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969U - 사다리 - Google Patents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969U
KR20120003969U KR2020100012270U KR20100012270U KR20120003969U KR 20120003969 U KR20120003969 U KR 20120003969U KR 2020100012270 U KR2020100012270 U KR 2020100012270U KR 20100012270 U KR20100012270 U KR 20100012270U KR 20120003969 U KR20120003969 U KR 201200039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support
scaffold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원
Original Assignee
차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원 filed Critical 차경원
Priority to KR2020100012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969U/ko
Publication of KR20120003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9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06C1/08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 E06C1/10Sections fitted end to e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힌지식 발판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보다 편하게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넓은 작업 발판을 제공하며, 사다리를 펼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사다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의 다리를 갈고리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서 벽이나 난간에 사다리의 고정이 가능한 사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본 사다리의 제1 지지대는 1자 형으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2 지지대는 갈고리 형으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1 힌지는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연결하고, 제1 발판은 한 쌍의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대 사이에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가로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제2 발판은 상기 제1 발판 위에 형성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제2 힌지는 상기 제2 발판을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대와 연결한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인 사다리는 갈고리 형태의 다리를 난간이나 벽에 고정시켜 사용함으로써 안정성이 강화된 사다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힌지식인 넓은 발판을 구비하여 협소한 발판을 딛고 작업을 해야하는 종래의 불편을 해소하였으며, 평상시에는 본 고안을 사다리로 사용하되 비상시에는 탈출용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다리{Ladder}
본 고안은 접철식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식 발판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보다 편하게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넓은 작업 발판을 제공하며, 사다리를 펼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사다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의 다리를 갈고리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서 벽이나 난간에 사다리의 고정이 가능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다리의 상단을 벽 등에 비스듬하게 지지시켜놓기 위하여 지지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벽 등이 없는 공간에서도 사다리를 이용하기 위하여 삼각형 모양의 접철식 사다리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방법을 통한 일자형 사다리의 이용방식은 사다리의 상단을 벽에 지지한 상태로 사용해야만 하나 이는 단순히 벽에 사다리를 기울여 놓는 것에 불과하므로 사다리의 하단이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위험이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사다리의 다리를 갈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난간이나 벽에 사다리를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이 강화된 사다리를 개시하는 데 있다.
또한, 종래의 사다리 발판은 발판의 협소성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균형을 잡으며 불안하게 작업을 진행해야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힌지식으로 움직이는 넓은 발판을 구비하여 사다리의 사용시에는 발판을 내려서 사용하고 사다리의 보관시에는 발판을 올려서 보관할 수 있는 작업 편리성이 강화된 사다리를 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평상시에는 사다리로 사용하되, 비상시에는 탈출용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사다리를 개시하는 데 있다. 즉, 본 고안인 사다리의 갈고리 형 다리를 건물 베란다나 난간에 고정시켜 놓으면 상층이나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계단을 제공하므로 위난이 닥쳤을 경우에 비상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사다리의 제1 지지대는 1자 형으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2 지지대는 갈고리 형으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1 힌지는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연결하고, 제1 발판은 한 쌍의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대 사이에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가로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제2 발판은 상기 제1 발판 위에 형성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제2 힌지는 상기 제2 발판을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대와 연결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고안인 사다리는 상기 제2 발판아 0° 내지 180°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발판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고안인 사다리는 갈고리 형태의 다리를 난간이나 벽에 고정시켜 사용함으로써 안정성이 강화된 사다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힌지식인 넓은 발판을 구비하여 협소한 발판을 딛고 작업을 해야하는 종래의 불편을 해소하였으며, 발판이 힌지식으로 움직임에 따라서 사다리의 사용시에는 발판을 내려서 사용하고 사다리의 보관시에는 발판을 올려서 보관할 수 있는 작업 편리성이 강화된 사다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사다리의 갈고리 형 다리를 건물 베란다나 난간에 고정시켜 놓으면 상층이나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계단을 제공하므로 위난이 닥쳤을 경우에 이를 통하여 비상 탈출을 가능하게 하여서, 본 고안인 사다리는 평상시에는 사다리로 사용하되 비상시에는 탈출용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접철식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사다리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접철식 사다리가 펼쳐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사다리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사다리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사다리가 펼쳐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사다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사다리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접철식 사다리를 도시한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벽 등의 지지수단이 없더라도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고안된 접철식 사다리는 한 쌍의 기둥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발판이 협소한 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균형을 잡으며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접철식 사다리는 벽 등의 지지수단이 없더라도 사다리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접철식 사다리가 갖는 높이의 한계로 인하여 더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이 요구될 경우에는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철식 사다리를 펼쳐 놓은 채 일자형 사다리 형태로 작업을 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 사다리의 다리가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위험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인 사다리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크게 분별해보면, 본 고안인 사다리는 제1 지지대, 제2 지지대, 제1 발판, 제2 발판, 제1 힌지 및 제2 힌지로 구성된다.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사다리를 각 구성요소별로 세분하여 살펴보면, 제1 지지대(10)는 한 쌍의 기둥으로 구성되며 1자 형 프레임으로 형성한다.
제2 지지대(20)는 한 쌍의 기둥으로 구성되나, 상술한 제1자 형 지지대(10)와는 달리 갈고리 형 또는 7자 형 다리로 형성된다. 즉, 도 3b의 H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대(20)의 말단을 7자 형 내지 갈고리 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철식 사다리를 펼쳐서 사용할 경우 도 4b의 벽(W)이나 난간 등에 제2 지지대(20)의 H부분이 걸리도록 한다. 사다리의 다리가 벽이나 난간에 고정되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통하여 사다리를 펼쳐서 작업할 경우에도 사다리가 지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제1 힌지(30)는 상기 제1 지지대(10)와 상기 제2 지지대(20)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를 연결한다.
제1 발판(40)은 한 쌍의 상기 제1(10) 또는 제2 지지대(20) 사이에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사람이 오르고 내릴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1 발판(40)은 일반적인 사다리의 발판 형상일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제2 발판(50)을 지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면적과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발판(40)으로 인하여 제2 발판(50)이 사람의 체중을 더욱 견고히 떠받드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발판(50)은 상기 제1 발판(40) 위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능률 향상을 위하여 제1 발판(40)보다는 넓은 면적과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제2 발판(50)은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는 발판을 접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 발판(50)의 크기는 복수의 제1 발판(40)들이 형성하는 등간격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한다.
제 2힌지(60)는 상기 제2 발판(50)을 상기 제1(10) 또는 제2 지지대(20)와 연결하여, 제2 발판(50)의 각도가 조절 되도록 움직임을 유인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2 발판(50)은 0° 내지 180°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발판의 사용각도를 작업자가 원하는 편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다리의 보관을 위하여는 발판을 90°의 각도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사다리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용 예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사다리는 평상시에는 사다리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비상시에는 비상탈출 도구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제2 지지대(20)의 말단을 갈고리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서, 도 5에서 도시된 베란다 난간에 제2 지지대(2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건물의 위층이나 아래층으로 본 고안인 사다리를 통하여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제1 지지대 20 : 제2 지지대
30 : 제1 힌지 40 : 제1 발판
50 : 제2 발판 60 : 제2 힌지

Claims (2)

  1. 한 쌍의 1자 형 제1 지지대(10);
    한 쌍의 갈고리 형 제2 지지대(20);
    상기 제1 지지대(10)와 상기 제2 지지대(20)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를 연결하는 제1 힌지(30);
    한 쌍의 상기 제1(10) 또는 제2 지지대(20) 사이에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발판(40);
    상기 제1 발판(40) 위에 형성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2 발판(50); 및
    상기 제2 발판(50)을 상기 제1(10) 또는 제2 지지대(20)와 연결하는 제 2힌지(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판(50)은 0° 내지 180°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발판(40)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KR2020100012270U 2010-11-29 2010-11-29 사다리 KR201200039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270U KR20120003969U (ko) 2010-11-29 2010-11-29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270U KR20120003969U (ko) 2010-11-29 2010-11-29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969U true KR20120003969U (ko) 2012-06-07

Family

ID=4661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270U KR20120003969U (ko) 2010-11-29 2010-11-29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9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949A (ko) * 2014-07-23 2016-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계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949A (ko) * 2014-07-23 2016-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계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31839A1 (en) Collapsible elevated platforms
DK1556563T3 (en) CONSTRUCTION UNIT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GB2459181A (en) Safety work platform
KR101478964B1 (ko) 갱폼용 사다리
US20070227819A1 (en) Window cleaning ladder
JP6378550B2 (ja) 足場装置
KR100899226B1 (ko) 작업대
KR20120003969U (ko) 사다리
KR100937838B1 (ko) 절첩 가능한 계단식 사다리
KR200424319Y1 (ko)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KR20120109170A (ko) 우마형 사다리
KR101621868B1 (ko) 건축 작업용 작업대
KR20044067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립식 사다리
KR20130004550U (ko) 휴대가 용이한 안전 작업대
KR20170001678U (ko) 손잡이가 구비된 접이식 발판형 안전사다리
KR102479820B1 (ko) 난간을 가지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KR200412243Y1 (ko) 사다리
KR20210015011A (ko) 사다리
KR20130065528A (ko) 접이식 사다리
KR102180099B1 (ko) 작업용 사다리
KR20120003896U (ko) 전도방지용 사다리
RU2793699C1 (ru) Лестница-стремянка
KR200452778Y1 (ko) 작업용 발판
KR102180074B1 (ko) 접이식 사다리용 발빠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