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964B1 -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964B1
KR101749964B1 KR1020150113215A KR20150113215A KR101749964B1 KR 101749964 B1 KR101749964 B1 KR 101749964B1 KR 1020150113215 A KR1020150113215 A KR 1020150113215A KR 20150113215 A KR20150113215 A KR 20150113215A KR 101749964 B1 KR101749964 B1 KR 10174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water storage
refrigerant
flui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348A (ko
Inventor
임성택
홍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PCT/KR2015/01451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08642A1/ko
Publication of KR2016008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B41/04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는
원수 공급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며, 냉동싸이클에 의해 순환되는 저온의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저수조의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
상기 냉각코일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리턴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저수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이동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부터 응축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는 튜브;
상기 저수조의 튜브에서 열교환된 후 이동되는 액상 냉매를 팽창시켜 상기 냉각코일에 공급하는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a quick cooling device using freezing cycle}
본 발명은 순간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수조의 외주연에 권선된 냉각코일을 따라 순환되는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수돗물 등의 원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간 냉각장치는 수돗물을 정수처리하는 정수기, 또는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는 생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등에 제공되어 물을 소정온도로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업소에서 음료수나 생맥주와 같은 주류 등을 일정량으로 제한하여 판매할 때에도 순간 냉각장치 등을 이용하여 음용수를 소정온도로 냉각시켜 판매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 음료, 주류 등과 같은 액체를 소정온도로 냉각하기 위하여 액체저장탱크 및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액체저장탱크는 액체를 투입하기 위한 공급구와, 액체저장탱크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액체저장탱크에 수용된 액체는 냉각장치를 통하여 소정온도로 냉각된다.
상기 배출구에는 콕이 구비되어 상기 액체저장탱크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액체저장탱크에 수용된 액체를 일정량 사용하면 사용한 양 만큼의 새로운 액체가 상기 공급구를 통하여 공급된다.
종래의 순간 냉각장치는 공급구를 통하여 액체저장탱크로 액체가 유입되면, 액체저장탱크의 냉각된 액체와 섞이게 됨으로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는 그만큼 온도가 상승하여 사용자는 냉각되지 않은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액체저장탱크로 유입되는 액체가 액체저장탱크에 있던 액체와 혼합되는 경우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1228호에 정수기의 냉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수조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 이하일 경우에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발열체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응축기의 응축 효율이 높아져 응축기의 사이즈를 컴팩트화할 수 있도록 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는,
원수 공급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저수조에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쪽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나선형 유도판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가이드부재와, 유체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저수조의 내벽에 생성되는 얼음벽과,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감지하기 위한 수온감지센서를 구비함;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이동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저수조 내부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이동되는 액상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의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내설되고,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응축기로부터 이동되는 고온의 냉매를 상기 저수조의 유체와 열교환시키는 튜브;
상기 저수조의 외측면에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나선형으로 권선되거나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이동되는 저온의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저수조 내부의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는,
원수 공급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저수조에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쪽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나선형 유도판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가이드부재와, 유체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저수조의 내벽에 생성되는 얼음벽과,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감지하기 위한 수온감지센서를 구비함;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저수조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이동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이동되는 액상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의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내설되고,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압축기로부터 이동되는 고온의 냉매를 상기 저수조의 유체와 열교환시키는 튜브;
상기 저수조의 외측면에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나선형으로 권선되거나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이동되는 저온의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저수조의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
상기 압축기의 냉매를 응축기로 이동시키는 배관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수조의 튜브 입구에 연결되는 튜브 인입관;
상기 저수조의 튜브 출구에 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의 튜브 인입관에 출구가 연결되는 튜브 토출관;
상기 배관과 튜브 인입관사이에 설치되고, 온(on) 상태일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매를 상기 튜브에 이동시키고, 오프(off) 상태일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매를 상기 응축기에 이동시키는 삼방밸브;
상기 튜브 토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저수조의 튜브로부터 이동되는 냉매를 상기 응축기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는,
원수 공급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저수조에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쪽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나선형 유도판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가이드부재와, 유체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저수조의 내벽에 생성되는 얼음벽과,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감지하기 위한 수온감지센서를 구비함;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저수조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이동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이동되는 액상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로부터 이동되는 고온의 냉매를 상기 저수조의 유체와 열교환시키기 위해,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하단이 막힌 원통형상의 결합홈에 원통형의 제1,2통로를 형성하도록 이중관을 형성하되 상기 제1,2통로는 서로 연통됨;
상기 저수조의 외측면에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나선형으로 권선되거나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이동되는 저온의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저수조의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
상기 압축기로부터 응축기로 연결되는 배관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수조의 제1통로의 입구에 연결되는 튜브 인입관;
상기 저수조의 제2통로의 출구에 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의 튜브 인입관에 출구가 연결되는 튜브 토출관;
상기 튜브 인입관에 설치되고, 온(on) 상태일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매를 상기 제1통로에 이동시키고, 오프(off) 상태일 경우 상기 압축기의 냉매를 상기 응축기에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튜브 토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저수조의 제2통로로부터 이동되는 냉매를 상기 응축기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저수조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 이하일 경우에 저수조 내의 결빙을 녹여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전열선 또는 히터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를 줄여 구조 간단화로 인해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응축열 일부를 저수조 내의 결빙을 해동시키도록 사용하므로 응축기의 응축 효율을 향상시켜 응축기의 사이즈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저수조의 변형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저수조의 다른 변형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는
원수 공급부;
상온의 유체(정수 또는 생수를 말함)(이하 정수 라고 함)가 유입되는 유입구(10)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되는 저수조(12);
상기 저수조(12)의 외측면에 이와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냉각효율을 높이도록 나선형으로 권선되며, 냉동싸이클에 의해 생성되어 순환되는 저온의 냉매와 상기 저수조(12)의 유체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13);
상기 냉각코일(13)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리턴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
상기 저수조(12)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3)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4)로부터 응축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는 튜브(17);
상기 저수조(12)의 튜브(17)에서 열 교환된 후 배출된 액상 냉매를 냉각코일(13)에 공급하는 팽창밸브(5)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냉각코일(13)은 상기 저수조(12)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수 공급부는 정수를 저수조(12)의 유입구에 공급하는 원수공급관(L1)과, 상기 원수공급관(L1)에 형성된 정수필터(21)와, 감압밸브(20) 및 온 오프 제어되어 상기 원수공급관(L1)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압밸브(20)를 지난 원수공급관(L1)에는 배수관(L2)이 연결된다. 배수관(L2)은 솔레노이드밸브(22)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배수를 유도한다.
상기 저수조(12)는 상기 유입구(10)를 통해 저수조(12)에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11)쪽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나선형 유도판(14)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가이드부재(15);
상기 냉각코일(13)의 냉매에 의해 상기 저수조(12)의 내벽에 생성되는 얼음벽(16);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15)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12) 내부에 상기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응축기(4)로부터 이동되는 응축상태의 냉매를 상기 유체와 열교환시킨 후 상기 팽창밸브(5)로 이동시키는 코어형상의 튜브(17);
상기 저수조(12) 내부의 수온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저수조(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온감지센서(18);를 구비한다.
상기 얼음벽(16)은 냉동싸이클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저수조(12)의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정수를 냉각시켜 형성된다.
압축기(22)로부터 이동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는 배관(32)을 통해 응축기(4)로 이송된다.
이후, 고온 고압의 냉매는 튜브 인입관(172)으로 이송되어 저수조(12) 내의 튜브(17)로 공급된 후 열교환된다.
이후, 튜브(17)에서 열교환된 후 이동되는 액상 냉매를 팽창시켜 압력을 낮추도록 팽창밸브(5)에 공급된다.
삭제
상기 팽창밸브(5)에서 이동되는 냉매는 저수조(12)의 외관을 둘러싸는 냉각코일(13)을 경유하면서 저수조(12)의 정수를 저온, 저압의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냉각코일(13)은 냉동싸이클의 증발기(6)의 역할을 하게된다.
이후, 상기 냉각코일(13)로부터 리턴되는 냉매를 압축기(3)에서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시키는 냉동싸이클이 반복된다.
이러한 냉동싸이클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돗물 등의 원수는 정수필터(21)에 의해 원수 중에 함유되는 이물질이 여과되어 정수처리 된다.
정수처리된 정수는 상기 감압밸브(20)를 통과한 후 온(ON) 상태로 전환된 솔레노이드밸브(22)를 통과한 후, 상기 저수조(12)의 유입구(10)를 통과하여 저수조(12)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0)를 통과하여 저수조(12)에 유입되는 정수는 상기 저수조(12) 내에 설치된 유체 가이드부재(15)의 나선형 유도판(14)을 따라 나선형 궤적을 이루면서 상기 배출구(11)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냉동싸이클이 가동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22)에 의해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는 응축기(4) 및 팽창밸브(24)를 통과하여 상기 냉각코일(13)(냉동싸이클의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됨)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저수조(12)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냉각코일(13)에 공급되는 냉매와 상기 저수조(12) 내의 정수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정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정수와 열교환된 냉각코일(13)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22)로 리턴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12)의 정수는 상기 냉각코일(13)의 냉매와 열교환에 의해 소정온도로 냉각되는 데, 냉각작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므로 저수조(12)의 정수는 결빙되어 저수조(12)의 내벽에 얼음벽(16)이 형성된다.
상기 얼음벽(16)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두꺼워져 저수조(12)의 중앙쪽으로 확장되므로 상기 저수조(12) 내부의 정수 이동통로가 협소해진다.
이때, 상기 저수조(12) 내부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18)의 검출신호에 의해 저수조(12) 중앙에 설치된 튜브(17)에 냉동싸이클에 의해 생성되는 고온의 응축열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12) 내에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튜브(17)에 공급되는 고온의 응축열에 의해 튜브(17) 주변의 결빙을 녹이게 되므로 정수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17)에 공급되는 응축상태의 냉매는 저수조(12) 내의 유체와 열교환된 후 팽창밸브(5)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12)의 유입구(10)와 배출구(11)사이에 정수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저수조(12) 내에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저수조(12) 내에 정수 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결빙을 녹이기 위한 히터(미도시됨)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빙을 녹이기 위해 상기 튜브(17)에 고온을 응축열을 공급하여 상기 저수조(12) 내에 정수 이동통로를 확보할 경우, 정수기에 구비되는 냉동싸이클의 응축기(4)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열을 이용하게 되므로, 해당 부품수를 줄여 순간 냉각장치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4)로부터 이동되는 응축열 일부를 상기 튜브(17)를 통해 저수조(12) 내의 정수와 열교환에 의해 결빙을 해동시키도록 사용하게 되므로, 응축기(4)의 응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응축기(방열판) 사이즈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싸이클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일 경우, 상기 저수조(12)의 정수가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15)의 나선형 유도판(14)을 따라 상기 배출구(11)쪽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저수조(12)의 정수가 저수조(12)의 얼음벽(16)을 통과하여 배출구(11)쪽으로 이동되므로 정수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는,
원수 공급부;
상온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0)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되는 저수조(12);
상기 저수조(12)의 외측면에 권선되며, 냉동싸이클에 의해 생성되어 순환되는 저온의 냉매와 상기 저수조(12)의 유체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13);
상기 냉각코일(13)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리턴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
상기 압축기(3)에서 압축된 후 이동되는 냉매, 또는 저수조(12)의 튜브(17)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응축하여 상기 저수조(12)에 공급하는 응축기(4);
압축기(3)에서 압축되어 이동되는 냉매, 또는 상기 저수조(12)의 튜브(17)에서 열 교환된 후 응축기(4)를 경유하는 액상 냉매를 팽창 증발시켜 냉각코일(13)에 공급하는 팽창밸브(5);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3)로부터 응축기(4)로 연결되는 배관(32)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수조(12) 내의 튜브(17)와 연결되는 튜브인입관(172)과, 상기 저수조(12)의 내의 튜브(17)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4) 및 튜브인입관(172)에 연결되는 튜브토출관(174)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32)과 튜브인입관(172)의 분기되는 부위에 삼방밸브(3-way valve)(7)가 형성되고, 상기 삼방밸브(7)가 온(on) 상태로 전환에 의해 압축기(3)로부터의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가 저수조(12)의 튜브(17)로 공급되고, 삼방밸브(7)가 오프(off) 상태일 경우 압축기(3)로부터의 냉매는 응축기(4)로 이동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냉각코일(13)은 상기 저수조(12)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토출관(174)에는 저수조(12)에 공급되었던 냉매가 응축기(4)로 이송되되 역류되지 않도록 일방향으로만 냉매 이동을 허용하는 체크밸브(176)가 장착된다.
상기 원수 공급부는 원수를 저수조(12)의 유입구에 공급하는 원수공급관(L1)과, 상기 원수공급관(L1)에 형성된 정수필터(21), 감압밸브(20) 및 온 오프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22)를 포함한다.
상기 감압밸브(20)를 지난 원수공급관(L1)에는 배수관(L2)이 연결된다. 배수관(L2)은 솔레노이드밸브(22)가 오프(OFF)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배수를 유도한다.
상기 저수조(12)는 상기 유입구(10)를 통해 저수조(12)에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11)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나선형 유도판(14)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가이드부재(15);
상기 냉각코일(13)의 냉매에 의해 상기 저수조(12)의 내벽에 생성되는 얼음벽(16);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15)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12) 내부에 상기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3)로부터 이동되는 압축상태의 냉매를 상기 유체와 열교환시킨 후 상기 응축기(4)로 이동시키는 코어형상의 튜브(17); 상기 저수조(12) 내부의 수온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저수조(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온감지센서(18);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벽(16)은 냉동싸이클의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저수조(12)의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정수를 냉각시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축기(22)로부터의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는 배관(32)을 통해 응축기(4)쪽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삼방밸브(7)의 온, 오프상태에 따라 진행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삼방밸브(7)가 온(on)상태로 전환되면, 압축기(3)의 고온 고압의 냉매는 튜브 인입관(172)으로 이송되어 저수조(12) 내의 튜브(17)로 공급된 후 내부의 유체와 열교환된다. 한편 삼방밸브(7)가 오프(off)상태로 전환될 경우 압축기(3)로부터의 냉매는 응축기(4)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삼방밸브(7)에 의해 개구량이 조절되므로 압축기(3)로부터 튜브(17)로 공급되는 고온상태의 냉매 량을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튜브(17)로부터의 냉각된 냉매는 튜브 토출관(174)을 통해 응축기(4)로 이송되어 액상으로 응축된다.
이후, 상기 응축기(4)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압력을 낮추도록 팽창밸브(5)에 공급된다.
상기 팽창밸브(5)에서 이송되는 냉매는 저수조(12)의 외관을 둘러싸는 냉각코일(13)을 경유하면서 저수조(12)의 정수를 저온, 저압의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냉각코일(13)은 증발기(6)로 작용하게 된다.
이후, 상기 냉각코일(13)로부터 리턴되는 냉매를 압축기(3)에서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시키는 냉동싸이클이 반복된다.
이러한 냉동싸이클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12) 내의 튜브(17)에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저수조(12) 내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응축기(4)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12)의 유입구(10)와 배출구(11)사이에 정수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저수조(12) 내에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저수조(12) 내에 정수 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결빙을 녹이기 위한 히터(미도시됨)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삭제
[제3실시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는
원수 공급부;
상온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0)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되는 저수조(12);
상기 저수조(12)의 외측면에 권선되며, 냉동싸이클에 의해 생성되어 순환되는 저온의 냉매와 상기 저수조(12)의 유체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13);
상기 냉각코일(13)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리턴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
상기 압축기(3)에서 압축된 후 솔레노이드밸브(9)의 오프(off)시 이동되는 냉매를 응축시켜 팽창밸브(5)에 공급하거나, 또는 압축기(3)에서 압축된 후 솔레노이드밸브(9)의 온(on)시 저수조(12)의 튜브(17)를 경유하는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팽창밸브(5)에 공급하는 응축기(4);
상기 저수조(12)에서 열 교환된 후 배출되어 응축기(4)를 경유하는 액상 냉매를 팽창 증발시켜 냉각코일(13)에 공급하는 팽창밸브(5);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3)로부터 응축기(4)로 연결되는 배관(32)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수조(12) 내로 삽입되는 튜브 인입관(172)과, 상기 저수조(12)의 내부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4)의 튜브 인입관(172)에 연결되는 튜브 토출관(174)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인입관(172)에 솔레노이드밸브(9)가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의 온/오프 작동에 의해 고온 고압의 기체를 응축기(4)에 공급하거나, 또는 저수조(12)의 튜브(17)에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냉각코일(13)은 상기 저수조(12)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 토출관(174)에는 저수조(12)에 공급되었던 냉매가 응축기(4)로 이송되되 역류되지 않도록 일방향으로만 냉매 이동을 허용하는 체크밸브(176)가 설치된다.
상기 원수 공급부는 원수를 저수조(12)의 유입구에 공급하는 원수공급관(L1)과, 상기 원수공급관(L1)에 형성된 정수필터(21), 감압밸브(20) 및 온 오프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22)를 포함한다.
상기 감압밸브(20)를 지난 원수공급관(L1)에는 배수관(L2)이 연결된다. 배수관(L2)은 솔레노이드밸브(22)가 오프(off)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배수를 유도한다.
상기 저수조(12)는 상기 유입구(10)를 통해 저수조(12)에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11)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나선형 유도판(14)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가이드부재(15);
상기 냉각코일(13)의 냉매에 의해 상기 저수조(12)의 내벽에 생성되는 얼음벽(16);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15)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12) 내부에 상기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3)로부터 이동되는 압축상태의 냉매를 상기 유체와 열교환시킨 후 상기 응축기(4)로 이동시키는 코어형상의 튜브(17);
상기 저수조(12) 내부의 수온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저수조(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온감지센서(18)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벽(16)은 냉동싸이클의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저수조(12)의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정수를 냉각시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축기(22)로부터 이동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는 배관(32)을 통해 응축기(4)쪽으로 이송되는데 솔레노이드밸브(9)의 온, 오프상태로 전환에 의해 진행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가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압축기(3)의 고온 고압의 냉매는 튜브인입관(172)으로 이송되어 저수조(12) 내의 튜브(17)로 공급된 후 열교환 된다. 한편 솔레노이드밸브(9)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될 경우 압축기(3)의 고온 고압의 냉매는 응축기(4)로 이동된다.
이후, 저수조(12)의 튜브(17)로 이동되어 열교환된 냉매는 튜브 토출관(174)을 통해 응축기(4)로 이동되어 액상으로 응축시킨다.
이후, 상기 응축기(4)에서 응축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압력을 낮추도록 팽창밸브(5)에 공급된다.
상기 팽창밸브(5)에서 이동되는 냉매는 저수조(12)의 외관을 둘러싸는 냉각코일(13)을 경유하면서 저수조(12)의 정수를 저온, 저압의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냉각코일(13)은 증발기(6)로 작용하게 된다.
이후, 상기 냉각코일(13)로부터 리턴되는 냉매를 압축기(3)에서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시키는 냉동싸이클이 반복된다.
이러한 냉동싸이클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는 수온감지센서(18)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저수조(12)의 수온이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튜브(17)에 응축상태의 냉매 공급을 차단하는 초기상태(off상태를 말함)와, 상기 저수조(12)의 수온이 설정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튜브(17)에 응축상태의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전기적신호 인가에 의해 온(ON) 상태로 절환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12) 내의 튜브(17)에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저수조(12) 내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응축기(4)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12)의 유입구(10)와 배출구(11)사이에 정수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저수조(12) 내에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저수조(12) 내에 정수 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결빙을 녹이기 위한 히터(미도시됨)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의 저수조(12)에서, 상기 튜브(17)는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15)의 중앙에 형성되는 코어 형상의 결합홈(40)에 내설시킬 수 있다.
삭제
이때, 상기 압축기(3)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도록 상기 튜브(17)의 입구는 상기 튜브 인입관(172)에 연통되도록 이음연결되고, 상기 튜브(17)로부터 열교환된 후 냉매를 응축기(4)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튜브(17)의 출구는 상기 튜브 토출관(174)에 연통되도록 이음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로부터 이동되는 냉매가 상기 튜브 인입관(172)을 통해 상기 튜브(17)에 이동되므로, 상기 저수조(12) 내의 유체와 상기 튜브(17)에 공급되는 고온 상태의 냉매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저수조(12) 내에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튜브(17)에 공급되는 냉매는 상기 저수조(12) 내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상기 튜브 토출관(174)을 통해 상기 응축기(4)로 이동된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의 저수조(12)에서,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15)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하단이 막힌 원통형상의 결합홈(40)에 원통형의 제1,2통로(41,42)를 형성하도록 이중관(a,b)을 형성하되, 상기 제1,2통로(41,42)는 서로 연통되며, 상기 제1통로(41)는 상기 튜브 인입관(172)의 출구에 연통되도록 이음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42)는 상기 튜브 토출관(174)의 입구에 연통되도록 이음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통로(41)와 튜브 인입관(172)의 연결부 및 상기 제2통로(42)와 튜브 토출관(174)의 연결부는 용접, 또는 커넥터 등에 의해 연통되도록 이음연결될 수 있다. 이들의 이음연결방식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로부터 이동되는 냉매가 상기 튜브 인입관(172)을 통해 상기 제1통로(41)에 이동되므로, 상기 저수조(12) 내의 유체와 상기 제1통로(41)에 공급되는 고온 상태의 냉매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상기 저수조(12) 내에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통로(41)에 공급되어 상기 저수조(12) 내의 유체와 열교환된 냉매는 상기 제1통로(41)와 연통되는 제2통로(42) 및 상기 튜브 토출관(174)을 통해 상기 응축기(4)로 이동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 : 압축기 4 : 응축기
5 : 팽창밸브 6 : 증발기
7 : 삼방밸브 9 ; 솔레노이드밸브
12 : 저수조 13 : 냉각코일
14 : 유도판 15 : 유체가이드부재
16 ; 얼음벽 17 : 튜브
18 : 수온감지센서 20 ; 감압밸브
21 : 정수필터 22 : 솔레노이드밸브
32 : 배관 172 : 튜브 인입관
174 : 튜브 토출관 176 : 체크밸브

Claims (8)

  1. 삭제
  2. 원수 공급부;
    상기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중 이물질을 여과하여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21);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처리된 상온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0) 및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되는 저수조(12), 저수조(12)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저수조(12)에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쪽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나선형 유도판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가이드부재(15)와, 유체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저수조(12)의 내벽에 생성되는 얼음벽(16)과, 저수조(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감지하기 위한 수온감지센서(18)를 구비하고;
    상기 정수필터(21)와 저수조(12)의 유입구(10)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전기적 신호 인가에 따라 상기 관로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22);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
    상기 압축기(3)로부터 이동되거나, 또는 저수조(12)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이동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4);
    상기 응축기(4)로부터 이동되는 액상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5);
    상기 저수조(12)의 외측면에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나선형으로 권선되거나 저수조(12)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고, 팽창밸브(5)로부터 이동되는 저온의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저수조(12)의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13);
    상기 압축기(3)의 냉매를 응축기(4)로 이동시키는 배관(32)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저수조(12)의 튜브(17) 입구에 연결되는 튜브 인입관(172);
    상기 저수조(12)의 튜브(17) 출구에 입구가 연결되고 응축기(4)의 튜브 인입관(172)에 출구가 연결되는 튜브 토출관(174);을 구비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가이드부재(15)의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내설되고, 저수조(12)의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압축기로부터 이동되는 고온의 냉매를 저수조(12)의 유체와 열교환시키는 튜브(17);
    상기 배관(32)과 튜브 인입관(172)사이에 설치 되고, 온(on) 상태일 경우 압축기(3)의 냉매를 튜브(17)에 이동시키고, 오프(off) 상태일 경우 압축기(3)의 냉매를 응축기(4)에 이동시키며, 압축기(3)로부터 튜브(17)로 공급되는 고온상태의 냉매 량을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개구량이 조절되는 삼방밸브(7);
    상기 튜브 토출관(174)에 설치되고, 저수조(12)의 튜브(17)로부터 이동되는 냉매를 응축기(4)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는 체크밸브(1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
  3. 원수 공급부;
    상기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중 이물질을 여과하여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21);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여과처리된 상온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0)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되는 저수조(12), 저수조(12)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저수조(12)에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구쪽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나선형 유도판(14)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가이드부재(15)와, 유체와 냉매의 상호 열교환에 의해 저수조(12)의 내벽에 생성되는 얼음벽(16)과, 저수조(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온을 감지하기 위한 수온감지센서(18)를 구비하고;
    상기 정수필터(21)와 저수조(12)의 유입구(10)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전기적 신호 인가에 따라 상기 관로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22);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
    상기 압축기(3)로부터 이동되거나, 또는 저수조(12)의 유체와 열교환된 후 이동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4);
    상기 응축기(4)로부터 이동되는 액상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5);
    상기 저수조(12)의 외측면에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나선형으로 권선되거나 저수조(12)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고, 팽창밸브(5)로부터 이동되는 저온의 냉매와 상호 열교환에 의해 저수조(12)의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13);
    상기 압축기(3)로부터 응축기(4)로 연결되는 배관(32)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고, 저수조(12)의 제1통로(41)의 입구에 출구측이 연통되도록 이음연결되는 튜브 인입관(172);
    상기 저수조(12)의 제2통로(42)의 출구에 입구측이 연통되도록 이음연결되고, 응축기(4)의 튜브 인입관(172)에 출구가 연결되는 튜브 토출관(174);을 구비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2)의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압축기(3)로부터 이동되는 고온의 냉매를 저수조(12)의 유체와 열교환시키기 위해, 유체 가이드부재(15)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하단이 막힌 원통형상의 결합홈에 원통형의 제1,2통로(41,42)를 형성하도록 이중관을 형성하되 제1,2통로(41,42)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튜브 인입관(172)에 설치되고, 온(on) 상태일 경우 압축기(3)의 냉매를 제1통로(41)에 이동시키고, 오프(off) 상태일 경우 압축기(3)의 냉매를 응축기(4)에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9);
    상기 튜브 토출관(174)에 설치되고, 저수조(12)의 제2통로(42)로부터 이동되는 냉매를 응축기(4)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는 체크밸브(1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13215A 2014-12-30 2015-08-11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 KR10174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4517 WO2016108642A1 (ko) 2014-12-30 2015-12-30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3041 2014-12-30
KR1020140193041 2014-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348A KR20160082348A (ko) 2016-07-08
KR101749964B1 true KR101749964B1 (ko) 2017-07-04

Family

ID=5650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215A KR101749964B1 (ko) 2014-12-30 2015-08-11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9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657A (ja) * 2006-01-25 2007-08-09 Kisei:Kk 氷菓子製造装置
KR100770093B1 (ko) * 2007-03-13 2007-10-24 김기호 다면연속 균일급속 냉각장치
JP2010277225A (ja) * 2009-05-27 2010-12-09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飲料提供装置
KR101275188B1 (ko) * 2011-08-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657A (ja) * 2006-01-25 2007-08-09 Kisei:Kk 氷菓子製造装置
KR100770093B1 (ko) * 2007-03-13 2007-10-24 김기호 다면연속 균일급속 냉각장치
JP2010277225A (ja) * 2009-05-27 2010-12-09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飲料提供装置
KR101275188B1 (ko) * 2011-08-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348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3040B2 (ja) 飲料冷却装置およびこの冷却装置を用いた飲料供給システム
US8196420B2 (en) Expansion valve control for enhancing refrigerator efficiency
CN103300721A (zh) 反渗透空气能热泵饮水机
EP1538405A3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US20120318823A1 (en) Hot water supply device and cold/hot water dispenser using the same
CA2698346A1 (en) Beverage dispenser
CN107816818A (zh) 一种冷库用带热气融霜的复叠式制冷系统
JP2007202943A (ja) 飲料供給装置
KR20150016158A (ko) 기능수 공급 장치
CN201363994Y (zh) 液体低温冷却装置
KR101749964B1 (ko)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순간 냉각장치
EP3309116B1 (en) A double cooled draft beer machine
CN104757879A (zh) 供水设备
KR20210030058A (ko) 직수형 냉정수기용 냉각시스템
KR101708224B1 (ko)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유로 확보가 가능한 순간 냉각장치
EP2690377B1 (en) Cold beverage dispenser
KR20130143421A (ko) 음료수 냉각장치
CN204520338U (zh) 供水设备
CN114508854A (zh) 一种饮用水供给系统及制冰机
CN108278824B (zh) 冰箱
CN202537175U (zh) 反渗透空气能热泵饮水机
KR101287610B1 (ko) 냉이온수기의 냉각유닛
KR20090093534A (ko) 정수기
KR101577039B1 (ko) 고효율의 절전형 냉온수기
CN219147343U (zh) 饮水机及其换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