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983U -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983U
KR20120002983U KR2020100010834U KR20100010834U KR20120002983U KR 20120002983 U KR20120002983 U KR 20120002983U KR 2020100010834 U KR2020100010834 U KR 2020100010834U KR 20100010834 U KR20100010834 U KR 20100010834U KR 20120002983 U KR20120002983 U KR 201200029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oil vapor
tank
storage tank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3919Y1 (ko
Inventor
최병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세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세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세이프
Priority to KR2020100010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91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9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의 상단에 밸브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장치의 출구에는 데미스터 필터부와 연결몸체 및 카본탱크를 설치하되, 상기 밸브장치에서 배출된 유증기(VOC)가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카본탱크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유증기에 포함된 기름 및 유해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전체 설비의 크기 및 유지비용도 줄일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저장탱크내의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밸브장치를 통해 유증기가 배출되어 데미스터 필터와 카본필터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VOC removal device of tank}
본 고안은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증기에 포함된 기름 및 유해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전체 설비의 크기 및 유지비용도 줄일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저장탱크내의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밸브장치를 통해 유증기가 배출되어 데미스터 필터와 카본필터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 및 자동차, 각종 도장물질의 사용 증가로 인해 배출 오염원의 구조가 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기오염 물질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각종 유류가 저장된 저장탱크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유증기(VOC)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증기는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해로운 영향들을 끼치며 오랫동안 대기오염원으로 취급되어 왔다.
또한, 상기 유증기는 인화성이 강하여 화재 폭발에 의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유증기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처리기술로는, 직접연소법, 촉매연소법, 생물학적 처리법, 흡착처리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증기 처리기술은, 대부분 설비 규모가 크고 유지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기름과 유해성분이 혼합된 유증기 제거에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저장탱크의 상단에 밸브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장치의 출구에는 데미스터 필터부와 연결몸체 및 카본탱크를 설치하되, 상기 밸브장치에서 배출된 유증기(VOC)가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카본탱크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유증기에 포함된 기름 및 유해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전체 설비의 크기 및 유지비용도 줄일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저장탱크내의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밸브장치를 통해 유증기가 배출되어 데미스터 필터와 카본필터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저장탱크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장치와, 상기 밸브장치의 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밸브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유증기(VOC) 중에 포함된 기름을 걸러내는 데미스터(demister) 필터부와,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의 일측에 나란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카본필터가 충전되어 상기 카본필터를 통과하는 유증기 중에 포함된 기름 및 유해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카본탱크와,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를 통과한 유증기가 상기 카본탱크를 통과하도록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와 상기 카본탱크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저장탱크의 상단에 밸브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장치의 출구에는 데미스터 필터부와 연결몸체 및 카본탱크를 설치하되, 상기 밸브장치에서 배출된 유증기(VOC)가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카본탱크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유증기에 포함된 기름 및 유해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전체 설비의 크기도 줄일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내의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밸브장치를 통해 유증기가 배출되어 데미스터 필터와 카본필터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증기의 유동방향과 데미스터 필터에 걸러진 기름의 낙하 방향이 동일하여 상기 데미스터 필터에 걸러진 기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서, 기름에 의해 데미스터 필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데미스터 필터의 교체주기를 더욱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미스터 필터는 상기 테미스터 필터부를 유동하는 유증기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카본탱크내의 카본필터가 날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유증기가 상기 카본탱크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카본탱크내에 충전된 카본필터가 연결몸체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카본탱크내에 위치해야하는 카본필터의 유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서, 카본필터를 통해 기름 및 유해성분을 더욱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탱크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몸체를 통과한 유증기가 카본탱크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카본필터를 지지하여 카본필터가 연결몸체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가 설치됨으로써, 유증기는 통과시키면서도 카본필터가 연결몸체측으로 낙하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카본탱크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카본탱크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카본탱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커버에 부딪친 후 외부로 배출되어 카본필터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에서 압력바디의 디스크가 개방되어 저장탱크에서 배출된 유증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에서 진공바디의 디스크가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1)는, 밸브장치(10)와, 데미스터(demister) 필터부(20)와, 카본탱크(40)와, 연결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밸브장치(10)는, 각종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5)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5)내의 압력 또는 진공을 효율적으로 해소하여 저장탱크(5)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밸브장치(10)는 석유나 화학약품 등의 각종 유체를 저장탱크(5)에 주입시 또는 유체를 저장탱크(5)에서 배출시 발생하는 팽창(압력증가), 수축(진공) 현상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밸브장치(10)는 상기 저장탱크(5)내의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유증기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아래에서 설명될 데미스터 필터(22)와 카본필터(41)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밸브장치(10)는, 연결바디(11)와, 상기 저장탱크(5)내의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압력바디(15)와, 진공을 해소하기 위한 진공바디(1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디(11)는 상기 저장탱크(5)와 연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측면도 상기 진공바디(12)와 연결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바디(11)는 상기 압력바디(15)와 진공바디(12)를 연결시키는 중간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압력바디(15) 및 진공바디(12)가 연결된 연결바디(11)는 상기 저장탱크(5)의 유증기 배출구(6)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연결바디(11)와 저장탱크(5)의 유증기 배출구(6) 사이에는 상기 저장탱크(5)내로 이물질 또는 불꽃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장치(8)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바디(12)는, 하단에 공기유입구(12a)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출구(12b)가 형성되어, 상기 진공바디(12)의 출구(12b)가 상기 연결바디(11)의 측면에 연통되게 연결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진공바디(12)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2a)를 개폐하도록 디스크(13)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진공바디(12)의 디스크(13)는, 평상시 디스크(13)의 무게로인해 상기 공기유입구(12a)를 폐쇄하게 되고, 상기 저장탱크(5)내에 진공 발생시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2a)를 개방하여 공기가 저장탱크(5)내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진공을 해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공바디(12)의 디스크(13)는 지지축(13a)을 통해 상기 진공바디(12)의 상단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바디(15)는, 하단에 상기 저장탱크(5)에서 배출된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증기유입구(15a)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출구(15b)가 형성되어, 상기 압력바디(15)의 출구(15b)가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상기 압력바디(15)의 유증기유입구(15a)는 상기 연결바디(11)의 상단에 연통되게 연결 결합되고, 상기 압력바디(15)의 출구(15b)는 상기 진공바디(12)가 위치한쪽의 반대편쪽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바디(15)의 내부에는 상기 유증기유입구(15a)를 개폐하도록 디스크(16)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압력바디(15)의 디스크(16)는, 평상시 디스크(16)의 무게로인해 상기 유증기유입구(15a)를 폐쇄하게 되고, 상기 저장탱크(5)내의 압력이 설정치(디스크를 들어올릴 정도의 압력)를 초과하여 발생할 경우에만 상기 유증기유입구(15a)를 개방하여 유증기가 출구(15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저장탱크(5)내의 압력을 해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력바디(15)의 디스크(16)는 지지축(16a)을 통해 상기 압력바디(15)의 상단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30) 및 압력바디(15)는 상기 저장탱크(5)의 유증기 배출구(6) 상단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압력바디(15)의 출구(15b)는 압력바디(15)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는, 상기 밸브장치(10)의 출구(15b) 즉, 상기 압력바디(15)의 출구(15b)와 연통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저장탱크(5)에서부터 밸브장치(10)를 통해 배출되는 유증기(VOC) 중에 포함된 기름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는, 상기 밸브장치(10)의 압력바디(15) 출구(15b)를 통해 배출된 유증기가 하측(중력)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밸브장치(10)의 압력바디(15) 출구(15b)로부터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연결관(21)과, 상기 연결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결관(21)내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증기 중에 포함된 기름을 걸러내는 데미스터 필터(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관(21)은 상기 밸브장치(10)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이로인해 상기 연결관(21)의 상단부는 90도로 벤딩되어 상기 압력바디(15)의 출구(15b)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장치(10)의 압력바디(15) 출구(15b)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배출된 유증기는 하측 90도로 방향이 전환되어, 하측(중력)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데미스터 필터(22)를 통과하면서 유증기 중에 포함된 기름이 데미스터 필터(22)에 걸러지게 되어 제거된다.
상기 데미스터 필터(22)에 걸러진 기름은 중력방향으로 낙하하여 연결몸체(30)의 바닥에 모인 후 밸브(35) 개방시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상기 유증기의 유동방향과 기름의 낙하 방향이 동일하여 상기 데미스터 필터(22)에 걸러진 기름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름에 의해 데미스터 필터(2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데미스터 필터(22)의 교체주기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미스터 필터(22)는 상기 연결관(21)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증기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하게 되어, 상기 카본탱크(40)내의 카본필터(41)가 날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데미스터 필터(22)는 스테인레스 메쉬 또는 알루미늄 메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카본탱크(40)는,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의 일측에 나란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카본필터(41)가 충전되어 상기 카본필터(41)를 통과하는 유증기 중에 포함된 기름 및 유해성분을 흡착 제거하게 된다.
상기 카본탱크(40)는 상,하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아울러 카본탱크(40)의 측면에는 카본탱크(40)내의 카본필터(41)를 교체할 수 있도록 배출도어(4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본필터(41)는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카본필터(41)를 통과하는 유증기 중에 포함된 기름 및 유해성분을 포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를 통과하면서 기름이 어느정도 제거된 유증기가 상기 카본필터(4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름 및 유해성분이 대부분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카본탱크(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몸체(30)를 통과한 유증기가 카본탱크(40)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카본필터(41)를 지지하여 카본필터(41)가 연결몸체(30)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45)가 설치된다.
즉, 상기 메쉬부(45)는 유증기를 통과시키면서 카본필터(41)가 연결몸체(30)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30)는,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를 통과한 유증기가 상기 카본탱크(40)를 통과하도록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와 상기 카본탱크(40)를 연통되게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몸체(30)는,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를 통과한 유증기가 상기 카본탱크(4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카본필터(41)를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관(21)의 하단부와 상기 카본탱크(40)의 하단부를 연통되게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장치(10)와, 데미스터 필터부(20)와, 카본탱크(40)는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5)에서 배출된 유증기는 밸브장치(10) -> 데미스터 필터부(20) -> 연결몸체(30) -> 카본탱크(40)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에서는 유증기가 하측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카본탱크(40)에서는 유증기가 상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와 카본탱크(40)를 유동하는 유증기의 유동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또한, 유증기가 상기 카본탱크(4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카본탱크(40)내에 충전된 카본필터(41)가 연결몸체(30)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카본탱크(40)내에 위치해야하는 카본필터(41)의 유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서, 카본필터(41)를 통해 기름 및 유해성분을 더욱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본탱크(40)의 상단부에는, 카본탱크(40)의 상단부를 일정간격을 두고 감싸는 커버(5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카본탱크(40)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카본탱크(4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커버(50)에 부딪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카본탱크(40)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카본필터(41)가 날릴수도 있는데, 이때 날리는 카본필터(41)가 상기 커버(50)에 부딪치게 되어 다시 카본탱크(40)내로 낙하하게 되므로 카본필터(41)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탱크(40)의 상단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대(52)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50)를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50)의 상단면에는 상기 카본탱크(40)내로 카본필터(41)를 넣을 수 있도록 유입도어(51)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연결몸체(30)의 하단에는 연결몸체(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서포트(3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30)의 측면에는 상기 카본탱크(40)내의 카본필터(41)가 연결몸체(30)내의 바닥으로 낙하할 경우 낙하된 카본필터(41)를 빼낼수 있도록 도어(32)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저장탱크(5)에 석유나 화학약품 등의 각종 유체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저장탱크(5)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저장탱크(5)에 저장된 유체에 따라서는 장기간 보관시 기체(유증기)가 발생하여 저장탱크(5)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5)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저장탱크(5) 내부의 상부쪽에 있는 유증기가 상기 필터장치(8)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바디(11)로 유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유증기의 압력에 의해 도 1과 같이 상기 진공바디(12)의 공기유입구(12a)는 진공바디(12)측 디스크(13)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압력바디(15)의 유증기유입구(15a)는 압력바디(15)측 디스크(16)가 유증기의 압력에 의해 열리게 되면서 개방된다.
계속해서, 상기 유증기는 압력바디(15)의 출구(15b)를 통해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로 유입되면서, 상기 저장탱크(5) 내부의 증가된 압력은 해소되게 된다.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로 유입된 유증기는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데미스터 필터(22)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유증기 중에 포함된 기름이 걸러지면서 제거된다.
상기 데미스터 필터(22)에 걸러진 기름은 중력방향으로 낙하하여 연결몸체(30)의 바닥에 모인 후 밸브(35) 개방시 외부로 배출된다.
계속해서,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를 통과한 유증기는 상기 연결몸체(30)를 따라 상기 카본탱크(40)의 하측으로 유동한 후, 상기 메쉬부(45)를 통과하여 카본탱크(4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카본탱크(40)의 내부로 유입된 유증기는 카본탱크(4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유증기 중에 포함된 기름 및 유해성분이 카본필터(41)의 미세한 기공에 포집되어 대부분 제거되게 된다.
이후, 상기 카본탱크(4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커버(50)에 가이드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카본필터(41)가 포화상태가 되면, 상기 카본탱크(40)의 배출도어(42)를 열어 카본필터(41)를 외부로 빼낸 후, 상기 커버(50)에 설치된 유입도어(51)를 열어 새로운 카본필터(41)를 카본탱크(40)내로 넣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5)내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저장탱크(5)내에 진공(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5)내에 진공이 발생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압력바디(15)의 유증기유입구(15a)는 압력바디(15)측 디스크(16)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진공바디(12)의 공기유입구(12a)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진공바디(12)측 디스크(13)가 열리게 되면서 개방된다.
상기 진공바디(12)의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저장탱크(5)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탱크(5)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소하게 된다.
1: 유증기 제거장치 5: 저장탱크
10: 밸브장치 11: 연결바디
12: 진공바디 13,16: 디스크
15: 압력바디 20: 데미스터 필터부
21: 연결관 22: 데미스터 필터
30: 연결몸체 31: 서포트
32: 도어 35: 밸브
40: 카본탱크 41: 카본필터
42: 배출도어 45: 메쉬부
50: 커버 51: 유입도어

Claims (5)

  1. 각종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5)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저장탱크(5)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장치(10)와,
    상기 밸브장치(10)의 출구(15b)와 연통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밸브장치(10)를 통해 배출되는 유증기(VOC) 중에 포함된 기름을 걸러내는 데미스터(demister) 필터부(20)와,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의 일측에 나란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카본필터(41)가 충전되어 상기 카본필터(41)를 통과하는 유증기 중에 포함된 기름 및 유해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카본탱크(40)와,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를 통과한 유증기가 상기 카본탱크(40)를 통과하도록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와 상기 카본탱크(40)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는, 상기 밸브장치(10)에서 배출된 유증기가 하측(중력)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밸브장치(10)의 출구(15b)로부터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연결관(21)과, 상기 연결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결관(21)내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증기 중에 포함된 기름을 걸러내는 데미스터 필터(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몸체(30)는,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를 통과한 유증기가 상기 카본탱크(40)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카본필터(41)를 통과하도록 상기 연결관(21)의 하단부와 상기 카본탱크(40)의 하단부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탱크(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몸체(30)를 통과한 유증기가 카본탱크(40)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카본필터(41)를 지지하여 카본필터(41)가 연결몸체(30)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4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탱크(40)의 상단부에는, 카본탱크(40)의 상단부를 일정간격을 두고 감싸는 커버(50)가 결합되어, 상기 카본탱크(40)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카본탱크(4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커버(50)에 부딪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10)는,
    상기 저장탱크(5)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연결바디(11)와,
    상기 연결바디(11)의 측면에 연통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공기유입구(12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2a)를 개폐하도록 디스크(13)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5)내에 진공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구(12a)를 개방하여 진공을 해소하는 진공바디(12)와,
    상기 연결바디(11)의 상단에 연통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상기 저장탱크(5)에서 배출된 유증기가 유입되는 유증기유입구(15a)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데미스터 필터부(20)와 연결되는 출구(15b)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유증기유입구(15a)를 개폐하도록 디스크(16)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5)내에 압력 발생시 상기 유증기유입구(15a)를 개방하여 압력을 해소하는 압력바디(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KR2020100010834U 2010-10-22 2010-10-22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KR200463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34U KR200463919Y1 (ko) 2010-10-22 2010-10-22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34U KR200463919Y1 (ko) 2010-10-22 2010-10-22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83U true KR20120002983U (ko) 2012-05-03
KR200463919Y1 KR200463919Y1 (ko) 2012-12-03

Family

ID=4660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834U KR200463919Y1 (ko) 2010-10-22 2010-10-22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9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917B1 (ko) 2016-12-02 2017-01-16 김인규 유증기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376A (ja) * 2001-06-01 2002-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分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919Y1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8645B2 (ja) 排ガス処理装置及び船舶
CN107030100A (zh) 热脱附系统及热脱附方法
KR20110098141A (ko) 원심 집진 장치
CN102350147B (zh) 一种一体化的吸附除尘装置
CN206404483U (zh) 活性炭过滤装置
KR102055384B1 (ko) 산업시설 배출설비의 미세먼지 차단 시스템
KR102074185B1 (ko) 스크러버형 미세먼지 및 백연 제거장치
CN105617798A (zh) 一种风送式超声波微米级干雾抑尘系统及方法
CN104524947A (zh) 基于高分子筛吸附技术的喷涂有机废气处理系统和处理方法
CN109310934A (zh) 用于从气体流中去除污染物的装置和方法
JP5584936B2 (ja) 気液分離装置および油水分離装置
JP6749146B2 (ja) 湿式ガス状物質処理装置
KR200492136Y1 (ko) 차량 도장부스의 방지시설
CN206715634U (zh) 一种脱硫喷淋塔
KR20220029021A (ko) 오염공기 및 유해분진의 통합처리를 위한 집진장치
KR200463919Y1 (ko) 저장탱크의 유증기 제거장치
KR101975346B1 (ko) 배기가스에 포함된 분진, 오일, 악취 및 백연을 제거하기 위한 일체형 정화시스템
CN107754531B (zh) 用于空气净化器的带有拦截滤网的一级过滤装置
KR101364097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폐가스 처리장치
KR200413227Y1 (ko) 가압 수막형 세정집진장치
CN107036107A (zh) 有机废气处理装置以及有机废气处理方法
CN201331121Y (zh) 一种油烟净化回收装置
WO2009082072A1 (en) Dust filtering collector for removing smoke and method for filtering smoke using same
CN106492586A (zh) 喷淋及活性炭箱一体化处理设备
KR20130001561A (ko)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