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215U -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 Google Patents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215U
KR20120006215U KR2020110001659U KR20110001659U KR20120006215U KR 20120006215 U KR20120006215 U KR 20120006215U KR 2020110001659 U KR2020110001659 U KR 2020110001659U KR 20110001659 U KR20110001659 U KR 20110001659U KR 20120006215 U KR20120006215 U KR 201200062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drawer
bottom plate
control structur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 핑-쿤
Original Assignee
카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카이플라스틱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10001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215U/ko
Publication of KR20120006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7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complete withdrawal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서랍을 용이하게 꺼내고 수납 하는것이 가능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룰 제공한다.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는 수납 상자(100)및 서랍(200)을 갖춘다.
수납 상자(100)는 저판부(10)가 있고, 저판부(10)는 일방의 둘레에 설치된 전연부(11)와 타방의 연부에 설치된 후 스토퍼(12)가 있고,
저판부(10)의 좌,우양측에는 전연부(11)에서 후 스토퍼(12)에 걸처 연신(延伸)된 미끄럼구(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구(13) 내부의 전연부(11)에 가까운 옆에는 테이퍼(taper)형상의 경사안내면(131)이 설치되고 저판부(10)의 2개의 경사안내면(131)의 근방 내측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당접부(14)가 각각 돌설되어 있다.

Description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The sliding of the acceptance box the control structure stopping}
본 고안은 수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랍을 용이하게 꺼내고 수납 할수가 있는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制御構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납 상자 구조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높이로 된 본체가 있고 본체내부에 하나 또는 여러개의 서랍이 접설(摺設)가능 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는 조립된 수납상자를 사용하여 물건을 정리하고 보관 할수가 있게 된다.
본체는 분해하여 여러 겹으로 쌓을수가 있지만 서랍은 구조의 강도(强度)를 높이기 위해 일체 형성되고 수납 상자를 운반할 경우나 사용하지 않고 정리할 경우 여러개의 서랍을 서로 여러겹으로 쌓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구조에는 여전히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1) 수납 상자는 여러개의 서랍을 수납할때에 하측 방향으로 걸리는 압력이 증가하고 최하단의 서랍이 수납상자에서 완전히 꺼내어 질때에 하측방향으로 걸리는 압력에 의해 수납 상자가 하방으로 긁혀서 변형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서랍을 꺼낼 수 있는 공간이 작게 되며 서랍을 완전히 꺼낼수가 없다.
(2) 서랍과 수납 상자와의 면(面)과 면(面)이 당접(當接)되어 있기 때문에 서랍 내부에 무거운 물건을 수납할 경우 서랍과 수납케이스와 의 사이에 마찰저항이 증가하고 서랍을 원활하게 꺼낼수가 곤란한 염려가 있다.
(3)수납 상자의 서랍은 일반적으로 위치결정부 및 계합부가 전부 없는 구조이며 수납 케이스를 운반 할때에 수납 상자내에 설치된 서랍이 부주의 하면 외측으로 미끌어저 서랍 내부에 넣어저 있는 물건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의 목적은 수납 상자의 저면부상의 미끄럼구(溝)내에 형성된 2개의 경사 안내면 에는 그 근방에 당접부가 각각 돌성되고, 서랍의 저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이 당접부를 타고 위로 올라가는 것에 의해 서랍이 들려 올려지기 때문에 서랍을 미끄럼구(溝)에서 용이하게 이탈 시킬수가 있고, 또 슬라이드 블록이 접동(摺動)할때에 지지 하는것에 의해 서랍을 수납 상자에서 용이하게 떼어 놓을 수가 있게 하므로써 실용성을 향상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의 목적은 저판부의 당접부에는 서랍의 저판을 지지 하는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랍과 수납 케이스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이 저감되고 서랍을 원활하게 꺼낼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의 목적은 서랍의 저판에 돌설된 슬라이드 블록은 미끄럼구내를 접동하기 때문에 서랍의 수납 상자내 에서의 이동범위가 규제되고 서랍의 접동행정을 제어 할수가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 4의 목적은 일방측에 수직 스토퍼면이 있고 타방측에 경사활면(傾斜滑面)이 있는 슬라이드 블록이 저판부의 전연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맞추는 것에 의해 서랍이 수평 상태에서 수납 상자내에 원활하게 수납되고 서랍이수납 상자에서 떼어 놓은 상태에서 수납 상자내에 수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수가 있는 가능한 응용성이 높게 한데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납 상자에 서랍을 용이하게 수납 또는 떼어낼수가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를 표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의 당접부를 표시한 부분확대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의 슬라이드블록을 표시한 부분확대도.
도 6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의 서랍을 수납상자에 수납할때의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를 표시한 부분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를 당겨 꺼낼때의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의 서랍을 당겨 꺼낼때의 슬라이드 블록부의 상태를 표시한 부분확대도
도 1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의 수납 상자에서 서랍을 당겨 꺼낼때의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12 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의 수납 상자에서 서랍을 당겨 꺼낼때의 슬라이드블록의 상태를 표시한 부분확대도.
본 고안의 제일의 형태에 의하면,
수납 상자 및 서랍을 갖춘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에 있어서,
수납 상자에는 저판부가 있고, 저판부는 일방의 둘레에 설치된 전연부와 타방의 둘레에 설치된 후 스토퍼가 있고, 저판부의 좌,우양측에는 전연부에서 후 스토퍼에 걸처서 연신(延伸)된 미끄럼구(溝)가 각각 설치되고 미끄럼구 내부의 전연부의 가까운 옆에는 테이퍼(taper)형상의 경사 안내면이 설치되고,
저판부의 2개의 경사안내면 가까운 내측부에는 서로 대향 하도록 당접부가 각각 돌성되고 서랍을 전판, 배판, 2개의 측판 및 개판에 의해 둘러싸인 용기모양으로 형성되고 서랍의 배면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저판과 2개의 측판과의 접속한 곳에는 슬라이드 블록이 저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각각 돌설되고 슬라이드 블록은 전판단부에 가까운 옆에 수직 스토퍼면이 형성되고,
서랍은 저판이 저판부위에 접설(摺設)되어 당접부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이드 블록이 미끄럼구(溝)내에 접설 되고 수직 스토퍼면이 경사 안내면의 둘레에 의해 계지(係止)되어지는 것에 의해 서랍이 꺼내어지는 범위가 제한 되어지게 하여서 된것이다.
또한 저판부의 4모퉁이에 설치된 지지좌에는 말단에 연결부가 설치된 지주가 각각 수직으로 취부되고 수납 상자의 천판의 4모퉁이에 설치된 연결좌가 지주의 연결부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수납 상자 내에서 서랍이 접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랍의 전판은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위치규제부가 양측으로 설치되고 위치규제부는 수납 상자의 지주에 마주치고 서랍이 수납 상자에 수납 될때에 스토퍼로 사용 될수 있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은 일방의 측부에 형성된 수직 스토퍼면과 타방의 측부에 형성된 경사 활면이 있고 경사 활면과 저판부의 전반부의 경사면과 합처지는 것에 의해 서랍이 수평 상태로 수납 상자내에 원활하게 수납 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 도 5 를 참조한다.
도 1 ~ 도 5 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는 저판부(10)가 있고, 수납 상자(100)과 서랍(200)이 있다.
저판부(10)는 일방의 둘레에 경사면(111)이 형성된 전연부(11)가 있고, 타방의 연부에 후 스토퍼(12)가 있고, 좌,우양측에 전연부(11)에서 후 스토퍼(12)에 걸처 연신(延伸)한 미끄럼구(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구(13)내부의 전연부(11)의 가까운 옆에는 테이퍼(taper)형상의 경사안내면(131)이 설치되고 2 개의 경사 안내면(131)근방의 내측에는 서로 대향된 당접부(14)가 각각 돌설 되어 있다.
저판부(10)의 4 모퉁이에 설치된 지지좌(15)는 말단에 연결부(161)가 형성된 지주(16)가 각각 수직으로 취부되고 수납 상자(100)의 천판(17)의 4 모퉁이에 설치된 연결좌(171)가 지주(16)의 연결부(161)에 접속 하는것에 의해 서랍(200)은 수납상자(100)내에서 접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서랍(200)은 전판(21), 배판(22), 2 개의 측판(23) 및 저판(24)에 의해 둘러싸인 용기모양으로 형성 되어 있다.
전판(21)은 외측으로 향해서 각각 돌출된 위치규제부(211)가 외측에 설치 되어 있다.
위치규제부(211)는 수납 상자(100)의 지주(16)에 마주치게 되고 서랍(200)이 수납상자(100)에 수납 될때에 스토퍼(stopper)로 사용된다.
서랍(200)의 배판(22) 단부 근방에 위치한다.
저판(24)과 양측판(23)과의 접속한 곳에는 슬라이드 블록(25)이 저판(24)에 대하여 수직으로 각각 돌설 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25)은 저판(21) 단부에 가까운 옆에 수직 스토퍼면(251)이 형성되고 다른 일방이 옆에는 경사활면(252)이 형성되어 있다.
서랍(200)은 저판(24)을 저판부(10)위에 접설 하는것에 의해 당접부(14)에 지지되고 슬라이드 블럭(25)을 미끄럼구(13)내에 접설하고 수직 스토퍼면(251)이 경사 안내면(131)의 둘레에 계지(係止)되는 것에 의해 서랍을 꺼낼수가 있는 범위가 규제된다.
도 6 및 도 7 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서랍(200)에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25)의 경사활면(252)은 경사면(111)에 합처지는 것에 의해 서랍(200)을 수평상태로 수납상자내에 원활하게 수납할수가 있는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8 을 참조한다.
도 2. 도 3 및 도 8 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서랍(200)은 수납 상자(100)내에 접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서랍(200)의 슬라이드 블록(25)은 저판부(10)의 미끄럼구(13)내에 각각 위치한다.
미끄럼구(13)는 저판부(10)의 전연부(11)에서 후 스토퍼(12)에 걸처 연신(延伸)하고 슬라이드 블록(25)이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서랍(200)은 수납 상자(100)내에 완전히 수납되면 서랍(200)의 배판(22)이 저판부(10)의 후 스토버(12)에 접하고 전판(21)의 위치규제부(211)이 전연부(11)의 지주(16)에 마주치게 됨에 의해 서랍(200)이 완전히 수납상자(100)에 수납되는 위치가 규제 되어진다.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한다.
도 9 및 도 10 에 표시한 바와같이 서랍(200)이 완전히 수납 상자(100)에서 꺼내어지면 서랍(200)의 슬라이드 블록(25)이 미끄럼구(13)에 따라서 저판부(10)의 전연부(11)의 단부 방향으로 향해서 이동하고 슬라이드 블록(25)의 수직 스토퍼면(251)이 미끄럼구(13)의 경사안내면(131)의 둘레에 계지(係止)되는 것에 의해 서랍(200)이 꺼내어 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고 서랍(200)이 수납 상자(100)내에서 행정범위(行程範圍)가 제한 된다.
다음에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한다.
도 11 및 도 12 에 표시된 바 와같이 서랍(200)의 저판(24)과 수납 상자(100)의 저판부(10)와의 사이에는 당접부(14)가 설치 되어 있다.
저판부(10)의 단부에 설치된 당접부(14)는 서랍(200)을 적당한 높이로 지지 하고 저판(24)과 저판부(10)과 상호간 대면(對面)한 상태로 당접하고 슬라이드 블록(25)이 미끄럼구(13)의 저부에 당접(當接)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서랍(200)과 수납 상자(100)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고 서랍(200)을 용이하게 꺼낼 수가 있다.
또 사용자가 수납 상자(100)에서 서랍(200)을 꺼낼때에 서랍(200)의 슬라이드 블록(25)이 경사 안내면(131) 근방까지 접동하고 당접부(14)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25)이 들어 올려지고 슬라이드 블록(25)의 말단이 경사 안내면(131)에 가깝게 붙혀지고 사용자는 서랍(200)을 약간 들어 올리므로써 슬라이 블록(25)이 경사 안내면(131)을 타고 넘게 되고 경사 안내면(131)에 따라서 서랍(200)을 외측으로 간편히 꺼낼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는 이하 " 1" ~ " 4 " 와 같은 효과가 있다.
(1) 수납 상자(100)의 저판부(10)위의 미끄럼구(13)내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131)에는 근방에 당접부(14)가 각각 돌설되고 서랍(200)의 저판(24)에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25)이 당접부(14)를 타고 위로 올려지는 것에 의해 서랍(200)이 들어 올려지고 서랍(200)을 미끄럼구(13)에서 용이하게 이탈 시킬수가 있으며, 또 슬라이드 블록(25)이 접동 할때에 지지 하는것에 의해 서랍(200)을 수납 상자(100)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실용성이 높다.
(2) 저판부(10)의 당접부(14)는 서랍(200)의 저판(24)을 지지 할수가 있기 때문에 서랍(200)과 수납 상자(100) 사이의 마찰저항(摩擦抵抗)을 저감하고 서랍(200)을 원활하게 꺼낼수가 있다.
(3) 서랍(200)의 저판(24)에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25)은 미끄럼구(13)내를 접동하기 때문에 서랍(200)이 수납 상자(100)내 에서의 이동범위가 규제 되고 서랍(200)의 접동행정(摺動行程)을 제어 할수가 있다.
(4) 일방측에 수직 스토퍼면(251)이 있고 타방측에 경사활면(252)를 형성한 슬라이드 블록(25)은 저판부(10)의 전연부(11)에 형성된 경사면(111)과 합처지는 것에 의해 서랍(200)이 수평상태로 수납 상자(100)내에 수납되어 지지되고 수납상자(100)에 서랍(200)을 용이하게 수납할수 있는 응용성(應用性)을 향상 시킨다.
당해 분야에서 기술을 숙지 하는것이 이해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가장 적합한 실시형태를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 하였으나 이것들은 결코 본 고안에 한정 되는것은 아니다.
보 고안의 취지와 영역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경이나 수정을 가 할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는 이러한 변경이나 수정을 포함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 저판부(低板部) 11 전연부(前緣部)
12 후 스토퍼(stopper) 13 미끄럼 구(溝)
14 당접부(當接部) 15 지지좌(支持座)
16 지주(支柱) 17 커버(cover)
21 전판(前板) 22 배판(背板)
23 측판(側板) 24 저판(底板)
25 슬라이드 블록(slide block) 100 수납 상자
111 경사면(傾斜面) 131 경사 안내면(傾斜案內面)
161 연결부(連結部) 171 연결좌(連結座)
200 서랍 211 위치규제부(位置規制部)
251 수직 스토퍼면 252 경사활면(傾斜滑面)

Claims (4)

  1. 수납 상자 및 서랍을 갖춘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에 있어서.
    수납 상자에는 저판부가 있고, 저판부는 일방의 둘레에 설치된 전연부와 타방의 둘레에 설치된 후 스토퍼가 있고 저판부의 좌,우양측에는 전연부에서 후 스토퍼에 걸처서 연신(延伸)된 미끄럼 구(溝)가 각각 설치되고,
    미끄럼구 내부의 전연부에 가까운 옆에는 테이퍼(taper)형상의 경사안내면이 설치되고, 저판부의 2개의 경사안내면의 가까운 내측부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당접부가 각각 돌설되고 서랍은 전판, 배판, 2 개의 측판 및 저판에 의해 둘러싸인 용기모양으로 형성되고 서랍의 배면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저판과 2 개의 측판과의 접속한 곳에는 슬라이드 블록이 저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각각 돌설 되고 슬라이드 블록은 전판단부에 가까운 옆에 수직 스토퍼면이 형성되고 서랍은 저판이 저판부위에 접설(摺設)되어 당접부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이드 블록이 미끄럼 구(溝)내에 접설되고 수직 스토퍼면이 경사 안내면의 둘레에 의해 계지(係止) 되어지는 것에 의해 서랍이 꺼내어지는 범위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저판부의 4 모퉁이 설치된 지지좌에는 말단에 연결부가 설치된 지주가 각각 수직으로 취부되고, 수납 상자의 천판의 4 모퉁이에 설치된 연결좌가 지주의 연결부에 접속 하는것에 의해 수납 상자 내에서 서랍이 접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랍의 전판은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위치규제부가 양측으로 설치되고 위치구제부는 수납상자의 지주에 마주치고 서랍이 수납 상자에 수납 될때에 스토퍼로 사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블록은 일방의 측부에 형성된 수직 스토퍼면과 타방의 측부에 형성된 경사활면이 있고, 경사활면과 저판부의 전반부의 경사면과 합처지는 것에 의해 서랍이 수평 상태로 수납 상자내에 원활하게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KR2020110001659U 2011-02-28 2011-02-28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KR201200062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59U KR20120006215U (ko) 2011-02-28 2011-02-28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59U KR20120006215U (ko) 2011-02-28 2011-02-28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15U true KR20120006215U (ko) 2012-09-05

Family

ID=5368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659U KR20120006215U (ko) 2011-02-28 2011-02-28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21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094Y1 (ko) * 2015-07-23 2016-08-16 주식회사 엔플라스틱 다면 개폐 서랍장
KR200483898Y1 (ko) 2016-09-26 2017-07-07 (주)쎄미링크 생활용품 정리용 케이스
CN108609255A (zh) * 2018-05-22 2018-10-02 陈益民 抽屉式快递收纳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094Y1 (ko) * 2015-07-23 2016-08-16 주식회사 엔플라스틱 다면 개폐 서랍장
KR200483898Y1 (ko) 2016-09-26 2017-07-07 (주)쎄미링크 생활용품 정리용 케이스
CN108609255A (zh) * 2018-05-22 2018-10-02 陈益民 抽屉式快递收纳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909B2 (en) Stackable caddy system
US8960822B1 (en) Drawer track with anti-slip structure
US9084484B2 (en) Shelving system
US8443736B2 (en) Furniture-supported retractable platform assembly
US9079596B2 (en) Cart and drawer assembly
US20080105173A1 (en) Desk, in Particular Pupil Desk
KR20120006215U (ko) 수납 상자의 미끄럼 멈춤 제어구조.
US20190233168A1 (en) Containing device having slidable handle
US20090301361A1 (en) Foldable furniture device
US20140265787A1 (en) Computer monitor stand having an internal tray
US9345317B2 (en) Foldable table with stacking arrangement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JP6122177B2 (ja) 折り畳み式収納箱
KR200472754Y1 (ko) 다용도 서랍장
JP2013023222A (ja) 蓋部材
JP3180330U (ja) 収納家具
KR200481094Y1 (ko) 다면 개폐 서랍장
JP3161514U (ja) 組立て式枠構造
CN217658631U (zh) 一种可收纳式组合桌椅
CN218105199U (zh) 一种组合式的折叠桌
KR200493901Y1 (ko) 폴딩박스용 쉘프 브릿지 구조
TWI483692B (zh) 抽屜滑軌結構
JP6764350B2 (ja) 収納ケース
KR102125657B1 (ko) 신축형 수납함
KR101945272B1 (ko) 압축선반을 구비한 스태킹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