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160A -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160A
KR20120005160A KR1020100065761A KR20100065761A KR20120005160A KR 20120005160 A KR20120005160 A KR 20120005160A KR 1020100065761 A KR1020100065761 A KR 1020100065761A KR 20100065761 A KR20100065761 A KR 20100065761A KR 20120005160 A KR20120005160 A KR 20120005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weight
conditioning shamp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김우정
이지해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6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160A/ko
Publication of KR2012000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음이온계면활성제 10 내지 25 중량%, 실리콘 오일 0.1 내지 5 중량%, 양이온 구아 폴리머 0.01 내지 5.0 중량%, 및 모링가 추출물 0.0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면서 샴푸 후 모발에 우수한 탄성 특성 및 가늘고 힘 없는 모발에 볼륨을 장시간 지속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본 발명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용 샴푸는 모발 및 두피의 오염물과 피지를 제거함으로써 모발을 깨끗하게 만들어 준다. 그러나 샴푸 과정을 통해 모발이 엉키고 다루기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샴푸에 의해 피지 및 모발 보습성분이 제거되어 모발의 부드러움이 약해지고 건조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샴푸에 모발 컨디셔닝제를 포함시켜 모발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려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모발 컨디셔닝제는 샴푸의 반복 사용에 의해서 모발에 누적되고, 그 결과 모발의 부드러움 및 탄력이 저하되거나 또는 먼지 등에 의한 재오염의 가속화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6,284,230에서는 다가금속이온과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통해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을 도와 컨디셔닝 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특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높은 함량의 양이온 폴리머와 실리콘의 모발흡착은 우수한 컨디셔닝 대비 반복 사용시 모발에 누적됨에 따라 모발 탄성 및 볼륨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샴푸의 전체적인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고, 이러한 컨디셔닝 제공성분에 의해서 거품성 및 건조 후에 모발의 탄성/볼륨을 저해시키지 않는 샴푸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구현하여 모발의 부드러움과 매끄러움을 향상시키고, 모발의 탄성 및 볼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컨디셔닝 삼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음이온계면활성제 10 내지 25 중량%,
(B) 실리콘 오일 0.1 내지 5 중량%,
(C) 양이온 구아 폴리머 0.01 내지 5.0 중량%,
(D) 모링가 추출물 0.001 내지 10.0 중량%, 및
(E)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양이온 구아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000 내지 1,50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구아 폴리머의 전하밀도는 0.1 meq/g 내지 2.0 meq/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구현하여 모발의 유연성 및 광택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가는 모발에 탄성 및 볼륨을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컨디셔닝 성분이 포함되어도 샴푸의 거품성이 감소되지 않아 세정력이 우수하고, 물에 대한 우수한 헹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음이온계면활성제, 저분자량 양이온 구아 폴리머, 실리콘 오일 및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서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면서, 모발의 탄성 및 볼륨을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샴푸 조성물의 세정 성분으로, 거품을 발생시켜 모발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는 하기의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알킬 또는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일 수 있다.
[화학식 1]
ROSO3M
[화학식 2]
RO(C2H4O)xSO3M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x는 1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양이온이며, 예를 들어 암모늄, 나트륨, 칼륨과 같은 다가 금속 양이온이다.
상기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는 에틸렌옥사이드 1 내지 10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몰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트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트 설페이트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상기 샴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세정성분의 부족으로 인하여 샴푸의 세정 효과가 떨어지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의 세정 성분으로 인하여 컨디셔닝 성분의 모발 흡착을 방해하여 컨디셔닝 효과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구아 폴리머는 실리콘 성분의 모발 흡착을 유도하여 모발의 컨디셔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구아 폴리머는 양이온 구아 검 유도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히드록시프로필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구아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 양이온 구아 폴리머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분자량 양이온 구아 폴리머의 수평균분자량이 1,500,000 g/mol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0,000 내지 1,500,000, 더 바람직하게는 500,000 내지 1,300,000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이 500,000 미만이면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이 저조하여 컨디셔닝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500,000를 초과하면 실리콘 성분의 과도한 흡착으로 인하여 빌드업이 발생하여 모발이 뻣뻣해질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구아 폴리머는 전하밀도(meq/g)에 따라 그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전하밀도는 0.1 meq/g 내지 2.0 meq/g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3 meq/g 내지 1.5 meq/g,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eq/g 내지 1.3 meq/g일 수 있다. 상기 전하밀도가 0.1 meq/g 미만이면 코아세르베이트 형성이 나빠질 수 있고, 2.0 meq/g를 초과하면 실리콘 성분의 과도한 모발흡착으로 인하여 모발에 뻣뻣해지는 빌드업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구아 폴리머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구아 폴리머가 0.01 중량% 미만이면 형성되는 코아세르베이트 형성이 나빠질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코아세르베이트가 과도하게 발생되어 모발이 뻣뻣해질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모발에 부드러움 및 광택성 등을 제공하고, 무색, 투명 및 무취하고, 끈적임이 없이 가볍고 매끄러운 특성을 지니고 있는 컨디셔닝 성분이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휘발성 실리콘 오일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실리콘 오일의 점도에 따라서 구별 되어질 수 있고, 상기 점도는 컨디셔닝 효과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특성이 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1~1,000 cP의 저점도이고, 직쇄 폴리실록산 오일 혹은 고리형의 실록산형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옥타메틸테트라시클로실록산(D4), 데카메틸펜타시클로실록산(D5) 또는 α, ω 위치에 디메틸기와 수소; 트리메틸기; 또는 디메틸기와 비닐기가 결함된 폴리디메틸실록산 실리콘 오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1,000~1,000,000 cP의 고점도 실리콘 오일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계 화합물, 페닐실록산계 화합물, 알킬메틸실록산계 화합물, 디메치콘폴리올계 화합물, 트리메틸실릴 아모디메치콘계 화합물 또는 아모디메티콘계 화합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상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오일을 단독으로 구성하거나, 상기 샴푸 조성물의 컨디셔닝을 보다더 개선시키기 위해서 상기 비휘발성 및 휘발성 오일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비휘발성 오일의 혼합비가 1:0.1 내지 0.1:1(w/w)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상기 샴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5 중량%이다.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모발 컨디셔닝 효과의 제공이 미미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실리콘 성분의 누적에 따른 빌드업이 발생하여 모발의 탄력 및 볼륨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모링가(Moringa oleifera = pterygosperma) 추출물은 상기 샴푸 조성물에서 모발에 볼륨감을 저해시키기 않으면서 부드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네비데어(Nebeday: never die에서 유래)라고도 불리우고, 인도나 열대우림 지역이나, 또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도 자생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다.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에탄올 1-99 중량%인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95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링가 종자 100 g을 파쇄하고, 분말화한 것 100g을 에탄올(95%) 2L를 가하여 상온에서 3-4일간 침적하고, 2회 반복추출, 여과 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고 농축액을 얻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상기 샴푸 조성물에 대해서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모링가 종자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모링가 종자 추출물에 의한 모발의 부드러움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모링가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모발의 부드러움 또는 볼륨감의 개선 효과 등이 미미할 수 있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모발의 빌드업으로 인해 부드러움 및 볼륨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통상적인 샴푸 조성물에 이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쪽성 계면활성제, 기타 다른 계면활성제, 보습제, 지방물질, 습윤물질, 실리콘, 오일, 향료, 방부제, 비타민, 단백질, 정제수 등과 같이 두발 화장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라옥시안식향에스테르와 같은 방부제;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와 같은 보습제; 가수분해 밀 단백질(hydrolyzed wheat protein)과 같은 모발 보수제;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등과 같은 점도 조절제 등 일 수 있으며, 이들의 조성 또는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든 % 는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총 조성물의 중량% 이고 모든 비는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중량비이다.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언급되는 성분의 모든 %, 비 및 함량은 성분의 실제의 양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시판 제품에서 상기 성분과 합쳐질 수 있는 용매, 충전제 또는 기타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7
표 1의 조성에 따라 다음의 제조방법으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소듐라우레트-2 설페이트,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코카마이드엠이에이 등을 가하여 70℃까지 가온한 후,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30 분간 교반한다. 45 ℃까지 냉각 교반시킨 후 이 혼합물에 자구아와 상안정화제 등을 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교반 한 후, 펄화제, 실리콘 에멀젼,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 모링가 추출물 등을 가하여 30분간 교반시켜 샴푸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조성성분 실시예
1 2 3 4 5 6 7
소듐 라우레트-2 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10
펄화제 8 8 8 8 8 8 8
실리콘 오일 A1) 2 0.1 5 2 2 2 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2 2 2 2 2 2 2
코카마이드 엠이에이 0.5 0.5 0.5 0.5 0.5 0.5 0.5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2 0.2 0.2 0.2 0.2 0.2 0.2
자구아 A2) 0.3 0.3 0.3 0.1 0.3 0.3 5.0
모링가 추출물3 ) 1.0 1.0 1.0 1.0 0.01 10.0 1.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시트르산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1) 상품명 : DC-1132 emulsion(Maker : Dow Corning), 50% 수성에멀젼,
2) 상품명 : Jaguar C500(Maker : Rhodia), 분자량 700,000
3) 상품명 : Purisoft(Maker : Cognis LS)
비교예 1 내지 6
표 2에 따른 조성 및 함량에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조 성 성 분 비교예
1 2 3 4 5 6
소듐 라우레트-2 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펄화제 8 8 8 8 8 8
실리콘오일 A1) 0.01 6 2 2 2 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2 2 2 2 2 2
코카마이드 엠이에이 0.5 0.5 0.5 0.5 0.5 0.5
세틸알코올 0.5 0.5 0.5 0.5 0.5 0.5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2 0.2 0.2 0.2 0.2 0.2
자구아A2) 0.3 0.3 - 0.3 6 0.3
자구아B3) - - 0.3 - - -
모링가 추출물4 ) 0.2 0.2 0.2 - 0.2 1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05 0.05 0.05 0.05 0.05 0.05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시트르산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1) 상품명 : DC-1618 emulsion(Maker : Dow Corning), 60% 수성에멀젼,
2) 상품명 : Jaguar C500(Maker : Rhodia), 분자량 700,000
3) 상품명 : Jaguar C14S(Maker : Rhodia), 분자량 2,200,000
4) 상품명 : Purisoft(Maker : Cognis LS)
세정력
실험예 1: 기포력 평가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컨디셔닝 샴푸 0.25 %용액 200 ml를 동일한 샴푸용액 50 ml가 담긴 직경 50 mm의 실린더에 90 cm의 높이에서 피펫을 이용하여 3.0 mm의 직경으로 30 초간 자유낙하시켜 발생하는 기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표 4에 나타내었다. 샴푸 희석액 및 기포 측정용 실린더는 40 ℃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구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기포력(mm) 235 205 205 250 230 225 235
1시간 경과 후 기포안정성(mm) 230 190 195 245 215 220 220
구성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기포력(mm) 185 169 225 220 215 200
1시간 경과 후 기포안정성(mm) 160 157 210 205 210 180
상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는 비교예 1 내지 6 보다 월등한 기포력 및 기포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이 우수한 세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컨디셔닝 효과
실험예 2: 코아세르베이트 형성능 평가
컨디셔닝효과의 평가는 당업계에서 범용적으로 샴푸의 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코아세르베이트 형성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코아세르베이트는 실리콘 에멀젼을 모발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여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증가시킨다. 실시예 및 비교예 컨디셔닝 샴푸의 10 % 희석액 100 mL을 원심 분리시켜(3,000 rpm, 30분) 침전된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표 6에 제시하였다.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 측정 결과
구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코아세르베이트생성량(mg) 91 86 95 81 80 90 97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 측정 결과
구성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코아세르베이트생성량
(mg)
62 69 64 54 55 59
상기 표 5 및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이온계면활성제, 저분자량 양이온 구아 폴리머, 실린콘 오일 및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7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실리콘 오일의 함량을 벗어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 고분자량 양이온 폴리머를 포함한 비교예 3,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4, 모링가 추출물 및 자구아의 함량이 초과된 비교예 5, 6 보다 우수한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 사용감 평가
실험예 3: 사용감 및 컨디셔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컨디셔닝 샴푸의 사용감 및 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염색 및 퍼머로 인해 비교적 손상된 모발을 보유한 25 ~ 40 세의 여성 200 명을 선정하여 1 개월 동안 하기의 표 7, 및 표 8에 나타낸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낮은 점수는 1 점으로 하고, 가장 높은 점수는 5 점으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를 하기의 표 7, 표 8, 표 9에 나타내었다.
평 가 항 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샴푸 시 기포량이 풍부하다 4.5 4.1 4.3 4.5 4.4
샴푸 시 기포의 느낌이 좋다 4.8 4.1 4.2 4.5 3.9
샴푸 시 모발이 엉기지 않는다. 4.5 4.1 4.1 4.6 4.6
헹굼 시 모발이 엉기지 않는다. 4.7 4.6 4.3 4.8 4.0
헹굼시 모발이 깔끔하게 씻긴다 4.4 4.5 4.5 4.2 3.9
건조한 후 모발이 부드럽다 4.3 4.0 3.8 4.5 4.5
건조 후 모발의 볼륨이 유지된다. 4.8 4.5 4.3 4.2 4.3
평 가 항 목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샴푸 시 기포량이 풍부하다 3.1 4.4 4.1 4.5
샴푸 시 기포의 느낌이 좋다 2.1 2.7 3.4 4.1
샴푸 시 모발이 엉기지 않는다. 2.3 3.8 4.1 3.4
헹굼 시 모발이 엉기지 않는다. 1.4 3.3 3.7 3.8
헹굼시 모발이 깔끔하게 씻긴다 1.8 1.3 2.1 1.1
건조한 후 모발이 부드럽다 2.5 1.5 2.2 1.8
건조 후 모발의 볼륨이 유지된다. 1.7 1.9 2.7 2.8
상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샴푸 조성물로 이루어진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보다 기포량, 기포느낌, 정발감, 헹굼시의 부드러움이 보다 우수하고, 건조후 모발의 부드러움이 우수하며 볼륨 유지력도 월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컨디셔닝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세정력이 우수하고, 건조후 모발에 매우 우수한 탄성 특성 및 볼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디셔닝 성분에 의해서 건조된 모발에 양호한 빗질감을 제공하고, 특히, 손상이 심한 모발에 우수한 부드러움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A) 음이온계면활성제 10 내지 25 중량%,
    (B) 실리콘 오일 0.1 내지 5 중량%,
    (C) 양이온 구아 폴리머 0.01 내지 5.0 중량%,
    (D) 모링가 추출물 0.001 내지 10.0 중량% 및
    (E)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구아 폴리머의 수평균분자량이 500,000 내지 1,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구아 폴리머의 전하밀도가 0.1 meq/g 내지 2.0 meq/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20100065761A 2010-07-08 2010-07-08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120005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61A KR20120005160A (ko) 2010-07-08 2010-07-08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61A KR20120005160A (ko) 2010-07-08 2010-07-08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60A true KR20120005160A (ko) 2012-01-16

Family

ID=4561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761A KR20120005160A (ko) 2010-07-08 2010-07-08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1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333B1 (ko) * 2015-04-29 2015-07-29 황인순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샴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333B1 (ko) * 2015-04-29 2015-07-29 황인순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샴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1166A (en) Diquaternary polysiloxanes, their synthesis and use in cosmetic preparations
JP4627333B2 (ja) 毛髪化粧料
KR20160065954A (ko) 디히드록시알킬 치환된 폴리갈락토만난,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EP1810657A1 (en) Hair care preparations
KR20070083929A (ko) 화장료용 기제 및 그것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화장료
JP2002226332A (ja) ジ4級シリコーンポリマーを含有するヘアトリートメント剤
JP2006315986A (ja) 毛髪化粧料
EP0340269A1 (en) Conditioning compositions
JPH01168609A (ja) 乳化毛髪化粧料
JP2013023471A (ja) ヘアリンス組成物
JP2007161596A (ja) 毛髪化粧料
JP2014043426A (ja) 毛髪化粧料
KR20120005160A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6945824B2 (ja) 速乾性毛髪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に速乾性を付与する方法
JPWO2011074282A1 (ja) 洗浄剤組成物及びジメチルポリシロキサンの安定化方法
US8440175B2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KR101071499B1 (ko)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JP3761440B2 (ja) 毛髪化粧料
KR100743829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4444888B2 (ja) 毛髪化粧料
JPH0436222A (ja) 乳化毛髪化粧料
US9220674B2 (en) Cationic conditioner replacements
JP2014156424A (ja) 毛髪化粧料
KR100522822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2006028113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