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733U - 볼링화 - Google Patents

볼링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733U
KR20120003733U KR2020100011952U KR20100011952U KR20120003733U KR 20120003733 U KR20120003733 U KR 20120003733U KR 2020100011952 U KR2020100011952 U KR 2020100011952U KR 20100011952 U KR20100011952 U KR 20100011952U KR 20120003733 U KR20120003733 U KR 201200037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ing
sole
sole body
presen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692Y1 (ko
Inventor
박종우
Original Assignee
박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우 filed Critical 박종우
Priority to KR2020100011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692Y1/ko
Priority to JP2011002043U priority patent/JP3168693U/ja
Publication of KR201200037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6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43B13/226Profiled soles the profile being made in the foot 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8Bowling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링을 할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밑창과 볼링장 바닥 사이에 미끄럼 발생을 방지하며, 동시에 밑창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착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끼는 상태에서 자신이 원하는 볼을 던질 수 있게 하는 볼링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볼링화는 쿳션이 있는 밑창 본체(11)와, 상기 밑창 본체(11)의 전방 부분에 있는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미끄럼방지 재질로 되어 있는 전방 패드(12)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 본체(11) 및 전방 패드(12)의 전방 저면에 횡방향으로 밑창 본체(11) 까지 파고 든 역V형 홈(10a)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밑창(10)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링화{Bowling shoes}
본 고안은 볼링을 할 때에 착용하는 볼링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링을 할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밑창과 볼링장 바닥 사이에 미끄럼 발생을 방지하며, 동시에 밑창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착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끼는 상태에서 자신이 원하는 볼을 던질 수 있게 하는 볼링화에 관한 것이다.
볼링(bowling)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레인에 볼링공을 굴려 레인의 전방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세워진 10개의 볼링 핀을 넘어뜨릴 수 있도록 하는 경기로서, 매우 간단하고 흥미로우며 건강에 유익한 운동이어서 직장인 등 남녀노소 모두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볼링은 누구나 쉽게 익히고 즐길 수 있는 레포츠로서, 볼링공을 정확하게 굴려 레인에 세워진 볼링 핀을 보다 많이 쓰러뜨려야 하는 경기이기 때문에, 상기 볼링 핀을 많이 쓰러뜨리기 위해서는 직선으로 설치된 레인에 볼링공을 던지는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즉, 상기 볼링공을 레인에 던지는 동작을 보게 되면 몸의 상체를 전방으로 조금 낮춘 상태에서 두 손으로 볼링공을 잡은 상태에서 레인의 전방으로 신체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볼링공을 잡은 팔을 뒤로 젖힌 후 상기 젖혀진 팔의 탄력을 이용하여 볼링공을 레인에 던진다.
이때 마지막으로 전방에 내딛어 체중이 실리게 되는 왼발은 슬라이딩이 이루어져야 하고 뒤쪽에 위치하는 오른발은 논 슬립 기능이 이루어지면서 오른 발 전방부분이 적절히 꺾이면서 힘을 줄 수 있어야 안정된 자세로 볼을 굴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볼링게임을 할 때 슬라이딩이 방지 및 레인(lane)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별도의 볼링화를 착용해야 하는데, 볼링의 특성에 알맞은 다양한 형태의 볼링화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볼링화의 경우 볼링화의 밑창의 구조에 따라 발에 압박을 주지 않으면서 편한 상태에서 장시간 볼링경기를 할 수 있는지가 좌우되게 된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볼링화의 구조는 갑피, 안창, 중창 및 밑창으로 구분되는 것으로서, 상기 갑피는 발을 수용하여 발전체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부분이며, 상기 안창은 상기 갑피의 하측에 그 테두리부가 갑피 하단의 테두리부와 봉제되는 부분이며, 상기 중창은 상기 안창과 같은 크기로 안창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볼링화의 창을 튼튼히 하고 발바닥을 받쳐서 체중을 지지해주는 부분이며 발과 다리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충격 흡수 층인 쿳션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밑창은 중창과 같이 충격 흡수 층으로서 상기 중창을 통해서 전해지는 체중을 지면과 접촉된 면으로 분산시키고 외부의 위험물로부터 발바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중창과 같은 크기를 가지며 중창에 접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밑창은 전방 부분이 원활하게 굴곡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볼링경기 시 볼링공을 던지는 순간 발뒤축이 들려질 때, 발의 전방 부분이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꺾여지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볼링 자세가 나오지 않아 원하는 볼을 던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볼링화 밑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쿳션감이 좋음과 동시에 경기 중에 오른 발의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볼링경기 시 볼링공을 던지는 순간 오른 발의 전방부분이 원활하게 꺾이면서 발뒤축이 들려지도록 밑창의 전방 부분이 유연하게 꺾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밑창을 구성하여 착용자가 원하는 볼링자세로 원하는 코스의 볼을 던질 수 있게 하는 볼링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볼링화는 쿳션이 있는 밑창 본체와, 상기 밑창 본체의 전방 부분에 있는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미끄럼방지 재질로 되어 있는 전방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 본체 및 전방 패드의 전방 저면에 횡방향으로 밑창 본체 까지 파고 든 역(逆) V형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밑창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볼링화는 상기 밑창 본체의 후방에 미끄럼방지 재질로 된 굽이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볼링화는 밑창 본체가 쿳션재로 되어 충격을 흡수하므로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착용감이 향상되고 밑창 본체에 미끄럼방지 재질로 된 전방패드가 부착되어 있어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고, 동시에 밑창의 전방부분이 역 V형 홈에 의하여 유연하게 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발바닥에 충격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볼을 던질 수 있고 볼링 던지는 순간 뒤에 위치하는 오른발이 유연하게 꺾이면서 앞부분에 힘을 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원하는 볼링 자세로 원하는 코스의 볼을 던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볼링화는 밑창의 전방 부분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발의 굽혀짐에 따라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볼링화에 무리가 가지 않고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볼링화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링화 밑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볼링화의 부분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볼링화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볼링화는 상측의 갑피(40)의 하단 테두리부에 안창(30)의 테두리부가 서로 봉제되고, 안창(30)의 저면 후방에 중창(20)이 부착되며, 상기 안창(30)의 전방의 저면과 중창(20)의 저면에 본 고안의 밑창(10)이 부착되는 것으로서, 밑창(10)은 밑창본체(11)와, 전방 패드(pad)(12)와, 굽(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밑창 본체(11)는 쿳션(cushion)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밑창 본체(11)의 전방 부분에 있는 부착되어 있는 전방 패드(12)는 미끄럼방지 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밑창 본체(11) 및 전방 패드(12)의 전방 저면에 횡방향으로 밑창 본체(11) 까지 파고 든 역(逆)V형 홈(10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밑창 본체(11)의 후방에는 미끄럼방지 재질로 된 굽(13)이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밑창 본체(11)는 EVA 또는 파이론 스펀지의 재질과 같은 쿠션재로서 형성되고, 전방 패드(12)는 바닥과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에 잘 흡착되는 생고무재질로 되어 있으며, 굽(13)은 바닥과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하이카 고무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패드(12)와 굽(13)은 밑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창 본체(11) 및 전방 패드(12)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역V형 홈(10a)은 밑창 본체(11)까지 파고들도록 형성해야 하는 데, 역V형 홈(10a)의 형성방법은 밑창 본체(11)와 전방패드(12)를 접착시킨 후에 역V형 홈(10a)을 커팅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본체(11)에 홈을 형성하고 또한 전방 패드(12)를 여러 개의 분할편으로 형성하여 전방 패드(12)의 분할편들을 밑창 본체(11)에 접착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도 있다.
전방 패드(12)의 선단부는 볼링의 특성상 심하게 마모가 발생될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은 마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경도가 강한 내마모성 재질로 된 패드 선단부(14)를 별도로 형성하여 접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볼링화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본 고안의 볼링화는 밑창본체(11)가 쿳션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가 자신의 체중으로 인한 충격을 받지 않으며, 뿐만 아니라 전방패드(12)가 볼링장 바닥에 잘 흡착되는 재질로 되어 있어서 볼링장의 레인을 달릴 때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고 경쾌한 런닝을 할 수 있다.
또한 볼을 던지기 위한 마지막 스텝에서 뒤쪽에 위치하는 오른발의 볼링화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0)의 앞부분이 휘게 되는데, 이 때 볼링화 밑창(10)의 앞부분이 역 V형 홈(10a)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구부려진다. 그에 따라 오른발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으며, 볼을 던지는 동작이 자연스러워져 착용자가 원하는 볼을 던질 수 있으며, 특히 미끄럼을 방지하는 전방 패드(12)로 인하여 오른 발에 힘을 줄 수 있으므로 원하는 볼링 자세가 나오며 그에 따라 원하는 코스의 볼을 던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볼링화는 밑창 본체(11)가 쿳션재로 되어 충격을 흡수하므로 착용자에게 충격을 가하지 않아 착용감이 향상되고 밑창 본체(11)의 앞부분에 미끄럼방지 재질로 된 전방패드(12)가 접착되어 있어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동시에 본 고안은 밑창(10)의 전방부분이 역 V형 홈(10a)에 의하여 유연하게 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착용자가 발바닥에 충격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볼을 던질 수 있고 볼링 던지는 순간 뒤에 위치하는 오른발이 유연하게 꺾이면서 뒤꿈치를 들어 올려 힘을 줄 수 있으며 원하는 자세로 원하는 코스의 볼을 던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볼링화는 밑창(10)의 전방 부분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발의 굽혀짐에 따라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볼링화에 무리가 가지 않고 수명이 연장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밑창 10a : 역(逆) V형 홈
11 : 밑창 본체 12 : 전방 패드
13 : 굽 14 : 패드 선단부
20 : 중창 30 : 안창 40 : 갑피

Claims (2)

  1. 볼링화에 있어서,
    쿳션이 있는 밑창 본체(11)와, 상기 밑창 본체(11)의 전방 부분에 있는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미끄럼방지 재질로 되어 있는 전방 패드(12)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 본체(11) 및 전방 패드(12)의 전방 저면에 횡방향으로 밑창 본체(11) 까지 파고 든 역V형 홈(10a)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밑창(10)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본체(11)의 후방에 미끄럼방지 재질로 된 굽(13)이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화.





KR2020100011952U 2010-11-19 2010-11-19 볼링화 KR200466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52U KR200466692Y1 (ko) 2010-11-19 2010-11-19 볼링화
JP2011002043U JP3168693U (ja) 2010-11-19 2011-04-13 ボウリングシュー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52U KR200466692Y1 (ko) 2010-11-19 2010-11-19 볼링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33U true KR20120003733U (ko) 2012-05-30
KR200466692Y1 KR200466692Y1 (ko) 2013-05-06

Family

ID=4661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952U KR200466692Y1 (ko) 2010-11-19 2010-11-19 볼링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68693U (ko)
KR (1) KR2004666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453B1 (ko) * 2019-05-03 2020-11-04 성낙주 인도어 사이클댄스 및 체조용 전용 운동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702B1 (ko) * 2011-09-23 2012-07-23 박종우 볼링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522Y1 (ko) 2001-09-10 2002-01-05 박종우 볼링 슈즈
KR200341117Y1 (ko) 2003-10-30 2004-02-11 주식회사 보승인터내셔널 볼링화용 밑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453B1 (ko) * 2019-05-03 2020-11-04 성낙주 인도어 사이클댄스 및 체조용 전용 운동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68693U (ja) 2011-06-23
KR200466692Y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665B2 (en) Footwear including a stabilizing sole
KR101167702B1 (ko) 볼링화
US8677657B2 (en) Golf shoe outsole
JP6751139B2 (ja) 履物および中足衝撃部用の靴底
US20160219970A1 (en) Triathlon Insole
WO2011014146A1 (en) Shoe construction incorporating grooves for improved flexibility
KR200466692Y1 (ko) 볼링화
CN102631049A (zh) 左右不对称的鞋底
US20200260818A1 (en) Shoe outsole
JP5374765B2 (ja) 靴底
JP3211473U (ja) インソール構造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20130004307U (ko) 볼링화
CN202774463U (zh) 一种用于鞋底的健身鞋垫
KR101251586B1 (ko)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101747683B1 (ko) 암벽화용 솔
CN218164401U (zh) 一种运动鞋鞋底
CN209547119U (zh) 一种舒适耐磨鞋底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CN216534061U (zh) 一种跑鞋及其鞋底
CN102429758B (zh) 一种矫正鞋垫及使用该鞋垫的残障人矫正鞋
KR20130023868A (ko) 다기능 골프화
CN214047768U (zh) 一种具有减震和防滑助攀功能的户外的橡胶鞋底
KR200467738Y1 (ko)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CN207444381U (zh) 一种减震抗震鞋底及其运动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