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641A -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641A
KR20120003641A KR1020100064354A KR20100064354A KR20120003641A KR 20120003641 A KR20120003641 A KR 20120003641A KR 1020100064354 A KR1020100064354 A KR 1020100064354A KR 20100064354 A KR20100064354 A KR 20100064354A KR 20120003641 A KR20120003641 A KR 2012000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hinge shaft
ped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566B1 (ko
Inventor
강용희
강신우
마재안
고두석
Original Assignee
강용희
마재안
(주) 두두에너텍
강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희, 마재안, (주) 두두에너텍, 강신우 filed Critical 강용희
Priority to KR102010006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8Independent, movable shower units operated by weight, by hand or by foot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냉·온수 공급라인에서 수전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밸브 유니트;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페달의 누름 조작력을 상기 밸브 유니트로 전달하여 상기 밸브 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프레임에 제1 힌지축을 매개로 결합되어 일측부에 상기 페달이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안내장공으로 안내되는 제2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페달의 누름 조작시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힌지축의 안내에 의해 회동되는 제1 회동부재; 상기 프레임에 제3 힌지축을 매개로 결합되어 일측부에 상기 밸브 유니트의 회동기어와 맞물리는 섹터기어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제2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회동기어를 회동시키는 제2 회동부재; 및 상기 제2, 3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페달에 의해 회동하는 상기 제1, 2 회동부재를 탄성에 의해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WATER SAVING APPARATUS USING FOOT-VALVE}
본 발명은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달에 가해지는 조작력을 밸브 유니트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목욕탕, 세면장, 급수대, 샤워장, 가정용 싱크대 등에 설치되는 급수시설은 한 번의 밸브 조작으로 물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물의 공급은 물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물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므로 사용시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의 흐름을 편리하게 단속할 수 있는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가 필요하다.
상기한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 유니트와, 이 밸브 유니트를 조작하기 위한 페달을 갖는 조작부로 구성되며, 조작부로부터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밸브 유니트를 구동시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는, 조작부와 밸브 유니트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조작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페달에 가해지는 조작부의 조작력을 밸브 유니트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없어 작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페달에 가해지는 조작력을 밸브 유니트에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작동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냉·온수 공급라인에서 수전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밸브 유니트;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페달의 누름 조작력을 상기 밸브 유니트로 전달하여 상기 밸브 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프레임에 제1 힌지축을 매개로 결합되어 일측부에 상기 페달이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안내장공으로 안내되는 제2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페달의 누름 조작시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힌지축의 안내에 의해 회동되는 제1 회동부재;
상기 프레임에 제3 힌지축을 매개로 결합되어 일측부에 상기 밸브 유니트의 회동기어와 맞물리는 섹터기어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제2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회동기어를 회동시키는 제2 회동부재; 및
상기 제2, 3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페달에 의해 회동하는 상기 제1, 2 회동부재를 탄성에 의해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2, 3 힌지축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바닥면의 양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1 ,2 수직벽이 마련되되, 상기 제1 수직벽에는 상기 제1 힌지축 일단의 수평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 수직벽은 일측부에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홈을 갖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 힌지축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회동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제2, 3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힌지축에 의해 안내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동링크; 및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2 회동부재의 회동을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을 대상물에 높낮이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제1, 2 수직벽의 외측면에 상기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수직방향으로 장공의 높낮이 조절공을 갖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 브라켓; 및
상기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상기 제1, 2 수직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온수 공급라인으로부터 수전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유니트에 페달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제1 회동부재와 제2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페달의 조작력을 밸브 유니트에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작동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에 구비된 조작부의 조작력을 밸브 유니트로 전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에 구비된 조작부의 고정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부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에 구비된 조작부의 조작력을 밸브 유니트로 전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에 구비된 조작부의 고정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냉·온수 공급라인(도면에 미도시)에서 수전(도면에 미도시)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밸브 유니트(110)와,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으로 밸브 유니트(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120)와, 프레임(1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높낮이 조절부(130)로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밸브 유니트(110) 및 조작부(1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00)은 밸브 유니트(110) 및 조작부(120)의 결합을 위해 바닥면(100A)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제1, 2 수직벽(100B, 100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2 수직벽(100B, 100C)의 일측부는 연결브라켓(100D)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브라켓(100D)은, 표면에 상·하로 일정길이를 갖는 안내홈(11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안내홈(116)은 바닥면(100A)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116)은 페달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조작부(120)에 마련되는 제1 회동부재(122)의 회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안내홈(116)은, 일측부에 제1 회동부재(122)의 회동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계단형상의 턱을 이루는 고정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유니트(110)는, 냉·온수 공급라인에서 수전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제1 수직벽(100B)에 결합되어 있다. 밸브 유니트(110)는 냉·온수 공급라인에서 수전으로 공급하기 위해 냉·온수 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유입구(110A) 및 수전과 연결되는 유출구(110B)가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 유니트(110)는, 제1 수직벽(100B)의 내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 밸브의 통로를 개폐하여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회동기어(112)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기어(112)는 조작부(120)에 마련되는 제2 회동부재(126)의 섹터기어(127)에 의해 회동되어 유입구(110A)를 거쳐 유출구(110B)로 유출되는 물을 단속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밸브 유니트(110)는 회동기어(112)의 회동에 따라 밸브의 통로를 개폐하여 유입구(110A)로 유입되어 유출구(110B)로 유출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밸브 유니트(110)는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널리 실시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작부(120)는,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으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유니트(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있다. 조작부(120)는 프레임(100)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 회동부재(122)와, 제1 회동부재(122)와 연동되도록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제2 회동부재(126)와, 제1, 2 회동부재(122, 126)의 회동을 복원하도록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복원부재(128)로 구성된다.
제1 회동부재(122)는, 프레임(100)의 제1, 2 수직벽(100B, 100C) 사이에 배치되도록 양단이 제1, 2 수직벽(100B, 100C)에 결합되는 제1 힌지축(120A)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1 힌지축(120A)은 일단이 제1 수직벽(100B)에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제2 수직벽(100C)에 고정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수직벽(100B)에는 제1 힌지축(120A) 일단의 수평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장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1 힌지축(120A)은 제2 수직벽(100C)에 고정 결합되는 다른 일단을 기준하여 제1 수직벽(100B)에 결합되는 일단이 장공(112)에 의해 안내되어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제1 회동부재(122)는, 연결브라켓(100D)의 안내홈(1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일측부에 페달(124)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부는 제1 힌지축(120A)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제1, 2 수직벽(100B, 100C)에 형성되는 안내장공(114)에 양단이 결합되어 안내되는 제2 힌지축(120B)에 결합되어 있다. 안내장공(114)은 제1 힌지축(120A)을 동심원으로 하는 일정길이의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제2 힌지축(120B)은 페달(124)의 누름 조작에 의한 제1 회동부재(122)의 상·하 회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안내장공(114)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제1 회동부재(122)는 페달(124)의 누름 조작에 따라 제1 힌지축(120A)을 중심으로 제2 힌지축(120B)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하로 회동되어 페달(124)의 조작력을 제2 회동부재(126)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페달(124)의 누름 조작에 따라 하부로 누름 회동된 상태에서 제1 힌지축(120A)의 수평 이동에 의해 고정홈(118)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2 회동부재(126)는, 프레임(100)의 제1 힌지축(120A)과 제2 힌지축(120B)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 2 수직벽(100B, 100C)에 양단이 결합되는 제3 힌지축(120C)에 결합되어 있다. 제2 회동부재(126)는 일측부에 밸브 유니트(110)의 회동기어(112)와 맞물리는 섹터기어(127)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부는 제2 힌지축(120B)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회동부재(126)는 제1 회동부재(122)의 제2 힌지축(120B)으로부터 전달되는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에 의해 제3 힌지축(120C)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섹터기어(127)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유니트(110)의 회동기어(112)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복원부재(128)는,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에 의해 회동되는 제1 회동부재(122) 및 제2 회동부재(126)를 탄성에 의해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2, 3힌지축(120B, 120C)에 결합되어 제2 회동부재(126)의 회동에 따라 제3 힌지축(120C)을 중심으로 제2 힌지축(120B)에 의해 안내되어 회동되는 회동링크(128A)와, 회동링크(128A)와 프레임(100)의 바닥면(100A)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제1, 2 회동부재(122, 126)의 회동을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128B)으로 구성된다.
회동링크(128A)는, 제2 힌지축(120B) 및 제3 힌지축(120C)에 결합되어 프레임(100)의 바닥면(100A)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링크(128A)는 제2 회동부재(126)의 회동시 제3 힌지축(120C)을 중심으로 제2 힌지축(120B)에 의해 안내되도록 회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복원스프링(128B)은, 양단이 회동링크와 일측부와 프레임(100)의 바닥면(100A)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복원스프링(128B)은 페달(124)에 누름 조작시 가해지는 힘이 소멸하는 경우에 탄성력에 의해 제1 회동부재(122) 및 제2 회동부재(126)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복원스프링(128B)은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에 의한 제1 회동부재(122) 및 제2 회동부재(126)의 회동시 제3 힌지축(120C)을 중심으로 제2 힌지축(120B)에 의해 안내되는 회동링크(128A)의 회동에 따라 신장되고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이 소멸하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어 제2 회동부재(126) 및 제1 회동부재(122)의 회동을 복원시킨다.
높낮이 조절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을 높낮이 조절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과,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을 프레임(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134)로 구성된다.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은, 제1, 2 수직벽(100B, 100C)의 외측면에 프레임(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에는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장공의 높낮이 조절공(13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높낮이 조절공(133)은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에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형성된다.
고정나사(134)는,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을 제1, 2 수직벽(100B, 100C)에 고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있다. 고정나사(134)는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에 의한 프레임(100)의 높낮이 조절 후 높낮이 조절공(133)을 통해 제1, 2 수직벽(100B, 100C)에 나사결합되어 프레임(100)과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을 상호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부(130)는 대상물, 예를 들어서 싱크대에 본 발명의 절수장치를 설치시 싱크대의 하부와 바닥면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으로 프레임(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고정나사(134)로 프레임(100)과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을 고정하는 것이다.
즉, 높낮이 조절부(130)는 싱크대의 하부와 바닥면의 높이에 따라 페달을 안정적으로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을 바닥면과 밀착시키고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이 싱크대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높낮이 조절한 후 고정나사(134)로 프레임(100)과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을 상호 고정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페달(124)에 발을 올려놓고 힘을 가하여 누름 조작한다. 제1 회동부재(122)는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에 의해 제1 힌지축(120A)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때, 제1 회동부재(122)는 제1 힌지축(120A)을 중심으로 하여 안내장공(114)을 따라 안내되는 제2 힌지축(120B)에 의해 회동된다. 즉, 제2 힌지축(120B)은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에 의한 제1 회동부재(122)의 회동시 프레임(100)의 제1, 2 수직벽(100B, 100C)에 형성되는 안내장공(114)을 따라 안내된다.
제1 회동부재(122)가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에 의해 회동되면, 제2 회동부재(126)는 안내장공(114)으로 안내되는 제2 힌지축(120B)에 의해 제3 힌지축(120C)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제2 회동부재(126)는 페달(124)의 누름 조작력으로 회동하는 제1 회동부재(122)와 연동하도록 회동되어 섹터기어(127)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유니트(110)의 회동기어(112)를 회동시킨다.
이때, 복원부재(128)의 회동링크(128A)는 제2 회동부재(126)에 의해 연동하도록 회동되고 복원스프링(128B)은 회동링크(128A)의 회동에 따라 신장된다.
밸브 유니트(110)의 회동기어(112)가 제2 회동부재(126)의 섹터기어(127)에 의해 회동되면, 냉·온수 공급라인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입구(110A) 및 유출구(110B)를 통해 수전으로 토출된다.
즉, 회동기어(112)의 회동에 따라 밸브 유니트(110)의 통로가 열리게 되어 냉·온수 공급라인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입구(110A) 및 유출구(110B)를 통해 수전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물의 사용완료 후 페달에 가해지는 힘이 소멸되면, 복원스프링(128B)이 탄성에 의해 수축되도록 복원되어 회동링크(128A)를 복원 회동시키게 되므로, 제2 회동부재(126)와 제1 회동부재(122)는 복원 회동되어 밸브 유니트(110)에 의한 물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는, 페달(124)의 누름 조작으로 제1 회동부재(122)와 제2 회동부재(126)의 회동시켜 밸브 유니트(11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페달(124)의 조작력을 밸브 유니트(110)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장치의 작동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100D)의 안내홈(116) 상에 고정홈(118)을 구비함으로써, 페달(124)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제1 회동부재(122)를 안내홈(116) 상에서 고정홈(118)에 고정하여 냉·온수 공급라인에서 공급되는 물이 수전으로 토출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힌지축(120A)은 일단이 제1 수직벽(100B)에 형성된 장공(112)에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제2 수직벽(100C)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제1 힌지축(120A)의 일단이 장공(112)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 회동부재(122)는 안내홈(116) 상에서 고정홈(118)에 걸림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동부재(122)가 고정홈(118)에 걸림되어 냉·온수 공급라인에서 공급되는 물이 수전으로 토출됨으로써 물을 사용하는 동안 페달을 지속적으로 밟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는, 높낮이 조절 브라켓(132)과 고정나사(134)를 갖는 높낮이 조절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싱크대와 바닥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안정감 있게 설치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100B: 제1 수직벽 100C: 제2 수직벽
100D: 연결브라켓
110: 밸브 유니트
112: 회동기어
120: 조작부
120A: 제1 힌지축 120B: 제2 힌지축
120C: 제3 힌지축
122: 제1 회동부재 124: 페달
126: 제2 회동부재 127: 섹터기어
128: 복원부재
130: 높낮이 조절부
132: 높낮이 조절 브라켓 134: 고정나사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냉·온수 공급라인에서 수전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밸브 유니트;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페달의 누름 조작력을 상기 밸브 유니트로 전달하여 상기 밸브 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프레임에 제1 힌지축을 매개로 결합되어 일측부에 상기 페달이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안내장공으로 안내되는 제2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페달의 누름 조작시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힌지축의 안내에 의해 회동되는 제1 회동부재;
    상기 프레임에 제3 힌지축을 매개로 결합되어 일측부에 상기 밸브 유니트의 회동기어와 맞물리는 섹터기어가 형성되고 타측부는 제2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회동기어를 회동시키는 제2 회동부재; 및
    상기 제2, 3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페달에 의해 회동하는 상기 제1, 2 회동부재를 탄성에 의해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2, 3 힌지축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바닥면의 양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1 ,2 수직벽이 마련되되, 상기 제1 수직벽에는 상기 제1 힌지축 일단의 수평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수직벽은,
    일측부에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홈을 갖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 힌지축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회동부재의 회동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제2, 3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회동부재의 회동에 따라 제3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힌지축에 의해 안내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동링크; 및
    상기 회동링크와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2 회동부재의 회동을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대상물에 높낮이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제1, 2 수직벽의 외측면에 상기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수직방향으로 장공의 높낮이 조절공을 갖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 브라켓; 및
    상기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상기 제1, 2 수직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KR1020100064354A 2010-07-05 2010-07-05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KR10111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354A KR101117566B1 (ko) 2010-07-05 2010-07-05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354A KR101117566B1 (ko) 2010-07-05 2010-07-05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41A true KR20120003641A (ko) 2012-01-11
KR101117566B1 KR101117566B1 (ko) 2012-03-13

Family

ID=4561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354A KR101117566B1 (ko) 2010-07-05 2010-07-05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815B1 (ko) * 2013-12-16 2014-11-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지 무선 시스템에서 연판정 방식의 결정 융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080U (ko) 1979-06-23 1981-01-14
KR100786382B1 (ko) * 2005-02-16 2007-12-14 김노석 풋 밸브 시스템
KR100944716B1 (ko) * 2007-12-28 2010-03-02 이문옥 족압식 밸브
KR20110044640A (ko) * 2009-10-23 2011-04-29 강신우 발로 작동되는 절수형 수도꼭지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815B1 (ko) * 2013-12-16 2014-11-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지 무선 시스템에서 연판정 방식의 결정 융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566B1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753B2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hands free water faucet control
WO1999056604A1 (en) Water control apparatus for showers
KR101117566B1 (ko)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EP3907338B1 (en) Combination emergency wash and faucet unit
EP0395121A2 (en) Bathtub drain control valve and overflow plate
US20140182691A1 (en) Hot and cold water mixer
KR20130042332A (ko) 풋 밸브 시스템
US8739827B2 (en) Single-lever mixing gear for a plumbing fixture
JP2004150212A (ja) カウンタ一体型埋込水栓
KR20100026640A (ko) 급수 밸브
JP4643853B2 (ja) 水道用コンセント
KR101279860B1 (ko) 수전금구
KR200390695Y1 (ko) 발누름장치를 이용한 절수형 수전금구
KR20120126671A (ko)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KR20060091697A (ko) 풋 밸브 시스템
KR20060111345A (ko) 발 누름장치를 이용한 절수형 수전금구
KR101496264B1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KR200334828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US20070074341A1 (en) System controlling shower water flow
JP2000110209A (ja) 水 栓
KR200410596Y1 (ko) 싱크대의 냉,온수 공급장치
JP5918524B2 (ja) 湯水混合水栓
KR200259958Y1 (ko) 냉온수배출장치
KR200257151Y1 (ko) 세면대용 냉/온수 절수장치
KR200196828Y1 (ko) 발조작형 씽크대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