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597U - 관광 해설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광 해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597U
KR20120003597U KR2020100011660U KR20100011660U KR20120003597U KR 20120003597 U KR20120003597 U KR 20120003597U KR 2020100011660 U KR2020100011660 U KR 2020100011660U KR 20100011660 U KR20100011660 U KR 20100011660U KR 20120003597 U KR20120003597 U KR 201200035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ourism
setting
user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정 filed Critical 김현정
Priority to KR2020100011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597U/ko
Publication of KR20120003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광 해설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광 해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건정보에 따라 관광 해설정보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정보 및 조건정보를 분석하는 자원검색분석부와, 상기 자원검색분색부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코드정보 및 조건정보에 매칭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정보추출부와, 상기 정보추출부에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건정보에 매칭되는 관광자원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해설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관광해설 서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관광자원에 대한 전문가의 생생한 해설정보, 사용자의 체험정보 등의 관광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건에 적합한 관광자원에 대한 경로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광 해설 시스템{Tour Guide Service System}
본 고안은 관광 해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광자원에 대한 관광자원 해설자의 해설정보를 제공하는 관광 해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가시간의 증가 등에 기인하여 관광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고, 체험활동 및 현장실습형 교육 등의 교육적 욕구와 사회적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서 관광정보에 대한 안내도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관광자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는 물론, 관광자원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정보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져가고 있다.
종래에 관광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는 인터넷 안내 시스템을 통해 사전에 정보를 획득하고, 이후 관광자원에 대한 체험 활동이 수행되기 때문에 관광정보 획득과 실질 관광 사이에 시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공간적 불일치로 인해 관광에 몰입하는 것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전자태그 및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관광해설시스템(제10-0605309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제10-2003-0070568호)이 공개되어 있으나, 래 기술과 같이, 실시간으로 관광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관광자원 정보를 일일이 다운받아야 하는 번거러움과 저장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며, 전문가가 음성으로 전달하는 생생한 해설을 듣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종래의 기술은 관광정보 제공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수동적으로 이용할 수 밖에 없고, 사용자의 시간, 공간적 조건이나 기호에 따라서 맞춤형 관광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통신망 기반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관광지나 관광대상물 등의 관광자원에 대한 관광정보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저장, 전송, 출력할 수 있는 관광 해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관광자원에 대한 출력정보를 생성하고, 의견, 평가 등의 체험정보를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관광 해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검색 조건을 분석하여 맞춤형 관광정보 안내 정보 및 관광자원 관람순서 등의 관광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관광 해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관광자원 및 인접 관광자원을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서 제공하고, 각 영역정보에 관련되는 관광정보를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관광자원에 대한 정보를 연계하여 직접 제공할 수 있는 관광 해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해설 시스템은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건정보에 따라 관광 해설정보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정보 및 조건정보를 분석하는 자원검색분석부와, 상기 자원검색분색부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코드정보 및 조건정보에 매칭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정보추출부와, 상기 정보추출부에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건정보에 매칭되는 관광자원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해설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관광해설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해설정보생성부는 상기 관광자원 중 적어도 하나의 관광자원이 포함된 영역정보를 지도정보 내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영역정보는 상기 관광자원과, 상기 관광자원에 인접한 관광자원들이 지도정보 상에 하나의 상위 영역으로 표시되고, 상기 상위 영역의 선택시 상기 상위 영역과 연관된 하위 관광자원들이 하위 영역으로 표시되는 영역정보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설정보는 음성 해설정보, 영상 해설정보, 및 문자 해설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해설정보 및 영상 해설정보는 현장에서 전문가가 해설하는 정보를 녹음, 영상화한 것으로서, 전문가별 및 언어별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광 해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의 해설정보, 체험정보, 경로정보, 및 영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험정보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의견, 소감, 감상, 사용자의 질문, 및 전문가의 답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해설정보는 관광자원별 검색정보, 관리주체별 검색정보, 전문가별 해설정보 검색수, 형태별(음성, 영상, 문자) 해설정보 검색수, 언어별 해설정보 검색수, 사용자 의견 반영수, 및 업데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통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은 관광자원에 대한 바코드 및 QR코드를 인식하고, 지역정보, 시간정보, 테마정보, 기호정보, 및 대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정보를 인식하는 자원인식부와,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GPS수신기와, 상기 해설정보 및 경로정보에 대한 사용자 변경정보 및 추가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체험정보에 대한 소셜네트워킹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도록 소셜네트워킹 서비스(SNS) 접속을 관리하는 체험정보생성부와, 상기 해설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체험정보가 편집가능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관광자원에 대한 전문가의 생생한 해설정보, 사용자의 체험정보 등의 관광정보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건에 적합한 관광자원에 대한 경로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도검색에서 각 영역검색 단위로 일괄 검색가능하고, 각 영역검색 내에 포함된 관광정보를 관련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출력정보나 체험정보를 바로 생성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한층 높아진 관광 해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해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관광 해설 시스템의 관광 해설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가능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알려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해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관광 해설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관광 해설 시스템은 관광 해설을 제공받는 휴대 단말(100) 및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100)에 관광 해설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광 해설 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100)는 CDMA, OFDMA, WI-FI, Bluetooth, 3G, 4G 등의 무선데이타통신이 가능하고, 휴대가능한 단말을 모두 포함하며, PDA, 모바일폰, 스마트폰 등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일반적인 모든 휴대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은 카메라(110), 자원인식부(112), GPS수신기(114), 체험정보생성부(116), 템플릿생성부(118), 단말전송부(120), 단말수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100)은 통화, 메시지 전송, 음원 실행, 영상 실행, 데이터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에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설명에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아니한다.
상기 카메라(110)는 관광자원에 부여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의 고유코드를 촬영하고, 촬영한 코드정보를 상기 자원인식부(112)에 제공한다.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은 각 관광자원이나 주변에 부착되는 형태로 부여될 수 있고, 관광자원을 안내하는 안내책자나 안내표지판 등에 인쇄되는 형태로 부여될 수 있다. 상기 관광자원은 관광지 및 관광대상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자원인식부(112)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단말전송부(120)에 제공한다. 상기 자원인식부(112)는 상기 단말전송부(120)에서 상기 관광 해설 서버(200)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인식정보를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원인식부(112)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입력된 검색조건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단말전송부(140)에 제공한다. 상기 검색조건은 지역, 시간, 테마, 기호, 및 대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원인식부(112)는 관광정보가 포함된 각 지역에 대하여 검색가능하도록 서울, 경기도, 강원도, 경주 등의 지역조건을 인식하고, 입력시간 내에서 관광가능한 관광정보가 검색가능하도록 시, 일, 월 등에 대한 정보, 즉 5시간, 60시간, 5일, 1개월 등의 시간조건을 인식하며, 카테고리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분야 즉, 미술, 음악, 박물관, 도자기, 전통, 음식 등의 테마조건을 인식한다. 또한, 기분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우울, 기쁨, 슬픔, 화창 등의 기호조건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관광자원의 명칭이나 고유번호 등의 대상조건을 인식한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관광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조건정보가 입력가능한 디스플레이 화면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조건, 시간조건, 테마조건, 기호조건, 대상조건에 따라 최적의 관광자원 안내가 가능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 GPS수신기(114)는 GPS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신호를 송수신하고, 관광자원의 길안내 및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체험정보생성부(116)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제공된 관광자원에 대한 사용자의 사진, 의견, 감상, 소감 등의 체험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체험정보는 사용자가 기 검색한 관광자원 정보, 길안내, 경로, 관광일, 관광시간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험정보생성부(116)는 소셜네트워킹 서비스(SNS)를 위하여 체험정보에 대한 소셜네트워킹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도록 소셜네트워킹 서비스(SNS) 접속을 관리한다. 상기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는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야머(yammer)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관광자원에서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문해설가나 일반대중에 질문할 수 있고, 답변을 받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템플릿생성부(118)는 제공되는 관광자원의 정보는 물론,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의견, 감상, 소감 등의 체험정보가 편집가능한 템플릿 화면을 제공하고, 해당 정보에 대한 출력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템플릿은 보고서, 리포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고안은 현지에서 직접 편집된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템플릿 형태로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는 특징이 있다..
상기 단말전송부(120)는 상기 자원인식부(112), GPS수신기(114), 체험정보생성부(116), 템플릿생성부(118)의 정보를 상기 관광 해설 서버(200)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수신부(130)는 상기 관광 해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필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관광 해설 서버(200)는 서버수신부(210), 자원검색분석부(220), 정보추출부(230), 데이터베이스부(240), 해설정보생성부(250), 서버전송부(260), 업데이트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수신부(210)는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관광 해설 서버에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자원검색분석부(220)는 수신된 바코드, QR 코드 등의 인식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관광정보 추출을 위하여 정보추출부(230)에 제공한다. 상기 인식정보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호화 과정을 수행하고, 정보가 변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역변환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자원검색분석부(220)는 수신된 지역, 시간, 테마, 기호, 대상 등의 검색조건을 분석하고, 위치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검색조건 및 위치정보에 따른 해당 해설정보, 경로정보, 영역정보 등을 추출하기 위하여 정보추출부(230)에 제공한다.
상기 정보추출부(230)는 상기 코드정보, 또는 대상정보를 기초로 해당 관광자원에 대한 해설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역, 시간, 테마, 기호,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는 관광정보에 대한 해설정보, 연관된 관광자원에 대한 해설정보, 지도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정보추출부(230)는 지역조건, 시간조건, 테마조건, 기호조건, 대상조건, 위치정보로부터 분석된 각 정보에 기초하여 지도정보을 추출하고, 해당 지도정보 내에 포함된 관광자원에 대한 해설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해설정보는 해당 관광자원에 대한 문자 해설정보는 물론, 전문가별 음성 및 영상 해설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성 및 영상 해설정보는 한글, 영어, 일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별 음성 및 영상 해설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40)는 해설정보저장부(242), 지도정보저장부(244), 체험정보저장부(249)를 포함한다.
상기 해설정보저장부(242)는 관광자원의 안내정보, 해설정보 등이 저장된다. 상기 해설정보는 해당 관광자원에 대한 문자 해설정보는 물론, 음성 및 영상 해설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성 및 영상 해설정보는 현장에서 전문가가 해설하는 정보를 녹음, 영상화한 것으로서, 전문가별, 언어별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해설정보는 관광자원별 검색정보(검색수, 재검색수 등), 관리주체별 검색정보(정부, 지자체, 및 민간사업자가 관리하는 관광자원의 검색수, 재검색수 등), 전문가별 해설정보 검색수, 형태별(음성, 영상, 문자) 해설정보 검색수, 언어별 해설정보 검색수, 사용자 의견 반영수, 업데이트 정보 등의 통계에 대한 자료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정보저장부(244)는 관광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지도정보는 관광자원과, 상기 관광자원에 인접한 관광자원들이 지도 상에 하나의 상위 영역으로 표시되고, 상기 상위 영역 내 포함되는 관광자원들이 지도 상에 상기 상위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표시되도록 저장된다.
상기 체험정보저장부(246)는 제공되는 해설정보, 경로정보, 영역정보를 사용자가 변경, 추가하는 경우 그에 대한 정보가 체험정보로서 저장된다. 상기 체험정보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의견, 소감, 감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전문가의 답변, 사용자의 질문 및 답변 등의 개인적인 정보들을 포함한다.
상기 해설정보생성부(250)는 상기 정보추출부에서 추출된 해설정보가 포함된 관광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관광정보는 조건에 따라 해당 관광자원에 대한 해설정보가 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고, 최상위부터 최하위까지 연관된 관광자원의 명칭이 계층적으로 표시되고, 관광자원 명칭의 선택시 해당 관광자원에 대한 해설정보가 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해설정보는 음성 해설정보, 영상 해설정보, 문자 해설정보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음성 해설정보 및 영상 해설정보는 현장에서 전문가가 해설하는 정보를 녹음, 영상화한 것으로서, 전문가별, 언어별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순히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문자해설을 제공하는 기술과는 달리, 사용자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 의하여 현장에서 전문가의 해설을 들을 수 없는 경우에도 실제 전문가가 전달하는 생생한 음성이나 영상으로 구현된 해설정보를 실시간으로 청취할 수 있어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해설정보생성부(250)는 상기 정보추출부에서 추출된 관광자원이 포함된 지도정보 및 검색조건에 따라 지도정보 내에서 최적 관광경로 또는 관광순서를 안내하는 경로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정보생성부(250)는 검색조건에 따라 추출된 관광자원과, 상기 추출된 관광자원에 인접한 관광자원들이 지도정보 상에 하나의 상위 영역으로 표시되고, 상기 상위 영역의 선택시 상기 상위 영역과 연관된 하위 관광자원들이 하위 영역으로 표시되는 영역정보들을 생성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지역정보로 경주가 선택되는 경우 도 2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광자원이 포함된 각 최상위 영역이 지도 상에 표시된 모습들이 보여지고, 각 영역 중에서 국립경주박물관이 포함된 영역을 제1 선택하면 해당 영역의 해설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국립경주박물관을 직접 선택하거나 국립경주박물관을 대상정보로 선택하고, 시간정보를 1시간으로 선택한 경우,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국립경주박물관의 지도정보가 표시되고, 1시간 내에 관광할 최적의 경로가 제공된 모습이 보여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로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지역정보로 경주가 선택되는 경우 지도 내에 경주와 연관되는 경주국립공원영역, 불국사영역, 경주국립공원소금강지구영역, 무열왕릉영역 등의 최상위 영역정보가 활성화되어 생성된 모습이 보여진다. 상기 영역정보 중 불국사, 석굴암이 포함된 불국사영역을 제1 선택하는 경우 해당 영역의 해설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최상위 영역정보 중 불국사, 석굴암이 포함된 불국사영역이 제2 선택되는 경우 불국사영역에 포함된 하위 영역인 불국사, 석굴암 등의 영역정보가 활성화되어 생성된 모습이 보여진다.
또한, 상기 불국사영역이 제2 선택되는 경우 하위 영역정보 내에 다시 하위 영역정보가 추출된 경우에는 다음 하위 영역정보들이 활성화되어 지도정보 상에 표시되도록 생성되며, 상기 다음 하위 영역정보들이 제1 선택되는 경우 다음 하위 영역정보에 대한 해설정보가 화면 내에 제공되도록 순차적으로 영역정보가 생성된다. 그러나, 다음 하위 영역정보가 없어서 추출되지 아니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불국사 내에 위치하는 석가탑, 다보탑 등의 관광자원이 포함된 영역정보가 지도정보 상에 표시되도록 생성된다.
따라서, 지도정보 내에 하나의 좌표로서 특정 목적물이 표시되고, 좌표에 포함된 링크정보에 따라 해당 목적물의 정보를 열람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은 특정 관광자원 및 특정 관광자원의 주변 관광자원을 하나의 목적물로 묶어 하나 영역으로 표시하여 하나의 영역에 포함된 여러 관광자원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고, 각 영역에 포함된 관광자원에 대한 관광정보를 해당 영역에 연관되도록 하위층으로 생성하여 바로 원하는 관광자원에 대한 관광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영역정보에서 불국사를 선택하거나 대상정보를 불국사를 선택하고, 시간정보를 1시간으로 선택한 경우 불국사의 지도정보가 표시되고, 1시간 내에 관광할 최적의 경로가 제공된 모습이 보여진다.
상기 서버전송부(260)는 상기 정보생성부(250)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상기 휴대 단말(100)에 전송하고, 본 고안에 따른 관광 해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전송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100)이 상기 관광 해설 서버에서 제공하는 해설정보 등이 끊김없이 실행될 수 있도록 일정 용량 단위로 상기 관광정보를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100)이 제공받을 수 있는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해당 용량을 기준으로 전송 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100)이 제공받을 수 있는 용량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송 용량을 결정한다.
상기 업데이트부(270)는 해설정보, 체험정보, 경로정보, 영역정보 등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업데이트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사진, 의견, 소감 등의 체험정보일 수 있고, 해설이나 해설자 추가 및 변경, 질의 및 답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수, 재검색수 등 통계 관련 정보일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관광 해설 시스템의 관광 해설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관광 해설 안내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통해 관광 해설 서버(200)에 접속하고(S300), 휴대 단말(100)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코드, QR 코드 등의 관광자원 정보를 입력하면(S302) 휴대 단말(100)은 입력된 코드정보를 인식한다(S304).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에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S306) 휴대 단말(100)은 입력된 조건정보를 인식한다(S308). 코드 입력, 조건 입력은 동일한 관광자원을 대상으로 함께 입력하거나 별도로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S310) 휴대 단말(100)은 위치정보를 인식하여(S314) 상기 코드정보 및 조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함께 관광 해설 서버(200)에 전송하며(S312), 위치정보가 필요없는 경우에는(S310) 상기 인식된 코드정보, 조건정보를 관광 해설 서버(200)에 전송한다. 사용자가 관광자원에 대한 체험정보를 요청, 변경, 추가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관광 안내 서버(200)에 전송한다(S312).
관광 해설 서버(200)는 상기 코드정보, 조건정보,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분석하고(S316), 분석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정보를 추출한다(S318). 상기 추출된 정보는 해설정보, 지도정보, 및 체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체험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해당 체험정보를 추출하고, 체험정보의 변경, 추가가 요청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체험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관광 해설 서버(200)는 사용자 요청에 대한 검색수, 재검색수, 해설정보 조회수 등의 통계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어서, 관광 해설 서버(200)는 상기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설정보, 경로정보, 및 영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생성하고, 휴대 단말(100)에 제공한다(S320).
한편,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인은 상술한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휴대 단말 110 : 카메라
112 : 자원인식부 114 : GPS수신기
116 : 체험정보생성부 118 : 템플릿생성부
120 : 단말전송부 130 : 단말수신부
140 : 디스플레이부 200 : 관광 해설 서버
210 : 서버수신부 220 : 자원검색분석부
230 : 정보추출부 240 : 데이터베이스부
250 : 해설정보생성부 260 : 서버전송부
270 : 업데이트부

Claims (6)

  1.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건정보에 따라 관광 해설정보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코드정보 및 조건정보를 분석하는 자원검색분석부;
    상기 자원검색분색부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코드정보 및 조건정보에 매칭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및
    상기 정보추출부에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건정보에 매칭되는 관광자원에 대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해설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관광해설 서버를 포함하는 관광 해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설정보생성부는,
    상기 관광자원 중 적어도 하나의 관광자원이 포함된 영역정보를 지도정보 내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 해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보는 상기 관광자원과, 상기 관광자원에 인접한 관광자원들이 지도정보 상에 하나의 상위 영역으로 표시되고, 상기 상위 영역의 선택시 상기 상위 영역과 연관된 하위 관광자원들이 하위 영역으로 표시되는 영역정보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 해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설정보는,
    음성 해설정보, 영상 해설정보, 및 문자 해설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해설정보 및 영상 해설정보는 현장에서 전문가가 해설하는 정보를 녹음, 영상화한 것으로서, 전문가별 및 언어별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 해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광 해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의 해설정보, 체험정보, 경로정보, 및 영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험정보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의견, 소감, 감상, 사용자의 질문, 및 전문가의 답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해설정보는 관광자원별 검색정보, 관리주체별 검색정보, 전문가별 해설정보 검색수, 형태별(음성, 영상, 문자) 해설정보 검색수, 언어별 해설정보 검색수, 사용자 의견 반영수, 및 업데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통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 해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관광자원에 대한 바코드 및 QR코드를 인식하고, 지역정보, 시간정보, 테마정보, 기호정보, 및 대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정보를 인식하는 자원인식부;
    상기 휴대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GPS수신기;
    상기 해설정보 및 경로정보에 대한 사용자 변경정보 및 추가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체험정보에 대한 소셜네트워킹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도록 소셜네트워킹 서비스(SNS) 접속을 관리하는 체험정보생성부; 및
    상기 해설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체험정보가 편집가능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 해설 시스템.
KR2020100011660U 2010-11-12 2010-11-12 관광 해설 시스템 KR201200035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60U KR20120003597U (ko) 2010-11-12 2010-11-12 관광 해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60U KR20120003597U (ko) 2010-11-12 2010-11-12 관광 해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97U true KR20120003597U (ko) 2012-05-24

Family

ID=4661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60U KR20120003597U (ko) 2010-11-12 2010-11-12 관광 해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59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08B1 (ko) * 2013-03-22 2015-06-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팜플렛의 추가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60709B1 (ko) * 2020-10-07 2021-06-07 주식회사 하스스튜디오 건축물 영상제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08B1 (ko) * 2013-03-22 2015-06-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팜플렛의 추가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60709B1 (ko) * 2020-10-07 2021-06-07 주식회사 하스스튜디오 건축물 영상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4252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0033319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ecuring, Sharing, Retrieving, and Searching Data
KR101029193B1 (ko) 관광정보 안내 시스템
CN103699530A (zh) 根据语音输入信息在目标应用中输入文本的方法与设备
US20100293255A1 (en) Open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open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centr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104143005A (zh) 一种相关搜索系统及方法
KR20190093811A (ko) 여행자 생성 콘텐츠를 추천 여행정보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20089584A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personalized search
JP2012059083A (ja) システム
KR20120003597U (ko) 관광 해설 시스템
KR101734970B1 (ko) 사용자 검색의도에 부합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3961699B (zh) 一种基于大数据的旅游资源调查方法和系统
JP2001243251A (ja) 電話番号リストデータ自動作成システム
KR101580034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색채추출 및 저장방법
KR101509209B1 (ko)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51532A (ko) 여행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101700301B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395323A (zh) 一种基于用户体验数据的交互方法
KR101631932B1 (ko) 사용자 기반 지리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17735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12988B2 (ja) 通信機器、サーバ装置、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58152B1 (ko) 글로벌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5727810B2 (ja) 言語能力判定装置、言語能力判定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49497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낚시터 안내 서비스 방법
KR20100111511A (ko) 프로모션 커뮤니티가 맵핑된 전자지도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