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542U - 체력 단련용 신발 - Google Patents

체력 단련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542U
KR20120003542U KR2020100011682U KR20100011682U KR20120003542U KR 20120003542 U KR20120003542 U KR 20120003542U KR 2020100011682 U KR2020100011682 U KR 2020100011682U KR 20100011682 U KR20100011682 U KR 20100011682U KR 20120003542 U KR20120003542 U KR 201200035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plate member
shoe
weight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진
Original Assignee
김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진 filed Critical 김국진
Priority to KR2020100011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542U/ko
Publication of KR20120003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9/00Shoe-shaped inserts; Inserts covering the instep
    • A43B19/005Weighted inserts for shoes, i.e. insert comprising an additional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자가 원하는 상황에 따라 신발의 중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중량조절이 가능한 체력단련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안창의 하부에 금속판부재를 탈부착 가능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착용자가 체력단련을 위한 경우에는 중량을 적절히 무겁게 조절하며 평상시의 보행을 원할 때에는 중량을 가볍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갑피와 안창과 밑창으로 구성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안창의 하부에 위치하며 탈부착 가능한 금속판부재와, 상기 금속판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금속판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와, 상기 금속판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착용자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신발안창의 하부에 상기 금속판부재를 탈 부착함에 따라 보행시 밑창이 잘 굽혀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금속판부재와 상기 금속판부재와 결합된 탄성부재에 가로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며, 신발의 안창 하부에 위치한 상기 금속판부재의 둘레를 따라 금속판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무게가 다른 금속판 부재를 교체 장착함으로서 신발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단련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력 단련용 신발{Shoes For Training Physical Strength}
본 고안은 착용자의 편의에 따라 신발의 중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중량조절이 가능한 체력단련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안창의 하부에 중량조절용 금속판부재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력단련을 위한 경우에는 자신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신발의 중량을 적절히 무겁게 조절하며, 평상시 보행을 원할 때는 신발의 중량을 가볍게 조절하여 신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운동화란 가죽이나 고무재질로 만들어 진 것으로 크게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 바닥면을 이루는 안창, 중창, 밑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통상의 운동화는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여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최근에는 착용자의 운동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량화된 신발의 제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일반인이나 운동선수들은 하체의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운동화를 착용한 뒤 종아리 부위나 신발의 일부에 별도로 모래주머니를 착용하고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운동 중에 상기 모래주머니가 흘러내림으로서 지속적인 운동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운동화의 밑창 옆면에 구슬이나 금속봉을 삽입함으로서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운동화가 제작된 바 있지만 상기와 같은 운동화의 경우에는 구슬이나 금속봉이 삽입되고 나면 탈착이 불가능함으로서 중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무게가 증가된 운동화를 착용하고 활동시 넘어질 경우에 밑창의 무게로 인하여 발가락이나 발목이 쉽게 골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자가 원하는 상황에 따라 신발의 중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중량조절이 가능한 체력단련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신발안창의 하부에 금속판부재를 탈 부착함에 따라 보행시 밑창이 잘 굽혀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금속판부재의 하부에 탄성부재를 결합함과 동시에 가로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운동 및 보행시 편안함을 주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금속판부재와 탄성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착용자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보다 안정감 있는 신발을 제공함으로서 신발의 무게 및 밑창의 높이로 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체력단련용 신발은, 갑피와 안창과 밑창으로 구성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안창의 하부에 위치하며 탈부착 가능한 신발중량조절용 금속판부재와, 상기 금속판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금속판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와, 상기 금속판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착용자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신발안창의 하부에 상기 금속판부재를 탈 부착함에 따라 보행시 밑창이 잘 굽혀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금속판부재와 상기 금속판부재와 결합된 탄성부재에 가로방향으로 홈을 더욱 형성하며, 신발의 안창 하부에 위치한 상기 금속판부재의 둘레를 따라 상기 금속판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무게가 다른 금속판부재를 교체 장착함으로서 신발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단련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판부재만을 탈 부착하여 교체함으로서 착용자가 필요로 하는 상황에 따라 원하는 신발의 중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금속판부재 하부에 탄성부재가 부가됨과 동시에 가로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보행시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판부재와 탄성부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신발의 무게와 높이로 인한 착용자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력단련용 신발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금속판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밑창의 저면도.
본 고안은 착용자가 원하는 상황에 따라 신발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체력단련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안창(20)의 하부에 중량이 다른 금속판부재(40)를 탈 부착함으로서 신발의 중량을 자신의 신체상태 및 운동강도등에 따라 증가시키기도 하고 또,신발을 경량화 하여 신을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력단련용 신발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력단련용 신발은 갑피(10)와 안창(20)과 밑창(30)으로 구성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안창(20)의 하부에 위치하며 탈부착 가능한 금속판부재(40)와, 상기 금속판부재(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금속판부재(40)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50)와, 상기 금속판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착용자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돌출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신발안창(20)의 하부에 상기 금속판부재(40)를 탈 부착함에 따라 보행시 밑창이 잘 굽혀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금속판부재(40)와 상기 금속판부재(40)와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50)에 가로방향으로 홈(60)을 형성하며, 신발의 안창(20) 하부에 위치한 상기 금속판부재(40)의 둘레를 따라 상기 금속판부재(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구멍(42)이 형성되어 있어, 무게가 다른 상기 금속판부재(40)를 교체 장착함으로서 신발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단련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금속판부재(40)의 사시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하여 신발안창(20)의 하부에 상기 금속판부재(40)를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44)를 형성하여 착용자가 원하는 상황에 따라 무거운 신발을 필요로 할 때에는 보다 두꺼운 금속판부재(40)를 결합하여 신발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보다 가벼운 신발을 필요로 할 때에는 보다 얇은 금속판부재(40)를 결합하여 신발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서 신발의 무게를 변화시킬 수 있다.
더욱 많은 운동량을 필요로 하여 신발의 무게를 조절하고자 하면, 신발안창(20)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수나사의 단부홈(46)을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돌림으로서 신발안창(2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금속판부재(40)의 둘레를 따라 삽입된 채로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42)와의 결합을 풀어 교체하고자 하는 금속판부재(40)를 제거하고, 착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가진 금속판부재(40)의 암나사부(42)와 상기 신발안창(20)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수나사부(44)를 대응되게 한 상태에서 수나사의 단부홈(46)을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돌림으로서 상기 착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가진 금속판부재(40)가 신발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착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가진 금속판부재(40)를 고정시킨 뒤 신발안창(20)을 넣고 상기 신발을 착용함으로서 사용자는 모래주머니등 기타장비 없이도 하체를 단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의 밑창(30)이 상기 금속판부재(40)로만 구성되어 있을 경우 보행시 밑창(30)의 유연성이 없어 잘 굽혀지지 않고 탄성이 없어 보행시 지면으로부터의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을 보호하는 기능이 미미하므로 상기 금속판부재(40)의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50)를 부가하였으며 상기 금속판부재(40) 및 이와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50)에 가로방향으로 홈(60)을 더욱 형성하여 보행시 무리가 없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무거운 신발을 필요로 할 때 보다 두꺼운 금속판부재(40)를 결합함으로서 신발의 무게를 증가시키는데 이처럼 신발의 밑창이 두꺼워짐으로써 착용자가 보행시 넘어지거나 그로 인한 부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금속판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부(70)를 형성하여 지면과 맞닿는 신발의 면적을 넓힘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갑피 20:안창
30:밑창
40:금속판부재 42:결합구멍(암사나부)
44:수나사부 46:수나사의 단부홈
50:탄성부재 60:홈
70:돌출부

Claims (4)

  1. 갑피와 안창과 밑창으로 구성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안창의 하부에 위치하며 탈부착 가능한 신발중량조절용 금속판부재;
    상기 금속판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금속판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체력단련용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금속판부재와 상기 금속판부재와 결합된 탄성부재에 가로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단련용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금속판부재와 탄성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착용자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단련용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금속판부재의 둘레를 따라 상기 금속판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무게가 다른 금속판부재를 교체 장착함으로서 신발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단련용 신발.
KR2020100011682U 2010-11-12 2010-11-12 체력 단련용 신발 KR201200035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82U KR20120003542U (ko) 2010-11-12 2010-11-12 체력 단련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82U KR20120003542U (ko) 2010-11-12 2010-11-12 체력 단련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42U true KR20120003542U (ko) 2012-05-22

Family

ID=4661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82U KR20120003542U (ko) 2010-11-12 2010-11-12 체력 단련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54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8078B2 (en) Foot support members that provide dynamically transformative properties
US20200093222A1 (en) Footwear construction
US7905034B2 (en) Golf shoe outsole
US8256145B2 (en)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US20130219752A1 (en) Energy Return Member for Footwear
US20130291404A1 (en) Recovery shoe
US20130232820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KR20230014609A (ko) 가변 반사 신발류 기술
EP3222161A1 (en) Improved heelless athletic shoe
JP2009512525A (ja) 一体型の中足骨部起伏部を有する履物
US10420393B2 (en) Footwear sheet and footwear
US20120124860A1 (en) Training sandal and method of use
GB2526192A (en) Orthotic insole
KR20120101776A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KR101250517B1 (ko) 신발 깔창
CN106510920A (zh) 拇外翻矫正鞋
JP2012527297A (ja) O脚またはx脚を予防して使用者体重に合うクッションを提供する人体均衡履物
KR20120003542U (ko) 체력 단련용 신발
KR101263614B1 (ko) 신발
KR20110007476U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101672477B1 (ko) 기능성 인솔
KR20180100037A (ko) 운동용 신발 밑창
KR20060035524A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KR20120082220A (ko)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