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06Y1 - 걸레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걸레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06Y1
KR200485606Y1 KR2020160007182U KR20160007182U KR200485606Y1 KR 200485606 Y1 KR200485606 Y1 KR 200485606Y1 KR 2020160007182 U KR2020160007182 U KR 2020160007182U KR 20160007182 U KR20160007182 U KR 20160007182U KR 200485606 Y1 KR200485606 Y1 KR 200485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washing
plate
dewater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국
Original Assignee
이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국 filed Critical 이창국
Priority to KR2020160007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포 형의 걸레나 자루 형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위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수 시 가압판과 걸레의 접촉면적이 넓어 걸레 탈수력이 향상되고 걸레 탈수 시간과 장치 제조 및 보수유지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걸레 세척장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걸레 세척장치{Device for washing the duster}
본 고안은 일반 포 형의 걸레나 자루 형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위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수 시 가압판과 걸레의 접촉면적이 넓어 걸레 탈수력이 향상되고 걸레 탈수 시간과 장치 제조 및 보수유지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걸레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포 형의 걸레나 자루 형 걸레는 학교, 식당, 백화점, 병원, 관광소 등과 같이 매일 바닥을 청소해야 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걸레에는 오물이 많이 묻기 때문에 한번 사용 후에는 반드시 세척, 헹굼 및 탈수를 하고, 장시간 햇빛에 말려서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청소부가 일반 포 형의 걸레나 자루 형 걸레를 사용 후 세척, 헹굼 및 탈수를 하는 것은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걸레에 오물이 많이 묻어 있기 때문에 손으로 직접 세척, 헹굼 및 탈수해야 한다는 것 자체가 더럽고 불쾌감이 들어 누구도 선뜻 나서서 일하기를 꺼린다는 것이다. 특히 세척해야 하는 걸레가 여러 개인 경우에는 걸레를 세척하고 헹굼 후 탈수하는 시간이 수십 분이나 걸리는 대단히 불편한 작업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기계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걸레 세척부터 탈수까지 처리할 수 있는 걸레 세척장치를 고안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454호(고안의 명칭 : 걸레 세척장치, 이하,‘선행문헌 1’이라 함)는 한 쌍의 가이드바에 의해 상, 하측으로 승강 안내되게 가압판을 설치하고, 청소부의 발의 가압력으로 가압판을 구동하여 걸레를 탈수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문헌 1에 따른 종래 걸레 세척장치는 가압판(2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가이드바(22)에 복원요소(24)를 설치하고, 가이드바(22)와 결합된 가압판(20)에 링크들(41, 42)과 치차들(43, 44)을 포함하는 다단계의 동력전달요소들(40)을 연결하고, 치차들(43, 44)에 발판(30)을 연결하였다.
그런데 종래 걸레 세척장치는 가이드바(22) 또는 가이드바(22)에 설치된 복원요소(24)가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경우, 청소부가 발판(30)을 누르더라도 가압판(20)이 하강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바(22)를 교체하거나 가이드바(22)와 가압판(20)을 해체하고 복원요소(24)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98364호(발명의 명칭 : 걸레 세척장치, 이하,‘선행문헌 2’라 함)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부가 발판(22a)을 발로 누르면 발판레버(22)가 하강하게 되고, 발판레버(22)와 연결된 연동바(24) 및 연동바(24)와 힌지결합된 회전축(51)에 형성된 유동가압판(50)이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탈수판(40)을 향해 하강한다. 청소부가 발판(22a)에서 발을 떼면, 연동바(24)와 연결된 쇼바(28)가 작동하여 연동바(24)와 힌지결합된 회전축(51)에 형성된 유동가압판(50)이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상승한다.
선행문헌 2에 따른 걸레 세척장치는 유동가압판(50)과 고정탈수판(40)이 회전축(32)을 통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대걸레를 탈수하는 경우 유동가압판(50) 및 고정탈수판(40)과 걸레의 접촉면적이 작아 여러 번 탈수를 해야 함으로 실제 탈수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쇼바(28)가 발판(22a)과 발판레버(22)와 연동바(24)와 유동가압판(50)과 연동하는 소모품으로 구현됨으로써, 쇼바의 보수유지 비용으로 인해 전체 장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탈수 시 가압판과 걸레의 접촉면적이 넓어 걸레 탈수력이 향상된 걸레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걸레 탈수 시간과 장치 제조 및 보수유지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걸레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걸레 세척장치는, 상수도관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노즐을 통해 배출하는 급수관이 설치되며,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에 저장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형성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세척판과;
상기 세척판 상부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탈수판과 상기 탈수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탈수부재와;
상기 탈수부재의 탈수판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일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대향하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결합부, 상기 제1,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봉, 상기 제1 지지봉과 이격되게 상기 제1,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봉, 및 상기 제1 지지봉과 제2 지지봉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제2 지지봉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2 지지봉에 전달하는 제1,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의 제2 지지봉 일부에 설치되는 제1 복원요소 및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의 제2 지지봉 일부에 설치되는 제2 복원요소와;
상기 제1 복원요소가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제1 회전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복원요소가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제2 회전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 발판레버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단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 발판레버와; 상기 제1 발판레버와 제2 발판레버를 연결하는 발판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걸레 세척장치는, 세척조에 형성된 개폐밸브에 연결되며 세척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람이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통해 개폐밸브를 회전시키는 밸브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걸레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압판이 세척조에 고정되는 탈수판과 분리되게 형성됨으로써, 탈수 시 가압판과 걸레의 접촉면적이 넓고 걸레 탈수력이 좋아 걸레 탈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종래 가이드바 또는 별도의 쇼바로 구현되었던 복원요소가 연동바와 가압판 사이에 힌지 결합된 회전축에 형성됨으로써, 종래보다 훨씬 저가로 걸레 세척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복원요소가 스프링으로 구현됨으로써, 장치 제조 및 보수유지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셋째, 세척조에 탈, 부착되는 자루 받침대를 이용하게 되면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발만 사용하여 걸레를 탈수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 세척장치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의 걸레 세척장치를 비스듬한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 는 발판부재가 눌리기 전의 복원요소 부분 확대도이다.
도 3a 는 발판부재가 눌린 후의 복원요소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걸레 세척장치의 배수밸브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종래 걸레 세척장치를 도시한다.
도 6 은 종래 다른 걸레 세척장치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 세척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도 1의 걸레 세척장치를 비스듬한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a 는 발판부재가 눌리기 전의 복원요소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는 발판부재가 눌린 후의 복원요소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걸레 세척장치의 배수밸브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걸레 세척장치(100)는 크게 세척조(110)와 세척판(120)과 탈수부재(130)와 가압부재(140)와 제1, 제2 회전부재(151, 152)와 제1, 제2 복원요소(161, 162)와 제1, 제2 연결부재(171, 172)와 제1, 제2 발판레버(181, 182)와 발판부재(190)를 포함한다.
세척조(110)는 상수도관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노즐을 통해 배출하는 급수관(111)이 설치되며,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통(112)과 저수통(112)에 저장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113)과 배수관(113)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14)가 형성된다.
세척판(120)은 세척조(110)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120a)이 형성된다. 세척판(120)은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세척판(120)은 세척조(110)에서 분리가능하도록 탈, 부착되록 설치될 수 있다. 세척판(120)은 녹이 잘 안스는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로 구현될 수 있다.
탈수부재(130)는 세척판(120) 상부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세척조(110) 내부에 설치된다. 탈수부재(130)는 다수의 통공(131a)이 형성되고 세척조(110)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탈수판(131)과 탈수판(13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132)를 포함한다. 탈수판(131)은 세척조(110) 내부벽체에 볼트결합되는 고정브라켓(133)이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32)는 탈수 시 탈수판(131)에 올려놓은 걸레가 세척조(110) 내부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탈수판(131)과 절곡부(1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녹이 잘 안스는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로 구현될 수 있다.
가압부재(140)는 탈수부재(130)의 탈수판(131)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가압판(141), 가압판(141)의 일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142), 제1 결합부(142)와 대향하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결합부(143), 제1, 제2 결합부(142, 143)에 결합되는 제1 지지봉(144), 제1 지지봉(144)과 이격되게 제1, 제2 결합부(142, 143)에 결합되는 제2 지지봉(145), 및 제1 지지봉(144)과 제2 지지봉(145)에 연결되는 연결부(146)를 포함한다.
가압판(141)와 제1, 제2 결합부(142, 143)와 제1 지지봉(144)과 제2 지지봉(145)과 연결부(146)는 녹이 잘 안스는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146)는 제2 지지봉(145)이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하도록 구현된다.
제1, 제2 회전부재(151, 152)는 제2 지지봉(145)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제2 지지봉(145)에 전달한다. 제1, 제2 회전부재(151, 152)는 녹이 잘 안스는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복원요소(161)는 제1 회전부재(151)와 제1 결합부(142) 사이의 제2 지지봉(145) 일부에 설치된다. 제2 복원요소(162)는 제2 회전부재(152)와 제2 결합부(143) 사이의 제2 지지봉(145) 일부에 설치된다. 제1, 제2 복원요소(161, 162)는 인장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71)는 제1 복원요소(161)가 결합되며 일단이 제1 회전부재(151)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2 연결부재(172)는 제2 복원요소(162)가 결합되며 일단이 제2 회전부재(152)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1 발판레버(181)는 제1 연결부재(171)의 타단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2 발판레버(182)는 제2 연결부재(172)의 타단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1 발판레버(181)와 제2 발판레버(182) 사이에는 발판부재(190)가 형성된다. 제1 발판레버(181)와 제2 발판레버(182)와 발판부재(19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걸레 세척장치(100)는 세척조(110)에 형성된 개폐밸브(114)에 연결되며 세척조(11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람이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통해 개폐밸브(114)를 회전시키는 밸브액츄에이터(211)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걸레 세척장치(100)는 세척조(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레자루를 걸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자루 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복원요소(161)가 회전부재(151)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부가 발판부재(190)를 누르면, 제1, 제2 발판레버(181, 182)--> 제1, 제2 연결부재(171, 172) ---> 제1, 제2 회전부재(151, 152) ---> 제2 지지봉(145)으로 순차적으로 힘이 전달되어 제2 지지봉(145)과 연결부(146)를 통해 연결된 제1 지지봉(144) 및 제1, 제2 결합부(142, 143)가 함께 회전하면서 가압판(141)을 탈수판(131)으로 하강시킨다.
청소부가 발판부재(190)에서 발을 떼면, 복원요소(161)에 의해 가압판(141)이 탈수판(131)으로부터 위로 상승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걸레 세척장치
110 : 세척조
120 : 세척판 120a : 통공
130 : 탈수부재
131 : 탈수판 131a : 통공
132 : 절곡부
133 : 고정브라켓
140 : 가압부재
141 : 가압판
142 : 제1 결합부
143 : 제2 결합부
144 : 제1 지지봉
145 : 제2 지지봉
146 : 연결부
151 : 제1 회전부재
152 : 제2 회전부재
161 : 제1 복원요소
162 : 제2 복원요소
171 : 제1 연결부재
172 : 제2 연결부재
181 : 제1 발판레버
182 : 제2 발판레버
190 : 발판부재

Claims (2)

  1. 상수도관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노즐을 통해 배출하는 급수관이 설치되며,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에 저장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형성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세척판;
    상기 세척판 상부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탈수판과 상기 탈수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탈수부재;
    상기 탈수부재의 탈수판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일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대향하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결합부, 상기 제1,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봉, 상기 제1 지지봉과 이격되게 상기 제1,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봉, 및 상기 제1 지지봉과 제2 지지봉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압부재;
    상기 제2 지지봉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2 지지봉에 전달하는 제1, 제2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의 제2 지지봉 일부에 설치되는 제1 복원요소 및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의 제2 지지봉 일부에 설치되는 제2 복원요소;
    상기 제1 복원요소가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제1 회전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복원요소가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제2 회전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 발판레버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단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 발판레버; 및
    상기 제1 발판레버와 제2 발판레버를 연결하는 발판부재;
    을 포함하는 걸레 세척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걸레 세척장치는,
    상기 세척조에 형성된 개폐밸브에 연결되며 상치 세척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람이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통해 상기 개폐밸브를 회전시키는 밸브액츄에이터;
    를 더 포함하는 걸레 세척장치.
KR2020160007182U 2016-12-09 2016-12-09 걸레 세척장치 KR200485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82U KR200485606Y1 (ko) 2016-12-09 2016-12-09 걸레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82U KR200485606Y1 (ko) 2016-12-09 2016-12-09 걸레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606Y1 true KR200485606Y1 (ko) 2018-01-31

Family

ID=6128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182U KR200485606Y1 (ko) 2016-12-09 2016-12-09 걸레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148A (ko) * 2022-02-16 2023-08-23 신용안 수처리 겸용 걸레 세척 및 탈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454Y1 (ko) * 2006-09-06 2006-11-23 이창국 걸레 세척장치
KR20100094789A (ko) * 2009-02-19 2010-08-27 (주)에코웨이브 걸레세척기
KR20100120095A (ko) * 2010-09-14 2010-11-12 이창국 걸레 세척장치
KR20120050057A (ko) * 2010-11-10 2012-05-18 신용안 발판을 가져서 된 걸레 세척기용 탈수 장치
KR101232220B1 (ko) * 2011-03-22 2013-02-12 신용안 롤러형 마대 걸레 탈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454Y1 (ko) * 2006-09-06 2006-11-23 이창국 걸레 세척장치
KR20100094789A (ko) * 2009-02-19 2010-08-27 (주)에코웨이브 걸레세척기
KR20100120095A (ko) * 2010-09-14 2010-11-12 이창국 걸레 세척장치
KR20120050057A (ko) * 2010-11-10 2012-05-18 신용안 발판을 가져서 된 걸레 세척기용 탈수 장치
KR101232220B1 (ko) * 2011-03-22 2013-02-12 신용안 롤러형 마대 걸레 탈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148A (ko) * 2022-02-16 2023-08-23 신용안 수처리 겸용 걸레 세척 및 탈수 장치
KR102597371B1 (ko) * 2022-02-16 2023-11-02 신용안 수처리 겸용 걸레 세척 및 탈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3320B2 (ja) 電動モップ用収納台を自動掃除する汚水排水システム
US8978191B2 (en) Mop structure
US8112840B2 (en) Disc rota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of a mop
US20160051118A1 (en) Environment-protection Energy-saving Barrel
CN203724047U (zh) 手压式双速旋转拖把
TWM524689U (zh) 清洗裝置
KR200485606Y1 (ko) 걸레 세척장치
CN208799182U (zh) 一种多功能拖把池
KR200431454Y1 (ko) 걸레 세척장치
CN201879632U (zh) 一种离心式脱水地拖系统
KR101098364B1 (ko) 걸레 세척장치
CN103876691B (zh) 手压式双速旋转拖把
CN200977140Y (zh) 拖把清洗机
KR100961890B1 (ko) 물걸레 청소기
WO2021078193A1 (zh) 擦地机的擦拭物清洗装置
CN107348919A (zh) 一种可以输出不同速度的拖把杆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CN207748365U (zh) 一种实验室垃圾桶
KR100604648B1 (ko) 마포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
CN201104863Y (zh) 带拖把拧干器的水桶
CN110495827B (zh) 一种具有蓄水功能的自动洗拖把的机器
KR200464298Y1 (ko) 세척기능을 갖는 탈수장치
KR100989357B1 (ko) 봉 걸레 탈수조립체
CN215650931U (zh) 一种具有浮动式清洗装置的旋转拖把桶
CN203042160U (zh) 拉力式自旋拖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