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962U - 복합 공기 청정기 및 기화 살균기 - Google Patents

복합 공기 청정기 및 기화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962U
KR20120005962U KR2020110001286U KR20110001286U KR20120005962U KR 20120005962 U KR20120005962 U KR 20120005962U KR 2020110001286 U KR2020110001286 U KR 2020110001286U KR 20110001286 U KR20110001286 U KR 20110001286U KR 20120005962 U KR20120005962 U KR 201200059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rilizer
vaporization
air cleane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주
Original Assignee
박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주 filed Critical 박종주
Priority to KR2020110001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962U/ko
Publication of KR20120005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 청정기의 음이온 발생과 초음파를 이용한 약제 기화 살균기를 복합적으로 장치하여(일체형) 스텐드형 으로 제작하여 공기중에 부유하는 인체에 해로운 유해균을 살균하는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 따로 음이온 발생기 따로 살균기 따로 하여 사용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장치들을 한곳에 모아 장점만 골라서 스텐드형 으로 하여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공공장소 출입구에 설치하여 건조 상태로 손 소독과 신체 전부를 소독하는 장치다 액체 상태의 살균제는 끈적거림을 일반적으로 싫어하는 이유다
또한 실내에는 부유하는 먼지등도 걸러서 깨끗한 공기를 치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1차 공기 살균은 공기 청정기로 하여 방출되는 공기에 2차적으로 음이온을 동시에 방출을 하면 미미한 살균 효과를 재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3차적으로 신체에 묻어오는 바이러스나 세균을 약제 기화장치에서 분사되는 기화약제로 최종 샤워를 시키면 완벽한 살균을 하여 전염병 확산을 막을 수있다
결론적으로 (1) 공기청정기 (2)음이온 발생기(3)약제 기화 살균기를 일체형으로 조립하여 (스텐드형) 사용 한다
공기청정기를 하단부에 음이온 장치 와 같이 그 상단 부위에 초음파 기화 살균 장치를 접목하여 사용에 편리성을 기하고 효율성을 최대한 극대화 하였다 설치 장소 면적도 줄인다
액체상태의 손소독기는 불쾌감이 있어서 사용을 꺼리므로 방역에 어려움이 있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한 것을 액체 기화 방식으로 채택하였기에 손쉽게 접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공 장소에 출입 할 때 마땅한 방역 소독 장치가 없었다
그냥 사람이 지나가기만 하여도 자동으로 살균이 되는 자동화 장치이다
즉 인체의 모공에 붙어 오는 바이러스는 공기 청정기로는 살균이 어렵다
그래서 직접 약제를 기화하여 샤워하므로 살균 효과를 높였다

Description

복합 공기 청정기 및 기화 살균기{Multi Air Cleaner & Vaporization Sterilizer}
본 고안은 소독 약제를 상온에서 기화시켜 대기 중에 부유 시키는 기술과 공기를 흡입하여 일차 필터로 살균하고 음이온을 발생하여 2차 살균을 시키는 기술이며 위3가지 살균 방법을 복합적으로 장치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헤파 필터를 통하여 부유균을 살균하고 이에 동반하여 음이온을 발생시켜 2차적인 살균을 해왔으나 완벽한 살균을 할 수가 없었다
사람의 신체에 묻어있거나 숨어 있는 바이러스나 부유균은 공기 청정 장비만으로는 완벽하게 살균을 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러한 살균을 최종적으로 마무리 살균은 인체에 무해한 약제를 초미립자(기화상태)로 만들어서 대기 중에 살포 하므로서 부유하고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을 살균할 수가 있으나 약제를 초미립자로(7㎛)만들기 위해서는 압전식 진동자(초음파)를 이용하여 약제를 기화 시키는 기술이다
이 복합적인 살균 방법을 동시에 사용 할 수 있도록 고안하는 기술이다
본 고안은 대기 중에 유해한 부유균 을 동시에 살균 시킬 수 있는 장치를 복합적으로 결합 시키는 것이 어려운 과제였다
공기 청정기와 기화 살균기를 한 장비에 복합적으로 장치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가 따른다 청정기 에서 배출 되는 풍량 과 상단의 기화기에서 분사되는 약제의 분사량이 방해를 받기 때문에 분사 각도를 실제 시험에서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 공기청정기에서 나오는 팬의 소음도 줄여야하며 필터의 교환도 용이 하게 해야한다
그러나 초음파를 이용한 살균기는 계속적으로 분사를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약제통을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를 해야 한다
약제통에 약제가 완전 소비 되기전에 자동으로 감지해야하며 진동자 및 모터 회전을 차단해주어야 장비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공공장소에서 사용을 해야하므로 장비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고려하기위해서 모든 장비의 회로는 자동화 한다
약제통의 진동자 삽입 부분은 약제 수위 조절기를 삽입하여 소비가 되면 자동으로 모터와 진동자 구성 회로도를 차단하여 진동자의 파손을 사전에 막아준다 약제가 보충이 되면 다시 재가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약제를 기화시키는 진동자는 대기 중 에서 열을 발생하여 소손되는 일이 발생하므로 꼭 자동화하여야한다 초음파를 발생하는 진동자는 세라믹 소자로 구성 되어있어서 강한 열이 발생 한다
이 발생 열을 장비하단에 설치한 팬으로 가동하여 식혀주는 장치가 있어야한다 이 팬 장치는 두가지의 역할을 한다 초음파에 의하여 기화된 약제를 외부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며 한편으로는 진동자 구동 회로의 냉각 장치에도 사용해야하는 중요한 구성품 이다
초음파에 의하여 기화된 약제는 수분을 함유 하고 있으므로 분사 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싸이크론 장치를 설치하여 무거운 약제의 입자는 다시 약제 통으로 떨어지도록 구성 하여야한다
분사 되는 약제가 수분이 혼합 되어 있으면 분사 즉시 피 소독체나 신체에 얼룩을 남기고 불쾌감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잔류 약제가 남아서 토양을 오염 시키기도 한다 본 장비의 중요한것이 환경을 오염 시키지 않고 사람의 신체에 분사를 하여도 작은 불쾌감을 없도록 하는 것이 최대의 과제임
또한 입자가 7㎛ 이하로 기체 분자이므로 공중에 부유하는 시간이 길도록 하여 대기중에 부유하는 세균을 살균하여 전염병 예방에 우선을 두었다
본 고안은 액체 상태의 약제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기화 상태로 만들어서 대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유해한 바이러스나,세균,곰팡이 등을 살균하므로서 호흡기 질환으로부터 예방을 우선토록 하는 장비이다
그래도 미흡하게 약제로 살균 되지 않는 유해균은 다시 음이온으로 살균을 하며 세균이 묻어있는 부유 물질은 하단부 필터 장치에서 걸러주도록 하여 정말 깨끗한 대기중의 공기를 청결하게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공공장소 에서는 모든 호흡기 질병이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하여 옮겨지므로 출입구의 양옆에 스텐드형 본 장비를 설치하여 사람에게 직접 분사를 하여 살균하고 그래도 부족한 부분은 2차적으로 음 이온으로 3차적으로는 항균 필터로 걸러서 완벽하게 살균에 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금 까지는 액체형 소독약으로 신체의 손바닥에 비벼서 살균하였지만 신체에 묻어 들어오는 바이러스 나 세균을 살균하는 장치가 없었다 이는 공기청정기와 살균기가 복합적으로 장치된 장비는 더욱 없었다
본 고안은 일개 의 장치에서 1차 공기정화청결 2차 음이온 살균 3차 약제 기화살균 으로 복합적인 장치는 아직 시중에나 세계적으로도 출시된 것이 없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장비를 입체적 으로 본 도면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장비를 옆에서 본 도면이며 필터 장치 음이온 장치 초음파 기화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시중에 유통 되는 공기청정기(헤파 필터 부착)의 속에 음이온 발생기를 장치하고 그 위에 초음파로 약제를 기화시키는 장치를 복합적으로 결합 시킨 것 이다
도1의(1)은 약제가 기화되어 외부로 분사되는 분사구이다 분사거리는 최소한 3미터이상 날아가도록 설계되어있다
(2)는 점멸 램프로서 약제가 소진 되었을 때 외부에서 알수있도록 감지하여 약을 보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3)은 하단부 공기청정기의 음이온 발생장치를 상부 초음파 기화장치를 동시에 제어해주는 제어 장치이다
디지털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식별이 용이하고 조작이 쉽게하도록 설계하여 장치 한다
(4)는 필터에서 걸러진 깨끗한 공기와 음이온이 방출되는 그릴이다
(5)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필터 쪽으로 유입시키는 그릴이다
(6)는 적외선 센서로서 사람이 근접 했을 때 약제가 분사 되도록 감지 센서로서 약제의 과소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7)는 초음파 기화 장치에서 발생된 약제의 기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구다 즉 도1의 (1)과 동일한 장치이다
(8)는 진동자와 함께하는 약제의 수위를 조절 하여 약제가 완전 소모되어 진동자가 소손 되는 것 을 방지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수위 조절계 로서 플로트 스위치이다 반영구적 제품이다
(9)는 하단부 필터로서 프리필터,헤파 필터를 설치하여 외부로 들어오는 공기중의 유해균을 살균시키는 1차적인 살균 장치이다
(10)는 초음파 기화 장치로부터 발생된 기화 약제를 외부로 밀어내는 팬이다 팬의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변 스위치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조절 가능 하도록 한다 회전 속도는 기존 제품보다 30%정도 빠르게 회전 하도록 장착하였다 속도가 느리면 기화량이 적어질 수 있기때문이다
(11)는 초음파 기화기에서 발생된 약제의 기화를 바로 외부로 방출하면 액체 상태의 약제나 물이 묻어서 함께 방출 될 수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위해서 싸이크론 을 설치하여 무거운 입자는 아래로 다시 순환되도록 설계하였다
액체 상태의 입자가 물리적인 힘 초음파를 가해도 일정하게 입자가 기화 되는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입자가 그대로 외부로 방출이 되면 약제의 소모도 많고 피 소독물 에 얼룩이 생기고 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싸이크론을 이용하여 재 순화 시키는 것이다
(12)는 약제속에는 압전식 세라믹 소자로서 약제를 기화 시키는 역할을 하는 진동자이다 이진동자가 초음파를 발생하여 약제를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만든다 이 진동자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가끔 정기적으로 청소를 해주는 것이 좋다
(13)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진동자의 구동회로이다
(14)는 공기 청정기 속에 장착된 음이온 발생기로서 청정공기가 외부로 방출 될 때 청정 공기와 섞여서 같이 방출 되도록 하여 살균효과를 높인다 음이온 발생기는 외부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유해균을 살균하는 2차적인 살균 장치이다
(15)는 공기청정기에 부합된 모터 팬으로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16)는 약제를 담는 용기로서 스텐드 뒤 쪽에 설치하여 스텐드 자체를 안정감 있게 지탱해주는 역할 을 한다
약제통 은 상단 초음파 기화 장치에는 펌프를 사용하여 이송 시킨다 자동장치이다

Claims (3)

  1. 하단부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1차적인 살균을 하여 외부로 청정공기를 방출할 때 음이온 함께 방출 되도록 한다
    공기 청정기에는 프리필터,헤파필트 등을 세로 방향이나 가로 방향으로 설치 한다
  2. 상단의 초음파 기화 살균 장치는 일반적인 노즐 분사 방식도 장착 가능하다 이때 내부에는 싸이크론 장치를 부착한다
  3. 하단부 필터 부분에는 오존이나 자외선 살균 장치도 부착 가능하다
    팬의 설치 부위는 필터 마지막 뒷 부분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KR2020110001286U 2011-02-16 2011-02-16 복합 공기 청정기 및 기화 살균기 KR201200059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86U KR20120005962U (ko) 2011-02-16 2011-02-16 복합 공기 청정기 및 기화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86U KR20120005962U (ko) 2011-02-16 2011-02-16 복합 공기 청정기 및 기화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62U true KR20120005962U (ko) 2012-08-24

Family

ID=5368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286U KR20120005962U (ko) 2011-02-16 2011-02-16 복합 공기 청정기 및 기화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96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1920A (zh) * 2015-12-14 2016-02-10 海峡医疗器械工程研究中心(常州)有限公司 用于微细悬浮粒辅助净化的动力净化装置
KR102211657B1 (ko) * 2020-09-29 2021-02-03 주식회사 아성엔터프라이즈 공기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1920A (zh) * 2015-12-14 2016-02-10 海峡医疗器械工程研究中心(常州)有限公司 用于微细悬浮粒辅助净化的动力净化装置
KR102211657B1 (ko) * 2020-09-29 2021-02-03 주식회사 아성엔터프라이즈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637B1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TWI324945B (ko)
KR101389823B1 (ko)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CN101749811B (zh) 一种双效空气净化除菌装置
KR101309292B1 (ko) 고주파 소독연무를 이용한 소독 시스템
TW201311299A (zh) 降低消毒劑濃度之方法、消除汙染之裝置及系統及其相關方法
KR20120098250A (ko) 구제역 인체 소독시스템
KR20210001365U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KR101195284B1 (ko) 기화식 공기 살균기
JP2014506496A (ja) オゾンおよび噴霧流体を用いる浄化システム
JP3165150U (ja) 可搬式対人除菌装置
JP5051337B2 (ja) 除菌バリアー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20005962U (ko) 복합 공기 청정기 및 기화 살균기
JP2009195665A (ja) 除菌脱臭装置
US20120189490A1 (en) Cleansing system using ozone and nebulized fluids
JP2010167187A (ja) 噴霧装置を備えた遊技機
KR102575939B1 (ko) 살균혼합공기 확산공급장치
CN111420092B (zh) 一种用于口罩的全自动杀菌灭毒箱及其杀菌灭毒方法
KR20210132904A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KR20140094484A (ko) 적외선 음이온 공기청정기
KR20090003849U (ko) 순환식 가습기
CN201615553U (zh) 一种双效空气净化除菌装置
JP2002282346A (ja) 空気殺菌機
KR20150003705A (ko) 공기청정기
KR101883215B1 (ko)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의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