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112A - 용존물 용출장치 - Google Patents

용존물 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112A
KR20120004112A KR1020100064784A KR20100064784A KR20120004112A KR 20120004112 A KR20120004112 A KR 20120004112A KR 1020100064784 A KR1020100064784 A KR 1020100064784A KR 20100064784 A KR20100064784 A KR 20100064784A KR 20120004112 A KR20120004112 A KR 20120004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solved
elastic deformation
spac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황지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112A/ko
Publication of KR2012000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용존물 용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는 물이 흐르는 수로 상에 구성되며, 소정 성분이 용존된 고농도의 용존물을 상기 수로로 용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수로와 연결되며 소정 유량의 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하우징과, ⅱ)상기 용존물을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용존물을 물의 유동 경로로 용출시키는 제1 탄성 변형부와, ⅲ)물이 유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제1 탄성 변형부를 가압하는 제2 탄성 변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량/유압에 따라 용존물의 용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용존물이 일정한 농도로 용존된 용존수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존물 용출장치 {SUPPLY DEVICE OF DISSOLVED MATERIAL}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성분의 물질이 용존된 고농도의 용존물을 물이 흐르는 수로에 용출시킬 수 있는 용존물 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수 수배관을 비롯하여 정수기, 및 대규모 수처리 설비 등과 같은 수처리 시스템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물에 특정 성분의 용존 물질을 첨가하는 용존물 용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용존물 용출장치는 고농도의 용존물을 수용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수처리 시스템의 수배관에 설치되는데, 그 수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에 일정량의 용존물을 용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일 예로서,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는 수도수, 자연수 등과 같은 정수 대상수로서의 원수를 필터 시스템을 통과시켜 정화하고, 그 정화된 물을 정수 탱크에 저장하고 있다가 취수 코크를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정수기의 정수라인에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존물은 미네랄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성분 물질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본체에 저장된 상태로 정수라인에 일정량 공급되며, 물에 일정한 농도로 용존된 상태로 정수라인을 통해 정수 탱크로 공급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용존물이 수배관의 유동 경로로 일정하게 용출되는데, 수배관 내부의 유량/유압이 가변적인 경우에는 물의 용존물 농도가 일정하지 않거나 장시간 정체 시 시간에 따라 용존물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등 용존물의 용존 농도를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배관을 유동하는 물의 유량/유압을 이용하여 용존물을 물의 유동 경로로 용출시킬 수 있고, 물의 유량/유압에 따라 용존물의 용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용존물 용출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는, 물이 흐르는 수로 상에 구성되며, 소정 성분이 용존된 고농도의 용존물을 상기 수로로 용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수로와 연결되며 소정 유량의 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하우징과, ⅱ)상기 용존물을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용존물을 물의 유동 경로로 용출시키는 제1 탄성 변형부와, ⅲ)물이 유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제1 탄성 변형부를 가압하는 제2 탄성 변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일정 공간으로 구획된 섹션에 각각 별개로서 상호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로와 연결되며 소정 유량의 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제1 공간부,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는 제2 공간부를 격벽으로서 구획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공간부에는 상기 수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변형부는 상기 격벽을 통하여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변형부는 상기 격벽을 통하여 상기 유로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체는 상기 수로와 연결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격벽을 통하여 상기 제2 탄성 변형부로 연결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공간부로 연결되는 제3 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1 탄성 변형부와 상기 제1 공간부를 연결하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탄성 변형부와 연결되며 상기 용존물을 상기 제1 탄성 변형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제2 탄성 변형부와 연결되며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구와,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며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3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에는 제1 개폐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배출구에는 제2 개폐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는 상기 용존물 및 물을 각각 수용하며, 이들의 압력 변화에 따라 공간 변형이 이루어지는 고무 팩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는 일체로 연결되며, 격막으로서 상기 용존물과 물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획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는, 물이 흐르는 수로 상에 구성되며, 소정 성분이 용존된 고농도의 용존물을 상기 수로로 용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수로와 연결되며 소정 유량의 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제1 공간부,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는 제2 공간부를 격벽으로서 구획 형성하는 하우징과, ⅱ)상기 용존물을 수용하며 그 용존물을 물의 유동 경로로 용출시키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상기 제2 공간부에 구획 형성하는 분리막을 포함한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수용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2 공간부의 내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정수기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수로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존물은 인산염, 미네랄, 및 비타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에 의하면, 물의 유량/유압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제2 탄성 변형부에 의해서 제1 탄성 변형부에 수용된 용존물을 물의 유동 경로로 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량/유압에 따라 용존물의 용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용존물이 물에 일정 농도로 용존된 용존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구조로서 용존물을 용출시킬 수 있고, 용존물의 용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가 적용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가 적용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100)는 수도수 수배관을 비롯하여 정수기 등과 같은 소형 수처리 시스템, 및 대규모 수처리 설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도수, 자연수 등과 같은 정수 대상수로서의 원수를 필터 시스템(3)을 통과시켜 정화하고, 취수 코크를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정수기(1)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시스템(3)은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또는 역삼투막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 시스템(3)을 통과한 물은 정수라인과 같은 수배관(5)(이하에서는 편의 상 "수로" 라고 한다)을 통해 정수 탱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100)는 수로(5)에 별개로서 장착되는 것으로, 특정 성분 예컨대, 인산염, 미네랄, 비타민 등과 같은 고농도의 용출 대상물이 용존된 용존물을 수용하며, 물이 흐르는 수로(5)에 일정량의 용존물을 지속적으로 용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100)는 수로(5)를 유동하는 물의 유량/유압을 이용하여 별도 저장된 용존물을 물의 유동 경로로 용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존물 용출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하우징(10)과, 제1 탄성 변형부(40)와, 제2 탄성 변형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수처리 시스템의 수로(5) 예를 들면, 정수기(1)의 필터 시스템(3)을 통과한 물이 흐르는 수로(5)에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소정 유량의 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며, 일정량의 용존물을 수용하고, 그 용존물을 물의 유동 경로로 용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수로(5)와 연결되는 제1 공간부(11)와, 제1 공간부(11)와 연결되는 제2 공간부(12)를 내부에 구획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1 공간부(11)와 제2 공간부(12)는 격벽(13)을 통하여 상호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부(11)는 수로(5)를 통하여 소정 유량의 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물의 유동 경로로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간부(12)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40, 70)를 구성하기 위한 장착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제1 공간부(11)에는 수로(5)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공간부(11, 1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체(20)가 구성된다.
상기 유로체(20)는 수로(5)와 연결되면서 제1 공간부(11)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바, 제1, 제2, 제3 유로(21, 22, 23)가 일체로 연결된 대략 "T"자 형의 관로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유로(21)는 수로(5)와 연결되고, 제2 유로(22)는 제1 공간부(11)에서 제1 유로(21)와 연결되며 격벽(13)을 통하여 제2 공간부(12)로 연결되고, 제3 유로(23)는 제1 공간부(11)에서 제1 유로(21)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 변형부(40)는 내부에 일정 유량의 용존물을 수용하며 하우징(10)의 제2 공간부(12)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 탄성 변형부(40)는 용존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지니며 용존물의 유량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공간 변형이 이루어지는 풍선 형태의 고무 팩으로서 구비된다.
상기한 제1 탄성 변형부(40)는 하우징(10)의 제2 공간부(12)에서 내벽면에 부착 지지되며, 격벽(13)을 통하여 제1 공간부(11)와 연결된다.
상기 제1 탄성 변형부(40)는 필요에 따라 용존물의 주입(충전)이 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내부의 용존물을 격벽(13)을 통하여 제1 공간부(11)로 용출(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탄성 변형부(40)의 내부에 용존물을 주입하기 위해, 하우징(10)에는 제1 탄성 변형부(40)와 연결되는 주입구(41)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주입구(41)에는 제1 개폐 밸브(43)가 설치되는데, 제1 개폐 밸브(43)는 예를 들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주입구(41)의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 변형부(40)의 내부에 수용된 용존물을 제1 공간부(11)로 배출시키기 위해, 격벽(13)에는 제1 탄성 변형부(40)의 내부와 제1 공간부(11)를 연결하는 제1 배출구(4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탄성 변형부(70)는 유로체(20)의 제2 유로(22)를 통해 내부로 물이 유입되며, 제2 공간부(12)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 변형부(70)는 제1 탄성 변형부(40)와 함께 제2 공간부(12)에 배치되는 바, 이들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40, 70)는 제2 공간부(12)의 전체 섹션에 각각 별개로서 상호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탄성 변형부(7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지니며 물의 유량/유압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면서 공간 변형이 이루어지고, 팽창력으로서 제1 탄성 변형부(40)를 가압할 수 있는 풍선 형태의 고무 팩으로 구비된다.
상기한 제2 탄성 변형부(70)는 제2 공간부(12)의 내벽면에 부착 지지되며, 격벽(13)을 통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유로체(20)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탄성 변형부(70)는 유로체(20)를 통하여 물이 유입될 수 있고, 내부에 수용된 물을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탄성 변형부(70)의 내부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해, 유로체(20)의 제2 유로(22)는 격벽(13)을 관통하여 제2 탄성 변형부(7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 변형부(7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에는 제2 탄성 변형부(70)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2 배출구(7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배출구(71)에는 제2 개폐 밸브(73)가 설치되는데, 제2 개폐 밸브(73)는 예를 들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2 배출구(71)의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에는 유로체(20)를 통해 제1 공간부(11)로 유입되는 물과,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1 배출구(45)를 통해 제1 탄성 변형부(40)로부터 제1 공간부(11)로 용출되는 용존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제3 배출구(19)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배출구(19)는 제1 공간부(11)를 유동하는 물에 용존물이 일정한 농도로 용존된 소정 성분의 용존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100)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유량의 용존물이 하우징(10)의 주입구(41)를 통해 제1 탄성 변형부(4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 있으며, 제1 개폐 밸브(43)에 의해 주입구(41)가 폐쇄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제2 배출구(71)는 제2 개폐 밸브(73)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 변형부(40)는 탄성을 지닌 고무 팩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용존물의 내부 압력에 의해 제2 공간부(12)에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로(5)를 따라 흐르는 소정 유량/유압의 물은 유로체(20)를 통해 제1 공간부(11) 및 제2 탄성 변형부(7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수로(5)를 따라 흐르는 물은 유로체(20)의 제1 유로(21)를 통과하며, 제2 유로(22)를 통해 제2 탄성 변형부(7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3 유로(23)를 통해 제1 공간부(11)로 유입된다.
이러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상기 제2 탄성 변형부(70)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유압에 의해 제2 공간부(12)에서 탄성 변형되며 팽창하게 되고, 그 팽창력은 제1 탄성 변형부(40)를 가압하는 가압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탄성 변형부(40)는 제2 탄성 변형부(70)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제1 탄성 변형부(40) 내에 수용된 용존물은 그 가압력에 의해 제1 배출구(45)를 통하여 제1 공간부(11)로 용출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배출구(45)를 통해 배출되는 용존물이 제1 공간부(11)로 유입되는 물과 섞이게 되고, 제1 공간부(11)에서 용존물의 소정 성분이 물에 용존된 용존수를 제3 배출구(19)를 통해 수로(5)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로(5)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량/유압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제2 탄성 변형부(70)에 의해서 제1 탄성 변형부(40)로부터 제1 공간부(11)로 용출되는 용존물의 용출량을 가변시킴으로써 용존수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로(5)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량/유압이 증가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탄성 변형부(70)의 탄성 변형량(팽창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탄성 변형부(40)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제1 탄성 변형부(40)로부터 제1 공간부(11)로 용출되는 용존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수로(5)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량/유압이 감소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탄성 변형부(70)의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탄성 변형부(40)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제1 탄성 변형부(40)로부터 제1 공간부(11)로 용출되는 용존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제1 탄성 변형부(40)에 수용된 용존물이 소모된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구(41)의 제1 개폐 밸브(43)를 개방하고, 이와 동시에 제2 배출구(71)의 제2 개폐 밸브(73)를 개방한다.
이 때, 상기 제1 탄성 변형부(40)는 용존물이 소모됨에 따라 그 용존물의 용출량 만큼 수축된 상태에 있으며, 제2 탄성 변형부(70)는 제1 탄성 변형부(40)의 수축량 만큼 팽창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주입구(41)를 통해 제1 탄성 변형부(40)의 내부로 용존물을 주입(도면의 점선 화살표 참조)하게 되면, 제1 탄성 변형부(40)는 용존물의 유량에 의해 팽창되고, 제2 탄성 변형부(70)는 제2 배출구(71)를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도면의 점선 화살표 참조)되면서 원래의 형태로 수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수로(5)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량/유압에 따라 용존물의 용출량을 가변시킴으로써 용존물이 용존된 용존수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존장치(200)는 전기 실시예의 구성를 기본으로 하면서, 제1 탄성 변형부(140)와 제2 탄성 변형부(170)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140, 170)는 하우징(110)의 제2 공간부(112)에 구성되는 바, 격막(151)을 통해 용존물과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각각 형성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140, 170)는 단일의 고무 팩으로서 이루어지며, 그 고무 팩의 내부 영역이 격막(151)을 통해 용존물 수용 공간과 물 수용 공간으로 구획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탄성 변형부(17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유압에 따라 격막(151)이 팽창 및 수축되면서 제2 탄성 변형부(170)의 공간 변형이 이루어지고, 그 격막(151)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제1 탄성 변형부(140)의 공간 변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탄성 변형부(140)의 내부에 수용된 용존물을 제1 공간부(111)로 용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출물 용출장치(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존물 용출장치(300)는 전기 실시예들의 하우징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그 하우징(210)의 제2 공간부(212)를 제1 수용부(271)와 제2 수용부(272)로 구획하는 분리막(290)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부(271)는 용존물을 수용하며 제1 공간부(211)로 용존물을 배출하고, 제2 수용부(272)는 제1 공간부(211)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막(290)은 제1 수용부(271)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바람직하게는 고무막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분리막(290)은 이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2 공간부(212)의 내벽면에 부착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수용부(272)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유압에 따라 분리막(290)이 팽창 및 수축되면서 제2 수용부(272)의 공간 변형이 이루어지고, 그 분리막(290)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제1 수용부(271)의 공간 변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수용부(271)에 수용된 용존물을 제1 공간부(211)로 용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출물 용출장치(3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하우징 11… 제1 공간부
12… 제2 공간부 13… 격벽
19… 제3 배출구 20… 유로체
21… 제1 유로 22… 제2 유로
23… 제3 유로 40… 제1 탄성 변형부
41… 주입구 43… 제1 개폐 밸브
45… 제1 배출구 70… 제2 탄성 변형부
71… 제2 배출구 73… 제2 개폐 밸브
151… 격막 271… 제1 수용부
272… 제2 수용부 290… 분리막

Claims (14)

  1. 물이 흐르는 수로 상에 구성되며, 소정 성분이 용존된 고농도의 용존물을 상기 수로로 용출시키기 위한 용존물 용출장치로서,
    상기 수로와 연결되며 소정 유량의 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하우징;
    상기 용존물을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용존물을 물의 유동 경로로 용출시키는 제1 탄성 변형부; 및
    물이 유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제1 탄성 변형부를 가압하는 제2 탄성 변형부
    를 포함하는 용존물 용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일정 공간으로 구획된 섹션에 각각 별개로서 상호 밀착되게 배치되는 용존물 용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로와 연결되며 소정 유량의 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제1 공간부,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는 제2 공간부를 격벽으로서 구획 형성하는 용존물 용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공간부에는,
    상기 수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체가 설치되는 용존물 용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변형부는 상기 격벽을 통하여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탄성 변형부는 상기 격벽을 통하여 상기 유로체와 연결되는 용존물 용출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체는,
    상기 수로와 연결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격벽을 통하여 상기 제2 탄성 변형부로 연결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공간부로 연결되는 제3 유로
    로 이루어지는 용존물 용출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1 탄성 변형부와 상기 제1 공간부를 연결하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탄성 변형부와 연결되며 상기 용존물을 상기 제1 탄성 변형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제2 탄성 변형부와 연결되며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구와,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며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3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존물 용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에는 제1 개폐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배출구에는 제2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용존물 용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는,
    상기 용존물 및 물을 각각 수용하며, 이들의 압력 변화에 따라 공간 변형이 이루어지는 고무 팩으로서 구비되는 용존물 용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변형부는 일체로 연결되며, 격막으로서 상기 용존물과 물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획 형성되는 용존물 용출장치.
  11. 물이 흐르는 수로 상에 구성되며, 소정 성분이 용존된 고농도의 용존물을 상기 수로로 용출시키기 위한 용존물 용출장치로서,
    상기 수로와 연결되며 소정 유량의 물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제1 공간부,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연결되는 제2 공간부를 격벽으로서 구획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용존물을 수용하며 그 용존물을 물의 유동 경로로 용출시키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공간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상기 제2 공간부에 구획 형성하는 분리막
    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수용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서 이루어지는 용존물 용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2 공간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용존물 용출장치.
  13. 제1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정수기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수로에 장착되는 용존물 용출장치.
  14. 제1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존물은 인산염, 미네랄, 및 비타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용존물 용출장치.
KR1020100064784A 2010-07-06 2010-07-06 용존물 용출장치 KR20120004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84A KR20120004112A (ko) 2010-07-06 2010-07-06 용존물 용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84A KR20120004112A (ko) 2010-07-06 2010-07-06 용존물 용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12A true KR20120004112A (ko) 2012-01-12

Family

ID=4561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784A KR20120004112A (ko) 2010-07-06 2010-07-06 용존물 용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1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6041B1 (en) Integrated reverse osmosis and storage system
KR200428894Y1 (ko) 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변경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RU2009137417A (ru) Узел хранения фильтрованной воды для накоп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ы очистки воды, нак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очистки воды (варианты),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варианты)
JPH04227098A (ja) ユニット式ヘッダマニホールドを有する逆浸透浄水システム
CN105903236B (zh) 一种储水腔和滤芯一体式水过滤结构
EP3241807B1 (en) Method for purifying liquid
CN114728224A (zh) 复合过滤器组件及具有该复合过滤器组件的净水器
KR101683533B1 (ko) 수소수 제조장치
US5232590A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KR20120004112A (ko) 용존물 용출장치
CN109179576B (zh) 滤芯结构、水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1130522A1 (en) Mobile fluid treatment system
CN104071909A (zh) 一种冰箱净水系统
JPH10238473A (ja) ダイアフラム型エアーポンプ及び該ポンプを有した汚水浄化槽
KR100787047B1 (ko) 살균약품혼합수 공급수단이 구비된 정수시스템
KR200433977Y1 (ko) 유로변경이 가능한 어댑터가 장착된 정수시스템
CA2504319A1 (en) Biological wastewater purification device
CN113603244A (zh) 不排废水可解决首杯水问题的纯水泡膜系统
KR20110120440A (ko) 용존물 용출장치
US20100140189A1 (en) Fluid filter
KR200475056Y1 (ko) 더블 체크밸브방식의 기능성 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한 필터 하우징
KR20170077416A (ko) 미네랄공급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0598900B1 (ko) 이온수 생성기능을 가지는 역삼투정수기
CN203469623U (zh) 流体净化装置
CN212504051U (zh) 流速可控的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