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540A -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540A
KR20110103540A KR1020100022652A KR20100022652A KR20110103540A KR 20110103540 A KR20110103540 A KR 20110103540A KR 1020100022652 A KR1020100022652 A KR 1020100022652A KR 20100022652 A KR20100022652 A KR 20100022652A KR 20110103540 A KR20110103540 A KR 2011010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screen
visually impaired
brail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960B1 (ko
Inventor
백남칠
Original Assignee
(주)건융아이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융아이비씨 filed Critical (주)건융아이비씨
Priority to KR102010002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96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는 터치 시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상부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이 물리적으로 접촉되고,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기 설정된 점자들이 기 설정된 영역에 구비되는 점자 키패드; 및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동작 영역과 동작 영역으로 나누어 설정하며 상기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PORTAB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FOR THE BLIND AND MEHT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시각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stylus)나 펜 등으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터치 스크린이 긁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립형이나 슬라이드형 덮개(filp or slide cover shields)를 가질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메일(E-mail)이나 팩스 등을 보내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덮개를 열고, 스타일러스나 펜 등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게 된다.
이런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기능이 위치한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이 수행된다.
하지만, 이런 터치용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기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터치해야 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기능을 시각적으로 보기 어려운 시각 장애인은 터치용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어렵고, 이를 통해 스마트 폰과 같은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이 터치용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터치용 휴대 단말기를 시각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는 터치 시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상부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이 물리적으로 접촉되고,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기 설정된 점자들이 기 설정된 영역에 구비되는 점자 키패드; 및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동작 영역과 동작 영역으로 나누어 설정하며 상기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 키패드와 상기 터치 스크린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영역을 비동작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 키패드와 상기 터치 스크린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면 상기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자동 실행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에 터치 여부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저항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 키패드와 상기 터치 스크린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면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동작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부 전면에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기 설정된 점자들이 기 설정된 영역에 구비되는 점자 키패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에 기 탑재된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터치가 가능한 동작 영역과 터치가 불가능한 비동작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점자 키패드 상의 상기 점자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상에 해당 휴대 단말기에 해당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키 패드를 구비하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에게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시각 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점자 키패드에 대한 일 실시예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동작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터치용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등의 모든 터치용 장치를 포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240), 제어부(210), 터치 스크린(220) 및 점자 키패드(230)를 포함한다.
표시부(240)는 제어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의 표시부(240)는 터치 스크린(220)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스크린(220)은 스크린 터치 시 터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어부(210)로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의 터치 스크린은 점자 키패드(230)와 물리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터치가 가능한 동작 영역이 점자 키패드를 통해 터치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220)은 저항 방식의 터치 스크린,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모든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점자 키패드(23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220) 상부 전면에 터치 스크린(220)과 일부 영역이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상부에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자들이 기 설정된 위치 즉, 해당 영역에 구비된다.
여기서, 점자 키패드(230) 상에 설정되는 점자는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또는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에서 제공하는 기능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점자 키패드(230)는 터치용 휴대 단말기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220)의 크기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지만 점자 키패드(230) 상에 구비된 점자가 터치 스크린(220) 상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자 키패드(230)는 터치 스크린(220)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터치 스크린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점자 키패드(230)는 고무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부분은 도 3에서 설명한다.
제어부(210)는 해당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 대한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터치 스크린(220)을 터치 시 터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영역과 터치 시 터치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비동작 영역으로 나누어 설정하며, 터치 스크린(220)으로부터 동작 영역의 터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정보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점자 키패드(230)에 상응하는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통해 점자 키패드(230)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영역을 비동작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동작 영역별로 수행되는 기능 또한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물론, 제어부(210)에 구비되는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아이폰 OS, 심비안, 윈도우 모바일 등에 맞는 알고리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터치용 휴대 단말기의 OS가 안드로이드인 경우 안드로이드에서 실행되는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제어부(210)에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어부(210)는 탑재된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점자 키패드(230)가 터치 스크린(220)과 접촉 시 자동 실행시킬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210)는 점자 키패트(230)가 터치 스크린(220)과 접촉할 때 동작 영역과 비동작 영역이 설정되기 전의 터치 영역에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동작 영역에 터치가 발생된 경우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자동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 실행 시 또는 점자 키패드(230)의 터치에 의한 기능 실행 시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SPK)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점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각 기능에 대한 음성은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고, 휴대 단말기에 TTS(text to speech) 기능이 구비된 경우에는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에서 제공되는 각 기능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점자 키패드에 대한 일 실시예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점자 키패드(230)는 터치 스크린의 비동작 영역과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고무 커버(350),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에 해당하는 고무 커버(350) 상부에 형성된 점자 돌출부(330) 및 점자 키패드 터치 시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에 터치 여부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340)을 포함한다.
점자 돌출부(330)는 시각 장애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고무 커버(350)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고무 커버(3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달 수단(340)은 사용자에 의해 점자가 터치된 경우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여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터치 스크린의 터치 방식에 맞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동작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용 휴대 단말기 동작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휴대 단말기에 대한 시각 장애인용 점자 키패드를 물리적으로 결합한다(S410).
물론, 점자 키패드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점자 키패드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자 키패드가 터치 스크린 상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면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 기 탑재된 점자 키패드에 상응하는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이 자동 실행된다(S420).
여기서,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은 점자 키패드와 함께 제공되는 알고리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이 수행되면,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터치가 가능한 동작 영역과 터치가 불가능한 비동작 영역으로 설정한다(S430).
이때, 비동작 영역은 터치 스크린과 점자 키패드가 물리적으로 접촉된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터치 스크린과 점자 키패드가 물리적으로 비접촉된 영역이지만 실제 사용되지 않은 영역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 영역과 비동작 영역이 설정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이 점자 키패드에 의해 터치되면 터치 영역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고, 나아가 수행되는 기능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에게 수행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기 힘든 터치용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시각 장애인용 점자가 구비된 점자 키패드를 물리적으로 결합하고, 이에 대한 알고리즘을 터치용 휴대 단말기에 탑재시킴으로써, 점자 키패드 상에 형성된 점자 터치 시 터치된 점자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각 장애인도 터치용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210: 제어부
220: 터치스크린
230: 점자 키패드
330: 점자 돌출부
340: 전달 수단

Claims (8)

  1. 터치 시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상부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이 물리적으로 접촉되고,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기 설정된 점자들이 기 설정된 영역에 구비되는 점자 키패드; 및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비동작 영역과 동작 영역으로 나누어 설정하며 상기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을 통해 입력된 터치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 키패드와 상기 터치 스크린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영역을 비동작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 키패드와 상기 터치 스크린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면 상기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자동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에 터치 여부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저항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 키패드와 상기 터치 스크린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면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8.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부 전면에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기 설정된 점자들이 기 설정된 영역에 구비되는 점자 키패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에 기 탑재된 시각 장애인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터치가 가능한 동작 영역과 터치가 불가능한 비동작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점자 키패드 상의 상기 점자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동작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동작 방법.
KR1020100022652A 2010-03-15 2010-03-15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15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52A KR101156960B1 (ko) 2010-03-15 2010-03-15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52A KR101156960B1 (ko) 2010-03-15 2010-03-15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40A true KR20110103540A (ko) 2011-09-21
KR101156960B1 KR101156960B1 (ko) 2012-06-20

Family

ID=4495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652A KR101156960B1 (ko) 2010-03-15 2010-03-15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9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23B1 (ko) * 2010-05-03 2012-05-02 송희경 휴대통신기기용 스킨
KR101269854B1 (ko) * 2011-02-28 2013-06-07 이미지랩(주)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단말기용 입력보조장치
KR101374036B1 (ko) * 2012-09-14 2014-03-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5115691A1 (ko) * 2014-02-03 2015-08-06 (주)에이티랩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용 케이스
KR101639805B1 (ko) * 2015-05-07 2016-07-1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하이브리드 모바일 키보드 및 그의 스크린 맵핑 방법
KR20210053648A (ko) 2019-11-04 2021-05-1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10135143A (ko) * 2020-05-04 2021-11-1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930A (ko) * 2005-12-30 2007-07-04 브이케이 주식회사 장애인용 착탈식 버튼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35185A (ko) * 2006-10-18 200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점자판이 구비된 화면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23B1 (ko) * 2010-05-03 2012-05-02 송희경 휴대통신기기용 스킨
KR101269854B1 (ko) * 2011-02-28 2013-06-07 이미지랩(주)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단말기용 입력보조장치
KR101374036B1 (ko) * 2012-09-14 2014-03-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5115691A1 (ko) * 2014-02-03 2015-08-06 (주)에이티랩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용 케이스
KR101639805B1 (ko) * 2015-05-07 2016-07-1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하이브리드 모바일 키보드 및 그의 스크린 맵핑 방법
KR20210053648A (ko) 2019-11-04 2021-05-1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10135143A (ko) * 2020-05-04 2021-11-1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용 점자 키패드 및 점자 스크린에 키패드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960B1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960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터치용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40088B1 (ko) 애플리케이션 스위칭 방법, 디바이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RU2687037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быстрого разделения экрана,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i отображения и носитель хранения
US9965033B2 (en) User input method and portable device
KR102184288B1 (ko) 입력 유닛에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CN113821134B (zh) 控制光标移动的方法、内容选择方法、控制页面滚动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50185953A1 (en) Optimization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interface
EP2770421A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7145386B (zh) 数据迁移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50261312A1 (en) Talking multi-surface keyboard
WO2017044209A1 (en) Changing an interaction layer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321151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KR20190008949A (ko) 터치 패널에서 사용하기 위한 터치 응답 방법 및 장치 및 그 단말
JP6140549B2 (ja) 携帯端末、判定時間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判定時間設定方法
KR20140140407A (ko)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의 멀티 터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WO2010016717A3 (ko) 터치스크린 패드를 이용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WO2018039914A1 (zh) 一种数据复制方法及用户终端
KR20120045697A (ko) 휴대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부착식 터치패드
EP345726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ne-handed operation
CN107003759B (zh) 一种选择文本的方法
CN111083288B (zh) 屏幕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EP3674867B1 (en) Human-computer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6126045A (zh) 一种移动终端界面的调整方法和装置
CN109683721A (zh) 一种输入信息显示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