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705A -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705A
KR20120003705A KR1020100064452A KR20100064452A KR20120003705A KR 20120003705 A KR20120003705 A KR 20120003705A KR 1020100064452 A KR1020100064452 A KR 1020100064452A KR 20100064452 A KR20100064452 A KR 20100064452A KR 20120003705 A KR20120003705 A KR 20120003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membrane
nanocomposite
nanocomposite membrane
polyethersulf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403B1 (ko
Inventor
셀릭 에브림
최희철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6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4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1) 탄소나노튜브, 및 2)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종래의 고분자 멤브레인보다 높은 친수성, 높은 투과유량, 낮은 파울링(fouling)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NANOCOMPOSITE MEMBRAN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성 멤브레인보다 높은 친수성, 높은 투과유량, 낮은 파울링(fouling) 거동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멤브레인은 의약, 식품, 반도체, 수처리 분야를 비롯하여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은 그 구조상 대칭성 및 비대칭성 멤브레인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대칭성 멤브레인은 용질의 입자들에 의해 파울링을 일으킴으로써, 투과유량을 감소시키고, 사용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상기 비대칭성 멤브레인은 표면에 아주 얇은 고분자막(0.1 ~ 10㎛)과 그 밑에 다공성 구조를 갖고 있는 층(100 ~ 200㎛)이 있는 멤브레인으로서, 높은 선택성을 갖는 상부층과 기계적 강도유지를 위한 다공성 지지체로 이루어져 우수한 투과 유량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근래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멤브레인이 잠재적인 차세대 멤브레인 물질로서 관심받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멤브레인은 무기물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고분자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나노 크기의 무기물을 블렌드시킨 복합체 멤브레인은 높은 선택투과도, 우수한 친수성, 우수한 파울링 저항성 등과 같은 강화된 특성에 기인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파울링 저항성, 높은 유량, 수용액 내 분자 또는화합물에 대한 여과능력 등이 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고분자 멤브레인보다 높은 친수성, 높은 투과유량, 낮은 파울링(fouling) 거동을 나타낼 수 있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1) 탄소나노튜브, 및 2)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HNO3 : H2SO4의 부피비가 1 : 1 내지 4 : 1인 용액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표면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유기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c) 상기 유기 용매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와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을 혼합하여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나노복합체를 캐스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1) 탄소나노튜브, 및 2) 폴리에테르설폰을 포함하고, 특히 상기 1) 탄소나노튜브는 HNO3 : H2SO4의 부피비가 1 : 1 내지 4 : 1인 용액에 의하여 표면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고분자 멤브레인보다 높은 친수성, 높은 투과유량, 낮은 파울링(fouling) 거동을 나타낼 수 있고,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탄소나노튜브(CNT)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2은 산 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산 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 및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FTIR(Fourier transformed infrared)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PES 멤브레인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시간에 따른 유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PES 멤브레인의 시간에 따른 유량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에 나노미터 크기의 극미세 영역에서 새로운 물리현상과 향상된 물질 특성을 나타내는 연구결과가 보고되면서 나노 과학기술(nanotechnology)이라는 새로운 과학 분야를 가져다 주었고, 앞으로 이러한 나노 과학기술이 21C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과학기술로서 전자정보통신, 의약, 소재, 제조공정, 환경 및 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미래의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나노 과학기술 분야 중에서도 특히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s)의 다양한 전기적, 화학적 그리고 기계적 특성 등은 여러 가지 산업적 응용성으로 크게 관심을 받고 있다.
CNT는 키랄성이나 헬리시티(helicity) 등 분자 구조적으로 볼 때 도체와 반도체의 특성을 모두 갖는다. 또한, 나노미터 정도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단위무게 당 표면적이 매우 넓어 복합 재료에 첨가할 때 이들의 효과가 현저히 크게 나타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CNT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들로 인하여 여러 가지 응용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높은 Young's modulus와 인장강도는 복합 재료의 보강재로, 높은 수소저장 능력에 따른 연료전지로, 경량성과 높은 충, 방전율에 따른 리튬전지의 전극으로, 나노 크기와 구조적 특성에 따른 그리고 높은 전기전도도로 인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는 FED(field emission display)의 emitter로 그리고 우수한 전기전도도와 기계적 강도에 의한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또는 AFM(atomic force microscopy)의 팁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고성능 복합재료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데는 몇 가지 어려움이 있다. 첫째, CNT가 처음 발견된 당시보다는 생산량이 증가되었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제조된 CNT의 종류가 다양하여 같은 성질, 같은 직경, 같은 길이를 갖는 CNT로 분리하기 힘들며, 마지막으로 CNT의 외벽은 화학적으로 불활성이고 상호간의 강한 표면 작용으로 인해 기지 내에 균일한 분산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일구체예는 1) 탄소나노튜브, 및 2)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직경이 수 nm 내지 수십 nm이고, 길이가 수십 ㎛ 내지 수백 ㎛로서 구조의 이방성이 크고, 단일벽(single wall), 다중벽(multi wall), 다발(rope) 형태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중벽 형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역학적으로 견고하고(강철의 100배 정도),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며 열전도도가 높고 속이 비어 있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미시 및 거시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응용이 예상되는 새로운 기능성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아크 방전법(arc discharge), 레이저 증착법(laser ablation),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열분해법(pyrolysis of hydrocarbon), 고압 일산화탄소 전환법(HiPCO, high pressure carbon monoxide process) 등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현재,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화학기상증착법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 방법에 의하는 경우 다양한 구조를 갖는 탄소나노튜브가 합성되고, 이들은 고유한 반데르 발스력(van der Waals force)에 의해 서로 다발을 이룬(bundling) 상태로 존재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축대칭 물질로 그 구조적 특징에 의해 소수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유기 용매에 대한 분산성을 증가시키고 친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산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 용액은 HNO3 : H2SO4의 부피비가 1 : 1 내지 4 : 1인 용액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HNO3 : H2SO4의 부피비가 1 : 1 내지 4 : 1인 용액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표면 처리에 의하여,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유기 용매에 대한 분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친수성을 띠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 폴리에테르설폰의 중량비는 1 : 25 내지 1 :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40 ~ 1 : 8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종래의 고분자 멤브레인보다 높은 친수성, 높은 투과유량, 낮은 파울링(fouling) 거동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수처리를 위한 멤브레인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의 일구체예는 a) HNO3 : H2SO4의 부피비가 1 : 1 내지 4 : 1인 용액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표면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유기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c) 상기 유기 용매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와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을 혼합하여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나노복합체를 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은 초음파 처리(ultrasonication)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유기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등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고, N-메틸-2-피롤리돈(NMP)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 단계의 유기 용매 대비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0.125 ~ 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0.7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유기 용매 대비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의 함량은 15 ~ 3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3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 단계의 유기 용매 대비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기공이 치밀하지 못하여 제거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공이 매우 치밀하게 되어 투과 유량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캐스팅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캐스팅 나이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d) 단계로부터 제조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사용되기 전까지 탈이온수 내에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종래의 고분자 멤브레인보다 높은 친수성, 높은 투과유량, 낮은 파울링(fouling) 거동을 나타낼 수 있고,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제조예 1> 산 처리된 CNT 의 제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CNT)를 한화 나노텍에서 구입하였다. 초기 CNT에 산처리를 수행하여 작용기를 추가하고 친수성을 증가시켰다. 100mg의 CNT를 부피비가 3 : 1인 HNO3(70%) : H2SO4(98%) 용액(HNO3: 30mL, H2SO4: 10mL) 내에서 100℃에서 3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증류수로 중성 pH가 되도록 세척한 후, 상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그 후, 100mg의 CNT를 부피비가 3 : 1인 HNO3(70%) : H2SO4(98%) 용액(HNO3: 30mL, H2SO4: 10mL) 내에서 70℃에서 9시간 동안 초음파처리하고, 증류수로 중성 pH가 되도록 세척한 후, 100℃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산 처리되지 않은 초기 CNT 및 제조예 1의 산 처리된 CNT를 TEM(JEOL TEM 2100, Tokyo, Japan) 사진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각각 하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산 처리되지 않은 초기 CNT의 길이는 1 ~ 3.5㎛ 이었고, 대부분의 CNT의 말단은 닫힌 구조였다. 한편, 산 처리된 CNT의 길이는 50 ~ 800nm로서 짧아졌고, CNT의 말단은 열린 구조였다.
상기 산 처리되지 않은 초기 CNT 및 제조예 1의 산 처리된 CNT의 BET 표면적 및 전체 기공 부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에 따르면, CNT의 산 처리는 BET 표면적이 다소 줄어드나, 기공 부피를 매우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산 처리에 따른 기공 부피의 증가는 CNT 말단의 열린 구조에 기인한 것이다.
CNT,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PES 멤브레인의 구조를 FTIR (FTIR-460 plus, JASCO, Japan)로 분석하였고, 이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산 처리된 CNT의 스펙트럼은 ~3,440, ~1,630 및 ~1,380cm-1의 세 피크를 나타낸다. 상기 ~3,440cm-1의 피크는 히드록실기(-OH)와 관련된 것이고, ~1,380cm-1의 피크는 카르복실산(-COOH) 및 페놀기(O-H)와 관련된 것이며, ~1,630cm-1의 피크는 카르보닐기(>CO)와 관련된 것이다.
< 실시예 1> CNT /고분자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
CNT/고분자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함침 침전법(immersion precipitation method)에 의해 유도된 상반전(phase inversion)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의 산 처리된 CNT를 NMP(N-Methyl-2-pyrrolidone)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2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25 중량%의 PES(of NMP)(Radel H-2000, Solvay, Korea)를 CNTs/NMP 용액(0.5 중량% CNT)에 천천히 추가하고, 60℃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제조된 멤브레인 용액을 3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글래스 플레이트 상에 캐스팅 나이프를 이용하여 캐스팅하였다. 캐스팅 직후, 고분자 필름이 캐스팅된 글래스 플레이트를 탈이온수에 담그었다. 박막의 고분자 필름을 글래스로부터 분리하였다. 형성된 멤브레인을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실험이 수행되기 전까지 탈이온수 내에 보관하였다.
< 비교예 1> PES 멤브레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지 않고 PES 단독으로 멤브레인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PES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CNT, 실시예 1의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비교예 1의 PES 멤브레인의 구조를 FTIR (FTIR-460 plus, JASCO, Japan)로 분석하였고, 이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과 PES 멤브레인의 FTIR 스펙트럼은 서로 유사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스펙트럼은 ~1400cm-1에서의 피크가 서로 상이하였고, 이는 카르복실기의 O-H 진동에 대응된다.
PES 멤브레인과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형태를 SEM(S-4700, Hitachi, Japan) 사진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각각 하기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SEM 사진은 PES 멤브레인 및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모두 하부층은 매크로포어(macropores)로 발달하고 상부는 조밀한 비대칭성 멤브레인 형태를 나타내었다. 매크로포어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이 PES 멤브레인보다 감소하였다.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PES 멤브레인의 분획 분자량(molecular weight cut-off, MWCO)을 용질배제 방법(solute rejection measurements, Mulder)에 측정하였고, 표면 친수성을 접촉각 측정기(contact angle goniometer, Model 100, Rame-Hart, USA)로 측정하였으며, 순수 유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비교예 1의 PES 멤브레인보다 친수성의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PES 멤브레인과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유사한 분획 분자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시예 1의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을 투과하는 순수 유량은 비교예 1의 PES 멤브레인보다 약 6배 더 많았다.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특성은 영산강물을 이용한 투과도 테스트로서 측정하였다. 18.56cm2의 유효 면적을 가지는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투과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에서는 22±1℃의 온도 및 345kPa의 압력을 유지하였다. 영산강물을 이용한 파울링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매 8시간의 여과 후에는 0.1N NaOH 수용액으로 20분 동안으로 세척하고 탈이온수로 5분 동안 세척하였다.
유량 감소와 세척 후 유량 회복의 실험결과를 하기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유량 감소는 세 번의 테스트에서 모두 약 10% 정도였다. 그러나, 비교예 1의 PES 멤브레인의 유량 감소는 테스트 시간에 따라서 36%에서 44%로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유량 회복은 약 95% 이었으나, 비교예 1의 PES 멤브레인의 유량 회복은 테스트 시간에 따라서 85%에서 77%로 감소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또한, 상기 표 3의 결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CNT/PES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TOC 제거율은 비교예 1의 PES 멤브레인보다 우수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1) HNO3 : H2SO4의 부피비가 1 : 1 내지 4 : 1인 용액에 의하여 표면 처리된 탄소나노튜브, 및 2)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고분자 멤브레인보다 높은 친수성, 높은 투과유량, 낮은 파울링(fouling) 거동을 나타낼 수 있고,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탄소나노튜브, 및 2)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탄소나노튜브는 HNO3 : H2SO4의 부피비가 1 : 1 내지 4 : 1인 용액에 의하여 표면 처리된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 폴리에테르설폰의 중량비는 1 : 25 내지 1 :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은 수처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a) HNO3 : H2SO4의 부피비가 1 : 1 내지 4 : 1인 용액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표면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유기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c) 상기 유기 용매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와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을 혼합하여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나노복합체를 캐스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은 초음파 처리(ultrasonication)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유기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및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유기 용매 대비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0.125 ~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유기 용매 대비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의 함량은 15 ~ 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캐스팅은 캐스팅 나이프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KR1020100064452A 2010-07-05 2010-07-05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52A KR101249403B1 (ko) 2010-07-05 2010-07-05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52A KR101249403B1 (ko) 2010-07-05 2010-07-05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05A true KR20120003705A (ko) 2012-01-11
KR101249403B1 KR101249403B1 (ko) 2013-04-03

Family

ID=4561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452A KR101249403B1 (ko) 2010-07-05 2010-07-05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468A (ko) * 2014-08-06 2016-02-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채널 폴리머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KR102251906B1 (ko) * 2019-11-28 2021-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여과막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6811A1 (en) 2007-09-10 2010-08-19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olymeric membranes incorporating nanotub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468A (ko) * 2014-08-06 2016-02-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채널 폴리머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KR102251906B1 (ko) * 2019-11-28 2021-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여과막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403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Enhanced gas permeability by fabricating mixed matrix membranes of functional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nd polymers of intrinsic microporosity (PIM)
Park et al. Enhancement of chlorine resistance in carbon nanotube based nanocomposite reverse osmosis membranes
Mansourpanah et al. Fabrication new PES-based mixed matrix nanocomposite membranes using polycaprolactone modified carbon nanotubes as the additive: property changes and morphological studies
JP5605650B2 (ja) グラフェン分散液の製造方法
US9162896B2 (en) Method for making polymer composites containing graphene sheets
Dhand et al. Fabrication of robust, ultrathin and light weight, hydrophilic, PVDF-CNT membrane composite for salt rejection
Xu et al. The feasibility of producing MWCNT paper and strong MWCNT film from VACNT array
ES2957854T3 (es) Nanotubos de carbono exfoliados, métodos para la producción de los mismos y productos obtenidos de estos
JP4887489B2 (ja) レゾルシノール系ポリマーを前駆体とした中空状炭素粒子の製造方法
US20080102020A1 (en) Methods of Oxidiz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US11643328B2 (en) Method of producing surface-treated carbon nanostructures
Amirilargani et al. Effects of poly (allylamine hydrochloride) as a new functionalization agent for preparation of poly vinyl alcohol/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embranes
TW200917947A (en) Composite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Mahdavi et al.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atalytic polymeric membranes based on PVDF/cobalt nanoparticles supported on MWCNTs
JP2010524818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水性懸濁液の製造方法と、得られた懸濁液
KR101249403B1 (ko)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6398B1 (ko) 정삼투용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5161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discrete carbon nanotubes
KR102602966B1 (ko) 극성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8108B1 (ko) 극성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및 극성 1차원 탄소체를 기반으로 하는 분리막의 제조방법
Kar et al. High-performance mixed-matrix membranes with altered interfacial and surface chemistry through benign reinforcement of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of different configurations
Laird et al. Cooperative interaction, crystallization, and properties of polymer–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Kong et al. Carbon Nanomaterials Derived from Graphene and Graphene Oxide Nanosheets
Karim et al. The fabrication of carbon-based polymer nanocomposite
Alex et al. Carbon Nanostructures Functionalization for Gas Separation Membr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