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735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735A
KR20080017735A KR20060079284A KR20060079284A KR20080017735A KR 20080017735 A KR20080017735 A KR 20080017735A KR 20060079284 A KR20060079284 A KR 20060079284A KR 20060079284 A KR20060079284 A KR 20060079284A KR 20080017735 A KR20080017735 A KR 20080017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nformation
mobile device
content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7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146B1 (ko
Inventor
김석수
송재구
주민성
강민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워크
김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워크, 김석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워크
Priority to KR20060079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14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14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와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학습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학습자 정보와 모바일 기기에 대한 특징, 학습자의 학습 정보의 특징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보다 적합한 컨텐츠 목록을 유출하고 기존 E-LEARNING환경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가 모바일 기기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모바일 기기의 정보를 E-LEARNING 연동 모듈을 통하여 웹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E-LEARNING 연동 모듈을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모바일 컨텐츠만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원격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가상 학습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첫째 학습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의 제약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학습자의 학습 패턴 및 모바일 기기 사용 패턴을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셋째, 웹 서버와 모바일 단말기 간의 정보를 확인하여 E-LEARNING 컨텐츠를 모바일 학습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 웹 서버, 학습 컨텐츠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OF LEARNING USING MOBILE UNIT AND A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개인정보 서비스 데이터 테이블 구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도 4는 분리된 목록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과 무선 접근 지점 그리고 웹 서버 모듈 전송 과정.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모바일 기기
110...개인 정보 서비스 모듈
120...E-LEARNING 연동 모듈
130...학습자 학습 정보 관리 모듈
140...모바일 기기 정보 데이터
150...학습 컨텐츠 정보 데이터
200...웹 서버
210...학습자 정보 데이터
220...E-LEARNING 컨텐츠 연동 모듈
230...학습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학습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특히, PDA나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가상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와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구성된다.
이때, 모바일 기기가 웹서비스 서버로 접근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가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큰 용량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고 모바일 기기와 PC(Personal Computer)간의 유선 연결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모델로 하고 있다.
이는 네트워크 부하를 줄여서 학습 컨텐츠를 빠르고 데이터 손실 없이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학습을 진행함에 있어 원하는 장소, 시간에 의한 제약을 받기 때문에 학습 서비스를 사용함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학습자 정보관리 및 모바일 기기의 명확한 학습자 인증을 바탕으로 학습 컨텐츠를 보호함과 동시에 학습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에서의 컨텐츠 제공 및 이용을 보다 원활히 하고자 하는 것으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에서 기본적인 정보를 처리하고 필요 컨텐츠를 즉시 요청함으로써 모바일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학습자를 중심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분석하여 요청함으로써 원활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변동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이 쉽고, 기존 E-LEARNING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와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학습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학습자 정보와 모바일 기기에 대한 특징, 학습자의 학습 정보의 특징을 분석하여 보다 학습자에게 적합한 컨텐츠 목록을 유출하고 기존 E-LEARNING환경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가 모바일 기기의 인터페이스에서 제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모바일 기기 정보를 E-LEARNING 연동 모듈을 통하여 웹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E-LEARNING 연동 모듈을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모바일 컨텐츠만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을 살펴보면,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는 모바일 기기(100);
상기 모바일 기기(100)의 무선 접속 신호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200);로 구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100)에는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학습자의 개인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개인정보 서비스 모듈(110);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기존 E-LEARNING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에서 활용가능한지 판단하고 결과에 따라 모바일용 학습 컨텐츠로 변경을 지원하는 E-LEARNING 연동 모듈(120);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관리하여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학습 컨텐츠 제공을 유도하는 학습자 학습 정보 관리 모듈(130);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모바일 기기의 특징을 검사하고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기기의 특성에 적합한 컨텐츠 제공을 유도하는 모바일 기기 정보 데이터(140);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현재 모바일 기기에 포함하는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는 학습 컨텐츠 정보 데이터(150);를 포함하고
상기 웹 서버(200)는 상기 웹 서비스 모듈에서 학습자의 최신 정보를 보관 및 제공해 주는 학습자 정보 데이터(210);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기기의 정보를 받아 E-LEARNING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컨텐츠로 제공하기 위한 E-LEARNING 컨텐츠 연동 모듈(230); 상기 웹 서비스 모듈에서 학습자에게 제공할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는 학습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학습 정보 관리 모듈(130)은 학습자의 이용 정보를 확인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가장 유용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최근 이용 학습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학습 과목을 분석하고, 모바일 기기 이용 컨텐츠 정보를 통해 관심 분야를 분석하고, 모바일 기기의 주 이용 시간 정보를 통하여 주 이용 시간을 분석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의 학습 정보 모듈(130)을 통하여 웹 서버(200)는 최종적으로 학습자에게 유용한 학습 정보 분석 자료 추출 및 학습자에게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모바일 기기(100)와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필요요소인 무선 장치에 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속하여 자세한 설명은 아니 한다.
즉,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100)에서 개인 학습 관리 모듈에서의 개인정보 서비스 모듈(110), E-LEARNING 연동 모듈(120), 학습자 학습 정보 관리 모듈(130), 모바일 기기 정보 데이터(140), 학습컨텐츠 정보 데이터(150)와 웹 서버(200)에서 학습자가 활용하는 모바일 기기로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자 정보를 관리해주는 학습정보 데이터(210), E-LEARNING 컨텐츠 연동 모듈(220), 학습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0)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본다.
도 2는 개인 정보 서비스 모듈 데이터 테이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개인정보 서비스 모듈(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자의 아이디, 학습자 이름, 모바일 기기의 ESN(Eletronic Serial Number, 고유번호), 나이, 학년, 성별 등의 개인정보를 모바일 기기 자체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모듈로, 개인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변경된 정보를 저장하고 웹 서버로 최신 정보를 전송하여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흐름도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면,
모바일 기기(100)에서 수집된 개인정보, 학습자 학습 정보, 모바일 기기 정보, 학습 컨텐츠 정보를 E-LEARNING 연동 모듈(120)에서 수집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_10);
웹 서버(200)에서 상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_20);
상기 웹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버전 정보 확인하는 단계(S_30);
상기 정보를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컨텐츠 크기의 목록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목록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_40);
상기에서 분리된 목록에 따라 모바일 컨텐츠로 속성 변경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S_50);
상기에서 모바일 컨텐츠로 변경이 가능한 목록에 대하여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S_60);
상기에서 모바일 컨텐츠로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목록에 대하여 이용 불가능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_70);
상기에서 변경된 모바일 컨텐츠와 메시지를 웹 서버(200)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100)로 전송하는 단계(S_80);
상기 웹 서버(200)에서 전송된 메시지와 모바일 파일을 수신하여 모바일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기기(100)에 저장하는 단계(S_9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분리된 목록에 따라 모바일 컨텐츠로 속성 변경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S_50)와 모바일 컨텐츠로 변경이 가능한 목록에 대하여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S_60)는 본 발명의 E-LEARNING 컨텐츠 연동 모듈(22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학습자의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E-LEARNING 학습 컨텐츠에 대하여 모바일 컨텐츠로 변경 가능을 확인하여 변경될 수 있는 E-LEARNING 컨텐츠 일 경우 모바일 컨텐츠로 변경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이미지 크기, 지원하는 텍스트, 플레이 가능한 영상 파일, 플레이 가능한 음악 파일, 컨텐츠 파일 용량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속성 값 존재를 확인하여 더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할 경우 관리자 모드에서 추가할 수 있는 속성 값 확장 모듈을 이용하여 더 많은 속성 분석 데이터를 추가함으로써 확장성을 고려한 구조로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의 정보를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컨텐츠 크기의 목록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목록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_40)에서, 모바일 기기에서 전송된 정보가 최신 버전일 경우에는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도 4에 흐름도에 따라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의 정보를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컨텐츠 크기의 목록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목록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_40)를 좀더 자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분리된 목록의 정보를 각각 로딩하는 단계(S_41);
상기 각각 분리된 정보에 대하여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는 단계(S_42);
최신 버전이 아닐 경우 상기 목록에 대한 최신 버전을 로딩하는 단계(S_43);
최신 버전일 경우에 최신 버전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_44);
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최신 버전이 아닐 경우 상기 목록에 대한 최신 버전을 로딩하여 속성 변경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단계(S_50)로, 최신 버전일 경우에 최신 버전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S_80)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과 무선 접근 지점 그리고 웹서비스 모듈은 도 5와 같은 전송 과정을 거친다.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 전송지점 사이의 통신연결과정(S1), 학습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서버로 학습자의 인증을 요청하고 확인받는 과정(S2), 학습자의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웹 서버로부터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S3), 웹 서버로부터 최신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는 과정(S4), 학습에 따른 정보 변경 요청 및 확인하는 과정(S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원격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가상 학습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첫째 학습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의 제약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학습자의 학습 패턴 및 모바일 기기 사용 패턴을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셋째, 웹 서버와 모바일 단말기 간의 정보를 확인하여 E-LEARNING 컨텐츠를 모바일 학습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는 모바일 기기(100);
    상기 모바일 기기(100)의 무선 접속 신호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200);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100)에는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학습자의 개인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개인정보 서비스 모듈(110);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기존 E-LEARNING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에서 활용가능한지 판단하고 결과에 따라 모바일용 학습 컨텐츠로 변경을 지원하는 E-LEARNING 연동 모듈(120);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관리하여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학습 컨텐츠 제공을 유도하는 학습자 학습 정보 관리 모듈(130);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모바일 기기의 특징을 검사하고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기기의 특성에 적합한 컨텐츠 제공을 유도하는 모바일 기기 정보 데이터(140); 상기 모바일 개인학습 관리 모듈에서 현재 모바일 기기에 포함하는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는 학습 컨텐츠 정보 데이터(1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웹 서버(200)는 상기 웹 서비스 모듈에서 학습자의 최신 정보를 보관 및 제공해 주는 학습자 정보 데이터(210); 상기 웹 서비스 모듈에서 학습자의 모바일 기기의 정보를 받아 E-LEARNING 컨텐츠를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컨텐츠로 제공하기 위한 E-LEARNING 컨텐츠 연동 모듈(230); 상기 웹 서비스 모듈에서 학습자에게 제공할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는 학습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학습 정보 관리 모듈(130)은,
    최근 이용 학습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여 학습 과목을 분석하고, 모바일 기기 이용 컨텐츠 정보를 통해 관심 분야를 분석하고, 모바일 기기의 주 이용 시간 정보를 통하여 주 이용 시간을 분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3.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는 모바일 기기(100);
    상기 모바일 기기(100)의 무선 접속 신호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200);로 구성되어
    모바일 기기(100)에서 수집된 개인정보, 학습자 학습 정보, 모바일 기기 정보, 학습 컨텐츠 정보를 E-LEARNING 연동 모듈(120)에서 수집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_10);
    웹 서버(200)에서 상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_20);
    상기 웹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버전 정보 확인하는 단계(S_30);
    상기 정보를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컨텐츠 크기의 목록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목록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_40);
    상기에서 분리된 목록에 따라 모바일 컨텐츠로 속성 변경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S_50);
    상기에서 모바일 컨텐츠로 변경이 가능한 목록에 대하여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S_60);
    상기에서 모바일 컨텐츠로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목록에 대하여 이용 불가능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_70);
    상기에서 변경된 모바일 컨텐츠와 메시지를 웹 서버(200)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100)로 전송하는 단계(S_80);
    상기 웹 서버(200)에서 전송된 메시지와 모바일 파일을 수신하여 모바일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기기(100)에 저장하는 단계(S_9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의 정보를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컨텐츠 크기의 목록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목록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_40)는,
    분리된 목록의 정보를 각각 로딩하는 단계(S_41);
    상기 각각 분리된 정보에 대하여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는 단계(S_42);
    최신 버전이 아닐 경우 상기 목록에 대한 최신 버전을 로딩하는 단계(S_43);
    최신 버전일 경우에 최신 버전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_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20060079284A 2006-08-22 2006-08-22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9284A KR100870146B1 (ko) 2006-08-22 2006-08-22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9284A KR100870146B1 (ko) 2006-08-22 2006-08-22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735A true KR20080017735A (ko) 2008-02-27
KR100870146B1 KR100870146B1 (ko) 2008-11-24

Family

ID=3938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79284A KR100870146B1 (ko) 2006-08-22 2006-08-22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1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674A2 (ko) * 2010-08-25 2012-03-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학습 플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5183255A1 (en) * 2014-05-28 2015-12-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edicting social, economic, and learning outcomes
KR102269090B1 (ko) * 2020-12-01 2021-06-24 이제환 학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983A (ja) * 2000-10-02 2002-04-19 Hewlett Packard Co <Hp> ウェブコンテンツの変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10070863A (ko) * 2001-06-14 2001-07-27 유선진 휴대용정보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9844A (ko) * 2001-11-15 2003-05-22 정준 유무선 인터넷 통합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방법
KR20050116955A (ko) * 2004-06-09 2005-12-14 김선기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교재 학습자료 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674A2 (ko) * 2010-08-25 2012-03-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학습 플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2026674A3 (ko) * 2010-08-25 2012-04-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학습 플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5183255A1 (en) * 2014-05-28 2015-12-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edicting social, economic, and learning outcomes
US10318671B2 (en) 2014-05-28 2019-06-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edicting social, economic and learning outcomes
KR102269090B1 (ko) * 2020-12-01 2021-06-24 이제환 학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146B1 (ko) 2008-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05160B (zh) 预取断开连接时段的应用数据
CN101606371B (zh) 内容发布管理装置、通信终端、程序以及内容发布系统
EP2736008A1 (en) Dynamic tag generating apparatus and dynamic tag generating method thereof for use in display apparatus
CN102904960B (zh) 一种基于rss的信息同步系统及方法
CN105051685B (zh) 用于使得网络资产能够访问本地应用的系统和方法
JP2004530959A (ja) コンテンツのモバイル装置への配信システム及び配信方法
CN102405475A (zh) 访问控制装置、访问控制方法、程序、记录介质及集成电路
GB2451435A (en) Accessing web content via mobile devices
KR20120137539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40123251A1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or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uthent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02893560A (zh) 一种数据流传送方法及网络设备
KR100870146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920642A (zh) 校园信息发布系统
CN102708124A (zh) 信息处理装置和方法
JP2014010485A (ja) 関連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関連コンテンツ検索方法
CN105808628A (zh) 网页转码方法、装置及系统
CN113031950B (zh) 一种图片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06595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733791B1 (ko) 비콘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069083A9 (ko) 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66436B1 (ko) 네트워크 접속 여부에 따라 출력정보가 변경되는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독자단말
KR101537222B1 (ko) 오프라인 실행을 위한 웹 페이지 사전 캐싱 시스템 및 방법
KR101498920B1 (ko) 오프라인 실행을 위한 웹 페이지 사전 캐싱 시스템 및 방법
CN109190352A (zh) 一种授权文本准确性验证方法和装置
KR20120037657A (ko) 블로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