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300U -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300U
KR20120004300U KR2020100012652U KR20100012652U KR20120004300U KR 20120004300 U KR20120004300 U KR 20120004300U KR 2020100012652 U KR2020100012652 U KR 2020100012652U KR 20100012652 U KR20100012652 U KR 20100012652U KR 20120004300 U KR20120004300 U KR 201200043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air
air filter
filter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호
Original Assignee
조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태호 filed Critical 조태호
Priority to KR2020100012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300U/ko
Publication of KR20120004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65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히 귀금속을 조각가공한 후, 그 가공된 귀금속을 연마기를 이용하여 연마 및 광택가공을 수행할 때 발생되는 귀금속분(賁金屬粉)을 소실 없이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에어필터에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에어필터가 장기적인 귀금속분의 적층에 의해 더 이상의 필터수단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이를 알려주기 위한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부가 개방된 공기유통공(2)이 중앙에 형성되도록 필터수단(3)이 원판의 상부플레이트(4)와 하부플레이트(5) 및 내/ 외부 보호철망(6a)(6b)에 의해 원통형으로 지지 설치된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3)에는 부직포(3a)와 활성탄소섬유(3b)를 샌드위치로 하여 롤(Roll)방식으로 적어도 1회 이상으로 감은 상태이고, 상기 에어필터(1)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수위감지부(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Air filters are installed in the water level sensor}
본 고안은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귀금속을 가공한 후, 그 가공된 귀금속을 연마기를 이용하여 연마 및 광택가공을 수행할 때 발생되는 귀금속분(賁金屬粉)을 소실 없이 회수할 수 있도록 에어필터에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에어필터가 장기적인 귀금속분의 적층에 의해 더 이상의 필터수단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이를 알려주기 위한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나 팔찌, 귀걸이 등의 귀금속을 광택을 내기 위하여 표면 가공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할 때에는 미세한 먼지는 물론 작은 미립자(微粒子)의 귀금속분말이 함께 발생하게 되고, 분진된 고가의 귀금속은 에어필터로 회수하여 재사용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사실이다.
종래의 귀금속 분진을 에어필터로 회수하는 방법으로는 국내실용신안등록제09162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에서 비산된 귀금속 분진이 호퍼로 낙하되는 것을 여과실과 연결된 1차 포대필터로 포집하고, 포대필터에서도 이탈된 귀금속 분진은 2차 여과필터로 포집하여 정화된 공기만 환기실에 설치된 환기닥트로 배기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실이 사방이 밀폐된 이유는 2차 여과필터에서 집진된 것 외에도 여과실 내부에서 잔존하는 귀금속이 외부로 방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되어 있고, 귀금속용으로 이용되는 여과필터는 사용 연한이 끝나면 전량 소각하여 필터에 남아 있는 귀금속을 회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2차 여과필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네트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네트의 홀(hole)보다 작은 지름의 귀금속 분진은 여유 있게 여과필터를 통과하여 환기닥트로 배기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산되는 먼지와 귀금속 입자(粒子) 등이 환기닥트로 배기한 경우 주변의 환경을 악화시켜 작업자의 건강을 유협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여과필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수시로 여과실을 확인하지 않는 이상 여과필터의 손상과 또는 장착불량으로 인해서 제품을 계속 사용하다 보면 입자상의 귀금속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국내실용신안등록제03310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작업실에서 발생되어 비산되는 먼지와 작은 입자의 이물질은 흡입팬의 작동의 원리에 의해 필터링하여 별도의 배출구로 배출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즉, 공기여과실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비산된 먼지를 필터링 하도록 되어 있고, 모우터 구동실에는 비산 먼지가 필터에 흡착되도록 흡입팬이 설치되어 있으며, 헤드부 내부에는 모우터가 구동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음패드가 사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비산된 먼지를 필터 한군데서 하다 보니 필터의 홀보다 지름이 작은 미세한 먼지는 필터를 통과하여 헤드부 상에 형성된 배출공으로 배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집진기본체 상부에 배치된 에어필터 외부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부착되어 에어필터의 수명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에어필터를 교체하는 시기를 알려 줌으로써 에어필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것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필터에 사용되는 필터에는 일반먼지를 제거하는 부직포와 작은 지름을 갖는 미세한 분진까지 필터링하는 다이아몬드 조직을 갖는 활성탄소섬유(activated carbon fiber)를 샌드위치로 하여 롤(ROLL) 형식으로 감아 입자상의 귀금속과 미세먼지를 필터링 함으로써, 귀금속이 집진실 외부로 나가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함께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부가 개방된 공기유통공(2)이 중앙에 형성되도록 필터수단(3)이 원판의 상/하부플레이트(4)(5)와 내/ 외부 보호철망(6a)(6b)에 의해 원통형으로 지지 설치된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3)에는 부직포(3a)와 활성탄소섬유(3b)를 샌드위치로 하여 롤(ROLL) 형식으로 적어도 1회 이상 감아 형성되고, 상기 에어필터(1)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수위감지부(7)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집진기본체 상부에 배치된 에어필터 외부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부착되어 에어필터를 교체하는 시기를 알려주는 수단과, 필터에는 일반먼지를 제거하는 부직포와 작은 지름을 갖는 미세한 분진까지 필터링하는 다이아몬드 조직을 갖는 활성탄소섬유(activated carbon fiber)를 샌드위치로 하여 롤(ROLL) 형식으로 감아 입자상의 귀금속과 미세먼지를 필터링 함으로써, 귀금속이 집진실 외부로 나가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함께 쾌적한 작업환경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집진기 상부에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필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에어필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필터수단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측면도와 측단면도.
본 고안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대(101)에서 귀금속을 모터(M1)의 축에 축설된 버프 또는 연마재로 광택 가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작업실(100)과, 귀금속을 가공하여 발생되는 입상의 귀금속과 미세먼지 등이 집진기본체(200)의 흡입홴(201)에 의해 흡입되고, 이를 안내하는 안내파이프(202)와, 상기 흡입홴(201)의 하부에는 안내파이프(202)의 안내에 의해 진입된 입상의 귀금속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에어필터(203)와, 집진기본체(200) 하부에는 입상의 귀금속 중에 에어필터(203)로 필터링을 하지 못하고 낙하되거나, 중량을 갖는 귀금속이 포집되는 귀금속 수납함(204)과, 집진기본체(200) 상부에는 상기 흡입홴(201)에 의해 상부로 유도된 청정된 공기와 일부 상기 에어필터(203)의 홀(holl)보다 작은 지름의 귀금속이 통과되는 공기유입구(205)와, 상기 흡입홴(201) 상부에는 모터(M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상부에는 하단부가 개방된 공기유통공(2)이 중앙에 형성되도록 필터수단(3)이 원판의 상/하부플레이트(4)(5)와 내/ 외부 보호철망(6a)(6b)에 의해 원통형으로 지지 설치된 에어필터(1)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집진기 본체(200)와 그 상부에 설치된 에어필터(1)는 집진실(300)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작업실(100)에는 흡입구(102)가 천공되고, 집진실(300)에는 배기구(301)가 각각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작업실(100)과 집진실(300)을 각각 분리하지 않고 한 장소에서 안내파이프(202)만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에어필터(1)의 필터수단(3)에는 부직포(3a)와 활성탄소섬유(3b)를 샌드위치로 하여 롤(ROLL) 형식으로 적어도 1회 이상 감아 설치될 수 도 있다.
상기 에어필터(1)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수위감지부(7)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수위감지부(7)에는 하부플레이트(5)를 관통하는 수위라인(70)이“U" 형으로 관통하여 설치하되, 에어필터(1)의 내부에는 입구(71a)를 갖는 에어입력관(71)이 배치되고, 에어필터(1)의 외부에는 출구(72a)를 갖는 에어출력관(72)은 투명한 아크릴(8) 내부에 장입(裝入)될 수 도 있고, 에어출력관(72)만 돌출되어 상단부를 클램프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상기 에어출력관(72)의 높이 중앙에는 에어필터(1) 내부에서 진공이 발생되면 에어입력관(71)으로는 공기가 유입되어 에어입/출력관(71)(72)에 수용된 물이 상승 에어필터(1)의 교체를 알리는 수위눈금부(9)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수위눈금부(9)에는 물의 상승하는 위치에 따라 1차 경고눈금(9a)과, 2차 경고눈금(9b) 및 위험수위눈금(9c)이 표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8)의 하단 내부에는 야간에도 에어출력관(72)에 수용된 물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온/오프스위치(81)에 의해 점등되는 LED(82)가 매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감지부(7)의 에어입력관(71)은 상부플레이트(4)를 관통하여 설치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부플레이트(4)를 관통한 수위라인(70)은 아크릴(8) 내부에서 “U" 형으로 천공하되, 에어필터(1)의 내부에는 에어입력관(71)의 일측 단부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아크릴(8)의 상단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아크릴(8)의 내부에는 입력라인(83a)과 출력라인(83b)이 “U"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크릴(8)의 높이 중앙에는 에어필터(1) 내부에서 진공이 발생되면 에어입력관(71)으로는 공기가 유입되어 입/출력라인(83a)(83b)에 수용된 물이 상승 에어필터(1)의 교체를 알리는 수위눈금부(9)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수위눈금부(9)에는 물의 상승하는 위치에 따라 1차 경고눈금(9a)과, 2차 경고눈금(9b) 및 위험수위눈금(9c)이 표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실(100)에 배치된 모터(M1)와 집진실(300)에 배치된 모터(M2)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집진실(300)의 흡입홴(201)에 의해 작업실(100)의 흡입구(102)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집진실(300)의 배기구(301)로는 청정된 공기가 배기되는 것이다.
작업자는 작업대(101)에 설치된 모터(M1)가 구동되면 그 축에 축설된 버프(buff)나 연마부재를 끼워 반지나 팔찌, 귀걸이 등 귀금속을 광택하기 시작하여 발생된 입상의 귀금속과 미세먼지는 안내파이프(202)를 따라 집진기본체(200)로 진입하게 되고, 분진되는 입상의 귀금속과 미세먼지는 다수의 에어필터(203)에서 필터링하게 된다.
이때 에어필터(203) 방향으로 필터링하지 못하고 낙하되는 귀금속은 귀금속 수납함(204)으로 포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에어필터(203)에 의해 분진된 귀금속을 필터링 하게 되고, 이를 통과한 미세먼지 또는 입상의 귀금속은 공기유입구(205)를 통과하여 에어필터(1)로 진입하게 된다.
에어필터(1)로 진입한 분진 등은 에어필터(1)의 상부플레이트(4)가 차단되어 있어 더 이상 상층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필터수단(3)인 부직포(3a)와 활성탄소섬유(3b)에 의해 필터링 하게 된다. 이때 부직포(3a)는 일반적인 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수준이고, 활성탄소섬유(3b)는 흡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참고로 활성탄소섬유(3b)에 대하여 설명하면, 활성탄을 섬유활성탄으로 만들 경우 입상보다 흡착력이 100배에 달하며, 일단 활성탄에서의 흡착과정을 보면 피 흡착물질은 활성탄 표면의 마크로 포어(Macro pore-수 마이크로에서 1마이크로 정도)라고 하는 구멍 속으로 확산을 통해 이동하여 내부의 메조포어(Meso-pore 20nm이하의 크기)에서 흡착이 일어납니다.
또한, 활성탄소섬유(AFC)는 표면에 마크로 포어가 없이 메소포어가 바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 흡착재의 확산 과정 없이 훨씬 빠른 흡착속도를 보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부직포(3b)와 활성탄소섬유(3b)를 샌드위치로 하여 롤(Roll) 형식으로 1회 이상 감은 상태로 되어 있는 필터수단(3)에 의해 분진된 입상의 귀금속 모두를 필터링하게 되고, 청정된 공기만 집진실(300)의 배기구(301)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필터수단(3)에 입상의 귀금속과 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하여 장기간 필터수단(3)을 사용하면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처럼 필터부재가 먼지에 의해 밀폐되어 후방으로 배기구로 공기가 배기하지 못하게 되어 진공청소기 상부에는 알림 표시로 표시가 되어 필터부재를 교환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필터수단(3)이 장기간에 걸쳐 필터링 하게 되면 필터 기능이 상실되어 에어필터(1)의 내부로 막힘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필터(1)의 내부로 막힘 현상이 발생되면, 내부의 차압에 의해 배기되지 못하는 공기는 결국에는 도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입력관(71)의 입구(71a)로 진입하게 되고 에어입/출력관(71)(72)에 수용된 에 수용된 물은 진입하는 공기의 양에 의해 에어출력관(72) 출구(72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직의 에어출력관(72)에서 상승하게 된다.
상승하는 물이 에어출력관(72)에 표시된 수위눈금부(9)의 1차 경고눈금(9a)에 도달하면 에어필터(1)의 교체시간을 1시간 안에 알려주는 1차 교체단계이며, 계속하여 물이 상승하여 2차 경고눈금(9b)에 도달하면 에어필터(1)의 교체시간이 30분 안에 알려주는 2차 교체단계를 거쳐 최종 위험수위눈금(9c)에 도달되면 에어필터(1)를 교체할 시간을 알려주게 된다.
또한, 사용이 완료된 에어필터(1)는 귀금속이 많이 포집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전량 소각하여 귀금속을 수집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항은 주간에서 집진실(300)에 배치된 에어필터(1)를 확인하는 방법이고, 야간에는 수위눈금부(9)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는 수위감지부(9) 하단에 배치된 온/오프스위치(81)를 누르게 되면 온/오프스위치(81)와 연결된 LED(82)가 점등되어 수위눈금부(9)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에어필터 2: 공기유통공
3: 필터수단 3a: 부직포
3b: 활성탄소섬유 4, 5 : 상/하부플레이트
6a, 6b: 내/ 외부 보호철망 7: 수위감지부
70: 수위라인 71: 에어입력관
71a: 입구 72: 에어출력관
72a: 출구 8: 아크릴
81: 온/오프스위치 82: LED
83a: 입력라인 83b: 출력라인
9, 90: 수위눈금부 9a: 1차 경고눈금
9b: 2차 경고눈금 9c: 위험수위눈금

Claims (7)

  1. 하단부가 개방된 공기유통공(2)이 중앙에 형성되도록 필터수단(3)이 원판의 상부플레이트(4)와 하부플레이트(5) 및 내/ 외부 보호철망(6a)(6b)에 의해 원통형으로 지지 설치된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3)에는 부직포(3a)와 활성탄소섬유(3b)를 샌드위치로 하여 롤(Roll)방식으로 적어도 1회 이상으로 감은 상태이고, 상기 에어필터(1)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수위감지부(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부(7)에는 하부플레이트(5)를 "U"형으로 관통하는 수위라인(70)과; 수위라인(70) 일측은 에어필터(1)의 내부에서 입설되고 단부에 입구(71a)를 갖는 에어입력관(71)과;
    타측단은 에어필터(1)의 외부에서 입설되고 단부에 출구(72a)를 갖는 에어출력관(72)과;
    상기 에어출력관(72)은 투명한 아크릴(8) 내부에 장입(裝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출력관(72)의 높이 중앙에는 에어필터(1) 내부에서 진공이 발생되면 에어입력관(71)으로는 공기가 유입되어 에어입/출력관(71)(72)에 수용된 물이 상승 에어필터(1)의 교체를 알리는 수위눈금부(9)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위눈금부(9)에는 물의 상승하는 위치에 따라 1차 경고눈금(9a)과, 2차 경고눈금(9b) 및 위험수위눈금(9c)이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8)의 하단부에는 야간에도 에어출력관(72)에 수용된 물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온/오프스위치(81)에 의해 점등되는 LED(82)가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부(7)는 상부플레이트(4)를 관통한 에어입력관(71)을 아크릴(8)과 연결되고 아크릴(8) 내부에는 입력라인(83a)과 출력라인(83b)이 "U"형이 형성된 수위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8)높이 중앙에는 에어필터(1) 내부에서 진공이 발생되면 에어입력관(71)으로는 공기가 유입되어 입/출력라인(83a)(83b)에 수용된 물이 상승 에어필터(1)의 교체를 알리는 수위눈금부(9)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KR2020100012652U 2010-12-08 2010-12-08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KR201200043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52U KR20120004300U (ko) 2010-12-08 2010-12-08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52U KR20120004300U (ko) 2010-12-08 2010-12-08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00U true KR20120004300U (ko) 2012-06-18

Family

ID=4685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652U KR20120004300U (ko) 2010-12-08 2010-12-08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3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85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체 저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체 디스펜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85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체 저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체 디스펜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711Y1 (ko) 용접 분진의 집진장치
US8393050B2 (en) Portable cyclonic dust collector/vacuum cleaner
CN206663163U (zh) 一种过滤式简易除尘工作台
KR101104076B1 (ko) 집진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20120004300U (ko) 에어필터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
CN210938548U (zh) 一种直升机机翼打磨设备
KR200443516Y1 (ko) 청소기능이 부가된 집진기
CN212553006U (zh) 一种基于粉尘吸附处理的圆盘砂光机
CN211411346U (zh) 一种烟气除尘用便于更换清理的布袋式除尘器
TWM570195U (zh) Oil mist collector
CN210210034U (zh) 一种抛丸机的丸料分离系统
KR20210100919A (ko) 절삭유 탱크 칩 청소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2348232U (zh) 一种便于拆卸的打磨台
KR20080013834A (ko) 연마기
CN221474680U (zh) 一种钢构件打磨装置
CN211885877U (zh) 一种布袋除尘器装置
CN210758524U (zh) 一种建筑装饰材料切割用除尘装置
CN219337390U (zh) 一种用于板材打磨的吸尘装置
CN218653597U (zh) 一种制砂用选粉机收尘结构
CN204769501U (zh) 一种水晶珠坯筛选设备
CN215313940U (zh) 一种钢砂的过滤装置
CN212311761U (zh) 一种用于抛光机的吸尘装置
CN211328570U (zh) 一种混合饲料用便于收集且高效的脉冲除尘器
CN212283267U (zh) 一种具有吸尘管道的面粉原料去石机
US7329293B2 (en) Disposable filtration system for bagless vacuum clea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