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264A -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 Google Patents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264A
KR20120003264A KR1020100064028A KR20100064028A KR20120003264A KR 20120003264 A KR20120003264 A KR 20120003264A KR 1020100064028 A KR1020100064028 A KR 1020100064028A KR 20100064028 A KR20100064028 A KR 20100064028A KR 20120003264 A KR20120003264 A KR 2012000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op
push rod
rotary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빈
Original Assignee
유파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파코리아(주) filed Critical 유파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0006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264A/ko
Publication of KR2012000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대에 설치된 걸레가 탈수통에서 밀대의 상하 운동만으로 원심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음이 적게 발생하고, 기어 등의 마모에 대한 염려가 없어 작동 불량을 방지하며, 사용성이 간단 편리한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의 구체적인 기술적 수단은,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조실과, 수조실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탈수통을 갖는 수조통과; 일단에 상기 탈수통에 올려지는 걸레를 갖고, 상방으로 올렸다 하방으로 내려 누르는 반복 동작에 의해 탈수통과 걸레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걸레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회전식 밀대를 포함하고; 회전식 밀대는,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 봉과; 손잡이 봉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고, 내부에 일정 길이의 스크류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봉과; 서로 대향되는 래치 수납실과 피동 치형을 갖고 스크류를 삽통하여 고정봉의 내부 상방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래치 케이싱과, 래치 수납실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됨과 동시에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봉의 상하 이동방향에 따라 정,역회전으로 연동하여 피동 치형에 물림,해제되는 구동 치형을 갖는 래치를 포함하는 회전봉과; 회전봉의 하단에 연결된 걸레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Cleaner having a rotating push stick for dehydration}
본 발명은 청소용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대에 설치된 걸레가 회전 통에서 밀대의 상하 운동만으로 원심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실내 바닥, 유리창 등의 청소를 위해 밀대를 갖는 밀대 걸레를 사용한다. 밀대 걸레를 사용하게 되면 허리를 숙이지 않아 편리하게 청소를 할 수 있다. 이때 걸레는 사용 도중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수차례 물에 헹구어 빨아주고 짜주어야 한다.
이러한 불편을 덜기 위해 종래에는 탈수통을 회전시켜 걸레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클리너를 사용하였다. 즉, 수조통에 물을 담아두고, 물에 걸레를 세척한 후 탈수통에 올려놓은 후 페달을 반복적으로 밟아 탈수통을 회전시켜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탈수를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방식은 페달에 연동하는 기어에 의해서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서 탈수통과 손잡이 및 밀대의 연결축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번 발판을 눌러서 탈수통을 회전시켜야 하고, 탈수통의 회전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특히 기어마모 및 기어 불량에 의한 작동 불량의 소지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대에 설치된 걸레가 탈수통에서 밀대의 상하 운동만으로 원심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음이 적게 발생하고, 기어 등의 마모에 대한 염려가 없어 작동 불량을 방지하며, 사용성이 간단 편리한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의 구체적인 기술적 수단은,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조실과, 수조실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탈수통을 갖는 수조통과;
일단에 상기 탈수통에 올려지는 걸레를 갖고, 상방으로 올렸다 하방으로 내려 누르는 반복 동작에 의해 탈수통과 걸레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걸레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회전식 밀대를 포함하고;
회전식 밀대는,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 봉과;
손잡이 봉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고, 내부에 일정 길이의 스크류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봉과;
서로 대향되는 래치 수납실과 피동 치형을 갖고 스크류를 삽통하여 고정봉의 내부 상방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래치 케이싱과, 래치 수납실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됨과 동시에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봉의 상하 이동방향에 따라 정,역회전으로 연동하여 피동 치형에 물림,해제되는 구동 치형을 갖는 래치를 포함하는 회전봉과;
회전봉의 하단에 연결된 걸레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봉을 고정봉에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으로,
고정봉의 하단에 연결 고정된 콜릿과;
콜릿의 외경부에 테이퍼 결합되어 상하 작동방향에 따라 콜릿의 내경을 증감시키는 원통형 슬리브와;
고정봉의 하단에 피봇 설치되어 슬리브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레는 180도 선회가 가능하도록 회전봉의 하단에 피봇축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의 말단에는 고정봉이 회전봉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톱퍼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 봉은 고정봉의 상단에 설치된 연결플러그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는, 수조통에 발판이나 기어 장치가 제거됨으로써 탈수 동작 중 큰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기어 마모로 인한 불량의 염려가 없어진다. 또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위 아래로 반복시키는 동작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이 대폭 편리해진다. 또한 걸레가 회전봉에 180도 이내에서 각도가 조절되므로 좁은 공간이나 수직면의 청소가 용이하고, 탈수통에 고정봉을 기울여 놓고도 쉽게 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탈수통의 작동 및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회전식 밀대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회전식 밀대의 상향 작동에 따른 동작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회전식 밀대의 하향 작동에 따른 동작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클리너는 수조통(20)과, 수조통(20)과 분리되어 있는 회전식 밀대(30)로 구성된다.
수조통(20)에는 이동 및 운반을 위해 양단이 힌지 결합된 물통 손잡이(25)가 구비되어 있다. 수조통(20)은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시키고 걸레(340)를 헹굴 수 있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수조실(22)이 구비되고, 수조실(22)내의 일측에는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탈수통(24)이 구비되어 있다. 수조통(20)과 탈수통(24)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탈수통(24)은 수조실(22)의 바닥에서 입설된 탈수통 지지대(23)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탈수통 지지대(23)에 베어링(21)을 통해 탈수통(24)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된다. 탈수통(24)은 상향으로 개방된 원통 형태로서 바닥면 및 외주면에 촘촘하게 분포 형성되어 있는 탈수공(24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식 밀대(30)는 상방으로 올렸다 하방으로 내려 누르는 반복 동작에 의해 걸레(340)와 회전봉(33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즉, 탈수통(24)에 걸레(340)를 올려놓고 회전식 밀대(30)를 반복적으로 U,D방향으로 승강 동작시키면 탈수통(24)과 걸레(340)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걸레의 탈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회전식 밀대(30)는 도 3과 같이 손잡이 봉(310), 고정봉(320), 회전봉(330) 및 걸레(340)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 봉(310)은 그의 상단에 손으로 파지하기가 적당한 굵기와 굴곡면을 갖는 손잡이(312)가 구비되어 있고 그의 하단 내부에 나사공(314)이 구비되어 있다. 손잡이(312)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고정봉(320)은 외측 파이프(321), 외측 파이프(321)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플러그(323), 외측 파이프(321)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봉(330)을 고정봉(320)에 고정 및 해제시키는 록킹수단과, 외측 파이프(32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단이 연결플러그(323)에 고정된 스크류(32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스크류(322)의 길이는 외측 파이프(321)의 길이를 넘지 않는 범위내에서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322)는 사각 단면의 금속 길이재를 나선형으로 비틀림시켜 구성한 것이나, 스크류(322)는 이러한 재질이나 단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크류(322)의 말단에는 고정봉(320)이 회전봉(330)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톱퍼(325)가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325)는 후술할 래치 케이싱(332)의 하단면에 걸림되게 되어 있다.
한편, 록킹수단은 고정봉(320)의 하단에 연결된 콜릿(324)과, 콜릿(324)의 외경부에 삽입되어 상하 작동방향에 따라 콜릿(324)의 내경을 증감시키는 원통형 슬리브(326)와, 고정봉(320)의 하단에 피봇 설치되어 슬리브(326)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레버(328)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콜릿(324)은 다수 개의 슬릿홀(324a)을 통해 분할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콜릿(324)의 선단측 외주면과 슬리브(326)의 선단측 내경부는 서로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테이퍼를 가지고 조립되어 있다.
레버(328)는 피봇단에 회전 방향에 따라 슬리브(326)의 홈(326a)에 위치하여 슬리브(326)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32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328)를 상향으로 올려 젖히게 되면 캠(329)이 슬리브(326)를 하강시켜 콜릿(324)의 내경이 작아지고, 이와 반대로 레버(328)를 하향으로 내려 젖히게 되면 캠(329)이 슬리브(326)를 상승시켜 콜릿(324)의 내경이 커지게 되어 있다.
회전봉(330)은 고정봉(320)의 내부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되어 스크류(322)와의 결합에 의해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회전봉(330)은 외측 파이프(32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외측파이프(3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측 파이프(331), 내측 파이프(331)의 상단에 결합 고정되어 스크류(322)에 삽통되고 내부에 서로 대향하는 피동치형(332b)과 래치 수납실(332a)이 형성되어 있는 래치 케이싱(332), 래치 케이싱(332)의 래치 수납실(332a)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봉(320)의 스크류(322)에 나사 결합되어 피동 치형(332b)에 회전 방향에 따라 물림 또는 해제되는 구동 치형(334a)을 갖는 래치(334)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래치(334)는 래치 케이싱(332)의 내부에서 스크류(322)에 결합된 상태에서 나선방향을 따라 정역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때 구동치형(334a)과 피동치형(332b)은 동수의 치형을 갖고 모두 수직면과 테이퍼면을 가지고 물림되어 있어 래치(334)의 정회전시에는 상호 수직면이 걸림되어 회전력이 전달되고 역회전시에는 상호 테이퍼면을 타고 넘어가 회전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4b에서 래치(334)의 정회전(A방향)시 구동치형(334a)은 피동치형(332b)에 물림 결합되어 회전봉(330)의 일방향 회전을 발생시키고, 래치(334)의 역회전(B방향)시 구동치형(334a)은 피동치형(332b)에 물림 결합이 분리되어 회전봉(330)의 일방향 회전을 방해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의해 스크류(322)의 상하 방향(U,D)의 직선 운동이 반복되면 래치(334)가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되고 회전봉(330)은 래치(334)의 정회전 회전력만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만 계속적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래치(334)는 래치 케이싱(332)에 고정 설치된 고정캡(333)을 열고 래치 수납실(332a)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고정캡(333)은 래치 케이싱(332)에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거나 강제 끼워맞춤으로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내,외측 파이프(321,331)는 알루미늄 파이프로 제작하여 경량화시킴이 바람직하다.
회전봉(330)의 하단에는 걸레(340)가 설치되어 있다. 걸레(340)는 원판(342), 원판(342)측에 결합되어 있는 세편(346)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편(346)은 예로 극세사 또는 초극세사를 꼬임시킨 루프 형태의 것으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걸레(324)는 180도 선회가 가능하도록 회전봉(330)의 하단에 피봇축(340)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손잡이봉(310)을 고정봉(320)의 연결플러그(320)에 나사 결합시킨 후 레버(328)를 상,하향 조작하여 고정봉(320)과 회전봉(330)간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여 걸레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레버(328)를 하향 젖힘시키면 슬리브(326)의 상승동작으로 콜릿(324)의 내경이 확장되어 물림이 해제되고 회전봉(33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레버(328)를 상향 젖힘시키면 슬리브(326)의 하강 동작으로 콜릿(324)의 내경이 수축되어 회전봉(330)이 물림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같이 레버(328)를 통해 회전봉(330)을 고정봉(320)측에 고정시켜 클리너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걸레(340)는 수조통(20)에 담아진 물에 헹구어 사용된다.
한편, 물에 헹구어진 걸레(340)의 탈수는 아래의 동작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진다.
먼저, 레버(328)를 하향 젖힘시켜 콜릿(324)이 회전봉(330)의 물림을 해제시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걸레(340)를 탈수통(24)에 도 2와 같이 올려놓은 후 손잡이(312)를 잡고 손잡이 봉(310)을 상,하 방향(U,D)으로 반복 이동시키면 회전봉(330)이 탈수통(24)과 함께 A방향으로만 고속 회전하고 원심력이 발생되어 걸레(340)측 세편(346)의 탈수가 신속히 이루어진다.
이때 손잡이 봉(310)의 상승 방향(U) 동작시에는 도 4a와 같이 래치(334)가 하방에서 스크류(322)를 따라 상승하면서 B방향으로 역회전(공회전)하여 회전봉(330)을 회전시키지 못한다. 이는 래치(334)의 역회전시 구동치형(334a)이 피동치형(332a)에서 물림이 분리되어 이탈되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손잡이 봉(310)의 하강 방향(D) 동작시에는 도 4b와 같이 상방에서 래치(334)가 스크류(322)를 따라 하강하면서 A방향으로 정회전하고, 구동치형(334a)과 피동치형(332b)간에 이물림 결합이 이루어져 래치(334)의 회전력이 그대로 래치 케이싱(332) 및 내측파이프(331)를 통해 회전봉(330)에 전달되므로 걸레(340)의 일방향(A방향) 회전만이 유도되어 탈수에 필요한 원심력이 발생된다.
이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 봉(310)의 상하 반복적인 누름 동작이 진행될 경우, 래치(334)의 정역회전이 반복되고, 여기서 래치(334)의 정회전시에만 회전력이 회전봉(330)에 계속적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서 걸레(340)가 탈수통(24)에 지지된 상태로 초당 수십번 회전하는 고속 회전이 유도되어 원심력에 의해 신속한 탈수가 이루어진다.
이같이 하여 탈수가 완료되면 그대로 회전식 밀대(30)를 탈수통(24)에서 들어내어 청소 바닥에 밀어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레버(328)를 상향으로 젖혀 회전봉(330)을 고정봉(320)에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는 수조통(20)에 종래와 같이 발판이나 기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큰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기어장치의 제거로 인해 기어 마모로 인한 불량의 염려가 없어진다.
또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위 아래로 반복시키는 동작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이 대폭 편리해진다.
또한 걸레(340)가 회전봉(330)에 피봇축(342)으로 연결되어 180도 이내에서 자동적으로 각도가 조절되므로 좁은 공간이나 수직면의 청소가 용이하고, 탈수통(24)에 고정봉(320)을 기울여 놓고도 쉽게 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 수조통
24: 탈수통
30: 회전식 밀대
310: 손잡이 봉
320: 고정봉
321: 외측 파이프
322: 스크류
324: 콜릿
325: 스톱퍼
326: 슬리브
328: 레버
330: 회전봉
331: 내측 파이프
332: 래치 케이싱
332b: 피동치형
334: 래치
334a: 구동치형
340: 걸레

Claims (5)

  1.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조실(22)과, 수조실(22)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탈수통(24)을 갖는 수조통(20)과;
    일단에 상기 탈수통(24)에 올려지는 걸레(340)를 갖고, 상방으로 올렸다 하방으로 내려 누르는 반복 동작에 의해 상기 탈수통(24)과 걸레(340)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연속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걸레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회전식 밀대(3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밀대(30)는,
    상단에 손잡이(312)가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 봉(310)과;
    상기 손잡이 봉(310)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고, 내부에 일정 길이의 스크류(322)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봉(320)과;
    서로 대향되는 래치 수납실(332a)과 피동 치형(332b)을 갖고 상기 스크류(322)를 삽통하여 고정봉(320)의 내부 상방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래치 케이싱(332)과, 상기 래치 수납실(332a)에 회전 자유롭게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322)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봉(320)의 상하 이동방향에 따라 정,역회전으로 연동하여 상기 피동 치형(332b)에 물림,해제되는 구동 치형(334a)을 갖는 래치(334)를 포함하는 회전봉(330)과;
    상기 회전봉(330)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걸레(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330)을 상기 고정봉(320)에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으로,
    상기 고정봉(320)의 하단에 연결 고정된 콜릿(324)과;
    상기 콜릿(324)의 외경부에 테이퍼 결합되어 상하 작동방향에 따라 콜릿(324)의 내경을 증감시키는 원통형 슬리브(326)와;
    상기 고정봉(320)의 하단에 피봇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326)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레버(328)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340)는 180도 선회가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봉(330)의 하단에 피봇축(342)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22)의 말단에는 고정봉(320)이 회전봉(330)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톱퍼(325)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봉(310)은 상기 고정봉(320)의 상단에 설치된 연결플러그(323)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KR1020100064028A 2010-07-02 2010-07-02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KR20120003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28A KR20120003264A (ko) 2010-07-02 2010-07-02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28A KR20120003264A (ko) 2010-07-02 2010-07-02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264A true KR20120003264A (ko) 2012-01-10

Family

ID=4561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028A KR20120003264A (ko) 2010-07-02 2010-07-02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2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9340A (zh) * 2015-02-13 2015-07-01 广州市好媳妇日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清洗脱水清洁桶
WO2015194898A1 (ko) * 2014-06-18 2015-12-23 인석신 로드 클램핑장치
US10041311B2 (en) 2014-06-18 2018-08-07 Suk Shin In Rod clamping device
CN113525900A (zh) * 2021-08-12 2021-10-22 蓝燕燕 一种便于高空作业的建筑涂料储存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898A1 (ko) * 2014-06-18 2015-12-23 인석신 로드 클램핑장치
US10041311B2 (en) 2014-06-18 2018-08-07 Suk Shin In Rod clamping device
CN104739340A (zh) * 2015-02-13 2015-07-01 广州市好媳妇日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清洗脱水清洁桶
CN113525900A (zh) * 2021-08-12 2021-10-22 蓝燕燕 一种便于高空作业的建筑涂料储存箱
CN113525900B (zh) * 2021-08-12 2023-03-28 江西鸿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高空作业的建筑涂料储存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544B2 (en) Mop with the function of dewatering the yarns by twisting in a single direction via an up-and-down linear motion
US8156607B2 (en) Mop wringer
KR20120003264A (ko) 회전 탈수식 밀대를 갖는 클리너
US20120047675A1 (en) Dual-purpose spin dry mop bucket
CN105662299A (zh) 拖把组件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CN202426473U (zh) 手压式旋转拖把
CN104939776B (zh) 拖把的清洗方法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CN104997471B (zh) 一种拧水拖把
KR101311822B1 (ko) 착즙기
CN201879632U (zh) 一种离心式脱水地拖系统
CN204744051U (zh) 拖把脱水装置
CN204744050U (zh) 拖把去水器
JP3153895U (ja) 回転可能なモップ構造
KR200449155Y1 (ko) 몹과 탈수통 조립체
CN104799785A (zh) 拖把去水装置
CN213525008U (zh) 一种具有稳定固定机构的拖把清洗装置
AU2018304883A1 (en) Cleaning system
KR200439290Y1 (ko) 보조통을 구비한 야채 세척기
CN210249724U (zh) 一种清洗装置
CN210019222U (zh) 一种免手洗平板拖把清洗桶
CN104757915B (zh) 拖把清洁件可收紧式清洗脱水组合装置
KR101919884B1 (ko) 막대 걸레 세탁기
CN108378798B (zh) 一种旋转拖把桶
KR200464298Y1 (ko) 세척기능을 갖는 탈수장치
KR200485606Y1 (ko) 걸레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