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104U -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104U
KR20120005104U KR2020110000048U KR20110000048U KR20120005104U KR 20120005104 U KR20120005104 U KR 20120005104U KR 2020110000048 U KR2020110000048 U KR 2020110000048U KR 20110000048 U KR20110000048 U KR 20110000048U KR 20120005104 U KR20120005104 U KR 201200051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caping
indoor
small vertical
indoor landscaping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우
홍승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드
Priority to KR2020110000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104U/ko
Publication of KR201200051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바닥에만 제한적으로 설치되었던 실내 조경 장치를 수직으로 세워 구성하고, 책상, 테이블 등 식물화분을 설치하거나 유지관리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조경시설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인공경량토양으로 시설함으로써 공간 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조경을 위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장치로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해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구조의 아크릴로 된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 내부에 실내조경을 위한 식물이 활착되는 식생층과 식재되는 식물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수조 형상의 받침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Small vertical indoor gardening}
본 고안은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바닥에만 제한적으로 설치되었던 실내 조경 장치를 수직으로 세워 구성하고, 소형으로 제작하여 가정의 학습용 책상, 사무실용 책상 등 실내 활동이 많은 공간에 작은 조경시설을 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구성되며, 또한 조건에 따라 폭포 발생장치, 안개 발생장치 등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의 대기 오염 저감 및 가습기의 기능을 가능하도록 하는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조경(Landscape architecture or gardening)이라는 것은 각종 시설물 혹은 물건 등과 더불어 주변 경관에 친화적인 꾸밈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실외 조경(Outdoor gardening)과 실내 조경(Indoor gardening)으로 크게 구분된다.  실외 조경은 정원, 공원 또는 마당, 도로 등에서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정자, 물레방아, 울타리 및 화분대 등 다양한 구조와 용도의 시설물과 조경용품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실내 조경은 주로 식물이나 조화, 분재와 결부되어 복도, 사무 공간 및 거실 등의 실내 공간을 꾸미는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분재 시설이나 화분 혹은 수반 등이 주류를 이룬다고 할 것이다. 
 실외 조경과 실내 조경이 경관을 꾸며 관상용도라는 측면에서는 상호 공통점이 있지만, 커다란 차이점은 그 규모나 구조의 크기 면에서 다르며, 기능적인 측면에서 실내 조경 장치는 심미성은 물론 가습 기능, 산소발생 기능 및 공기정화 기능에 의해 쾌적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데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실내 조경의 경우 내부 인테리어와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면서 새집증후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웰빙(Wellbeing) 문화의 한 유형으로 식물을 식재하는 경향이 많아져서 실내 조경의 적용 및 용도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내 조경은 아직까지는 주로 화분의 장식적인 측면에만 의존하여 단지 기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식물을 화분에 심어놓는다는 단순한 형태가 대부분이어서 조경의 무한한 발전가능성에 비해 실제 사용되는 조경 구조의 다양성은 크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최근 실내 조경은 단순한 시각적인 효과 이외에 가습, 실내공기의 정화 기능 등을 추구하고 있으며 VOCs 등 실내 환경오염 및 실내 공기질의 개선 대안으로서 식물의 가치는 재평가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종래 공지의 피트머스 혹은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벽체에 직접 부착시킨 후에 식물의 근부를 토양덩어리로 만들어 고정하여 벽체 정원을 구성하는 방식의 단점을 감안하여, 입체녹화방식에 있어서 직접 부착성을 갖는 인공경량토양을 사용하여 식생의 활착력과 성장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성형성을 구비하는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로 아크릴로 구성된 외형체 내부에 인공토양을 이용하여 식생을 식재하고 폭포와 안개 발생 장치를 구비하여 실내 공기 정화와 가습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는 책상이나 탁자 등의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실내조경을 위한 장치로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해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구조의 아크릴로 된 구조체와 상기 내부구조체에는 그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면서 공기 중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폭포가 더 취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부구조체에는 실내 가습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안개발생기가 더 취부될 수 있다.
아크릴 구조체 내부에는 상기의 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고정형 틀과 동시에 식재되는 식물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수조 형상의 구조체가 일체형으로 되어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실내조경을 위한 식물이 활착되는 식생판과 상기 아크릴 틀 내에 위치되며, 상기 식생판의 상방에는 조명기가 설치되어 식물의 생육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체 내의 물을 상기 식생판에 공급하기 위한 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바닥에만 제한적으로 설치되었던 실내 조경 장치를 수직으로 세워 구성하고, 곡면 등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조경시설을 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며, 또한 인공경량토양으로 시설함으로써 공간 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공경량토양을 이용한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실제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형 틀(10)을 아크릴로 제작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외형 틀(10)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는 공간으로 식생층(20)은 인공경량토양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인공경량토양은 본 고안자들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123035호로 출원된 바 있는 "수직형 벽체의 녹화를 위한 인공토양조성물"이 될 수 있으며, 지렁이 분변토 5 내지 10중량%, 버섯폐배지 2 내지 10중량%, 동애등에 부산물 5 내지 10중량%, 고흡수성 폴리아크릴산 3 내지 8중량%, 목분 5 내지 15중량%, 부엽토 5 내지 10중량%, 토탄 5 내지 15 중량%, 제올라이트 3 내지 8중량%, 토양미생물 0.1 내지 5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기질비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건은 설치 면적 공간을 최대한 작게 하면서도 식재되는 공간은 보다 크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의 하부(30)는 식종된 식물들에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조 공간으로서 내재되어있는 수중모터 또는 안개 발생기를 이용하여 식물에게 관수를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의 상부(40)는 자연 채광 및 인공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조명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고 하부에 인조석을 이용한 가습장치(50)는 수중모터 또는 안개발생기를 이용하여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지하공간이나 실내에 설치하여도 환경정화 및 실내 가습효과, 심미적인 장치로서 매우 유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10 : 아크릴 외형 틀
20 : 인공토양 식생층  
30 : 아크릴 하부 틀 
40 : 상부 인공조명 장치
50 : 인조석을 이용한 가습 장치

Claims (4)

  1. 실내조경을 위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장치로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해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구조의 아크릴로 된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 내부에 실내조경을 위한 식물이 활착되는 식생층과 식재되는 식물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수조 형상의 받침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아크릴, ABS 또는 인조석을 이용하여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내부에 설치된 인조석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면서 공기 중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폭포 또는 안개발생기가 더 취부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의 상방향에 조명기가 더 취부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KR2020110000048U 2011-01-04 2011-01-04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KR201200051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48U KR20120005104U (ko) 2011-01-04 2011-01-04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48U KR20120005104U (ko) 2011-01-04 2011-01-04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04U true KR20120005104U (ko) 2012-07-12

Family

ID=4685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048U KR20120005104U (ko) 2011-01-04 2011-01-04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1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711A (ko) * 2015-02-02 2016-08-10 최현배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711A (ko) * 2015-02-02 2016-08-10 최현배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nmaster Are green walls as “green” as they look? An introduction to the various technologies and ecological benefits of green walls
KR102137860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KR100888515B1 (ko) 녹화장치
JP2009296928A (ja) 室内観賞用苔庭の栽培装置
CN201252759Y (zh) 一种多功能绿化装置
CN209861731U (zh) 一种桂花移动式绿墙
CN201919446U (zh) 蛋壳型家庭植物生长装置
KR20080097302A (ko) 벽면 조경물 및 이의 제작방법
US20150313094A1 (en) Modular microenvironment tile
CN205611366U (zh) 一种能够自动浇水的盆栽种植器
KR101011377B1 (ko) 관상식물용 천정 부착형 지지체
KR20150002601U (ko) 수직형 실내 조경장치
KR20120005104U (ko) 소형 수직형 실내 조경 장치
CN109602229A (zh) 一种多功能的花盆架
CN201643978U (zh) 一种微藻生物减碳净化室内空气的生态景观屏
KR20120005788U (ko) 실내용 계단식 화단
RU76774U1 (ru)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JP3196710U (ja) 緑化システム
JP3135647U (ja) 額に入れた壁掛け型観賞用植物
KR102474558B1 (ko) 다목적 책상 혹은 테이블
KR20120080456A (ko) 복합 실내정원
KR101011378B1 (ko) 관상식물용 수직형 지지체
CN202524810U (zh) 一种绿化建筑装置
WO2011134330A1 (zh) 室内大树形空中水培花器
KR20110131009A (ko) 자연녹화방식의 아치형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