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240U - 합성수지 이중벽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이중벽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240U
KR20120005240U KR2020110000227U KR20110000227U KR20120005240U KR 20120005240 U KR20120005240 U KR 20120005240U KR 2020110000227 U KR2020110000227 U KR 2020110000227U KR 20110000227 U KR20110000227 U KR 20110000227U KR 20120005240 U KR20120005240 U KR 201200052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sound
double wall
synthetic resin
control device
hollow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철
Original Assignee
나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상철 filed Critical 나상철
Priority to KR2020110000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240U/ko
Publication of KR20120005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땅파기 작업 시 굴삭기 등의 공사 장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그 매설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중공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경고음 발생장치를 포함하고, 경고음 발생장치는 제어장치, 중공관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장치에 제공하는 진동 센서, 제어장치로부터 작동 신호를 제공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굴삭기 등의 공사 장비에 의한 땅파기 작업이 그 매립지 주위에서 진행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공사 작업자가 그 매립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이중벽관{PLASTIC DOUBLE WALL PIPE}
본 고안은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 작업으로 주위에 진동이 발생하면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오수, 폐수, 해수 및 화학약품 등에 부식되지 않으며 토양 중에 존재하는 부식성 물질에도 녹이 슬거나 부패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 및 외압에 강하고 지반침하의 경우에도 파손의 위험이 적어 매립용으로 적합하다.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유체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여 목적지에 이르도록 하는 오수관이나 우수관 등으로 사용되며, 이들은 대개 지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지하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압출, 성형, 냉각, 인취, 절단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소재를 적게 사용하면서 큰 강도를 얻기 위해 각 공정별로 구조재료의 안정된 소성변형을 위한 적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성수지를 가열하면서 금형에서 사각의 중공관을 성형한다. 그리고 성형된 중공관을 형태가 유지되도록 냉각시켜서 회전하는 드럼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감는다. 중공관을 나선형으로 감을 때 냉각된 중공관의 사이에 용융된 접합수지를 공급함으로써 원형의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성형할 수 있다.
그런데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그 매설 위치를 지상에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매립관 매설 공사나 토목 공사 등의 땅파기 작업 시 굴삭기 등의 공사 장비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땅파기 작업 시 굴삭기 등의 공사 장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그 매설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나선형으로 감긴 중공관의 측면 사이에 접합수지가 도포되어 그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유로가 마련된 것으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경고음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경고음 발생장치는 제어장치, 상기 중공관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제공하는 진동 센서,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작동 신호를 제공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구비한다.
상기 경고음 발생장치는 상기 제어장치, 상기 진동 센서 및 상기 부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중공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 발생장치는 상기 제어장치, 상기 진동 센서 및 상기 부저를 수용하는 보호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중공관의 내면에 접착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그 내부에 진동을 감지하고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장치가 내장되어 있어서, 굴삭기 등의 공사 장비에 의한 땅파기 작업이 그 매립지 주위에서 진행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공사 작업자가 경고음을 듣고 그 매립 위치에 주의하면서 땅파기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공사 작업자가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매립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굴삭기 등의 공사 장비에 의한 땅파기 작업이 그 매립지 주위에서 진행될 때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굴삭기 등의 공사 장비에 의한 파손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경고음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은 나선형으로 감긴 중공관(20), 중공관(20)의 사이에 도포된 접합수지(30), 중공관(20) 내에 삽입 설치되는 경고음 발생장치(40)를 포함한다.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의 내부에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유로(12)가 마련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은 속이 빈 중공관(20)의 내부에 경고음 발생장치(40)를 설치하므로, 경고음 발생장치(40)의 설치를 위해 별도의 체결 구조를 마련하거나 별도의 체결 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기존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중공관(20)은 그 단면이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나선형으로 감기어 원형의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의 관벽(14)을 형성한다. 중공관(2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22)이 마련된다. 중공관(20)의 인접하는 측면 사이사이에는 접합수지(30)가 도포되어 중공관(20)의 측면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이러한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은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속이 빈 사각형상의 중공관(20)을 압출시키면서 회전하는 드럼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감고 냉각시킴으로써 원통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고음 발생장치(40)는 중공관(20)의 내부 공간(22)에 설치되고, 제어장치(41), 중공관(20)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장치(41)에 제공하는 진동 센서(42), 제어장치(41)로부터 작동 신호를 제공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43),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44)를 포함한다. 제어장치(41), 진동 센서(42), 부저(43) 및 배터리(44)는 보호 케이스(45)에 의해 보호된다.
진동 센서(42)는 합성수지 이중벽관(10) 주위의 토사를 통해 중공관(2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제어장치(41)에 전송한다. 제어장치(41)는 진동 센서(42)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 부저(43)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장치(41)는 진동 센서(42)가 감지 신호를 발생하면 이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고, 감지 신호의 크기가 기준 신호보다 크면 부저(43)에 작동 신호를 제공한다.
지하에 매립된 합성수지 이중벽관(10)에는 이를 덮은 토사를 통해 다양한 진동이 전달될 수 있는데, 모든 진동에 대해 경고음을 발생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의 매립 위치 근처를 지나가는 자동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등 합성수지 이중벽관(10)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경고음을 발생할 필요가 없다.
반면, 매립관 매설 공사나 토목 공사 등의 땅파기 작업이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의 매립 위치와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질 경우, 굴삭기 등의 공사 장비에 의한 진동은 합성수지 이중벽관(10)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경고음을 발생해야 한다. 이러한 땅파기 작업에 의한 진동은 합성수지 이중벽관(10)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진동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진동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적절한 크기로 설정해 놓으면 필요한 때에만 제어장치(41)가 부저(4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41), 진동 센서(42), 부저(43) 및 배터리(44)가 수용된 보호 케이스(45)는 중공관(20)의 내벽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보호 케이스(45)는 다양한 방법으로 중공관(20)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으나, 중공관(20)의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계적인 방법보다는 접착제(46)에 의해 접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접착제(46)에 의한 고정이 기계적인 고정 방법보다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은 그 내부에 진동을 감지하고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장치(40)가 내장되어 있어서, 굴삭기 등의 공사 장비에 의한 땅파기 작업이 그 매립지 주위에서 진행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공사 작업자가 경고음을 듣고 그 매립 위치에 주의하면서 땅파기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공사 작업자가 합성수지 이중벽관(10)의 매립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합성수지 이중벽관 12 : 내부 유로
14 : 관벽 20 : 중공관
22 : 내부 공간 30 : 접합수지
40 : 경고음 발생장치 41 : 제어장치
42 : 진동 센서 43 : 부저
44 : 배터리 45 : 보호 케이스
46 : 접착제

Claims (4)

  1. 나선형으로 감긴 중공관의 측면 사이에 접합수지가 도포되어 그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 유로가 마련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경고음 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음 발생장치는 제어장치, 상기 중공관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제공하는 진동 센서,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작동 신호를 제공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장치는 상기 제어장치, 상기 진동 센서 및 상기 부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중공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장치는 상기 제어장치, 상기 진동 센서 및 상기 부저를 수용하는 보호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접착제를 통해 상기 중공관의 내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
KR2020110000227U 2011-01-10 2011-01-10 합성수지 이중벽관 KR201200052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227U KR20120005240U (ko) 2011-01-10 2011-01-10 합성수지 이중벽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227U KR20120005240U (ko) 2011-01-10 2011-01-10 합성수지 이중벽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40U true KR20120005240U (ko) 2012-07-18

Family

ID=4685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227U KR20120005240U (ko) 2011-01-10 2011-01-10 합성수지 이중벽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2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4238A (zh) * 2021-03-25 2021-06-18 南通市扬子橡塑有限公司 一种用于海洋装备工程橡胶波纹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4238A (zh) * 2021-03-25 2021-06-18 南通市扬子橡塑有限公司 一种用于海洋装备工程橡胶波纹管
CN112984238B (zh) * 2021-03-25 2023-07-04 南通市扬子橡塑有限公司 一种用于海洋装备工程橡胶波纹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202B1 (ko)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KR100579471B1 (ko) 건축단지용 지중선로 보호장치
JP4652185B2 (ja) 地下埋設管の沈下量測定具
KR100873007B1 (ko) 보강수단을 갖는 합성수지 관
KR20120005240U (ko) 합성수지 이중벽관
KR101708489B1 (ko) 순환유로가 구비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는 개방형 지열 시스템
KR101338920B1 (ko)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CN102893069A (zh) 带接头的带螺旋波纹的合成树脂管及其连接构造
JP2017053489A (ja) 地中埋設管の防護構造および防護方法
KR101901751B1 (ko) 수밀 유지를 위한 중공 차단형 다중벽 하수관
KR101426251B1 (ko) 지중 매설물 보호 및 피해 예방 시스템
JP2011173050A (ja) 二酸化炭素の隔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30928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100856660B1 (ko)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KR200369219Y1 (ko) 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
KR200341473Y1 (ko) 삼중관
CN112681384A (zh) 一种高强度抗压窨井盖
KR200392533Y1 (ko) 절단홈이 구비된 정화조의 맨홀 설치용 보조관
KR101961095B1 (ko) 지하수 상부 보호캡
CN101994341A (zh) 一种地下排水管系及其连接方法
JP2014005985A (ja) 熱交換器施工方法、熱交換構造、及び熱交換施工ユニット
KR100778276B1 (ko) 관정용 수중모터 제어박스 시공장치
JP2008082557A (ja) パイプライン埋設方法
JP2009115159A (ja) 合成樹脂地中埋設管とその製造方法
JP3821810B2 (ja) 集水装置及び集水装置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