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128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128A
KR20120004128A KR1020100064818A KR20100064818A KR20120004128A KR 20120004128 A KR20120004128 A KR 20120004128A KR 1020100064818 A KR1020100064818 A KR 1020100064818A KR 20100064818 A KR20100064818 A KR 20100064818A KR 20120004128 A KR20120004128 A KR 20120004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ember
housing
execution
groov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128A/ko
Publication of KR2012000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별도의 입력부재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된 입력부재가 회전에 의해 실행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응용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여, 복합적인 기능을 하나의 입력부재에 모듈화함으로써, 기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입력부재의 활용으로 사용자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별도의 입력부재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서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되어 출시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의 휴대폰의 경우에는 점차 큰 LCD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 추세의 한 방향으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별도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제거하거나 숨겨 휴대폰의 한 쪽 전체를 터치스크린이 차지할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들은 그만큼 커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더욱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주된 입력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추가적인 입력을 위한 간단한 버튼 등은 휴대폰의 측면이나 터치스크린의 하단에 배치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면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로서의 역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이나 3G 휴대폰으로 들어서면서, 풀터치 휴대폰으로 발전함에 따라 각각의 휴대폰들은 디자인적으로 거의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로 유사해지고 있으며, 휴대폰의 전면 하단 또는 측면에 배치된 버튼 등의 경우에도 각각이 유사한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서 휴대폰 디자인에 대한 개성이 없어져 가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 등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개성이 강한 디자인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 단말기는 홈을 가지는 하우징;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고,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홈에 고정되며,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홈에서 고정된 지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 범위 이내로 회전이 가능한 입력부재; 상기 입력부재의 회전에 의해 눌리는 실행버튼; 응용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 및 상기 실행버튼의 눌림에 따라 상기 실행부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이 상기 실행버튼으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실행부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상기 실행부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시키기 위한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재의 타 측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홈의 내측에는 상기 입력부재의 타 측이 일정 범위 이내에서 회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장공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의 타 측의 내측단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부재의 타 측이 회전하는 것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 단말기는 홈을 가지는 하우징;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입력부재; 응용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입력부재에 구비된 터치패드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실행부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이 상기 입력부재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실행부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적인 기능을 하나의 입력부재에 모듈화함으로써, 기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입력부재의 활용으로 사용자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일 측에 회전에 의해 응용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자주 사용되는 기능이나 특정한 기능을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응용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이동 단말기의 상단으로 돌출시켜 이동 단말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여 기존의 이동 단말기들에 비하여 디자인적으로 경쟁력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입력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입력부재와 실행부 및 제어부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하우징(110), 입력부재(120), 실행버튼(130), 스프링(140), 실행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10)은 일 측면에 홈(H)을 가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상단에 홈(H)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내장되어, 이동 단말기(100)가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인 경우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하우징(110)에는 입력부재(12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기(112)가 구비된다.
입력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상단에 형성된 홈(H)에 삽입되는데, 전체가 홈(H)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도1 내지 도3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일부만 홈(H)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110)의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입력부재(120)는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고정축(122)이 마련되고, 일 측의 반대편인 타 측에는 장공(124)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입력부재(120)는 고정축(122)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일 방향으로 긴 홀의 형태로 장공(124)이 형성되는데, 장공(124)에는 하우징(110)에 구비된 돌기(112)가 관통함으로써, 입력부재(120)의 회전이 일정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장공(124)에 돌기(112)가 관통하여 돌기(112)에 의해서 입력부재(120)가 장공(124)의 길이만큼만 이동이 가능하여 고정축(122)을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입력부재(120)의 타 측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입력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타 측의 하단이 실행버튼(130)을 누름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응용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재(120)에서 하우징(110)의 상단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126)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부재(120)에 구비된 터치패드(126)에 의해서 이동 단말기(100)에 터치스크린(T)을 통한 입력이나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등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100)에 터치 입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패드(126)는 입력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된 정도에 따라서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 돌출된 전면(터치스크린(T)이 구비된 면을 전면이라 함)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돌출된 배면에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터치 입력에 따라 다른 응용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입력을 통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응용 기능을 실행시키기도 하고, 간단한 문자의 입력 등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실행버튼(130)은 입력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눌리는 것이 가능한데, 실행버튼(130)이 눌리면, 실행부(150)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응용 기능을 실행시기 위해 제어부(160)로 그에 대한 명령을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프링(140)은 입력부재(120)가 실행버튼(130)을 누른 다음에 원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입력부재(120)의 타 측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버튼(130)의 상단에 위치하여, 입력부재(120)의 타 측에 탄성을 가함으로써, 입력부재(120)가 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실행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의 응용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응용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실행되는 응용 기능을 정지시킨다.
제어부(160)는 입력부재(120)의 터치패드(126)를 통한 터치 입력이 있거나, 입력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실행버튼(130)이 눌림에 따라서 입력부재(120)의 터치패드(126)나 실행버튼(130)으로부터 실행부(150)가 응용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실행부(150)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재(120)에 구비된 터치패드(126)에 터치 입력을 하면, 터치패드(126)에서는 실행부(150)에서 응용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160)로 전송하여 제어부(160)에 입력시키고, 마찬가지로 실행버튼(130)은 실행버튼(130)이 눌림에 따라서 실행부(150)에서 응용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160)에 입력시킨다.
이와 같이, 터치패드(126)나 실행버튼(130)으로부터 명령이 제어부(160)로 입력되면, 제어부(160)에서는 실행부(150)가 응용 기능을 실행하도록 실행부(150)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입력부재(120)는 회전이 됨과 동시에, 전면에 터치패드(126)가 구비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응용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성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 하우징(110)의 상단에 위치하여 일부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존의 휴대폰이나 이동 단말기와는 다른 경쟁력이 있는 디자인을 추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이동 단말기와는 차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입력부재(120)를 투명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그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입력부재(120)에 장착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가지는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의 한 예로, 하우징(110)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은 입력부재(120)의 부분에 안테나를 장착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 안테나가 장착되는 것에 비하여 수신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입력부재(120)를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에 맞추어 투명한 ITO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입력부재(120)에 배치시켜 사용자의 눈으로는 안테나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이동 단말기
110: 하우징
112: 돌기 H: 홈
120: 입력부재
122: 고정축 124: 장공
126: 터치패드
130: 실행버튼 140: 스프링
150: 실행부 160: 제어부
T: 터치스크린

Claims (5)

  1. 홈을 가지는 하우징;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고,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홈에 고정되며,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홈에서 고정된 지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 범위 이내로 회전이 가능한 입력부재;
    상기 입력부재의 회전에 의해 눌리는 실행버튼;
    응용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 및
    상기 실행버튼의 눌림에 따라 상기 실행부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이 상기 실행버튼으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실행부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에는 상기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상기 실행부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시키기 위한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의 타 측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홈의 내측에는 상기 입력부재의 타 측이 일정 범위 이내에서 회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장공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의 타 측의 내측단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부재의 타 측이 회전하는 것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홈을 가지는 하우징;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홈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입력부재;
    응용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입력부재에 구비된 터치패드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실행부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이 상기 입력부재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실행부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00064818A 2010-07-06 2010-07-06 이동 단말기 KR20120004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818A KR20120004128A (ko) 2010-07-06 2010-07-06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818A KR20120004128A (ko) 2010-07-06 2010-07-06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28A true KR20120004128A (ko) 2012-01-12

Family

ID=4561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818A KR20120004128A (ko) 2010-07-06 2010-07-06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1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882B2 (en) 2013-12-03 2018-12-18 University-Industry Foundation (Uif), Yonsei Universit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US11918530B2 (en) 2019-02-22 2024-03-05 Water Pik, Inc. Countertop water flos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882B2 (en) 2013-12-03 2018-12-18 University-Industry Foundation (Uif), Yonsei Universit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US11918530B2 (en) 2019-02-22 2024-03-05 Water Pik, Inc. Countertop water flos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5760B1 (en) Mobile terminal
JP4249706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用入力装置
US82376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keypad thereof
US8493369B2 (en) Foldable stylus and pen with protective housing
KR20230129959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KR20090038300A (ko)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20005719U (ko) 외부 터치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US11376495B2 (en) Operating controller and terminal device
MX2008009361A (es) Pantalla de control tactil para dispositivo electronico.
CN108093681B (zh) 一种底座、移动终端、耳机以及耳机座
EP1762083A1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WO2006007215A1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JP2011221675A (ja) 携帯電子機器
KR20090017418A (ko) 전자 디바이스용 촉각 터치스크린
JP2010062849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入力操作方法・表示制御方法
TWI437870B (zh) 行動終端機
KR20110113243A (ko) 이동 단말기
KR20110103540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04128A (ko) 이동 단말기
KR20120084398A (ko) 프로그램 자동 실행용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무터치 방식의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US8441446B2 (en) Wireless input device integrable with mobile device
KR20100117053A (ko) 앞뒤 두 개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폰과 그 작동 방식
US11137836B2 (en) Electronic device
KR20130142307A (ko) 모바일폰 케이스
KR101106775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