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372U - 이중밀봉캔 - Google Patents

이중밀봉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372U
KR20120005372U KR2020110000432U KR20110000432U KR20120005372U KR 20120005372 U KR20120005372 U KR 20120005372U KR 2020110000432 U KR2020110000432 U KR 2020110000432U KR 20110000432 U KR20110000432 U KR 20110000432U KR 20120005372 U KR20120005372 U KR 201200053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pper
sealing
dou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
Original Assignee
김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 filed Critical 김제
Priority to KR2020110000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372U/ko
Publication of KR20120005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3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으로 밀봉된 캔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량으로 보관이 용이하고, 내용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하며, 밀폐된 용기를 일차 개봉후 다시 이차 마개로 재보관하기 용이한 이중밀봉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원통형상의 내용물을 담는 합성수지재의 용기; 상기 용기 위로 실링을 형성하며 원반형의 절단면을 내면에 형성한 금속재의 1차 마개; 상기 1차 마개 상부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면에 작용점을 가하여 개봉하기 용이한 고리형 캔따개; 상기 1차 마개의 실링 외주면에 상응하여 1차 마개 위로 덮는 합성수지재의 2차 마개;를 포함하는 이중밀봉캔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밀봉캔 {Double-sealed cans}
본 고안은 이중으로 밀봉된 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고, 밀폐된 캔을 개봉후 이차 마개로 재보관하기 용이한 이중밀봉캔을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판매를 위한 보관용도로써 음식물을 밀폐하기 위해 통조림 또는 병조림을 통해 보관을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통조림의 경우 외형이 철재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 음식물의 외형상태나 변질에 대한 여부를 알 수 없다. 또한, 병조림의 경우 쉽게 깨질 우려가 있고, 무게가 무거워 운송에 대한 부담이 있다.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완전한 밀폐가 어렵고, 외형과 재질로 인해 내용물의 중량이 크면 적재시 변형이 되므로 온전한 모습으로 다량으로 보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철재 통조림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의 경우 개봉 후 다시 재보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량으로 보관이 용이하고, 내용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하며, 밀폐된 용기를 일차 개봉후 다시 이차 마개로 재보관하기 용이한 이중밀봉캔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원통형상의 내용물을 담는 합성수지재의 용기; 상기 용기 위로 실링을 형성하며 원반형의 절단면을 내면에 형성한 금속재의 1차 마개; 상기 1차 마개 상부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면에 작용점을 가하여 개봉하기 용이한 고리형 캔따개; 상기 1차 마개의 실링 외주면에 상응하여 1차 마개 위로 덮는 합성수지재의 2차 마개;를 포함하는 이중밀봉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용기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은 상기 용기 외주면을 따라 바깥을 향하여 밑으로 말아넣는 형상으로 절곡 압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1차 마개는 철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의 원통형 용기 내에 내용물을 담는 단계; 상기 용기 상에 알루미늄 재질로 되어 외주면에 실링으로 이루어지고, 실링 내주면에 절단면이 형성된 원판을 올리는 단계; 살균 또는 진공펌프로 진공도를 조절하여 용기 내에 진공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링과 용기를 고정하고, 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바깥을 향하여 밑으로 말아넣는 절곡을 하는 단계; 상기 실링의 절곡을 압착하여 밀봉하는 단계; 상기 밀봉된 알루미늄 원판과 실링 위로 합성수지재의 마개를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밀봉캔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밀봉캔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용기로 되어 가볍고, 그 재질이 투명하여 그 안의 내용물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철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1차 마개로 밀폐력을 강화하고, 개봉시 캔따개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1차마개로 인해 견고한 구조력을 가져 다수의 적재시 형상의 변형없이 유지 유통할 수 있다.
또한, 2차마개로 개봉 후 재보관하기 용이하다. 이때, 용기 외주면에 둘러진 실링으로 견고하게 밀봉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단면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예의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 단면 예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예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밀봉캔은 용기(10), 1차마개(20), 2차마개(30)를 포함한다.
용기(10)는 둥근 바닥으로 세워진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형에 굴곡을 형성하여 형태가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용기(10)는 합성수지 재질 즉, 플라스틱 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재질, 폴리프로필렌(PP)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는 굴곡을 형성하거나 사면을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에 한정을 부여하지 않는다.
1차마개(20)는 원반 형태로 이루어져 용기(10) 위로 굴곡으로 시머 가공하여 조립된 실링(21)을 형성하고 그 실링(21) 내주면 안쪽으로 외피막을 형성하여 용기(10) 상부면을 덮어 밀봉한다. 1차마개(20)는 그 재질이 철재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링(21)은 상기 용기(10) 외주면을 따라 바깥을 향하여 밑으로 말아넣는 형상으로 절곡 압착하여 형성하는 시머 가공으로 형성된다.
용기(10) 상부면의 실링(21) 안쪽으로 절단면(22)이 구비된다. 절단면(22)은 압착성형으로 절취선이 그어진 것으로써 힘을 가하면 절단면(22)이 끊어지게 된다. 그 절단면(22) 일측에 고리형 캔따개(23)가 부착된다. 고리형 캔따개(23)의 고리를 잡고 들어 올리면 그 일단에 있는 작용점(23a)에 힘을 가하여 절단면(22)이 개구되어 손쉽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리형 캔따개(23)와 연결된 절단면(22) 안쪽으로 형성된 원판이 분리되어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2차마개(30)는 원반 형태로 이루어져 1차마개(20) 위에 덮여지게 되고, 그 안쪽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실링(21)의 외주면을 감싸며 가압하여 밀봉되게 한다.
2차마개(3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그 외형이 탄력을 가지고 구부러져 개봉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2차마개(30) 일끝단에 손잡이(31)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재밀봉 및 개폐시 용이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1차마개와 실링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를 시머 기계의 리프터 위에 올리고 풋페달을 밟으면 리프터가 올라가서 위에 있는 척에 관이 고정된다. 제1 시밍롤이 척에 접근하여 뚜껑의 컬을 압착하면서 관 주위를 빠르게 회전한다. 그리고, 뚜껑의 컬을 관 몸체의 플랜지 밑으로 말아 넣는다. 제2 시밍롤이 척에 접근하여 뚜껑의 컬과 몸통의 플랜지를 더욱 압착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투명한 원통형 용기(10) 내에 내용물을 담는다. 상기 용기(10) 상에 1차마개(20)를 덮는다. 내용물을 살균하거나 진공펌프로 용기 내에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1차마개(20)는 상기 용기(10) 외주면을 따라 알루미늄 재질로 된 실링(21)이 압착 성형되어 밀봉한다. 이때, 그 실링(21)의 내주면으로 절단면(22)을 가진 원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링(21)은 용기(10) 외주면을 따라 바깥으로 향하여 밑으로 말아넣는 절곡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재의 2차마개(30)로 상기 원판 위로 실링(21)의 외주면을 밀봉하며 덮는다.
용기(10) 내의 내용물을 이용하기 위해 제품을 개봉시 2차마개(30)에 구비된 손잡이(31)를 잡아 벗겨내고, 1차마개(20) 일단에 구비된 고리형 캔따개(23)를 잡아올려 작용점(23a)에 힘을 가하면 일면이 열리고, 상기 고리형 캔따개(23)의 고리를 위로 잡아 당기면 절단면(22)을 따라 개구된다. 이때, 절단면(22) 안쪽으로 형성된 원판이 절단면(22)을 따라 벗겨져 고리형 캔따개(23)와 함께 실링(21)으로부터 분리가 된다.
내용물을 이용하고 난 후 다시 밀봉시 상기 2차마개(30)를 실링(21)위에 덮어 눌러 막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용기
20: 1차 마개
21: 실링
22: 절단면
23: 고리형 캔따개
30: 2차 마개

Claims (4)

  1. 원통형상의 내용물을 담는 합성수지재의 용기;
    상기 용기 위로 실링을 형성하고, 실링 내주면에 원판으로 덮어지게 되며, 원형의 절단면을 내면에 형성하고, 상부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면에 작용점을 가하여 개봉하기 용이한 고리형 캔따개를 구비한 금속재의 1차 마개;
    상기 1차 마개의 실링 외주면에 상응하여 1차 마개 위로 덮는 합성수지재의 2차 마개;
    를 포함하는 이중밀봉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밀봉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은 상기 용기 외주면을 따라 바깥을 향하여 밑으로 말아넣는 형상으로 절곡 압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중밀봉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마개는 철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밀봉캔.
KR2020110000432U 2011-01-17 2011-01-17 이중밀봉캔 KR201200053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432U KR20120005372U (ko) 2011-01-17 2011-01-17 이중밀봉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432U KR20120005372U (ko) 2011-01-17 2011-01-17 이중밀봉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72U true KR20120005372U (ko) 2012-07-25

Family

ID=4687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432U KR20120005372U (ko) 2011-01-17 2011-01-17 이중밀봉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3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55A1 (ko) * 2015-08-05 2017-02-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마분광분석기용 완전 밀폐형 시료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55A1 (ko) * 2015-08-05 2017-02-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마분광분석기용 완전 밀폐형 시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698B2 (en) Package with lid sealing system
JPH0428451B2 (ko)
US9340344B2 (en) Container for foodstuffs, in particular coffee,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method for packing a foodstuff
JP6598767B2 (ja) 陽圧飲料用の密閉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868121B2 (ja) 製品、特に食品の密閉貯蔵のための容器
CN104540661B (zh) 带有可剥离的盖子的金属罐
US20140166655A1 (en) Metal cans with peelable lids
WO2015045025A1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KR20130110736A (ko) 위생적이며 사용이 편리한 음료캔
KR20120005372U (ko) 이중밀봉캔
US3208626A (en) Container closure and package including same
KR101712639B1 (ko) 1회 용기 밀폐구조
CN202219914U (zh) 一种用于罐式包装的易揭盖
CN201686087U (zh) 复合型一次性酒瓶
US2993636A (en) Container and cover
RU182414U1 (ru)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US1754456A (en) Pail
US6325232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illed container and filled container
US6244020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illed container and filled container
CN103342190A (zh) 圆柱形食品包装罐
JP3233007U (ja) 安全性が改善された缶蓋
KR101431675B1 (ko) 점착제가 구비된 일회용 용기
CN217959135U (zh) 一种双腔加固化妆品流星瓶
AU720130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filled container
JP6116370B2 (ja) カップ状容器、カップ状容器の開封方法、及びカップ状容器の密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