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382U - 전기 뜸 장갑 - Google Patents

전기 뜸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382U
KR20120006382U KR2020110001869U KR20110001869U KR20120006382U KR 20120006382 U KR20120006382 U KR 20120006382U KR 2020110001869 U KR2020110001869 U KR 2020110001869U KR 20110001869 U KR20110001869 U KR 20110001869U KR 20120006382 U KR20120006382 U KR 201200063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ing element
hand
switch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639Y1 (ko
Inventor
노희정
Original Assignee
노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정 filed Critical 노희정
Priority to KR2020110001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3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61H2205/067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뜸 장갑에 관한 것으로, 손을 감싸며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는 구멍이 천공된 내피와, 상기 내피를 수용하며 둘러싸고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여 발열체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발열체가 상기 내피의 구멍에 삽입되어 손의 피부에 접촉되는 절연판, 상기 절연판을 수용하며 둘러싸고 상기 절연판을 압박하여 상기 발열체가 손의 경혈자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공기층을 형성하며 손목 부분 가장자리에 에어주입구가 형성된 에어부, 상기 에어부를 수용하며 둘러싸는 외피; 상기 발열체가 40 ~ 65℃로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스위치, 상기 발열체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가능한 전원부, 상기 절연판에 수용되어 상기 다수의 발열체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선 및 상기 스위치가 ON되면 상기 발열체에 전원이 공급이 되어 상기 스위치가 가리키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원부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에어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주입구에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손의 경혈자리에 온열자극을 주어 사용자의 신진대사가 활발지고, 에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발열체를 압박함으로써 피부에 접촉된 발열체가 경혈자리를 이탈하지 않게 하며, 그와 더불어 지압의 효과 및 보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 뜸 장갑{Electric Moxacautery Glove}
본 고안은 전기 뜸 장갑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성을 높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손의 경혈 위치에 온열자극을 하여 사용자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전기 뜸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을 통한 치료는 피부의 특정 부위에 쑥 등의 약초를 놓고 태움으로써 생체의 변화를 바로잡는 한방 물리요법으로, 쑥의 연소를 통하여 체표로부터의 온열자극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뜸 치료는 피부에 직접 뜸쑥을 놓고 태워 작은 화상을 일으키게 하는 방법이 주로 시술되었고, 최근에는 간편하게 집에서 시술할 수 있는 뜸기구가 소개되어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가정에서 쉽게 신체에 발병된 환부를 치료할 수 있어 비용의 절감 뿐만 아니라, 편의성도 증대시킬 수 있었으며, 아울러 발병된 환부를 조기 치료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반적인 뜸은 시술 후 피부가 화상을 입어 흉터가 남는 부작용이 발생되고 시술시 환자가 움직이기 어려우며 쑥이 타들어가면서 매캐한 연기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호흡이 어려워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성이 좋은 장갑으로 형성되어 손의 경혈자리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돌출된 발열체가 손의 경혈자리에 접촉하며, 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도와 에어압력을 조절하여 온열자극과 지압 및 보온효과가 있는 전기 뜸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은,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손을 감싸며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는 구멍이 천공된 내피와;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를 수용하며 둘러싸고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발열체가 상기 내피의 구멍에 삽입되어 손의 피부에 접촉되는 절연판;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판을 수용하며 둘러싸고 상기 절연판을 압박하여 상기 발열체가 손의 경혈자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공기층을 형성하며 손목 부분 가장자리에 에어주입구가 형성된 에어부;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부를 수용하며 둘러싸는 외피; 상기 외피의 손목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체의 발열온도와 상기 에어부의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 상기 외피의 손목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체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이 가능한 전원부; 상기 절연판에 수용되어 상기 다수의 발열체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는 전선; 및 상기 절연판의 손목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스위치가 ON됨에 따라 상기 발열체에 전원이 공급이 되어 상기 스위치가 가리키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원부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에어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주입구에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은 상기 발열체 사이를 연결하는 열선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은 플렉시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에 돌출형성된 발열체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는 다수의 중공형 볼록부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막과; 다수의 중공형 오목부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막; 및 상기 외부막의 다수의 중공형 볼록부와 상기 내부막의 다수의 중공형 오목부가 대응하여 접착되는 곳에 형성된 에어통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손의 경혈자리에 온열자극을 주어 사용자의 신진대사가 활발지고, 에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발열체를 압박함으로써 피부에 접촉된 발열체가 경혈자리를 이탈하지 않게 하며, 그와 더불어 지압의 효과 및 보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의 사용상태도 및 부분발췌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의 내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의 절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의 외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의 단면도이다.
도 6는 손의 경혈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은 이를 응용하여 손 이외의 혈자리에 전기 뜸을 할 수 있도록 상의 또는 하의, 양말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은 내피(10)와 절연판(20), 에어부(30), 외피(40), 스위치(50), 전원부(60), 전선(70), 제어부(8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5는 오른손등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오른손바닥이나 왼손등, 왼손바닥은 도 6의 경혈자리를 참조하여 판단이 가능하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는 구멍(11)과 발열체(21)의 위치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경혈자리를 참조하면 상기 구멍(11)과 발열체(21)의 위치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경혈자리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고 도 6에 미도시된 경혈자리에 대응하는 발열체(21)를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회로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도 6에 도시된 경혈자리에 대응하는 발열체(21)를 연결하는 열선(22) 또는 전선(70)의 배치는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내피(10)는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손을 감싸며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는 구멍(11)이 천공된다.
상기 구멍(11)의 가장자리에는 옥을 배치하거나, 음이온을 배출하는 물질 등을 배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절연판(20)은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10)를 수용하며 둘러싸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절연판(20)은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는 발열체(21)가 내측(손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발열체(21)가 상기 내피(10)의 구멍(11)에 삽입되어 손의 피부에 접촉된다.
상기 발열체(21)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이 가능한 것으로 발열온도는 일반적인 쑥뜸의 온도인 40 ~ 65℃가 바람직하다.
전선(70)은 상기 절연판(20)에 수용되어 상기 다수의 발열체(21)와 상기 스위치(50) 및 전원부(6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판(20)은 상기 발열체(21)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전선(70) 대신 열선(22)이 인쇄되어 상기 발열체(21) 사이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연판(20)은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플렉시블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열체(21)는 열을 발산할 수 있는 금속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에어부(30)는 상기 절연판(20)의 외부에 외피(40)를 덮어 씌워 상기 절연판(20)과 상기 외피(40) 사이에 마련되어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판(20)을 수용하며 둘러싼다.
상기 에어부(30)는 손목 부분 가장자리의 절연판(20)과 외피(40) 사이에 형성된 에어주입구(31)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절연판(20)의 외측을 압박하므로 상기 발열체(21)가 손의 경혈자리를 누르며 제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부(30)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에어부(30)는 다수의 중공형 볼록부(32a)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막(32)과 다수의 중공형 오목부(33a)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막(33)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막(32)의 다수의 중공형 볼록부(32a)와 상기 내부막(33)의 다수의 중공형 오목부(33a)가 대응하여 접착되는 곳에 형성된 에어통로(34)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볼록부(32a)와 다수의 오목부(33a)의 형태는 어느 하나로 특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외부막(32)과 내부막(33)은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는 밀봉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주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통로(34)를 통하여 구석구석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에어부(30)의 형성으로 보온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아울러 에어부(30)의 압력이 높아질수록 상기 발열체(21)를 통해 손의 경혈자리를 점점 강하게 압박하는 지압의 효과도 가능하다.
상기 스위치(50)는 상기 외피(40)의 손목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체(21)의 발열온도와 상기 에어부(30)의 공기압력을 조절기능이 있는 수단 등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발열온도 및 공기압력을 수치상 또는 단계별로 체크할 수 있는 표시부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외피(40)의 손목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판(20)과 연결되며 상기 발열체(21)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 전선(70)은 상기 절연판(20)에 수용되어 상기 다수의 발열체(21)와 상기 스위치(50) 및 상기 전원부(60)를 연결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절연판(20)의 손목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스위치(50)가 ON됨에 따라 상기 발열체(21)에 전원이 공급이 되어 상기 스위치(50)가 가리키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원부(60)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에어부(3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주입구(31)에 신호를 보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은 다음과 같이 사용 및 작동된다.
사용자는 전원부(60)가 충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전원부(60)가 충전이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비충전식인 경우에는 배터리가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또는 전원부(60)가 콘센트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원부(60)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장갑을 손에 착용하여 스위치(50)를 ON하면, 제어부(80)는 발열체(2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부(60)에 신호를 보내고, 에어부(3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주입구(31)에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60)는 전선(70) 또는 열선(22)을 통해 상기 발열체(21)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발열체(21)는 발열되고, 상기 에어부(30)에는 공기가 충전된다.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50)를 조절하여 상기 발열체(21)의 발열온도와 상기 에어부(30)의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발열온도는 40 ~ 65℃가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스위치(50)에 표시부를 두어 현재 온도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50)는 40 ~ 65℃를 3단계로 나누어 약(예컨대, 40 ~ 50℃), 중(예컨대, 50 ~ 60℃), 강(예컨대, 60 ~ 65℃)으로 표시 및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온도단계를 좀 더 세밀하게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에어부(30)에 충전되는 공기의 양은 상기 스위치(50)를 통해 조절하며, 이 또한 상기와 같이 스위치(50)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50)는 상기 공기의 양을 단계별로 나누어 표시 및 조절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표시 및 조절이 있을 수 있다.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도록 위치한 상기 발열체(21)가 발열되면 상기 경혈자리는 상기 발열체(21)와 접촉하여 온열자극을 받게 되어 사용자는 혈액순환이 좋아지는 등 신진대사가 원할해진다.
상기 발열체(21)가 발열되고 에어부(30)가 공기층을 형성하므로 보온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공기가 상기 에어부(30)에 주입되면 공기가 절연판(20)을 압박하게 되므로, 상기 에어부(30)의 공기의 양이 많아져 공기압이 높아질수록 상기 절연판(20)에 돌출되어 있는 상기 발열체(21)는 손의 경혈자리를 더욱 강하게 압박하게 되는 지압효과가 부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뜸 장갑은 상기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내피 11 : 구멍
20 : 절연판 21 : 발열체
22 : 열선 30 : 에어부
31 : 에어주입구 32 : 외부막
32a: 볼록부 33 : 내부막
33a: 오목부 40 : 외피
50 : 스위치 60 : 전원부
70 : 전선 80 : 제어부

Claims (5)

  1.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손을 감싸며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는 구멍(11)이 천공된 내피(10)와;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10)를 수용하며 둘러싸고 손의 경혈자리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발열체(21)가 상기 내피(10)의 구멍(11)에 삽입되어 손의 피부에 접촉되는 절연판(20);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판(20)을 수용하며 둘러싸고 상기 절연판(20)을 압박하여 상기 발열체(21)가 손의 경혈자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공기층을 형성하며 손목 부분 가장자리에 에어주입구(31)가 형성된 에어부(30);
    손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부(30)를 수용하며 둘러싸는 외피(40);
    상기 외피(40)의 손목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체(21)의 발열온도와 상기 에어부(30)의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50);
    상기 외피(40)의 손목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체(21)와 전선(70)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이 가능한 전원부(60);
    상기 절연판(20)에 수용되어 상기 다수의 발열체(21)와 상기 스위치(50) 및 상기 전원부(60)를 연결하는 전선(70); 및
    상기 절연판(20)의 손목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스위치(50)가 ON됨에 따라 상기 발열체(21)에 전원이 공급이 되어 상기 스위치(50)가 가리키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원부(60)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에어부(3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주입구(31)에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8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뜸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20)은 상기 발열체(21) 사이를 연결하는 열선(22)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뜸 장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20)은 플렉시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뜸 장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20)에 돌출형성된 발열체(21)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뜸 장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30)는
    다수의 중공형 볼록부(32a)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막(32)과;
    다수의 중공형 오목부(33a)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막(33); 및
    상기 외부막(32)의 다수의 중공형 볼록부(32a)와 상기 내부막(33)의 다수의 중공형 오목부(33a)가 대응하여 접착되는 곳에 형성된 에어통로(3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뜸 장갑.
KR2020110001869U 2011-03-07 2011-03-07 전기 뜸 장갑 KR200462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869U KR200462639Y1 (ko) 2011-03-07 2011-03-07 전기 뜸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869U KR200462639Y1 (ko) 2011-03-07 2011-03-07 전기 뜸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382U true KR20120006382U (ko) 2012-09-17
KR200462639Y1 KR200462639Y1 (ko) 2012-09-27

Family

ID=4755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869U KR200462639Y1 (ko) 2011-03-07 2011-03-07 전기 뜸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255A (ko) * 2017-06-19 2018-12-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바닥 자극을 통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예방 및 치료 방법
KR102146366B1 (ko) * 2020-06-18 2020-08-20 장경래 쑥뜸용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990Y1 (ko) 2002-08-28 2002-11-30 안기민 장갑형 손 마사지기
KR200358274Y1 (ko) 2004-02-23 2004-08-06 김선의 에어지압식밴드
KR200435572Y1 (ko) 2006-09-29 2007-01-31 김필종 발열장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255A (ko) * 2017-06-19 2018-12-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바닥 자극을 통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예방 및 치료 방법
KR102146366B1 (ko) * 2020-06-18 2020-08-20 장경래 쑥뜸용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639Y1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46824U (zh) 远红外保健护腕带
WO2020118738A1 (zh) 一种缓解腿部痉挛的束缚带
CN113330659A (zh) 可佩戴装置的电池充电期间的电气隔离
CN102631287A (zh) 一种温热灸疗护具
KR100735855B1 (ko) 성인병 예방용 휴대용 전기 뜸 밴드
KR20180022146A (ko) 온열 밴드
KR200462639Y1 (ko) 전기 뜸 장갑
KR200410306Y1 (ko) 온열치료기
KR100995837B1 (ko) 온열 기능을 갖는 저주파 발패드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KR101551550B1 (ko) 스마트 전열식 뜸 시술 장치
CN103566470B (zh) 一体式磁振热熨热敷保健理疗器
KR200357817Y1 (ko) 온열기능이 구비된 저주파 마사지기
CN1943814A (zh) 多功能随身理疗器
CN210809490U (zh) 一种多点位能量脉冲热灸鞋
KR101578377B1 (ko) 고주파 무릎 관절 치료기
CN202699874U (zh) 一体式磁振热熨热敷保健理疗器
KR20130075948A (ko) 미세전류을 이용한 관절보호대
KR100461469B1 (ko) 발열수단이 구비된 온열 부항기
CN102525797A (zh) 一种具有弹性结构的按摩装置
CN204840238U (zh) 一种带磁疗功能的温灸器
KR20090013126U (ko) 휴대용 온혈 자극기
CN212140907U (zh) 用于风湿患者的膝盖按摩理疗器
KR200397466Y1 (ko) 요통 치료용 요대
CN216753604U (zh) 一种发热按摩护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