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824U -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824U
KR20120005824U KR2020110001088U KR20110001088U KR20120005824U KR 20120005824 U KR20120005824 U KR 20120005824U KR 2020110001088 U KR2020110001088 U KR 2020110001088U KR 20110001088 U KR20110001088 U KR 20110001088U KR 20120005824 U KR20120005824 U KR 201200058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ower block
upper block
present
side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미
Original Assignee
(주)샌드로블록
산수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샌드로블록, 산수산업 (주) filed Critical (주)샌드로블록
Priority to KR2020110001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824U/ko
Publication of KR201200058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6Sets of pav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측부에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로(120)가 형성는 하부블록(100); 측부에 돌기(210)가 형성되어 하부블록(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공성의 상부블록(200)으로 구성되어,
하부블록(100)은 각각의 돌기(110)가 이웃되는 하부블록(100)의 측부와 맞닿아 각각의 하부블록(100) 사이에 제1이격공간(A1)이 형성되고,
상부블록(200)은 각각의 돌기(210)가 이웃되는 상부블록(200)의 측부와 맞닿아 각각의 상부블록(200) 사이에 제2이격공간(A2)가 형성되며,
상호 연통되는 제1,2이격공간(A1,A2)에 입자형태의 충진체(40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자가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을 정렬할 시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며, 우수 또는 다량의 물을 안정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도블록{Block paved on sidewalk}
본 고안은 블록에 관한 것으로, 투수효과가 우수한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는 보행의 안정성이나 충격완화 등을 위하여 보도의 표면에 판체형의 보도블록이 시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도블록은 우천시 최초의 형태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즉 종래의 보도블록은 장기간에 걸쳐 비가 내리거나, 짧은 시간에 많은 량의 비가 내릴 경우, 보도블록을 지지하고 있는 지반이 연약해져, 최초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변형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보도블록은 유지보수를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유지보수를 하는 동안 보도블록 이용자가 많은 불편을 겪고, 유지보수가 늦어질 경우, 도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우수한 투수기능을 가지며,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측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로가 형성되는 하부블록; 측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하부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공성의 상부블록으로 구성되어,
하부블록은 각각의 돌기가 이웃되는 하부블록의 측부와 맞닿아 각각의 하부블록 사이에 제1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블록은 각각의 돌기가 이웃되는 상부블록의 측부와 맞닿아 각각의 상부블록 사이에 제2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호 연통되는 제1,2이격공간에 입자형태의 충진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의 둘레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을 정렬할 시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매우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상부블록의 상부에 낙하된 물이 효율적으로 투수되어 집수되며, 다수의 상부블록 사이로 낙하된 물이 충진체를 통해 지하로 스며들어, 우수 또는 다량의 물을 안정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하부블록, 상부블록간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하부블록, 상부블록, 및 집수블록의 연결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블록, 상부블록, 집수블록, 및 마감상부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블록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하부블록, 상부블록간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블록 구조물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조물은, 지면에 매설되는 다수의 하부블록(100)과, 하부블록(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블록(200)과, 하부블록(100)과 상부블록(20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체(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블록(100)은 불투수재질로 사각패널 형상을 이루며, 둘레부에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부에 배수로(12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10)는, 하부블록(100)의 둘레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둘레부가 라운드져,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돌기(110)는 다수의 하부블록(100)이 상호 맞닿을 시, 하부블록(100) 간에 제1이격공간(A1)이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작업시 충분한 작업공간이 발생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돌기(110)는 하부블록(100)의 전방부 우측면과, 후방부 좌측면에 형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그 형상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120)는, 하부블록(10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부블록(200)으로부터의 낙수가 집수블록(300)으로 흐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로(120)는 단면이 사각형상을 이루지만, 배수로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블록(100)을 불투수재질로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투수재질일 수도 있다. 이는 하부블록(100)은 필요에 따라서 땅속으로 낙수가 바로 스며드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블록(200)은, 사각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낙수가 배수로(120)로 흐를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둘레부에 돌기(21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10)는, 상부블록(200)의 둘레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둘레부가 라운드져,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돌기(210)는 다수의 상부블록(200)이 상호 맞닿을 시, 상부블록(200) 간에 제2이격공간(A2)이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작업시 충분한 작업공간이 발생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부블록(200)은 공극율이 큰 쇄석이나 플라스틱 성형물 또는 흡수성이 뛰어난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 등이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부블록(200)의 돌기(210)는 상부블록(200)의 전방부 우측면과, 후방부 좌측면에 형성되어 하부블록(100)의 돌기(110)와 맞닿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그 형상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충진체(400)는, 지면에 설치된 다수의 하부블록(100) 및 상부블록(200) 사이에 형성된 제1,2이격공간(A1,A2)에 삽입되며, 다수의 하부블록(100) 및 상부블록(200)을 지지하면서, 제1,2이격공간(A1,A2)으로 흐르려는 낙수를 배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충진체(400)는 입자형태의 모래가 사용되지만, 다공성이 있으면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하부블록, 상부블록, 및 집수블록의 연결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블록, 상부블록, 집수블록, 및 마감상부블록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보도의 지면을 다진다. 이때 다져진 지면에는 모래가 도포되어, 재차 다져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다수의 하부블록(100)이 정렬되도록 지면에 배치한다. 이때 각각의 하부블록(100)의 돌기(110)는 다른 하부블록(100)의 측면 둘레부에 접촉되고, 각각의 하부블록(100)의 전면은 다른 하부블록(100)의 후면과 맞닿아, 도 2와 같이 다수의 하부블록(100)이 정렬된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다수의 하부블록(100)을 정렬할 시, 각각의 하부블록(100) 사이에 형성된 제1이격공간(A1)에 충진체(400)를 충진하면서, 하부블록(100)을 정렬한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는 다수의 상부블록(200)을 다수의 하부블록(100) 상면에 안착시키다. 이때 각각의 상부블록(200)의 돌기(210)는 다른 상부블록(200)의 측면 둘레부에 접촉되고 상면이 하부블록(100)의 돌기(110)에 안착되며, 각각의 상부블록(200)의 전면은 다른 상부블록(200)의 후면과 맞닿아, 도 3과 같이 다수의 상부블록(200)이 정렬된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다수의 상부블록(200)을 정렬할 시, 각각의 상부블록(2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이격공간(A2)에 충진체(400)를 충진하면서, 상부블록(200)을 정렬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보도 가의 지면에 보도 가를 따라 미리 굴착된 집수블록 설치홈(미도시)에 모래와 같은 완충재를 설치한 후, 집수블록 설치홈에 집수블록(300)을 안착시키며, 집수블록(300)과 하부블록(100)이 연통되도록 하부블록(100)?상부블록(200)?집수블록(300)을 정렬하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된다.
이때 상기 집수블록(300)은, 불투수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호 연결되는 다수개의 하부블록(100) 중 가장 단부에 배치된 하부블록(100)과 맞대어진다. 또한 집수블록(300)은 다수의 하부블록(100)의 배수로(120)와 연통되며 배수로(120)의 형성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통라인(311)과, 연통라인(311)과 연통되며 연통라인(311)의 형성방향으로부터 틀어지게 형성되는 이동라인(312)을 갖추고서, 집수블록(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집수라인(310)이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통라인(311) 및 이동라인(312)의 단면이 사각형상을 이루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집수블록(300)의 상부에는, 도 4과 같이 다공성으로 이루어지며 둘레부가 평면을 이루는 마감상부블록(200')이 설치된다. 여기서 마감상부블록(200')은 하부가 집수블록(300)의 상부와 맞대어지며, 측부가 상부블록(200)의 측부와 맞대어진다. 이때 상부블록(200)은 마감상부블록(200')과의 연결이 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마감상부블록(200')과 맞대어지는 측부에 돌기(210)가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수블록(300)의 상부에 마감상부블록(200')이 구비되었지만, 밀폐용 별도의 패널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블록(100)과 상부블록(200)이 동일 규격을 이루도록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블록(100)을 길게 형성하고, 다수의 상부블록(200)을 하부블록(100)의 상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보도 가에 설치된 보도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우수 또는 다량의 물이 보도 가에 공급될 시, 공급된 물의 이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우수 또는 다량의 물이 보도 가에 공급되면, 상부블록(200)의 상면에 낙하된 낙수는 상부블록(200)을 통과하여, 하부블록(100)의 배수로(120)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투수는 배수로(120)를 따라 집수블록(300)의 집수라인(310)으로 이동하고, 집수라인(310)으로 이동된 투수는 집수라인(310)을 따라 별도의 저수조로 집수된다.
한편 상기 충진체(400)로 낙하된 물은, 충진체(400)를 통과하여 지하로 배수되거나, 지중의 밀도가 높을 시 상부블록(200)으로 이동하여, 하부블록(100)으로 집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하부블록(100) 및 상부블록(200)의 둘레부에 돌기(110,210)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하부블록(100) 및 상부블록(200)을 정렬할 시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매우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상부블록(200)의 상부에 낙하된 물이 효율적으로 투수되어 집수되며, 다수의 상부블록(200) 사이로 낙하된 물이 충진체(400)를 통해 지하로 스며들어, 우수 또는 다량의 물을 안정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은, 상부블록(200)이 오염되면 하부블록(100)은 놔둔 채 상부블록(200)만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체 단면도로서,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부블록 구조물은 패킹체(500)가 더 구비되고, 하부블록(100) 및 상부블록(200)에는 패킹체(500)가 삽입되는 삽입홈(130,22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블록(100)의 삽입홈(130)은, 하부블록(100)의 상면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하부블록(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130)은 배수로(120)을 기준으로 하부블록(100)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블록(200)의 삽입홈(220)은, 상부블록(200)의 하면에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부블록(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부블록(100)과 상부블록(200)이 맞닿을 시 하부블록(100)의 삽입홈(130)과 맞대어진다.
상기 패킹체(500)는 일정탄성을 갖으며, 하부블록(100)의 삽입홈(130)에 안착되어, 상부블록(200)이 하부블록(100)에 안착될 시, 하부블록(100)의 삽입홈(130) 및 상부블록(200)의 삽입홈(220)에 삽입안착된다. 이때 패킹체(500)는 상부블록(200)에 의해 가압되며, 패킹체(500)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블록(100)과 상부블록(200) 간을 정밀하게 밀폐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보도 가에 설치된다.
다만 상기 제2실시예는 하부블록(100)에 상부블록(200)을 안착할 시, 하부블록(100)과 상부블록(200) 사이에 패킹체(50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패킹체(5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우수 또는 다량의 물이 상부블록(200)에 낙하되면, 우수 또는 다량의 물은 제1실시예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배수된다.
이때 상기 충진체(400)에 낙하된 낙수는 그 양이 많거나 수압이 강할 경우, 충진체(400)를 하부블록(100)과 상부블록(200) 사이로 가압하여, 하부블록(100)과 상부블록(200)의 정렬을 틀어지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경우, 패킹체(500)가 충진체(400)의 이동을 차단하여, 하부블록(100)과 상부블록(200)의 정렬이 최초 설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은 도 7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7(b,c)와 같이 하부블록 또는 상부블록은, 상호 맞물리는 돌부 또는 삽입홈이 형성되면, 상호 결합이 견고하게 된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상부블록은 교체의 용이성 또는 내구성 향상 등을 위해 불수투재질로 이루어지고, 미관을 위해 상부에 다양한 문양 또는 글자 등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블록(200) 또는 하부블록(100)에 돌기(110,210)를 형성하지 않아, 상부블록(200) 또는 하부블록(100)의 둘레면은 돌기(110,210)가 없는 민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2이격공간(A1,A2)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100; 하부블록 110; 돌기
120; 배수로 130; 삽입홈
200; 상부블록 210; 돌기
220; 삽입홈 300; 집수블록
310; 집수라인 311; 연통라인
312; 이동라인 400; 충진체
500; 패킹체 A1; 제1이격공간
A2; 제2이격공간

Claims (5)

  1. 측부에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로(120)가 형성되는 하부블록(100); 측부에 돌기(210)가 형성되어 하부블록(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공성의 상부블록(200)으로 구성되어,
    하부블록(100)은 각각의 돌기(110)가 이웃되는 하부블록(100)의 측부와 맞닿아 각각의 하부블록(100) 사이에 제1이격공간(A1)이 형성되고,
    상부블록(200)은 각각의 돌기(210)가 이웃되는 상부블록(200)의 측부와 맞닿아 각각의 상부블록(200) 사이에 제2이격공간(A2)가 형성되며,
    상호 연통되는 제1,2이격공간(A1,A2)에 입자형태의 충진체(40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100)의 배수로(120)와 연통되는 연통라인(311)과, 연통라인(311)과 연통되어 배수로(120)로부터의 낙수가 이동되는 이동라인(312)을 갖추고서, 하부블록(100)의 측부에 설치되는 집수블록(300); 집수블록(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블록(200)의 측부에 배치되는 마감상부블록(200')이 보강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100)의 상부 또는 상부블록(20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130,220)이 형성되며, 삽입홈(130,220)에 하부블록(100)과 상부블록(200)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체(50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록(200)은 불투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100)은 투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KR2020110001088U 2011-02-09 2011-02-09 보도블록 KR201200058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88U KR20120005824U (ko) 2011-02-09 2011-02-09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88U KR20120005824U (ko) 2011-02-09 2011-02-09 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24U true KR20120005824U (ko) 2012-08-20

Family

ID=5368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088U KR20120005824U (ko) 2011-02-09 2011-02-09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82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989A (ko) 2017-04-18 2018-10-26 박용원 우수한 배수성과 장수명을 보장하는 보도블록
KR102140338B1 (ko) * 2019-10-17 2020-07-31 (주)아름다운동산 합성투수블럭
KR102448199B1 (ko) * 2022-07-22 2022-09-27 조창제 조립식 합성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989A (ko) 2017-04-18 2018-10-26 박용원 우수한 배수성과 장수명을 보장하는 보도블록
KR102140338B1 (ko) * 2019-10-17 2020-07-31 (주)아름다운동산 합성투수블럭
KR102448199B1 (ko) * 2022-07-22 2022-09-27 조창제 조립식 합성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4336A (zh) 缝隙透水砖组及使用该砖组铺设而成的生态透水路面
KR20120005824U (ko) 보도블록
CN210458853U (zh) 一种市政道路透水铺砌路面结构
CN108239905B (zh) 一种防积水道路及其施工方法
KR101270157B1 (ko) 투보수홀 보도블록 제조 방법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KR101681067B1 (ko) 투수형 인조잔디
KR101841645B1 (ko) 집수 기능을 갖는 보차도용 보도판을 포함하는 블럭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140338B1 (ko) 합성투수블럭
KR101588671B1 (ko) 보수 기능을 갖춘 투수 도로 시공방법
KR102175809B1 (ko)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101106577B1 (ko) 고투수성 친환경 인조잔디 구조체
KR101510517B1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KR101913602B1 (ko) 투수블록
KR20130044675A (ko) 드레인 보드
KR20120135996A (ko) 배수관을 구비한 보도블럭
KR101773329B1 (ko) 운동장용 타격식 배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KR100766809B1 (ko) 쿠션블록
CN205295830U (zh) 缝隙透水砖组及使用该砖组铺设而成的生态透水路面
KR101725376B1 (ko) 보수성 및 배수성이 향상된 투수블록
KR102285538B1 (ko) 배수기능을 가지는 화강석 보도블록
KR101689381B1 (ko) 투수블록
KR20050108898A (ko) 보도블록의 모서리깨짐방지와 자동줄눈형성을 위한장치물과 이를 이용한 보도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