 끈끈이가 형성된 상부면에 바둑판 형태의 격자무늬가 더 인쇄되어 상기 끈끈이 밑판에 의해 포획된 해충의 수를 단위 면적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제 1 삽입구가 제 1 고정 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의 모서리부가 모따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은, 끈끈이 밑판을 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해충이 붙어있는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끈끈이 밑판을 원통 형태로 말아 고정시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 시 외부 환경에 의해 끈끈이 밑판에 붙어있는 해충이 유실되거나 훼손되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끈끈이 밑판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끈끈이 밑판에는 상기 끈끈이가 형성된 상부면에 바둑판 형태의 격자무늬가 인쇄되어 끈끈이 밑판에 의해 포획된 해충의 수를 단위 면적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끈끈이 밑판에 포획된 해충의 수를 조사 및 확인할 때, 중복으로 조사 및 확인하는 현상이나 포획된 해충 중 일부를 빼먹고 조사 및 확인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성페로몬 트랩은 포획된 해충의 종류와 개체수 및 밀도 등을 보다 정확히 조사 및 확인하여 과수의 나방류 발생에 대한 예찰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성페로몬 트랩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성페로몬 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끈끈이 밑판의 사시도
도 4는 끈끈이 밑판을 원통 형태로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의 상세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성페로몬 트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성페로몬 트랩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끈끈이 밑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끈끈이 밑판을 원통 형태로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의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성페로몬 트랩은 본체부(10), 다수개의 제 1 고정 홀(11), 한 쌍의 지지부(12),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홈부(13), 끈끈이 밑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제 1 측면부(100), 저면부(101), 제 2 측면부(102), 고정부(10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제 1 측면부(100)와 저면부(101) 및 제 2 측면부(102)는 일체로 형성되어 정면부와 배면부가 개방되도록 삼각기둥 형태로 접혀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03)는 상기 제 1 측면부(100)에 연장되어 절곡됨으로써 상기 고정부(103)의 내부면에 상기 제 2 측면부(102)의 외부면이 부착되어 상기 본체부(10)가 정면부와 배면부가 개방되도록 삼각기둥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예를 들면, 구부리기 쉬운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측면부(100)의 상단부와 제 2 측면부(102)의 상단부 및 상기 고정부(103)를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10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홀(104)에 철사 고리(도시되지 않음) 상기 결합 홀(104)을 결합하여 과수 나무 등에 본 고안에 따른 성페로몬 트랩을 과수 나무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개방된 정면부와 배면부는 성페로몬이 퍼져나가게 함과 동시에 나방류가 유인되도록 하는 입구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03)와 상기 제 2 측면부(102)를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03)와 제 2 측면부(102)는 열융착에 의해서도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3)와 제 2 측면부(102)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고정부(103)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103a)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측면부(102)의 외부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결합돌기(103a)가 삽입되어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결합 홈(10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측면부 즉, 제 1 측면부(100) 또는 제 2 측면부(102)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의 외부면에는 해충의 포획상태 즉, 포획일자와 유살수를 기록할 수 있는 기재사항 표시란(102b)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 1 고정 홀(11)은 상기 본체부(10)의 제 1, 2 측면부(100, 10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고정 홀(11)은 제 1, 2 측면부(100, 102)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제 1, 2 측면부(100, 102)의 중앙부 측을 향하도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는 상기 본체부(10)의 저면부(101)의 전, 후방의 양측이 일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의 양측단에는 제 1 삽입구(120)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고정 홀(11)로부터 상기 제 1 삽입구(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걸림 홈(121)이 상기 제 1 고정 홀(11)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삽입구(120)가 상기 제 1 고정 홀(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 홈(121)은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2)의 양측단에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삽입구(120)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12)의 양측 끝단의 모서리부는 상기 제 1 삽입구(120)가 제 1 고정 홀(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모따기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홈부(13)는 상기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10)의 저면부(10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강도보강 홈부(13)는 상기 본체부(10)의 저면부(101)와 한 쌍의 지지부(12)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저면부(101)와 한 쌍의 지지부(12)가 본체부(10)의 길이 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끈끈이 밑판(14)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에 의해 전, 후단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저면부 상부에 안착되어 해충을 붙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끈끈이 밑판(14)은 예를 들면 구부리기 쉬운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끈끈이 밑판(14)은 일측에는 한 쌍의 제 2 고정 홀(14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한 쌍의 제 2 삽입구(141)가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고정 홀(140)에 제 2 삽입구(141)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끈끈이가 형성된 상부면이 내주면이 되도록 상기 끈끈이 밑판(14)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말아서 고정시켜 상기 끈끈이에 붙은 해충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성페로몬 트랩의 끈끈이 밑판(14)은 해충이 붙은 끈끈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안전하게 원통 형태로 말아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기 끈끈이 밑판(14)을 본체부(10)로부터 분리하여 실험실 등으로 운반할 시에 상기 끈끈이 밑판(14)에 붙어 있는 해충이 끈끈이로부터 떨어져 나가 유실되거나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끈끈이 밑판(14)에 붙어 있는 해충을 바람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간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안전하게 끈끈이 밑판(14)을 본체부(10)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끈끈이 밑판(14)에는 상기 제 2 삽입구(141)의 양측에 상기 제 2 고정 홀(140)이 형성된 끈끈이 밑판(14)의 끝단부에 걸려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구(142)가 더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원통 형태로 말려서 이동되는 끈끈이 밑판(14)을 보다 견고하게 원통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지지구(142)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142a)의 끝단부는 상기 절개부(142a)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 등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 형태로 절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끈끈이 밑판(14)은 상기 끈끈이가 형성된 상부면에 바둑판 형태의 격자무늬(143)가 더 인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끈끈이 밑판(14)의 상부면에 바둑판 형태의 격자무늬(143)가 더 인쇄됨으로써 상기 끈끈이 밑판(14)에 의해 포획된 해충의 수를 단위 면적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면적별로 구획하여 끈끈이 밑판(14)에 의해 포획된 해충의 수를 조사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끈끈이 밑판(14)에 의해 포획된 해충의 수의 조사 및 확인할 때, 이미 조사 및 확인된 해충의 수를 중복으로 조사 및 확인하는 현상이나 포획된 해충 중 일부를 빼먹고 조사 및 확인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은 끈끈이 밑판(14)에 의해 포획된 해충의 조사 및 확인 작업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부(10)의 내측 상단에는 페로몬방출튜브를 거치할 수 있는 투입망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은, 끈끈이 밑판(134)을 본체부(10)로부터 분리하여 해충이 붙어있는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끈끈이 밑판(14)을 원통 형태로 말아서 고정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 시 외부 환경에 의해 끈끈이 밑판(14)에 붙어있는 해충이 유실되는 등의 현상 없이 안전하게 끈끈이 밑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끈끈이 밑판(14)에는 상기 끈끈이가 형성된 상부면에 바둑판 형태의 격자무늬(143)가 인쇄되어 끈끈이 밑판에 의해 포획된 해충의 수를 단위 면적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끈끈이 밑판(14)에 의해 포획된 해충의 수를 조사 및 확인할 때, 이미 조사 및 확인한 해충의 수를 2번에 걸쳐 조사 및 확인하는 현상이나 포획된 해충 중 일부를 빼먹고 조사 및 확인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성페로몬 트랩은 포획된 해충의 종류와 개체수 및 밀도 등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과수의 나방류 발생에 대한 예찰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부 (11) : 제 1 고정 홀
(12) : 지지부 (13) : 강도 보강홈부
(14) : 끈끈이 밑판

Claims (5)

  1. 해충을 페로몬을 이용하여 유인하여 포획하는 장치에 있어서,
    정면과 배면이 개방된 뉘어진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부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이 형성되며, 측면부의 외부면에는 해충의 포획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기재사항 표시란이 인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 홀;
    상기 본체부의 저면부의 전, 후방의 양측이 일부 절개되어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제 1 삽입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고정 홀로부터 상기 제 1 삽입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반원 형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걸림 홈이 상기 제 1 고정 홀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삽입구가 상기 제 1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저면부와 한 쌍의 지지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홈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전, 후단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저면부 상부에 안착되는 해충을 붙잡는 끈끈이 밑판을 포함하되,
    상기 끈끈이 밑판은 일측에는 제 2 고정 홀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2 삽입구가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고정 홀에 제 2 삽입구가 삽입 고정되도록 끈끈이가 형성된 상부면이 내주면이 되도록 상기 끈끈이 밑판을 원통 형태로 말아서 고정시켜 끈끈이에 붙은 해충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폐로몬 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삽입구의 양측에는 상기 제 2 고정 홀이 형성된 끈끈이 밑판의 끝단부에 걸려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구가 더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폐로몬 트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의 끝단부는 상기 절개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 형태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폐로몬 트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끈끈이 밑판은,
    상기 끈끈이가 형성된 상부면에 바둑판 형태의 격자무늬가 더 인쇄되어 상기 끈끈이 밑판에 의해 포획된 해충의 수를 단위 면적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제 1 삽입구가 제 1 고정 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의모서리부가 모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 나방류 발생예찰용 성폐로몬 트랩.
KR2020110002912U 2011-04-07 2011-04-07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KR200464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12U KR200464505Y1 (ko) 2011-04-07 2011-04-07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12U KR200464505Y1 (ko) 2011-04-07 2011-04-07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15U true KR20120007115U (ko) 2012-10-17
KR200464505Y1 KR200464505Y1 (ko) 2013-01-08

Family

ID=4750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912U KR200464505Y1 (ko) 2011-04-07 2011-04-07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3523B2 (en) * 2016-02-08 2018-11-13 Tony Bost Corner insect trap
KR20240055990A (ko) 2022-10-21 2024-04-30 주식회사 에이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생태기록시각화 db구축 디지털 트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456Y1 (ko) * 2000-01-14 2000-08-16 구회석 끈끈이 쥐덫
KR200192716Y1 (ko) * 2000-01-24 2000-08-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과수 나방류 발생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KR20080002829U (ko) * 2008-07-04 2008-07-23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505Y1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3153A (en) Insect trap containing olfactory lure
US2013028367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apping pests
EP3119196B1 (en) Apparatus for sensing bed bug excretion
KR200464505Y1 (ko) 과수 나방류 발생 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JP2012505649A (ja) トコジラミ捕獲器
US9943073B2 (en) Indoor live bird capture system
US20130223677A1 (en) System for counting trapped insects
KR20160050022A (ko) 침범 진단용 장치
KR101202825B1 (ko) 해충 포획용 끈끈이
KR101535535B1 (ko) 해충 유인 포집 장치
KR101388928B1 (ko) 해충 탐지 장치 및 시스템, 해충에 의한 손상 탐지 방법
JP6467571B1 (ja) ダニ捕捉器
US9131676B1 (en) Rodent trap improvement
Gagné et al. Comparative responses of small mammals, vegetation, and food sources to natural regeneration and conifer release treatments in boreal balsam fir stands of Quebec
Abell et al. Trapping techniques for emerald ash borer and its introduced parasitoids
JP3208543U (ja) ミツバチ保護具
Kawakita et al. Time‐series analysis of population dynamics of the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using an ARIMAX model
Lamb et al. Population variability of a native and an introduced herbivore of carrots (Apiaceae)
Knight et al. Flight tunnel and field evaluations of sticky traps for monitoring codling moth (Lepidoptera: Tortricidae) in sex pheromone-treated orchards
KR101105834B1 (ko) 끈끈이판을 가지는 해충트랩
Asaro et al. Efficacy of wing versus delta traps for predicting infestation levels of four generations of the Nantucket pine tip moth (Lepidoptera: Tortricidae)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Pailler et al. High exploration behavior of termite propagules can enhance invasiveness
JP2005245312A (ja) 捕虫器
KR200192716Y1 (ko) 과수 나방류 발생예찰용 성페로몬 트랩
JP2009005616A (ja) 捕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