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640A - 급수 밸브 - Google Patents

급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640A
KR20100026640A KR1020080085717A KR20080085717A KR20100026640A KR 20100026640 A KR20100026640 A KR 20100026640A KR 1020080085717 A KR1020080085717 A KR 1020080085717A KR 20080085717 A KR20080085717 A KR 20080085717A KR 20100026640 A KR20100026640 A KR 20100026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water supply
supply valv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955B1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타
Priority to KR102008008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9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03/00Fluid-pressure and analogous brake systems
    • Y10S303/10Valve block integrating pump, valves, solenoid, accum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주방의 싱크대 등에 설치된 수전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하고 고장이 난 경우에도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급수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급수 밸브는, 물이 유입되는 관로를 구비한 제1 몸체, 제1 몸체에 결합되며 유입된 물이 일시적으로 수용되어 배출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제1 쳄버와 제2 쳄버가 제공된 제2 몸체, 제1 쳄버에 배치되는 제어밸브, 제어밸브를 구동하는 구동원, 구동원과 연결되는 스위치, 제2 쳄버에 배치되는 수동 개폐밸브를 포함한다.
급수밸브, 수전, 샤워기, 헤드, 자동제어밸브, 수동, 개폐밸브

Description

급수 밸브{Water supply valve}
본 발명은 급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싱크대 등에 설치된 수전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하고 고장이 난 경우에도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급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는 급수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 시설은 냉수와 온수가 각각 공급되어 혼합되며 물의 배출 양을 조절하는 수전(수도의 마개를 열고 닫고 하는 장치), 그리고 이 수전에서 나오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샤워 헤드를 포함한다.
통상의 수전은 물의 양과 냉, 온수가 섞이는 것을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 레버가 설치된다. 즉, 조절 레버를 회전 또는 이동시킴으로써 냉, 온수의 공급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싱크대에서 설거지 등을 할 때 그릇 등을 손에 쥐고 있어 조절 레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시설물을 바꾸지 않으면서도 비교적 간단하게 급수 밸브를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급수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 밸브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급수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관로를 구비한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결합되며 유입된 물이 일시적으로 수용되어 배출될 수 있으며 제1 쳄버와 제2 쳄버가 제공된 제2 몸체, 상기 제1 쳄버에 배치되는 제어밸브,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제어밸브를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스위치, 상기 제2 쳄버에 배치되는 수동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급수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몸체는 수전에서 나오는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전과 관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몸체는 물을 배출하는 샤워 헤드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샤워 헤드에 관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에 제공된 상기 제1 쳄버와 제2 쳄버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분지된 관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에 따라 온, 오프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 개폐밸브는 수동 조작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유입관로를 차단하거나 오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는 발로 터치하여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풋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 개폐밸브는 상기 제2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회전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몸체의 물이 유입되는 관로를 개폐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일측면에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이 제공되는 밸브체, 상기 구동원과 연결된 기어들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밸브체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서로 겹쳐지게 배열되어 상기 밸브체 내에 배치되며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수전 및 샤워 헤드 시설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급수 밸브를 설치하므로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발로 스위치를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밸브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급수 밸브가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냉수와 온수가 공급되며 싱크대(1)에 설치된 수전(3), 수전(3)에서 나오는 냉수, 온수, 또는 냉온수가 혼합된 물이 공급되는 급수 밸브(5), 급수 밸브(5)에서 나오는 물이 공급되며 싱크대(1)에 설치되는 샤워기 헤드(7)를 도시하고 있다.
냉수 관로(p1)와 온수 관로(p2)는 수전(3)에 연결되어 냉수와 온수를 수전(3)에 공급한다. 수전(3)은 상술한 냉수 관로(p1)와 온수 관로(p2)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와 온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9)가 제공된다. 이러한 수전(3)은 이미 싱크대 등에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전(3)에서 나오는 물은 또 다른 관로(p3)를 통하여 급수 밸브(5)에 제공된 물이 유입되는 관로(37, 도 2에 도시하고 있음)에 연결된다. 그리고 급수 밸브(5)의 배출구(32, 도 2와 도 4에 도시하고 있음)에서 나오는 물은 또 다른 관로(p4)를 통하여 샤워기 헤드(7)로 공급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급수 밸브(5)는 수전에서 냉수와 온수가 섞여진 물을 샤워기 헤드(7)로 공급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급수 밸브(5)는 그 내부에 컨트롤러(C, 도 6에 도시하고 있음)가 제공된다. 이 컨 트롤러(C)에는 발 또는 손으로 터치하여 작동하는 스위치(11)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러(C)에는 싱크대에 제공된 매립형 감지 센서(12,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감지 센서(12)는 손 등의 인체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센싱된 신호를 컨트롤러(C)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외형도이고,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로, 급수 밸브(5)를 도시하고 있다. 급수 밸브(5)는 서로 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케이스(21, 23)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몸체(25), 제1 쳄버(27)와 제2 쳄버(29)를 구비한 제2 몸체(31), 제1 쳄버(27)에 배치되는 제어밸브(33), 제2 쳄버(29)에 배치되는 수동 개폐밸브(35)를 포함한다.
제1 몸체(25)는 상술한 수전(3)을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관로(37, 도 2 내지 4에 도시하고 있음)를 구비한다. 이 관로(37)는 상술한 수전(3)과 연결되는 관로(p3)에 연결된다. 제1 몸체(25)에 제공된 관로(37)는 제2 몸체(31)의 제1 쳄버(27)와 제2 쳄버(29)로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두 갈래로 분지된 분지 관로(37a, 37b)로 이루어진다. 즉, 제1 몸체(25)로 유입된 물은 분지 관로(37a)를 통하여 제1 쳄버(27)로 유입되고, 동시에 또 다른 분지 관로(37b)를 통하여 제2 쳄버(29)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몸체(25)와 제2 몸체(31)사이에는 실(seal)부재(41, 43)가 배치되고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 쳄버(27)에 배치되는 제어밸브(33)는 제2 몸체(31)에 결합되는 밸브체(45), 이 밸브체(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7), 이 회전축(47)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플레이트(49), 제1 플레이트(49)와 상대 이동되면서 겹쳐지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51)를 포함한다.
밸브체(45)는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일측면에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45a)이 제공된다. 밸브체(4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고 제2 몸체(31)에 이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제공되어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47)은 밸브체(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53)들이 결합된다. 그리고 모터 등의 구동원(55)의 회전축(47)에 또 다른 기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재(57)가 결합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53, 57)들은 서로 치합되어 구동원(55)의 구동력이 회전축(47)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47)의 선단에는 제1 플레이트(49)가 고정되어 결합된다. 제1 플레이트(49)는 회전축(47)의 회전에 따라 밸브체(45) 내부에서 회전축(47)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9)에는 일부 구간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49a)이 제공된다. 즉, 제1 플레이트(49)는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칭되는 일부 구간이 절개되어 공간(49a)을 형성한다. 이 공간(49a)을 통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51)는 제1 플레이트(49)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1)는 밸브체(45) 내에서 제1 플레이트(49)와 겹쳐져 배치되며 일부 구간이 절개되어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51a)이 제공된다. 즉, 제2 플레이 트(51)는 제1 플레이트(49)의 회전에 따라 공간(49a, 51a)이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물을 통과시켜 밸브체(45) 측면에 제공된 배출공(45a)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51)는 제1 플레이트(49)의 회전에 따라 공간(49a, 51a)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물이 밸브체(45) 내부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제2 쳄버(29)에 배치되는 수동 개폐밸브(35)는 제2 몸체(3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61), 고정부재(61)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회전부재(63), 회전부재(63)에 결합되어 회전부재(63)를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65), 회전부재(63)에 결합되어 회전부재(63)의 이동에 따라 제1 몸체(25)의 분지 관로(37b)를 개폐하는 밀착부재(67)를 포함한다.
고정부재(6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어 제2 몸체(31)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재(61)는 제2 쳄버(29)의 내부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부재(63)는 고정부재(61)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몸체(25)의 분지 관로(37b)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부재(63)에는 선단부에 상술한 분지 관로(37b)를 폐쇄하거나 오픈 할 수 있는 밀착부재(67)가 배치된다. 이 밀착부재(67)는 그 선단부에 고무 패킹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재(63)는 일단에 노브(65)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노브를 쥐고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자동밸브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수동으로 원활하게 조작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31)에는 제1 쳄버(27)와 제2 쳄버(29)에 있는 물을 샤워기 헤드(7, 도 1에 도시하고 있음)에 전달하는 배출구(32)가 제공된다. 이 배출구(32) 는 관로(p4)로 연결되어 샤워기 헤드(7)로 물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조절레버(9)를 조절하여 냉수와 온수의 양을 조절한다. 물론 조절레버(9)가 온, 오프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온 위치로 이동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수동 개폐밸브(35)는 분지 관로(37b)를 폐쇄시켜놓은 상태로 가정하고 동시에 제어 밸브(33)는 물이 통과하지 않는 오프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스위치(11)를 발로 터치하거나 또는 감지 센서(12) 근처에 손 등의 신체의 일부 또는 물체를 근접시킨다. 그러면 스위치(11) 또는 감지 센서(12)에서 감지된 신호가 컨트롤러(C)에 전송된다.
컨트롤러(C)는 그 신호에 따라 제어 밸브(33)의 구동원(55)을 작동시킨다. 이러한 감지 센서(12)가 적용되는 구조는 사용자가 집적 스위치를 터치하지 않고도 물을 사용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한 이점이 있다.
구동원(55)이 작동함에 따라 구동축에 결합된 기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재(57)가 회전하고 동력전달부재(57)의 회전에 따라 이체 치합되어 있는 또 다른 동력전달부재(53)가 회전한다. 이 동력전달부재(53)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47)이 회전하여 제1 플레이트(49)와 제2 플레이트(51)의 공간(49a, 51a)이 일치하게 되면 수전(3)을 통하여 관로(p3)로 공급되는 물이 분지 관로(37a)를 통하여 밸브체(45)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밸브체(45) 내부로 유입된 물은 밸브체(45)의 측면에 제공된 배출공(45a)을 통하여 제1 쳄버(27)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1 쳄버(27)로 유입된 물은 배출구(32)를 통하여 관로(p4)로 배출되어 샤워기 헤드(7)로 전달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는 것을 멈추기 위하여 다시 스위치(11)를 터치하면 그 신호가 구동원(55)으로 전달된다. 구동원(55)의 구동력은 제1 플레이트(49)를 회전시켜 제2 플레이트(51)와 공간(49a, 51a)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밸브체(45)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한다.
만일 제어 밸브(33)가 고장 등으로 인하여 비작동(오프된 상태로 가정함)을 하게 되면, 사용자는 우선 노브(65)를 돌려 회전부재(63)를 회전시킨다. 이때 분지관로(37b)에서 밀착부재(67)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노브(65)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부재(63)가 회전하면서 고정부재(61)를 따라 이동하고 밀착부재(67)도 물의 압력에 의하여 회전부재(63)의 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밀착부재(67)가 분지 관로(37b)에서 이탈되면서 물은 제2 쳄버(29)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물은 제2 몸체(31)에 제공된 배출구(32)를 통하여 샤워기 헤드(7)로 공급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전(3)에 제공된 조절레버(9)를 사용하여 물의 온, 오프 및 물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의 수전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풋 스위치로 작동시키는 급수 밸브를 설치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어밸브(33)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급수 밸브의 외형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어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전기적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Claims (10)

  1. 물이 유입되는 관로를 구비한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결합되며 유입된 물이 일시적으로 수용되어 배출될 수 있으며 제1 쳄버와 제2 쳄버가 제공된 제2 몸체;
    상기 제1 쳄버에 배치되는 제어밸브;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제어밸브를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스위치;
    상기 제2 쳄버에 배치되는 수동 개폐밸브;
    를 포함하는 급수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수전에서 나오는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전과 관로로 연결되는 급수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물을 배출하는 샤워 헤드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샤워 헤드에 관로로 연결되는 급수 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에 제공된 상기 제1 쳄버와 제2 쳄버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분지된 관로를 구비한 급수 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에 따라 온, 오프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급수 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동 개폐밸브는
    수동 조작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유입관로를 차단하거나 오픈하는 급수 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발로 터치하여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풋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인체 또는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감지 센서가 연결되는 급수 밸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동 개폐밸브는
    상기 제2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회전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몸체의 물이 유입되는 관로를 개폐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급수 밸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일측면에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이 제공되는 밸브체,
    상기 구동원과 연결된 기어들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밸브체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서로 겹쳐지게 배열되어 상기 밸브체 내에 배치되며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 제2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급수 밸브.
KR1020080085717A 2008-09-01 2008-09-01 급수 밸브 KR10099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17A KR100995955B1 (ko) 2008-09-01 2008-09-01 급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17A KR100995955B1 (ko) 2008-09-01 2008-09-01 급수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640A true KR20100026640A (ko) 2010-03-10
KR100995955B1 KR100995955B1 (ko) 2010-11-22

Family

ID=4217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717A KR100995955B1 (ko) 2008-09-01 2008-09-01 급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9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25B1 (ko) * 2018-05-24 2019-11-08 박현규 기능개선형 물 배출경로 조정장치
KR20200002175A (ko) * 2018-06-29 2020-01-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스처와 조도 센서를 활용한 자동화 수도시스템
CN111636519A (zh) * 2020-06-10 2020-09-08 盐城支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方便进行调节的阀门
KR20200106640A (ko) * 2019-03-05 2020-09-15 배명진 수동 또는 자동 구동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4520A (en) 1988-09-14 1991-12-24 Lee Chang H Automatic mixing fauc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25B1 (ko) * 2018-05-24 2019-11-08 박현규 기능개선형 물 배출경로 조정장치
KR20200002175A (ko) * 2018-06-29 2020-01-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스처와 조도 센서를 활용한 자동화 수도시스템
KR20200106640A (ko) * 2019-03-05 2020-09-15 배명진 수동 또는 자동 구동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CN111636519A (zh) * 2020-06-10 2020-09-08 盐城支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方便进行调节的阀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955B1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3535B2 (en) Tankless western-style flush toilet including control portion
US20040193326A1 (en) Motor driven flow control and method therefor
MX2007010337A (es) Grifo automatico de proximidad.
US20080006707A1 (en) Showerhead with simplified actuator
KR100995955B1 (ko) 급수 밸브
US20100287695A1 (en) Valve apparatus and system
JP2007524796A (ja) 節水バルブシステム
EP2995728B1 (en) Touch free automatic type 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EP3414479B1 (en) Single actuator multiple position appliance diverter valve
KR20120008000U (ko) 작동이 용이한 관붙이 앵글밸브
US20030001025A1 (en) Showerhead leak detector and shutoff
CN111133238B (zh) 电子可控阀和混合阀
US20220307244A1 (en) Hybrid Faucet Assembly
WO2019213639A1 (en) Electronic plumbing fixture fitting including flow switch
KR100964331B1 (ko)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
KR20130042332A (ko) 풋 밸브 시스템
KR100442339B1 (ko) 자동 밸브를 이용한 냉, 온수 배출 어셈블리
KR200391526Y1 (ko) 수도밸브
JP2003135301A (ja) 水栓装置
JPH01176864A (ja) 湯水混合弁
KR100330076B1 (ko) 절수용 자동밸브
KR200410596Y1 (ko) 싱크대의 냉,온수 공급장치
WO2004051128A1 (en) Motor driven flow control and method therefor
JPH0630920Y2 (ja) 自動水栓装置
KR100660518B1 (ko) 절수기용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