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322A -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322A
KR20120005322A KR1020100066016A KR20100066016A KR20120005322A KR 20120005322 A KR20120005322 A KR 20120005322A KR 1020100066016 A KR1020100066016 A KR 1020100066016A KR 20100066016 A KR20100066016 A KR 20100066016A KR 20120005322 A KR20120005322 A KR 20120005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t water
flow path
heating syste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263B1 (ko
Inventor
이태희
박병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6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2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2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2Hea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관 크기를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순간 가열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과열을 사전에 방지하여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HEATING SYSTEM FOR HOT 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관 크기를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순간 가열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과열을 사전에 방지하여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의 이물질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거하여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식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급수공간이 구비된 본체와,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공급하는 정수기의 기본적인 기능인 정수 공급기능 이외에, 정수를 냉각하거나 정수를 가열하여 소정 온도의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기능이 더 구비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일반적인 구성인 필터와, 온수기의 일반적인 구성인 히터, 냉수기의 일반적인 구성인 냉매에 의한 냉각시스템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온수공급기능을 가진 정수기의 일반적인 형상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되듯이, 종래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본체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정제해 주는 필터(2)와, 상기 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을 저장해 주는 저수조(3)와, 상기 저수조에서 나온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하는 온수부(4)와,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하는 냉수부(5)와, 상기 온수부와 냉수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취수콕(7) 및 냉수취수콕(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은 수로를 형성하는 호스 및 제어를 위한 배선 등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온수공급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는, 공급될 온수를 온수조에 저장하고, 온수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가열수단을 주기적(또는 간헐적)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전력 소비가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온수 급수 초기에는 온수조에서 유출된 온수는 온수유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온수 급수 초기에 상대적으로 온수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부 정수기에서는 유로의 일 측에 히터(electric heater)를 배치하여 물이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소위 순간 가열 급수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순간 가열 급수 방식에 있어서는, 히터의 일 측면이 물을 가열하는데 이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유로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될 수 있어서, 온수 급수 시스템의 크기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큰 히터가 소요되므로 전력 소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순간 가열을 위래 발열량이 큰 히터가 사용되기 때문에 국소적인 고온에 의한 시스템의 파손 우려가 있으며, 안전장치로 퓨즈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플라스틱 재질의 급수 시스템이 퓨즈에 의한 차단을 위한 시간 간격 사이에 녹아버리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관 크기를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가열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에 의한 파손을 신속히 방지할 수 있는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온수가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착스프링은 콘스프링(cone spr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스프링의 초기 길이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와 원통형 가열부 사이의 간격보다 길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원통형 가열부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때 밀착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스프링은 열전도성이 있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케이스 내에 물이 없어서 원통형 가열부가 과열되는 경우 상기 밀착스프링을 통해 열이 직접적으로 온도감지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 상기 스파이럴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된 안전장치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는 유로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유로스프링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스프링은 열전도성이 있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유로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안전장치부로 열을 전달하여 안전장치가 작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장치부는 퓨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스프링에 의한 열전달에 의해 상기 퓨즈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 내에 물이 없어서 원통형 가열부가 과열되는 경우 상기 유로스프링을 통해 열이 직접적으로 안전장치부에 전달되어 퓨즈가 끊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하는 온수가열시스템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 상기 스파이럴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된 안전장치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하는 온수가열시스템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밀착스프링의 초기 길이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와 원통형 가열부 사이의 간격보다 길도록 구성되어 원통형 가열부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때 밀착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원통형 가열부의 과열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열전도성이 있는 밀착스프링을 통해 열이 직접적으로 온도감지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케이스 내에 물이 없어서 원통형 가열부가 과열되는 경우 안전장치가 가동되어 가열부의 과열에 의한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유로형성부가 열전도성이 있는 유로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상기 유로스프링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안전장치부로 열을 직접 전달하여 안전장치가 작동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안정장치부의 퓨즈가 끊어지게 하여 가열부의 과열에 의한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수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의 부분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수기의 개략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의 개략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의 단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의 분해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의 부분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정수기는 필터(10)와 저수조(2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되듯이 상기 필터는 수도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도물 등의 원수에 함유된 부유물질, 녹찌꺼기 및 각종 유해물질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정수기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상기 저수조(20)의 입구에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급수밸브(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25)의 개방시 상기 필터(10)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저수조(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20)는 정수기의 유량을 충분히 유지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정수를 저장해 두는 곳이다. 특히 냉온수를 모두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의 경우 저장된 정수를 통해 충분한 유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필요한 때에 충분한 양의 냉수 및 온수를 생성하는 것이 어려우며, 급격한 냉각이나 가열은 소비전력이 과도하게 필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저수조를 통해 충분한 유량을 미리 확보해 두는 것이다.
충분한 유량 확보를 위해 냉온정수기의 경우 냉수조와 온수조를 구비하기도 한다. 도 2에 도시되듯이 상기 냉수조(30)는 냉수를 생성하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냉수 생성을 위해 냉각시스템이 구비된다.
냉각시스템은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모세관 및 상기 모세관과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로 연결되는 증발기(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압축기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며,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냉매는 저온고압의 상태로 열교환 하고, 모세관에서는 응축기에서 나온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상태로 만들어, 증발기(40)에서는 냉매와 정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가 증발하게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냉각싸이클이 형성된다.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 간은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도 2에서 상기 증발기(40)는 냉수를 생성하기 위해 냉매와 냉수조(30)간의 열교환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증발기는 냉수조(30)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증발기를 흐르는 냉매가 냉수조의 냉수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냉수조의 온도가 4.5℃정도를 유지하도록 하려면, 상기 냉매의 기화 온도는 4.5℃이하인 것으로 냉매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냉매의 종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상기 냉수조(30)의 일 측에는 냉수유출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냉수유출관에는 내부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냉수공급용 밸브(35)가 구비될 수 있다.
온수 공급을 위한 구성으로 별도의 온수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온수조에는 온수 생성을 위한 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것은 온수조가 아니라 순간적으로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순간 온수 가열 시스템이다. 따라서 온수조에 대해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만 도 2 이하에 상세히 도시된다.
도 2와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온수가열시스템(60)은 케이스(61),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62),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63),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64)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61)는 내부에 원기둥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듯이 상기 케이스(61)의 일 측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게 유입구(5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51)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51)는 상기 저수조(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와 저수조 사이의 배관에는 상기 유입구로 들어오는 정수의 배관을 개폐하는 온수 공급용 밸브(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온수밸브(50)의 개방시 상기 저수조(20)의 물이 상기 온수가열시스템(6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원통형 가열부(62)가 수용된다. 상기 원통형 가열부(62)는 전원 인가시 발열하는 원통형의 전기히터(electric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가열부(62)는 내부 유로(68)가 형성될 수 있게 원형의 관(pipe)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4와 같이 원통형 가열부(62)의 내,외면이 모두 물과 접촉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되듯이 유입구(51)를 통해 들어온 물은 후술할 스파이럴 유로(63)를 통해 케이스의 하부로 흘러가면서 원통형 가열부의 외면에 의해 가열되고, 케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원통형 가열부의 내부 유로(68)를 통해 상승하면서 원통형 가열부의 내면에 의해 다시 한번 가열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순간적으로 온수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 가열부(62)는 일 단이 상기 케이스(61)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저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된 단부는 물이 외부로 유출된다는 점에서 상기 온수가열시스템(60)의 유출구(52)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가열부 사이에는 스파이럴 유로(63)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되듯이 상기 스파이럴 유로(63)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가열부를 감싸듯이 구성된다.
상기 스파이럴 유로(63)는, 케이스(61) 및 원통형 가열부(62)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아니하면서도 물과 원통형 가열부(62)의 상호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나선형으로 원통형 가열부를 감싸듯이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중력에 의해 그냥 흐르는 것보다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 스파이럴 유로(63)는 동일한 피치(pitch)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파이럴 유로(63)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속도가 일정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의 유동 속도가 일정하므로 원통형 가열부(62)의 특정 영역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보일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파이럴 유로는 유로형성부(6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유로형성부는 도 5에 도시되듯이 코일형의 스프링(이하 '유로스프링'이라 한다.)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듯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의 둘레에는 상기 유로형성부(62)인 유로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상기 유로스프링이 결합 시 상기 결합홈을 따라 결합되도록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에 유로형성부인 유로스프링이 결합되면, 상기 유로스프링은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케이스 모두에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의 피치 사이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로스프링은 열전도성이 있는 금속성 재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유로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안전장치부로 열을 전달하여 안정장치가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안전장치부(67)에는 퓨즈가 구비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유로스프링에 의한 열전달에 의해 상기 퓨즈가 작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상기 유로스프링은 접하고 있고, 상기 유로스프링은 열전도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원통형 가열부의 열이 직접 상기 안전장치부로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반적인 경우 케이스 내부에 물이 차있기 때문에 상기 원통형 가열부(62)의 과열이 방지되지만, 내부의 물이 부족하거나 원통형 가열부가 이상과열되면 상기 안전장치부에 열이 전달되어 퓨즈가 끊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케이스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온에 노출 시 녹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 가열부에 이상 과열이 발생하면 이를 안전장치부가 감지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케이스가 녹는 등의 온수가열시스템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되듯이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는 온도감지부(64)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감지부(64)는 상기 원통형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케이스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케이스의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써모스텟(thermostat)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써모스텟(thermostat)은 상기 온도감지부(64)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원통형 가열부의 전원 입력을 차단하게 구성된다.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밀착스프링(65)에 의해 상기 원통형 가열부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듯이 상기 밀착스프링(65)은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밀착스프링(65)은 콘스프링(cone spring)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밀착스프링의 초기 길이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와 원통형 가열부 사이의 간격(L)보다 길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밀착스프링은 열전도성이 있는 금속부재로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상기 원통형 가열부는 밀착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온도감지부에 열적으로 밀착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원통형 가열부의 과도한 온도 상승 발생시 상기 밀착스프링(65)에 의해 상기 온도감지부(64)가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써모스텟에 의해 상기 원통형 가열부의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과열에 의한 악영향이 확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반면, 상기의 구성은 내부에 물이 충분히 있으면, 원통형 가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아서 써모스텟이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온수벨브(50)가 개방되면 온수가 공급되고, 상기 원통형 가열부(62)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저수조의 물(정수)은 유입구(51)를 통해 상기 원통형 가열부(62)의 외부에 형성된 스파이럴 유로(63)로 유입된다.
상기 스파이럴 유로를 따라 나선형으로 하향 유동된 물은 원통형 가열부(62)의 외면과 접촉하며 가열된다. 케이스의 하부에 이른 물은 상기 원통형 가열부의 내부 유로(68)를 따라 상승 유동하게 되고, 원통형 가열부의 내면과 접촉하면 다시 가열되어 온도가 필요한 만큼 상승하게 된다.
원통형 가열부의 상부에 도달된 물은 유출구(52)를 통해 유출되고 급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저수조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부족한 경우 상기 스파이럴 유로 및 원통형 가열부 내부의 유로에 물이 부족하게 되어, 원통형 가열부는 이상 과열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상승은 상기 유로형성부(66)의 유로스프링을 통해 안전장치부로 열전달이 일어나 안전장치부의 퓨즈가 끊어지게 하여 원통형 가열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동시에 상기 온도상승은 밀착스프링을 통해 상기 온도감지부에 연전달이 일어나도록 하여 써모스텟이 작동되도록 하여 원통형 가열부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원통형 가열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은 안전장치부에 의해 이루어지든, 온도감지부의 써모스텟에 의해 이루어지든 어느 것이라도 먼저 작동되는 구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최대한 신속하게 원통형 가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서, 가열부의 과열에 의한 온수가열시스템의 파손을 이중으로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온수가열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정수기는 케이스(61),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62),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63),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64)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65)를 포함하는 온수가열시스템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된 안전장치부(67)를 더포함하는 온수가열시스템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 정수기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온수가열시스템에 관한 설명과 중복되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필터 20 : 저수조
30 : 냉수조 40 : 증발기
50 : 온수밸브 51 : 유입구
52 : 유출구 60 : 온수가열시스템
61 : 케이스 62 : 원통형 가열부
63 : 스파이럴 유로 64 : 온도감지부
65 : 밀착스프링 66 : 유로형성부
67 : 안전장치부 68 : 내부유로
69 : 결합홈

Claims (12)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
    을 포함하는, 온수가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스프링은 콘스프링(cone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가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스프링의 초기 길이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와 원통형 가열부 사이의 간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가열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스프링은 열전도성이 있는, 온수가열시스템
  5.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하는,
    온수가열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6.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
    상기 스파이럴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된 안전장치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
    을 포함하는, 온수가열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는 유로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가열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유로스프링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가열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스프링은 열전도성이 있는, 온수가열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안전장치부로 열을 전달하여 안정장치가 작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가열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부는 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스프링에 의한 열전달에 의해 상기 퓨즈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가열시스템.
  12.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형 가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유로;
    상기 스파이럴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된 안전장치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원통형 가열부와 온도감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하는,
    온수가열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KR1020100066016A 2010-07-08 2010-07-08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56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016A KR101564263B1 (ko) 2010-07-08 2010-07-08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016A KR101564263B1 (ko) 2010-07-08 2010-07-08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22A true KR20120005322A (ko) 2012-01-16
KR101564263B1 KR101564263B1 (ko) 2015-10-30

Family

ID=4561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016A KR101564263B1 (ko) 2010-07-08 2010-07-08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439B1 (ko) 2017-04-25 202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온수생성모듈
EP3875875B1 (en) * 2019-07-04 2023-12-13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appliance having an ice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263B1 (ko) 201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7564B (zh) 冷水产生设备和具有该设备的净水器
JP5931049B2 (ja) 冷水タンク
JP2007225252A (ja) 浄水器付き電気温水器
KR102447439B1 (ko) 수처리 장치용 온수생성모듈
KR20120005322A (ko)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0472014Y1 (ko) 정수기용 순간온수장치
US7567750B2 (en) Instantaneous water heater with a heating tube
KR101224901B1 (ko) 실내 난방 시스템
JP2007225251A (ja) 浄水器付き電気温水器
KR101564264B1 (ko) 온수가열시스템, 온수가열시스템의 물의 유무 탐지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339659B1 (ko) 정수기의 온수가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38878Y1 (ko) 정수기용 순간 온수 공급장치
KR101386454B1 (ko) 투-웨이 호스라인과 트윈 물통을 갖는 더블 난방 구조의 사계절 매트
JP4013840B2 (ja) 貯湯式温水器
KR101510701B1 (ko) 정수기
KR100487799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용 히팅장치
KR100602221B1 (ko) 냉장고용 온수디스펜서의 증기방출 방지장치
KR101137649B1 (ko)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200001256A (ko) 열교환기 및 그를 가지는 가온장치
KR101717108B1 (ko) 정수기
KR101153149B1 (ko) 냉온정수기
KR100487815B1 (ko) 냉장고의 온수공급장치
KR101749964B1 (ko)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
KR101377587B1 (ko) 음용수 순간 가열 장치
KR100487787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용 히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