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628U - 와이어 쏘오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 Google Patents

와이어 쏘오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628U
KR20120006628U KR2020110002234U KR20110002234U KR20120006628U KR 20120006628 U KR20120006628 U KR 20120006628U KR 2020110002234 U KR2020110002234 U KR 2020110002234U KR 20110002234 U KR20110002234 U KR 20110002234U KR 20120006628 U KR20120006628 U KR 201200066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eys
moving
demolition
wire 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644Y1 (ko
Inventor
김영현
Original Assignee
김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현 filed Critical 김영현
Priority to KR2020110002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64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6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2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and additional grou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다수의 플리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재된 와이어 쏘오의 와이어의 방향을 직각 또는 상,하부 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를 일일이 움직이지 않아도 철거하고자 하는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절단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쏘오의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가 개시된다.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는 정면의 제1 철거 구조물 및 측면의 제2 철거 구조물을 철거하기 위해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일측에 제공되는 고정 레일, 고정 레일을 따라 전, 후진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트랙, 이동트랙의 한 쪽 면에 제공되는 수직 구조물, 와이어 쏘오가 감겨져 견인되도록 수직 구조물의 일측에 제공되는 회전 가능한 구동 핸들 및 구동 핸들과 인접된 위치의 수직 구조물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풀리들을 포함하는 차체; 차체의 사방 측면 중 다른 하나에 세워져 제공되는 보조 구조물; 이동 플리들과 동일 평면상으로 보조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풀리들; 및 제1 고정 풀리들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보조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풀리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쏘오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Wire saw track layer having a change function of wire saw direction}
본 고안은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플리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재된 와이어 쏘오의 와이어의 방향을 직각 또는 상,하부 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를 일일이 움직이지 않아도 철거하고자 하는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절단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쏘오의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의 철거는 크레인 선단에 수직이나 수평 강구를 매달아 타격하거나 대형 브래이카를 굴삭기 등에 연결하여 타결하여 구조물을 철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소음 및 진동이 크고 파편의 비산이 많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붕괴 예측이 어렵고 철근 등을 별도로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구조물에 폭약을 설치하여 폭파공법으로 폭파시켜 철거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구물을 철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파편의 비산이 크고 강력하여 인접한 건물에 지대한 영향을 줄 위험이 있다.
이 경우, 밀집지역의 철거에는 거의 사용하기 불가능하고 일시에 다량의 분진을 발생시키며 안전사고의 위험으로 인하여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며, 폭파로 구조물을 충분히 파괴되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잔류 구조물의 처리가 도리어 철거작업을 방해하여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철거의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와이어 쏘오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기둥이나 콘크리트 벽체 등을 절단하여 철거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와이어 쏘오를 이용한 철거는 절단하고자 하는 구조물체 다수의 구멍을 관통한 다음, 이 구멍에 와이어 쏘오를 감아 와이어 쏘오 머신에서 이를 당기면서 회전시켜 각각의 구조물체를 절단하여 철거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때,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는 서로 마주보는 철거 구조물의 철거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측면에 위치된 철거 구조물의 철거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다. 측면의 철거 구조물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를 후진시켜 방향을 전환한 후 측면의 철거 구조물과 정면으로 마주볼 수 있도록 다시 전진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했었다. 이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등 작업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풀리를 이용하여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를 움직이지 않고도 정면의 철거 구조물은 물론 측면의 철거 구조물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정면의 제1 철거 구조물 및 측면의 제2 철거 구조물을 철거하기 위해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로서,
일측에 제공되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전, 후진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트랙, 상기 이동트랙의 한 쪽 면에 제공되는 수직 구조물, 상기 와이어 쏘오가 감겨져 견인되도록 상기 수직 구조물에 제공되는 회전 가능한 구동 핸들 및 상기 구동 핸들과 인접된 위치의 수직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풀리들을 포함하는 차체;
상기 차체의 사방 측면 중 다른 하나에 세워져 제공되는 보조 구조물;
상기 이동 플리들과 동일 평면상으로 상기 보조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풀리들; 및
상기 제1 고정 풀리들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보조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풀리들; 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쏘오는 상기 구동 핸들로부터 이동 풀리들, 제1 고정 풀리들 및 제2 풀리들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철거 구조물 및 제2 철거 구조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 구조물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 위치되는 한 쌍의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들 사이로 수평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바(114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풀리들, 제1 고정 풀리들 및 제2 고정 풀리들의 원 궤적을 따라 고강도의 PVC부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에 의하면, 차체의 일측에는 수직 구조물이 제공되되, 그 수직 구조물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풀리들이 제공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풀리들이 제공된다. 전방의 제1 철거 구조물을 철거할 경우, 와이어 쏘오가 제1 고정 풀리만 경유하게 한다. 게다가, 측방의 제2 철거 구조물을 철거할 경우, 와이어 쏘오가 제1 고정 풀리 및 제2 고정 풀리를 경유토록 한다. 이 과정에서, 와이어 쏘오 지주차를 전, 후진시키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의 전체 사시도로, 도 1은 이동 플리들이 제1 고정 풀리들과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는 이동 플리들이 제1 고정 풀리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 쏘오가 전방의 제1 철거 구조물에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 쏘오가 측방의 제2 철거 구조물에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쏘오(WS)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100)의 전체 사시도로, 도 1은 이동 풀리(118)들이 제1 고정 풀리(130)들와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는 이동 풀리(118)들이 제1 고정 풀리(130)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쏘오(WS)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100)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100)는 전방의 제1 철거 구조물(ST1) 및 측방의 제2 철거 구조물(ST2)을 철거하기 위해 와이어 쏘오(WS)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100)는 차체(110)를 포함한다. 차체(110)는 일측에 제공되는 수평의 고정 레일(112), 그 고정 레일(112)을 따라 전, 후진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 트랙(113), 그 이동 트랙(113)의 한 쪽 면에 제공되는 보조 구조물(114), 와이어 쏘오(WS)가 감겨져 견인되도록 보조 구조물(114)의 일측에 제공되는 회전 가능한 구동 핸들(116) 및 그 구동 핸들(116)과 인접된 위치의 보조 구조물(114)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풀리(118)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핸들(116)과 이동 풀리(118)들은 함께 이동된다. 이와 함께, 구동 핸들(116)과 이동 풀리(118)들은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수직 구조물(120)은 차체(110)의 사방 측면 중 다른 하나에 세워져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풀리(130)들은 이동 풀리(118)들과 가상의 동일 평면상으로 배치되도록 수직 구조물(12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풀리(140)들은 제1 고정 풀리(130)들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수직 구조물(12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와이어 쏘오(WS)는 구동 핸들(116)로부터 이동 풀리(118)들, 제1 고정 풀리(130)들 및 제2 고정풀리(130)들을 경유하여 전방의 제1 철거 구조물(ST1) 및/또는 측방의 제2 철거 구조물(ST2)에 연결된다.
여기서, 수직 구조물(120)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 위치되는 한 쌍의 수직바(114a) 및 그 수직바(114a)들 사이로 수평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바(114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강도의 PVC부(P)는 이동 풀리(118)들, 제1 고정 풀리(130)들 및 제2 고정 풀리(140)들의 원 궤적을 따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VC부(P)는 와이어 쏘오(WS)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와이어 쏘오(WS)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핸들(116)에는 와이어 쏘오(WS)의 일부가 감겨진 상태로서, 그 와이어 쏘오(WS)의 견인을 담당하는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 와이어 쏘오(WS)는 구동 핸들(116)로부터 이동 풀리(118)들 및 제1 고정 풀리(130)들을 경유하며, 제2 고정 풀리(140)들에는 방향 전환시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즉,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1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 쏘오(WS)가 전방의 제1 철거 구조물(ST1)에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쏘오(WS)는 구동 핸들(116)로부터 이동 풀리(118)들 및 제1 고정 풀리(130)들 중 하나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이동 풀리(118)들 및 제1 고정 풀리(130)들은 제1 철거 구조물(ST1)에 형성된 제1 구멍(ST1a)의 위치에 따라 선택하여 경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상태에서, 구동 핸들(116)이 회전 하게 되면, 와이어 쏘오(WS)는 이동 풀리(118)들 및 제1 고정 풀리(130)들 중 하나를 경유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쏘오(WS)의 움직임은 제1 철거 구조물(ST1)의 제1 구멍(ST1a)을 파고 들어가 결국은 그 제1 철거 구조물(ST1)을 직선으로 절단하게 되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10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 쏘오(WS)가 측방의 제2 철거 구조물(ST2)에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쏘오(WS)는 구동 핸들(116)로부터 이동 풀리(118)들, 제1 고정 풀리(130) 및 제2 고정 풀리(140)들 중 하나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이동 풀리(118)들, 제1 고정 풀리(130) 및 제2 고정 풀리(140)들은 제2 철거 구조물(ST2)에 형성된 제2 구멍(ST2a)의 위치에 따라 선택하여 경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상태에서, 구동 핸들(116)이 회전 하게 되면, 와이어 쏘오(WS)는 이동 풀리(118)들 및 제1 고정 풀리(130)들 중 하나를 경유한 다음, 다시 제2 고정 풀리(140)들 중 하나를 경유하면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 쏘오(WS)는 제1 고정 풀리(130)로부터 제2 고정 풀리(140)로 진행할 때, 대략 직각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 쏘오(WS)의 움직임은 제2 철거 구조물(ST2)의 제2 구멍(ST2a)을 파고 들어가 결국은 그 제2 철거 구조물(ST2)을 직선으로 절단하게 되하는 것이다.
이때, 주목할 점은 측면의 제2 철거 구조물(ST2)의 철거 작업시에도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100) 자체를 움직이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ST1 : 제1 철거 구조물 ST1a : 제1 구멍
ST2 : 제2 철거 구조물 ST2a : 제2 구멍
100 :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WS : 와이어 쏘오
110 : 차체 112 : 고정 레일
114 : 수직 구조물 114a : 수직바
114b : 수평바(114b) 116 : 구동 핸들
118 : 이동 풀리 120 : 보조 구조물
120 : 제1 고정 풀리 130 : 제2 고정 풀리
P : PVC부

Claims (3)

  1. 정면의 제1 철거 구조물 및 측면의 제2 철거 구조물을 철거하기 위해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로서,
    일측에 제공되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전, 후진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트랙, 상기 이동트랙의 한 쪽 면에 제공되는 수직 구조물, 상기 와이어 쏘오가 감겨져 견인되도록 상기 수직 구조물의 일측에 제공되는 회전 가능한 구동 핸들 및 상기 구동 핸들과 인접된 위치의 수직 구조물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풀리들을 포함하는 차체;
    상기 차체의 사방 측면 중 다른 하나에 세워져 제공되는 보조 구조물;
    상기 이동 플리들과 동일 평면상으로 상기 보조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풀리들; 및
    상기 제1 고정 풀리들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보조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풀리들; 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쏘오는 상기 구동 핸들로부터 이동 풀리들, 제1 고정 풀리들 및 제2 풀리들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철거 구조물 및 제2 철거 구조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조물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 위치되는 한 쌍의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들 사이로 수평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바(1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풀리들, 제1 고정 풀리들 및 제2 고정 풀리들의 원 궤적을 따라 고강도의 PVC부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오의 방향전환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KR2020110002234U 2011-03-17 2011-03-17 와이어 쏘오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KR200466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34U KR200466644Y1 (ko) 2011-03-17 2011-03-17 와이어 쏘오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34U KR200466644Y1 (ko) 2011-03-17 2011-03-17 와이어 쏘오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28U true KR20120006628U (ko) 2012-09-26
KR200466644Y1 KR200466644Y1 (ko) 2013-04-29

Family

ID=4750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234U KR200466644Y1 (ko) 2011-03-17 2011-03-17 와이어 쏘오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6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675B1 (ko) * 2017-12-15 2020-05-04 김영현 와이어 쏘오 자주차
KR101904693B1 (ko) 2018-03-27 2018-11-28 김창호 자주식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우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560Y1 (ko) 2002-11-14 2003-02-26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자주식 와이어 쏘오 머신
KR200398643Y1 (ko) 2005-07-22 2005-10-14 김영현 원격조정이 가능한 이동형 와이어 쏘오 자주차
KR20090072351A (ko) * 2007-12-28 2009-07-02 성도건설산업㈜ 드라이 몽 건식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인트 철거공법
KR101047993B1 (ko) * 2008-09-02 2011-07-13 김동면 와이어 및 휠소우 겸용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644Y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69529A (ja) 切断装置
KR200466644Y1 (ko) 와이어 쏘오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KR101904693B1 (ko) 자주식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우 머신
KR101977659B1 (ko) 진입암의 고정구조를 갖는 와이어쏘 암벽 절삭 장치
CN206785388U (zh) 一种隧道内锚索清除系统
KR20180101849A (ko) 다중 와이어쏘를 이용한 암벽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과 이를 이용한 굴착공법
KR102106675B1 (ko) 와이어 쏘오 자주차
JP6738533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解体方法
JP2015145571A (ja) トンネル施工設備及び施工方法
JP2014134025A (ja) トンネル工事用装置
JP7042626B2 (ja) 方向転換装置
CN216839620U (zh) 软质石方路基施工用岩石臂钩机
KR10124948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JP6266411B2 (ja) 地盤掘進方法
JP5596529B2 (ja) 補強用鉄筋の取付け構造
KR101378081B1 (ko) 와이어톱을 이용한 절단장치
JP2010174542A (ja) 覆工エレメントの地山への貫入方法及び地盤切削装置
KR20140014564A (ko) 터널 자유면 형성을 위한 워터젯 노즐 구동장치
JP4302027B2 (ja) ワイヤーソー切断装置
EP2572848B1 (en) Wiresaw arranged for conducting an endless diamond wire
JP6889357B2 (ja) スリットの形成方法
KR20190094614A (ko) 텐션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쏘
KR102474148B1 (ko) 이동식 절단 장치
KR20140025904A (ko) 와이어톱을 이용한 절단장치
US20220412021A1 (en) Floor cutting machine having dust collection cover coupled there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